재일동포와 다문화 PDF

Summary

이 자료는 재일동포의 이주 역사와 문화에 대해 조선대학교 임영언 교수가 강의한 내용입니다. 이주 배경, 분포, 민족 차별, 문화 및 문학 등을 다루고 있습니다.

Full Transcript

재일동포 이주역사와 문화 조선대학교 교수 : 임 영 언 목차 1. 개념과 명칭 5. 민단과 총련 2. 이주배경 및 분포 6. 민족차별 ( 통명 , 지문날인 , 3. 관동 대지진과 학살 지방참정권 , 생활보호 등 ) 4. 한신교육투쟁과 민족교육 7. 문화...

재일동포 이주역사와 문화 조선대학교 교수 : 임 영 언 목차 1. 개념과 명칭 5. 민단과 총련 2. 이주배경 및 분포 6. 민족차별 ( 통명 , 지문날인 , 3. 관동 대지진과 학살 지방참정권 , 생활보호 등 ) 4. 한신교육투쟁과 민족교육 7. 문화와 문학 1. 개념과 명칭 대한민국정부 수립이전까지는 ‘재일조선인’ 1952 년 ‘샌프란시스코조약’ 발효 이후 ‘조선적’ 1965 년 한일기본조약 체결에 따라 ‘한국적’ 1970 년 후반부터 1980 년에 걸쳐 ‘재일한국 · 조선인’ 재일본대한민국민단 ( 민단 ) 은 ‘재일한국인’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 총련 ) 는 계속해서 ‘재일조선인’ ‘ 재일코리안’ , ‘ 코리안재패니즈 (Korean-Japanese)’ 2. 이주배경과 분포 1875 년 강화도에 일본군함 ‘운양호’ 출현 , 1876 년 ‘강화도조약’ 체결 , 조선 원산 , 인천항 개항 ( 조계지 ) 1909 년까지 통계적으로 일본거주 재일코리안은 790 명 1910 년 ‘한국강제병합’ 이후 대량이주 시작 1910 년 한국강제병합 후 조선총독부 한반도 토지조사사업 전면 실시 - 무소유지나 공용지 , 입회지 등이 일본인 지주 , 동양척식주식회사 소유지 - 조선인구 80% 농민 - 도시하층민 노동자 전락 2. 이주배경과 분포 재일코리안 1910 년 -3 천명 , 1920 년 3 만 명 , 1935 년 65 만 명 , 1945 년 246 만 명 1918 년 제 1 차세계대전 종전 , 경제불황과 노동력 과잉상태 1919 년 ~1929 년 도항금지제도 실시 , 1929 년에는 거주지 관할경찰서 소개장 요구 일본과 조선 사이의 교통수단 ‘관부연락선’ , 일본으로의 노동력유입의 수급 조절 북부지역 출신자 중국동북부나 구 소련의 연해주지역 이주 중국동북부 길림성 중심 약 200 만 명의 중국조선족 집거지 와 연변조선족 자치주 형성 - 구 소련의 연해주지역에 거주한 수십만 명의 조선인들이 스탈린 시대인 1937 년 중앙아시아로 강제 이주 3. 강제이주 루트와 관부연락선 4. 거주지역과 분포 오사카지역 쓰루하시 역 주변의 코리아타운 , 이카이노지역 , 가나가타 구 , 나다 구 , 가남구의 히가시 쿠죠 등 메이지 이후 오사카는 철강이나 조선 등의 관영보다는 방적 ( 섬유 ), 가 , 화학 등 민간자본을 중심으로 발달하여 1920 년대 전국공업생산액 제 1 위인 공업도시 효고 현 ( 고베 ) 고무 , 방직 , 철강 , 조선 , 교토 - 비단 , 염색 등 1923 년 오사카 - 제주도 정기항로 개설 - 제주도 출신 급증 < 재일동포 지역별 현황 (2015 년 ~2021 년 )> 연도별 2015 2017 2019 2021 백분율 (%) 총계 855,725 818,626 824,977 818,865 11.18 ( 귀화자 포함 ) 귀화자 * 355,274 365,530 375,518 383,991 