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자세포생물학2 Ch. 1 PDF
Document Details
Uploaded by Deleted User
Tags
Related
-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Membrane Structure PDF
- Introduction to Cells and the Cell Membrane (1) PDF
- Membrane Structure Transport - European University Cyprus - PDF
- Cell and Molecular Biology Chapter 8 PDF
- Molecular Biology of the Cell - Chapter 10 - Membrane Structure PDF
- MCB Lipids and Membrane Structure MCB (PDF)
Summary
이 문서는 분자세포생물학2 Ch. 1에 대한 내용으로, 세포막의 구조와 기능에 대해 자세히 설명합니다. 주요 내용으로는 지질 이중층, 양친매성 분자, 막단백질과 같은 주요 구성 요소의 역할, 그리고 막의 유동성과 이중층 구조의 중요성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Full Transcript
분자세포생물학2 Ch. 1 Membrane Structure 개요 Plasma membrane : 세포의 외내부를 구분짓는 막으로, 단백질(Protein)이 박혀있는 지질(Lipid)로 된 약 5nm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 피막임. Plasma membrane은 일종의 선택적 장벽(Selective barrier)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선택적 수송 기능 또한 담당함....
분자세포생물학2 Ch. 1 Membrane Structure 개요 Plasma membrane : 세포의 외내부를 구분짓는 막으로, 단백질(Protein)이 박혀있는 지질(Lipid)로 된 약 5nm의 지질 이중층(lipid bilayer) 피막임. Plasma membrane은 일종의 선택적 장벽(Selective barrier) 역할을 수행할 뿐 아니라 선택적 수송 기능 또한 담당함. 세포가 성장하면 막 또한 새로운 막을 첨가해 표면적을 넓혀 성장하며 막에 손상이 일어난다 하여도 자가치유력으로 인해 복구됨. 박테리아 : 단일막 eukaryote : outter membrane과 inner membrane으로 구성된 이중막 구조. inner membrane은 세포 소기관 형성 Lipid bilayer : 세포는 물로 둘러싸여있기에 세포막의 구조는 lipid bilayer가 수용액에서 행동하는 방식에 의해 결정됨. 또한 세포의 원형질막의 지질 추출 시 세포 면적의 2배가 측정 > bilayer, 즉 이중층을 의미. Lipid는 물에서 Bilayer를 형성한다 - 세포막에서 발견되는 지질은 hydrophilc한 머리와 hydrophobic한 꼬리 두 부위로 구분됨. - 대표적으로 인지질(phospholipid)의 경우 phosphate group을 포함한 hydrophilc한 머리 부분과 hydrophobic한 꼬리 부분으로 구성됨. 이러한 인지질 중의 대다수는 phosphatidylcholine으로, 콜린-인산 결합의 친수성 머리로 구성됨. 이 phoshatidylcholine은 소수성 꼬리 한쪽에 이중결합이 존재해 비틀림 발생. - 이런 친수성/소수성 부위를 전부 가진 분자를 amphipathic(양친매성) 이라고 부름. 이러한 특성은 인지질 뿐 아닌 glycolipid(당지질), sterol(스테롤) 또한 보유하고 있음. - 친수성 분자의 특성인 물을 끌어당기는 성질과 물에 잘 녹는 것, 소수성 분자의 특징인 물에 결합하지 않는 것 = 녹지 않는 것으로 인해 물분자가 소수성 분자를 둘러싸는 격자 구조를 이루게 하는 성질 두 가지를 만족시키기 위해서는 lipid bilayer를 형성해 두 인지질의 친수성 머리는 물으로, 소수성 머리는 서로 만나게끔 하여 물으로부터 격리하는 구조를 형성함. - 이렇게 형성된 이중층은 자기봉합하는 성질을 가지는데, 이중층 일부가 파손되면 물에 노출되어 불안정해지기 때문임. - 이러한 자기봉합 특성으로 인하여 이중층은 스스로 소수성 부위가 노출된 가장자리끼리 연결되어 밀폐된 일종의 vesicle(소낭), 혹은 liposome을 형성함. 