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 지역사회간호학2 PDF
Document Details
대구가톨릭대학교
이 영 주 PhD. RN 이 해 인 PhD. RN
Tags
Summary
This document is lecture notes for a Korean undergraduate course on community health nursing, 2024-2. It covers topics like health promotion, community health, and relevant public health aspects.
Full Transcript
[2024-2] 지역사회간호학2 1. 건강증진 이 영 주 PhD. RN 이 해 인 PhD. RN 본 저작물은 저작권법 제25조 수업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제도에 의거,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와 약정을 체결하고 적법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약정범위를 초과하는 사용은 저작권법...
[2024-2] 지역사회간호학2 1. 건강증진 이 영 주 PhD. RN 이 해 인 PhD. RN 본 저작물은 저작권법 제25조 수업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제도에 의거,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와 약정을 체결하고 적법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약정범위를 초과하는 사용은 저작권법에 저촉될 수 있으므로 저작물의 재 복제 및 수업 목적 외의 사용을 금지합니다. 대구가톨릭대학교·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본 교과목의 학습내용 I. 보건소의 기능, 모자 및 영유아 보건 중간고사 전 II. 노인보건, 학교보건, 감염성질환 등 III. 보건교육의 이해 중간고사 후 IV. 가족간호, 방문간호, 산업간호 2 본 교과목의 출석평가 10% 결석 허용 횟수: 주당 수업횟수의 4배 1회 결석(2시간) 당 -1점 4회까지 결석 가능 : 9시간 이상 결석 시 과목 실격 수업시작 후 10분 이내 출석 만 지각 수정 수업시작 후 60분 이후 출석은 결석임 3 교과목을 배우기 전에~ “진단평가”를 해 봅시다! 오늘의 학습내용 1. 건강증진의 이해 (p473) 2. 건강증진사업, 생애주기별, 실무현장별 (p481) 3.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 5 건강증진의 이해 (p473) 건강증진의 정의 –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건강습관과 사회환경의 개선을 통해 국민 모두가 최적수준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과정 건강증진의 목표 – 자가건강관리(self-care)능력을 향상시키고 – 개인이나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건강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내 도록 역량을 강화(empowerment)함으로써 – 건강한 수명을 연장하고, 만성 퇴행성 질환의 증가로 인한 국가의 경제 ·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 건강증진과 유사한 개념 – 건강보호 : 위해요인이나 건강에 해로운 행동을 감소 – 질병예방 : 위험요인을 조기발견,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 6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에 대한 3가지 접근방식 Breslow(1983): 건강증진은 질적·양적으로 충분한 삶의 가능성 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든 수단으로 정의 – 예방적 수단, 환경적 수단, 행동적 수단을 제시 7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 (1) 캐나다 – 1974년 Lalonde 보고서; ‘캐나다 국민의 건강에 관한 새로운 시각’ – 70세 이전의 조기사망 원인에 대한 분석 자료 – 국민건강보험 실시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음 에도 사망률이나 이환율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결론 – 환경요인과 생활양식이 사망 및 상병이환에 크게 기여하므로 이들 요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건강관리의 핵심 – 세계적으로 건강증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졌음 8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2) 미국 – 보건후생부(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DHHS)는 1976년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사망원인의 1/2이 잘못된 건강행동, 생활양식 요인이며, 환경과 생물학적 요인이 각각 20%, 부적절한 보건의료 요인은 10% – 1979년, 1990년, 2008년, 2020년 『Healthy People 2030』 보고서 미국인의 건강향상을 위한 3가지 전략: 건강증진, 예방보건서비스, 건강 보호를 제시 9 미국 Healthy People 2030(‘20.8월 발표) https://health.gov/healthypeople/objectives-and-data/about-objectives/healthy-people-2030-objectives-and-measures 10 Healthy People 2030-Objectives https://health.gov/healthypeople/objectives-and-data/browse-objectives 11 23 Leading Health Indicators https://health.gov/healthypeople/objectives-and- data/leading-health-indicators 12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3) 일본 – 1978년 ‘제1차 국민건강 가꾸기 대책’ 발표 – 1988년 ‘제2차 국민건강 가꾸기 대책’; 영양, 운동, 휴식 등을 중심으 로 활력 있는 장수사회의 건설을 목표 – 2000년부터 21세기 국민건강 가꾸기 운동(건강일본21): 조기사망의 감소, 건강수명의 연장, 삶의 질 향상의 실현 13 건강일본21(제 3차, ‘24-’35) 비전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사회의 실현 기본방향 (1) 건강수명의 연장ㆍ건강격차의 축소 (2) 개인의 행동과 건강 상태의 개선 (3) 사회 환경의 질 향상 (4) 생애주기적 접근에 기초한 건강증진 등 출처) 김한해. (2023). 