46.89 주일본 ( 대 ) 139,990 130,946 135,526 132,718 16.21 주고베 ( 총 ) 54,752 48,337 46,325 44,687 5.46 주나고야 ( 총 ) 47,756 41,692 40,282 38,946 4.76 가(총) 8,740 7,586 7,483 7,192 0.88 주삿포로 ( 총 ) 4,848 4,213 4,507 4,164 0.51 주센다이 ( 총 ) 9,679 8,498 8,269 7,764 0.95 주오사카 ( 총 ) 154,136 139,013 134,036 128,533 15.70 주요코하마 ( 총 ) 37,459 34,452 34,937 34,456 4.21 주후쿠오카 ( 총 ) 24,510 22,735 23,130 22,140 2.70 주히로시마 ( 총 ) 18,581 15,624 14,964 14,274 1.74 4. 거주지역과 지리적 분포 (2021 년 12 월 ) 지방 지역 한국 국적 비율 지방 지역 한국 국적 비율 도쿄도 89,849 20.60 오사카부 95,021 21.79 가가 28,142 6.45 효고현 38,852 8.91 치바현 15,724 3.61 교토부 22,985 5.27 야마나시현 1,685 0.39 긴키 지방 나라현 3,331 0.76 도쓰기현 2,328 0.53 가 4,173 0.96 이바라키현 4,380 1.00 와카야마현 2,014 0.46 관동지방 사이다마현 16,807 3.85 소계 166,376 38.15 군마현 2,377 0.54 히로시마현 7,593 1.74 시즈오카현 4,706 1.08 오카야마현 4,788 1.10 가 3,393 0.78 돗토리현 896 0.21 가 1,727 0.40 주고쿠 지방 시마네현 622 0.14 소계 171,118 39.23 야마구치현 5,168 1.18 미야기현 3,202 0.73 소계 19,067 4.37 홋카이도 4,562 1.05 후쿠오카현 15,244 3.49 아오모리현 757 0.17 가 1,003 0.23 야마가타현 1,442 0.33 가 644 0.15 동북지방 이와테현 762 0.17 오이타현 1,639 0.38 규슈지방 아키타현 501 0.11 미야자키현 530 0.12 후쿠시마현 1,509 0.35 구마모토현 947 0.22 소계 12,735 2.92 가 505 0.12 아이치현 29,506 6.76 오키나와현 1,269 0.29 기후현 3,848 0.88 소계 21,781 4.99 미에현 4,319 0.99 가가 854 0.20 중북지방 이시카와현 1,409 0.32 에히메현 1,146 0.26 시코쿠 지방 후쿠이현 2,158 0.49 고치현 471 0.11 도야마현 927 0.21 도쿠시마현 317 0.07 소계 42,167 9.67 소계 2,788 0.64 4. 재일동포 체류 자격별 추이 (2002 년 ~2021 년 ) 특별 일본인 영주자 연도 총수 영주자 정주자 기타 영주자 배우자 등 배우자 등 2002 625,42 485,18 37,121 21,868 3,093 ー 78,160 년 2 0 2005 598,68 447,80 45,184 21,837 2,656 ー 81,205 년 7 5 2010 565,98 395,23 58,082 19,761 2,574 8,374 81,964 년 9 4 2015 491,71 344,74 66,803 14,382 2,271 7,536 55,975 년 1 4 2020 454,12 300,78 72,872 12,527 2,137 7,213 58,587 년 2 6 2021 436,16 292,86 73,423 12,140 2,062 7,159 48,519 5. 