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ummary

이 문서는 약리학 관련 내용을 담고 있으며, 각종 항생제와 작용 기전, 부작용, 그리고 내성균에 대한 설명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Full Transcript

(9주차) 항균 및 항감염 약물 I. 항균제 # 세균 -모양에 따른 분류: 구균(둥근모양)/간균(막대모양)/나선균(나선모양) -염색양상에 따른 분류: 그람양성균-염색 시 보라색 / 그람음성균-염색 시 붉은색 # 항균 화학요법 *항균 화학요법의 역사 ① 파울 에를리히 (독일인) -매독 치료제 ‘살바른산’ 개발 (1909) ② 게르하르트...

(9주차) 항균 및 항감염 약물 I. 항균제 # 세균 -모양에 따른 분류: 구균(둥근모양)/간균(막대모양)/나선균(나선모양) -염색양상에 따른 분류: 그람양성균-염색 시 보라색 / 그람음성균-염색 시 붉은색 # 항균 화학요법 *항균 화학요법의 역사 ① 파울 에를리히 (독일인) -매독 치료제 ‘살바른산’ 개발 (1909) ② 게르하르트 요하네스 (독일인) -설파제 발견 -> 연쇄상구균 감염 치료 ③ 알렌산더 플레밍 (영국인) -푸른 곰팡이에서 최초의 항생물질 발견 => ‘페니실린’ (1928) -2차 세계대전 중 군인의 감염병 치료에 큰 기여 *항균제의 기본용어 *작용기전 항박테리아제의 작용기전 작용 효과 약물 -멸균효과 -penicillin 세포벽합성 억제 -세포벽 효소 파괴 -cephalosporins (가장 광범위함) -세포벽 합성 효소 억제 -vancomycin (항진균제) -정균 항생제 or 살균제 효과 막투과도 변화 -amphotericin B -막투과도 증가 -nystatin -aminoglycosides 단백합성 억제 -정균항생제 or 살균제 효과 -tetracyclines -박테리아의 RNA 및 DNA 합성 억제 박테리아 RNA 및 DNA 합성 억제 -핵산, 핵산 합성에 필요한 효소에 결합 세포대사 억제 -정균효과 *항생제 내성균 -항생제 내성: 미생물이 항생제에 노출되어도 생존할 수 있는 약물 저항성 -종류 ① MRSA: 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다인실을 쓰지만 혈압계를 따로 사용함) ② VRSA: 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 ③ VRE: 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④ CRE: 카바페넴내성장내세균목균종 -VRE, CRE: 법정 전염벙 / 1인실 격리 1. 세포벽 합성억제제 1) Penicillin계 약물 -cillin -beta-lactam 항생제 -세포벽 합성 억제제 -독성이 매우 적은 안전한 약물 -베타-락탐 고리를 분해하는 효소인 베타-락탐 분해효소를 만드는 세균은 페니실린에 대한 내성을 보임 -내성을 극복하기 위해 타조박탐, 클라불란산과 함께 사용 -부작용: 과민반응 (AST 확인) / 위장관 장애 (설사) -매독치료 (기본) penicillin G -페니실린 약물은 IM 투여 (IV 투여는 X) (광범위) amoxicillin -하기도감염, 중이염, 부비동염, 이하선염 치료 (광범위) ampicillin -하기도감염 치료, 첫 광범위 penicillin, 그람음성 및 그람양성균에 효과적 oxacillin -staphylococcus에 효과적 piperacillin-tazobactam -심한 충수돌기염, 폐렴 치료 (Zosyn) 2) Cephalosporin계 약물 (페니실린보다 많이 사용) Cef- , Cefa- -페니실린과 비슷한 화학구조를 가진 살균성 항균제 -가장 널리 쓰이는 항생제 -세포벽 합성 억제제 -개발 순서에 따라 세대별로 분류 (1세대~5세대) -부작용: 과민반응 (AST 확인) / 위장관 장애 (설사) / 신독성 (콩팥 기능 저하) -그람양성균에 항균효과 좋음 세파드록실 -피부, 연조직 감염에 사용 1세대 세파졸린 -외과 절차 