일본의 차기 국민건강증진계획: 『건강일본 21(제2차)』의 최종 평가 결과 및 『건강일본 21(제3차)』의 주요내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40(5), 93-111. DOI : 10.14367/kjhep.2023.40.5.93 14 건강일본21(제 3차, ‘24-’35) 출처) 김한해. (2023). 일본의 차기 국민건강증진계획: 『건강일본 21(제2차)』의 최종 평가 결과 및 『건강일본 21(제3차)』의 주요내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40(5), 93-111. DOI : 10.14367/kjhep.2023.40.5.93 15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 _cont. (4) 세계보건기구(WHO) – 1985년 ‘2000년까지 모든 인류에게 건강을(Health for All by the year 2000)’라는 보고서에서 건강증진 언급 ① 제1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1986년 캐나다의 오타와(Ottawa) : “오타와 헌장” 건강이란, 삶의 목적이 아닌 일상생활을 위한 자원 건강증진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통제력을 증대시키고 건강향상의 능력을 갖는 과정 건강증진의 3대 원칙 : 옹호, 역량, 연합 건강증진의 5대 활동요소: 개인의 기술개발, 지역사회 활동의 강화, 자원적 환경의 구축, 건강관련 공공정책의 수립, 보건의료제도의 방 향 재설정 16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② 제2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1988년 호주의 아델레이드(Adelaide)에서 개최 주요 의제 ; 건강증진을 위한 정부정책의 중요성 강조 ③ WHO 주최 개발도상국가 건강증진을 위한 실무회의 1989년 스위스의 제네바(Geneva) 주요 의제; 보건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언론/교육계 등 연합 강조 ④ 제3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1991년 스웨덴의 선즈볼 주요 의제; 보건지원을 위한 환경구축의 중요성을 강조 17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⑤ 제4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1997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주요 의제; 건강증진은 가치 있는 투자임을 강조 ⑥ 제5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2000년 멕시코의 멕시코시티 주요 의제; 건강에 관한 사회적 형평성 제고, 건강증진을 위한 과학적 근거의 확보 및 파트너십의 구축을 강조 ⑦ 제6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2005년 태국의 방콕 주요 의제; 건강증진정책과 건강결정요인을 강조 18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⑧ 제7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2009년 케냐의 나이로비 주요 의제; 건강증진 수행역량 격차해소를 강조 ⑨ 제8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2013년 핀란드의 헬싱키 주요 의제; 국가 수준에서 건강을 위한 다부문적 활동과 모든 정책에 서의 건강(health in all policies) 접근방법의 시행을 강조 ⑩ 제9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2016년 중국의 상하이 주요 의제; 지역사회와 도시가 건강을 위해 구조화, 건강문해력은 건 강증진 역량강화와 형평성을 가능하게 함 19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5) 우리나라 – 1980년대 중반까지 주요 상병은 급성 감염성질환 – 1990년대 이후부터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증가 암, 뇌혈관질환, 사고, 심장병, 간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이 주요 사망원인 –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생활실천을 위한 교육 및 환경여건 조성과 질병예방관리사업을 추진하도록 규정 국민건강증진법 제2조 “국민건강증진사업”이란, 보건교육, 질병예방, 영양개선, 신체활동 장려, 건강관리 및 건강생활의 실천 등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사업 (2019.12.3 개정, 2021.12.4 시행) “신체활동 장려”란 개인 또는 집단이 일상생활 중 신체의 근육을 활용하 여 에너지를 소비하는 모든 활동을 자발적으로 적극 수행하도록 장려하 는 것을 말한다. 20 2. 건강증진사업 건강증진사업의 범위 – 질병발생 이전과 발생 초기의 건강증진 – 질병치료와 회복시기의 건강증진 21 2. 건강증진사업 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현재의 건강문제의 50% 이상이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야기 질병치료를 우선하는 사회에서 건강문제는 개인의 책임이었으나, 건 강관리를 우선하는 사회에서 건강문제는 국가의 책임 노인인구의 증가는 만성퇴행성질환 인구의 증가를 의미, 만성퇴행성 질환은 생활습관병으로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 생활습관이 주원인인 만성병의 증가는 바로 국가 의료비 문제와 직결 생활습관의 계속적인 개선, 유지를 통해서 증상의 완화 및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 경제적이면서도 최선의 대안 생활습관의 교정을 위해서는 보건교육, 상담 뿐 아니라 사회환경의 변 화도 같이 변화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건강증진사업의 중요성이 강조 22 2. 건강증진사업 건강증진사업의 특성 다양한 보건의료영역의 직종이 참여하는 사업 많은 기관이 참여하는 사업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사회학적 접근방법이 요구됨 사업결과가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음 투입된 비용효과 분석이 어려움 23 2. 