산업과 정착 재일코리안 3 대 산업 : 파친코 , 야끼니쿠 , 토목건축업 ( 폐기물재생업 ) 6. 관동대지진과 조선인 학살 1923 년 9 월 1 일 오전 11 시 58 가 발생한 관동대지진은 진원지 사가 미완 ( 相模湾 ) “ 조선인이 우물에 독을 넣었다.”, “ 조선인이 폭동을 일으키고 있다.” 라는 유언비어 구전 확대 ( 자경단 조직 ) 학살당한 조선인 수는 약 6,000 명 ( 재일조선인 8 만 명 중 ) 7. 한신 교육투쟁과 민족학교 1945 년 해방 이후 재일코리안 “ 돈 있는 사람은 돈을 , 지혜 있는 사람을 지혜를” 구호 창고나 공장의 일부 또는 일본학교의 교실 한 칸을 빌려서 ‘국어강습소’나 ‘조선학교’ 1948 년 초 일본전국에 존재했던 조선학교는 초 , 중 , 고 ( 청년학교 ) 를 합쳐 606 개교 , 약 5 만 8,000 명 민단계 학교가 54 개교에 약 6,500 여명 1948 년 1 월 조선학교 폐쇄령 1948 년 3 월 24 일 - ‘ 한신교육투쟁 ( 阪神教育闘争 )’ 은 체포자 2,900 명 , 점 의 군 령 가회부된 자가 213 명 “ 일본을 반공의 방파제로 삼는다.” 라는 미국의 동아시아 세계전략 , 재일조선인이 ‘공산주의 세력의 온상’이라는 인식 등 7. 한신 교육투쟁과 민족학교 1959 년 도쿄 코다이라시 조선대학교 설립 - 총련 조직의 전문연구자나 교원양성 조선학교는 1993 년도부터 2011 년까지 18 년간 35 개교 폐교 , 약 30.6% 감소 , 2012 년 현재 초급학교 79 개교에서 58 개교 (21 개교 감소 ), 중급학교 56 개교에서 35 개교 (21 개교 감소 ), 고급학교 12 개교에서 9 개교 (3 개교 감소 ) 로 감소 총 102 개교 일본의 학교교육법의 제 1 조인 초 , 중 , 고 , 대학 , 고등전문 , 맹학교 , 농학교 , 양호학교 및 유치원 등으로 이들 학교를 ‘일조교 ( 一条校 )’ 민족학교는 동법 83 조의 ①에 있어서 “제 1 조 이외의 학교교육에 해당되는 교육을 행하는 기관은 모두 각종학교로 한다.” 라고 규정 일조교와 83 조의 차이점은 교장 및 교원자격 , 건강진단 , 보건조치 , 자녀 사용자의 의무교육조항 폐지 등 민족학교는 동포사회의 입학 권유로 자녀들 입학 7. 한신 교육투쟁과 민족학교 8. 민단과 총련 1945 년 식민지 해방 , 10 월 동경에서 ‘재일본조선인연맹 ( 조련 )’ 이 결성 - 약 200 만 명 재일조선인의 귀국을 위한 생활원조 , 생활상담 , 조선어 교육 활동 등 미국과 소련의 조선정책에 대한 대립을 배경으로 조련 내부 , 1946 년 1 월 임시대회를 계기로 좌우 분열 일본공산당의 간부와 당원에는 조선인 당원 , 일본공산당이 조련 지도부 장악과 주도권 - 조련은 일본공산당의 정치방침을 실행하는 별동대 역할 1948 년 ‘대한민국’과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의 수립 이후 재일코리안 민족단체는 각각의 지지조국을 유일한 정통정부로 여기는 분열상태 1955 년 ‘재일본조선인총연합회 ( 총련 )’ 가 결성 8. 