전 투여 (예방적 항생제 투여 시) 세팔렉신 -세팔렉신: 요로감염에 사용 2세대 세포테탄 -그람음성균에 대한 항균효과가 1세대보다 좋지만 3세대보다는 낮음 -그람음성균에 항균효과 훨씬 좋음 세픽심 -그람양성균에 항균효과는 1세대보다 낮음 3세대 세프트리악손 -피부, 연조직 감염 등의 환자에 대한 광범위한 많은 박테리아 -주사투여: 심각한 감염인 경우 -3세대보다 확장된 항균범위 4세대 세페핌 -심각한 감염 5세대 -최근 개발된 약물 / 광범위한 항균작용 3) Glycopeptides *Vancomycin -MRSA 치료제로 처음 개발 -황색 포도알균, 폐렴알균 등 다른 항생제에 반응하지 않는 심각한 그람양성균 감염증에 유용 -정맥투여 -C-difficile에 의한 항생제 관련 위막성 결장염 치료 (설사 많이 함) -> 경구투여 -> 전신으로 흡수되지 않고 대변으로 배설 -D5W, NS로 희석하여 60분에 걸쳐 천천히 정맥 주입 -부작용: 이독성(귀에 독성) / 신독성 빠른 속도로 정맥 주입 시: red man syndrome (붉은 반점) 4) 기타 약물 carbapenem (1인실 격리) -광범위한 항균작용 Monobactams -그람음성균에 항균력 우수 -반코마이신과 기전 비슷 -반감기 긺 -광범위한 항균작용 Glycopeptides Teicoplanin -Red man 증후군 (천천히 섞어서 사용) -신독성 적음 -vancomycin 부작용으로 투여 어려운 환자의 대체 약제 (폐렴 치유 안 될 때 사용) 2. 단백질 합성억제제 -세균의 리포소체 30s와 50s 소단위에 결합 -> 단백질 합성 억제 -tetracyclines / aminoglycosides / macrolides / lincosamides 1) Macrolides -mycin -광범위한 항균범위를 가진 정균성 약물 (세균을 완전히 없애는 것이 아닌 정지!) -에리트로마이신, 클라리트로마이신, 아지트로마이신 -지역사회 획득 폐렴, 백일해, 클라미디아 감염증 (성병) -부작용: 경미한 위장장애 / 설사 erythromycin 급성 골반염증질환, 클라미디아 감염 (성병) 2) Aminoglycosides -mycin / -cin -단백질 합성을 억제하는 살균성 항생제 (세균을 완전히 죽임) -젠타마이신, 토브라마이신, 아미카신 -스트렙토마이신: 2차 결핵 치료 약물로 사용 -부작용: 신독성 / 귀독성 / 신경독성 등 독성 강한 약물로 제한적으로 사용 -상호작용: Warfarin(Coumadin) 같은 항응고제 효과는 동시 투여 시 증가 3) Tetracyclines -cycline *Doxycycline -경구/정맥으로 투여 -쯔쯔가무시 (고열, 근육통 동반)에 사용 -상호작용: digoxin, warfarin 작용 증가 항균제: tetracycline -혈청 potassium 농도 감소 상품명: vibramycin -유제품이 약물 흡수 감소시킴 (함께 사용 X) -호흡계, 피부감염 / 클라미디아 감염 / 임질 / 매독 / 리케차 감염 3. 핵산 합성억제제 -세균의 핵산 (DNA, RNA) 합성을 억제하는 항균제 1) Fluoroquinolones (플루오로퀴놀론계) -floxacin -Levofloxacin (레보플록사신) -호흡기 감염에 효과적 -방광염, 신우신염에 사용 ciprofloxacin -하기도, 신장, 뼈의 감염에 사용 avelox -부비동염, 기관지염, 지역회득 폐렴에 강함 ofloxacin (Floxin) -비뇨계 감염, 전립선염에 사용 4. 세포대사 억제제 1) Sulfonamide -대장균에 의한 비뇨기감염 치료 (E-coli에 약 90% 효과) / 뇌수막염 치료 -부작용: 소변에 형성되는 결정체 (물을 많이 섭취하도록 교육) / 아나필락시스 반응 (AST(항생제 반응 검사)확인) 2) Trimethoprim-sulfamethoxazole (트리메토프림-설파메톡사졸) -요로감염에 사용 -상호작용: Wafarin과 병용 시 항응고 증가 -요로감염, 기관지염, 연쇄상 폐렴구균, Klebsiella, Escherichia coli, 방광염 치료 [Klebsiella, Escherichia coli (장내세균)] -부작용: 광과민 (빛에 과민반응) II. 