지질이중층은 2-Dimensinal flexible structure이다 - 막지질 자체는 이중층에서 빠져나기지 않지만, 이중층 내부에서의 운동은 가능함(liquidity-유동성) > 이는 막 기능성에 매우 중요 - 동시에 유연성(flexible) 존재 - 이중층은 flip-flop이란 안팎이 뒤집어지는 경우는 매우 적음(상하 교환), 그러나 단일층 내에서의 위치 변환은 매우 자주 일어남(좌우 교환) - 이런 특징은 지질 분자의 빠른 확산 윺도 - 또한 각 분자는 단일층 내의 긴 축을 통해 초당 500회 속도로 회전 지질이중층의 liquidity는 구성성분에 의해 결정된다 - 이중층의 liquidity(유동성)은 특히 인지질의 hydrocarbon(탄화수소) 꼬리와 크게 영향을 받음, 꼬리 부분이 조밀하고 규칙적일수록 점성이 강하고 덜 유동적임 - 유동성은 탄화수소 꼬리의 이중결합의 수와 길이에 영향을 받음 - 꼬리의 길이가 짧다 = 결합력이 약하다 = 유동성이 증가, 즉 반비례 - 보통 탄소원자는 18-20개 - 대부분의 인지질은 탄화수소 꼬리중 하나는 한 개 이상의 이중 결합을 갖고 있음, 이는 곧 수소 원자가 최대한으로 결합하지 않았다는 것을 의미하므로 unsaturated(불포화), 반대로 이중결합이 없는 꼬리는 saturated(포화)되었다고 표현함 - 이러한 unsaturated된 꼬리가 있는 인지질은 비틀려있으므로 겹치기 어려움, 즉 unsaturated 많음 = 유동성이 증가 = 비례 - 이러한 특성의 예시로 박테리아나 효모는 스스로 인지질의 포화 정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온도에 적응, 또한 동물성 지방은 포화, 식물성은 불포화라 상온에서 식물성 지방은 잘 굳지 않음. 이를 이용한 것이 마가린 > 식물성 지방에서 H기를 첨가해 불포화지방을 포화지방으로 만든 것 - 추가로 동물세포의 경우 유동성은 콜레스테롤에 의해 조절됨, 콜레스테롤은 plasma membrane에 다량 존재 - 콜레스테롤은 고리 구조가 있어 탄화수소 꼬리의 비틀림현상으로 인해 발생한 빈 공간을 채움 = 이중층이 견고해짐 = 덜 유동성 = 반비례, 추가로 투과도도 줄임 - 이러한 막의 유동성은 막단백질의 확산을 용이하게 해주며, 세포 분열 시 분자의 동일한 분배, 세포막 융합 시 분자가 잘 섞이게 해줌 막의 조립은 Endoplasmic Reticulum, ER(소포체)에서 시작한다 - 진핵세포에서 인지질은 ER에 부착된 효소에 의해 생성됨 - 이때 생성된 인지질은 이중층의 세포질을 향한 면-즉 inner membrane-에만 끼워짐 - 그러나 세포막은 항상 균등한 성장을 이룸 - 이는 filp-flop이 일어나는 것이 아닌, scramblase에 의해 임의의 인지질을 반대쪽 인지질로 섞어 수송하는 것 특정 인지질들은 막의 한 쪽 면에만 국한되어 있다 - 대부분의 세포막은 비대칭(asymmetry) - 그런데 소포체는 균등하게끔 인지질을 분배함(큰 수의 법칙으로 인하여 무작위 분배가 계속되면 비교적 균등분배될 수밖에 없음) - 이는 골지체에 의해 flippase라는 효소가 작용하여 세포 외부로 향해야 specific한 인지질을 골라 세포질 내부로 향하는 면의 인지질 쪽으로 끼워 넣음 - 이렇게 형성된 비대칭성은 세포막의 '안쪽'과 '바깥'을 구분하는데, 이는 다른 세포와 상호작용할 때도 적용됨 - 세포질 쪽 단일막은 항상 세포질을, 비세포질 쪽 단일층은 lumen(세포 소기관의 안쪽 공간, 내강)이나 항상 원형질막 쪽을 향함 - 이러한 방향성의 보존은 막단백질에도 적용됨 > 세포 기능의 결정에 있어 매우 중요 - 이러한 비대칭성 중 가장 큰 비대칭을 가지는 것이 당지질, 주로 비세포질 쪽(바깥)에만 위치, 그 외에 inositol phospholipid는 세포기질 방향으로 분포하여 세포 외부로부터 세포 내부 신호 중계기 역할도 함 membrane protein : 사실 세포막의 대부분 기능은 이 membrane protein(막단백질)이 수행하는 것. 원형질막의 50%가 막단백질, 그 외에는 지질, 당지질, 당단백질의 탄수화물 등으로 질량 비중이 높음. 이러한 막단백질은 transporters and channel-수송 역할을 하거나, anchor-거대분자 고정, receptor-수용체, enzyme-효소 등 여러 역할을 수행함. membrane protein은 여러 방법으로 lipid bilayer과 결합한다 - 지질이중층과 달리 단백질은 여러 방법으로 세포막과 상호작용함 ○ 대부분의 막단백질은 단백질 일부분이 양쪽으로 돌출된 형태, 이를 trans-membrane protein(막관통단백질)이라 부름, 이 형태의 단백질도 amphipathic을 가짐 ○ 다른 막단백질은 양친매성을 갖는 a-helix에 의해 지질이중층의 안쪽 면과 결합하여 세포기질 내부에 위치하는 경우도 존재함-monolayer associated protein ○ 일부는 아예 이중층 외부에 존재하는데, 분자 하나가 공유결합에 의해 인지질과 연결된 경우 - lipid-linked protein ○ 그 외에 아예 다른 막단백질과의 상호작용으로 간접적 연결된 단백질이 있음 - protein-attached protein ○ 이런 단백질 중 지질이중층과 직접적으로 결합한 위의 세 막단백질을 integral membrane protein-내재성 막단백질이라 하고, 그렇지 않은 막단백질을 peripheral membrane-표재성 막단백질이라 함. 