민단과 총련 1955 년 북한 - 재일동포를 일본공산당과의 단절 , 일본정부 ‘내정간섭’을 배제 , ‘ 공화국국적법’에 의한 ‘재외공민’ 규정하여 ‘조국통일민주주의전선’의 일원 공화국최고인민회의 대표원 선출자격 부여 1959 년 ‘북송운동’ 전개 약 10 만 명의 재일동포 북한 귀국 1965 년 한일조약체결 전후로 조선상공회 , 조선은행 , 보도기관 , 청년과 여성 , 학생회 등 산하단체조직 , 탄압정책에도 불구하고 조선학교의 운영과 민족교육 전개 민단 - 1945 년 해방 후 총련에 참여하지 않은 건국촉진청년동맹 ( 건청 ) 과 신조선건설동맹 ( 건동 ) 등이 조직 - 사회주의 , 공산주의에 반감을 가진 민족파 , 무정부주의자 ( 아나키스트 ) 포함 민단의 모체인 ‘재일조선인거류민단’ 1946 년 10 월 발족 - 최초의 단장 박열 8. 민단과 총련 1948 년 ‘재일조선인거류민단’에서 ‘재일한국인거류민단’으로 명칭 변경 민단의 주요 활동 1959 년 시작된 총련 ‘귀국운동’ 반대와 저지활동 , 1965 년 한일국교정상화로 협정영주에 의한 체류자격의 안정을 요구하는 재일동포들에게 한국적 취득 , 모국성묘 및 친족방문 등을 위한 영사업무대행 등 재일동포의 정주지향이 확정됨에 따라 법적지위과 권익옹호 상공인의 상호부조조직이나 금융사업 조성 , 한국학원 ( 도쿄 , 오사카 , 교토 학교법인 ) 의 경영 지원 , 서울올림픽이나 독립기념관건설모금 , 월드컵공동개최모금 등 민족차별 운동 전개 - 1991 년 1 월 10 일 재일한국인 법적지위향상 및 처우개선에 대한 합의 , 재일동포 3 세 의영주권 허가 , 지문날인제도 철폐 , 국 · 공립학교 교원 임용기회 획득 , 지방자치단체 공무원 임용기회 확대 등 합의 1994 년 민단 명칭 ‘거류’ 배제 , ‘ 대한민국민단’ 개명 8. 민단과 총련 9. 민족차별과 저항운동 (1970-80 년대 ) 4 대악 제도 - 지문날인제도 , 외국인등록증상시휴대 , 재입국허가제도 , 강제퇴거제도 폐지운동 지방자치단체 공무원채용 및 국공립학교 교원채용 시 국적조항철폐 , 지방자치단체 참정권 보장 , 민족교육 등 10. 강제징용과 종군위안부 ‘ 종군위안부’는 한반도나 일본 점령지에서 일본인과 현지 일본군 앞잡이들이 “좋은 직업이 있다. 급료가 높다 , 아주 쉬운 직업이다.” 라는 말에 속아 일본군 시설 배치 , 수송이나 관리를 담당 장소 성노예. 1930 년대 중반 본격화 된 군대시설은 1938 년 중반 명목상 민영화 - 총 10 만 명 정도 추정 일제 -1941 년 ‘여자정신근로령’ 송신도 할머니 11. 문화와 문학 스포츠 ( 역도산과 장훈 ) 기업경영 11. 문화와 문학 음식문화 조선장학회 도서관 오사카코리아타운 역사자료관 12. 재일코리안 문학 가 ( 芥川賞 ) 나오키상 ( 直木賞 ) 수상연도 가 문학작품 수상연도 가 문학작품 이회성 1971 년 다듬이질을 하는 여자 ( 砧 1965 년 다치하라 마사아키 옻나무 꽃 ( 李 恢 하반기 をうつ女 ) 하반기 ( 김윤규 , 立原正秋 ) ( 漆の花 ) 成) 이양지 쓰카 고우헤이 1988 년 1981 년 카마타행진곡 ( 李 良 유희 ( 由煕 ) ( 김붕웅 , つかこうへ 상반기 하반기 ( 蒲田行進曲) 枝) い) 유미리 1996 년 1992 년 초승달 ( 柳 美 가 ( 家族シネマ ) 이주인 시즈카 ( 伊集院静) 하반기 상반기 ( 受け月 ) 里) 1999 년 현월 그늘의 집 ( 陰の棲み 2000 년 가 가 ( 金城一紀) 고 (GO) 하반기 ( 玄月 ) か) 하반기 13. 코리아타운 ( 신오쿠보 , 가 , 오사카 ) 경청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THANK YOU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