건강증진사업 건강증진사업에서 간호사의 역할 지역사회의 건강증진 요구사정자 (need assessor) 근거중심 사업계획서 수립 (program planner) 건강증진 관련 교육 및 상담자 (educator) 건강증진 관련 팀원과의 협조자 (collaborator)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 개발자 (community resource developer) 건강증진사업 활성화를 위한 촉진자 (facilitator) 건강증진사업 평가자 (evaluator)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방안도출을 위한 연구자 (researcher) 24 2. 건강증진사업 생애주기별 건강위험요인(p481) 태아기: 영양관리, 운동과 활동, 음주, 흡연, 약물 등 영유아기: 영양관리, 치아관리,활동, 사고예방, 대소변가리기, 예 방접종 등 학령전기: 영양관리, 운동과 활동, 사고예방, 성교육 등 학령기: 영양, 놀이, 치아관리, 비만관리, 사고예방, 성교육 등 청소년기: 영양, 흡연, 성교육 등 성인기: 비만, 음주, 운동 등 노년기: 영양, 낙상과 상해예방 등 25 2. 건강증진사업 생애주기별 건강증진프로그램 생애 주기에 따른 주요 인구집단별 건강관리(HP2030) – 영유아: 고위험 산모신생아 의료체계 개선, 영유아 사망·장애 예방검진 – 아동·청소년: 발달단계별 맞춤형 건강증진교육 제공, 학교 주변 금연거 리 지정, 고카페인 식품 판매 제한 등 건강유해요인 개선 건강한 교 육환경 조성, 아동·청소년 검진체계 강화 – 여성: 취약 여성 방문건강관리사업 확대, 임신고민 여성의 의료·심리 지 원, 결혼이민자·청소년 산모 지원 강화 – 노인: 방문건강관리사업 정보통신기술 활용, 일차의료기관에서 노인성 질환관리 및 방문진료 활성화 – 장애인: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확대 및 지정, 필수 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장애인 건강통계 및 지식정보 산출 – 근로자: 산재, 장시간 근로 방지를 위해 제도 개선 및 근로감독 강화, 과 로사 고위험군 지원사업 추진 – 군인: 군별, 부대별 맞춤형 건강서비스 제공, 군 내 감염병 대응 강화 26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p490)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설계하는 것 (새로운 프 로그램 개발 및 기존 프로그램 수정·보완을 통한 개선 포 함) 예시 – 지역사회 건강증진프로그램 운동, 금연, 절주,영양, 비만관리, 스트레스 관리 등 – 학교 건강증진프로그램 시력관리, 흡연, 음주, 약물오남용 관리, 정신건강관리 등 – 산업장 건강증진사업 금연, 영양,운동, 중독성 약물이나 과음방지 등 – 그 외에도.. 의료기관 건강증진사업 27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_cont. 실무현장별 특성 – 지역사회 목적 - 지역사회주민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건강문제를 인식하게 하는 것 - 지역사회 보건사업은 개별적이 아니라 지역사회주민 전체 의 공동적인 사업이라는 책임을 다하게 하기 위함 필요성 - 지역사회가 공유하는 지식, 사회적 가치, 행동양상을 새롭게 창출, 유지, 전달 지역주민은 바람직한 생활양식 터득 - 공동문제 해결, 건강형평성 제고 특성 - 실증적 자료 근거한 계획, 명확한 목표 - 주민의 특성 반영, 주민의 적극적 참여 - 인적, 물적 자원(지역사회 지도자 참여 필요) - 주민의 신뢰, 적절한 매체, 지역사회 보건요원과 협력 28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_cont. 실무현장별 특성 – 학교 목적 - 아동, 청소년들에게 적극적인 학습에 의해서 자신의 건강을 보호하고 유지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 학교현장에 적합한 건강증진을 계획 · 수행 하도록 하는 것 필요성 - 평생 지속될 건강관련 기술과 지식 개발 위해 정규과정 내 보건교육 포함, 안정적이고 건강한 학교환경 조성, 적절한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특성 - 부모와 자녀 포함, 학생의 건강문제, 물리적 환경, 사회적 특 성 등에 대한 교육 포함, 지역 보건서비스와의 연계 29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_cont. 실무현장별 특성 – 산업장 목적 -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지식을 제공하여 일 상작업과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근로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함 필요성 - 근로자의 건강관리, 유해환경 노출의 영향, 산업장의 생산성 과 경제적 효과 영향 특성 -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 발생 감소, 결근율 및 이직률 감소, 업 무 능률과 생산성 향상 영향, 건강증진 위험요인 감소, 직장 분위기 조성 30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_cont. 개인, 조직, 중앙정부 등에서 다양한 개입 31 3.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 2021 제5차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HP 2030, 2021-2030) 32 3.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 https://www.khealth.or.kr/board?menuId =MENU01287&siteId=null- 33 /39 3.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 HP 2030 대표지표 Ⅰ.건강생활 실천 https://www.khealth.or.kr/hpn/hpnIdx/selectIdxInfo.do?menuId=MENU01300&siteId=null 34 Ⅱ. 정신건강 관리 Ⅲ. 감염 및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35 /39 Ⅳ. 비감염성 질환 예방관리 36 /39 Ⅴ. 인구집단별 관리 Ⅵ. 건강친화적 환경구축 37 38 마무리하며.. 건강증진의 이해 : 개념, 접근방법 건강증진사업 : 필요성, 간호사의 역할 생애주기별, 실무현장별 건강증진사업 Health Plan 2030 – 과제별 대표지표명, 형평성지표의 필요성 다음 시간에는.. – 보건소의 기능, 통합건강증진사업 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