이 중 표재정 막단백질은 이중층엔 영향을 주지 않으면서 단백질의 상호작용을 방해하는 방식으로 추출할 수 있음. 폴리펩타이드 사슬은 대개 a-helix로 지질이중층을 통과한다 - 모든 막단백질은 방향성을 가지는데 이는 기능에 영향을 미침 - trans-membrane receptor protein을 예시로 들면 신호 받는 부분은 무조건 밖, 전달 부분은 안으로 존재해야 됨, 이런 경우 관통하는 부위가 존재하는데, 이런 관통 부위는 소수성 곁사슬을 가진 아미노산으로 구성되어 있음 - 그러나 폴리펩타이드 결합은 극성 결합, 하지만 이중층 내부는 물이 없음 - 따라서 이러한 특성상 폴리펩타이드 사슬끼리 서로 수소결합하게 되는 a-helix 상태가 될 수 밖에 없음 - 이렇게 형성된 a-helix의 소수성 곁사슬은 이중층의 소수성 꼬리와 상호작용하게 되고, 친수성 나선 부분은 안쪽으로 형성됨 - 이렇게 형성된 trans-membrane protein의 경우 대부분 수용체로 작용하게 됨 - 그 외에 여러 a-helix가 뭉쳐서 형성된 막단백질 덩어리의 경우가 있는데, 이때 친수성 곁사슬이 있다면 친수성 곁사슬 부분끼리 서로 모여 일종의 친수성 막공을 형성하고, 이는 통로로 작용함. - 간혹 b-sheet가 지질이중층을 통과하면서 일종의 barrel을 형성하기도 함. 대표적으로 porin 단백질이 존재. 막단백질은 detergent(계면활성제)를 이용해 용해할 수 있다 - 막단백질 특성상 amphipathic함 - 이를 위해 이중층을 파괴할 필요가 있음 - detergent를 활용하는데, detergent는 친수성 머리와 소수성 꼬리 1개를 가져 원뿔 모양이고, micelle이란 덩어리를 형성함. 종류로는 SDS와 triton x-100이 존재. 구조가 완전히 알려진 막단백질은 드물다 - 막단백질을 추출하면 계면활성제와 복합된 상태이므로 정제하기 힘듬 > 결정화 작업 어려움 - 그러나 극저온전자현미경을 이용해 구조를 밝혀나가고 있음 - bacteriorho-dopsin은 세포 밖으로 proton을 배출하는 transporter protein - bacteriorho-dopsin은 흡광작용을 하는 retinal이라는 비단백질성 분자를 포함하여 보라색을 띔, a-helix와 결합된 retinal이 빛을 흡수하면 모양이 변하는 작용을 하는데, 이 작용으로 수소 이온 펌프 역할을 하는 것. 이러한 펌프 역할을 하는 단백질을 pump protein이라 함 plasma membrane은 아래쪽을 받쳐주는 cell cortex에 의해 보강되어 있다 - 세포막 자체는 변형되기 쉬운 구조, 따라서 trans-membrane protein과 부착되어 있는 protein skeleton에 의해 보강됨 - 식물세포의 경우 cell well, 동물세포는 cell cortex(세포피질)이라 불리는 filament protein - 대표적으로 적혈구 피질의 성분인 spectrin, 얘가 적혈구 특유의 모양 만듬, spectrin 없으면 빈혈, 적혈구 원반 아니라 구 모양으로 됨 - 이런 cortex로는 actin과 myosin도 존재, 적혈구랑 다르게 물질 흡수나 모양 변경 및 이동, 확산 제한에도 이용 세포는 막단백질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 세포막의 특성에 따라 막단백질은 결국 무작위로 이동하게 됨, 그러나 이는 세포를 너무 단순화시킴 - 세포는 membrane domain을 만들어 특정 막단백질의 이동을 특정 부위로 제한시킴 - 상피세포의 경우, 막단백질이 비대칭적으로 분포하게 되는데, 이렇게 비대칭적으로 분포한 단백질은 인접한 상피세포끼리 밀착하여 tight junctiond을 형성하여 유지됨. 막단백질은 이 tight junction을 뚫고 확산할 수 없음 탄수화물이 세포표면을 덮고 있다 - 막단백질 중 당이 결합한 대다수는 oligosaccharide라는 짧은 당이 연결되어 있음. 이를 당단백질이라 함 - 또한 하나 이상의 긴 다당류를 가진 다른 형태의 막단백질은 proteoglycan이라 함 - 이러한 탄수화물은 원형질막의 바깥쪽에 존재함, 이들은 glycocalyx라 불리는 피막을 형성함 - glacocalyx는 손상으로부터 세포표면을 보호함 - oligosaccharide와 다당류는 물분자를 끌어들이기에 세포 표면이 미끄러움 - 또한 당단백질은 세포간 인식이나 정착에도 영향을 미침, 정자가 난자를 인식할 때 - 또한 neutrophil이란 백혈구 표면의 탄수화물이 감염된 혈관 벽 세포상의 lectin을 인식하여 그 세포 조직으로 이동해 박테리아를 제거하게 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