항결핵제 # 결핵 -결핵균은 전형적으로 폐 침습 / 다른 부위로도 침습 가능 -증상: 기침, 체중 감소 *면역학적 검사 -결핵 피부 반응 검사 -인터페론감마 검사 (피검사) *흉부 X선 검사 or 흉부 CT : 동그란 모양 발견 *미생물학적 검사 # 항결핵제 « (결핵 약물은 모두 식전에 투여!) * 1차 약제 -간독성 아이나 (isoniazid) [구강투여] -VIT B6 저하 -> 말초신경염 유발 -간독성 리팜핀 [구강투여] -소변색 변색: 오렌지색으로 -간독성 피라진아마이드 [구강투여] -통풍 환자에게는 사용 X (눈에 안 좋음) 에탐부톨 [구강투여] -시신경염 발생 -시력저하 발생 스트렙토마이신 (주사약) -이독성 (어지러움, 이명, 난청) *2차 약제 -위장장애 -두통 레보플록사신 (방광염에도 사용) -어지러움 -관절통 -우울증 싸이클로세린 -정신장애 -간독성 프로치온아마이드 -위장장애 -이독성 가나마이신 -위장장애 -가려움증 -간독성 파스 -식욕부진 -오심, 구토, 복부 불편감 1) Isoniazid (INH) 아이나 -첫 번째 경구용 약물 -VIT B6을 차단하는 살균제 (->VIT B6과 함께 사용) -매우 긴 기간동안 치료 (최근에는 9개원 동안 치료) -항생제 침투에 저항력 있음 / 느리게 성장 / 내성 흔함 -1차 약제: 초기 치료에 사용 -2차 약제: 1차 약제의 부작용, 내성이 생겼을 경우 -부작용, 유해작용 « : 간독성 / 위장장애 III. 항진균제 1. Polyenes 1) Amphotericin B -강한 항진균제 -폴리엔 항진균제는 진균 세포막에 붙어 채널을 엶 -> 세포의 투과성/세포내 구성물/ 칼륨 누출 증가 -심각한 전신성 감염에 사용 -부작용이 많아서 신중히 사용 -부작용: 독성 강함 / 신장독성, 전해질 불균형 2) Nystatin (니스타틴) -candida 감염 치료 -구강, 국소적 투여 -장관 칸디다증 치료에 경구투여 -크림, 연고, 질정의 형태로도 사용 가능 -입안에서 액체를 움직여 구강 점막에 접촉하게 하고 몇 분 후에 액체를 삼키도록 교육 2. Azole group -진균의 세포막에 필수적인 ergosterol 형성에 관여 -cytochrome p450 억제 -> 세포 투과성, 누출 증가 -칸디다증, 백선감염(무좀), 질염 치료 국소제제로 사용 3. Peptides 1) Metronidazole -많이 사용됨 -위장관과 관련된 다양한 장애 치료에 사용 -장 아메바증, 트리코모나스증, 염증성 장 질환, 혐기성 감염, 세균성 질염 치료 -술과 함께 먹으면 X (10주차) 소화기계 약물 I. 구토 치료제 1. 구토 -위장 내용물이 압박 방출되는 것 -파킨슨 환자에게는 도파민 주기 (도파민 길항제 X) -원인) 멀미, 바이러스성 및 박테리아성 감염, 음식 불내성(음식이 안 맞을 때), 수술, 임신, 통증, 쇼크, 항암제 *구토 자극 기전과 수용체 -화학수용체 유발구역 (CTZ) : 구토중추, 뇌간부위가 구토 반사에 핵심적인 역할 -구토유발 물질 : 도파민D2수용체 : 세로토닌5-HT3수용체 : 뉴로키닌NK1 수용체 : 신경 전달물질 Acetylcholine -구토중추 자극 => 횡격막, 전방복근, 위의 수축 일으키며 반응 -> 성문 (glottis) 닫히고, 복벽 위로 이동 => 구토 # 항구토제 *분류 (1) 항히스타민제 (2) 항콜린성약물 (3) dopamine 길항제 (4) benzodiazepine계 약물 (5) serotonin 길항제 (6) Glucocorticoids (7) cannabinoids(대마초, 암환자를 위해) (8) 기타 약물 -> dopamine, histamine, serotonin, acetylcholine의 길항제로 작용 1) 항히스타민 약물, 항콜린성 약물 (1) 항히스타민 약물 -오심, 구토, 임신 초기 구토 예방 및 치료 -디펜하이드라민 (diphenhydramine) (2) 항콜린약물 -부교감신경 차단약 -> 멀미예방 -스코폴아민 (scopolamine) -어지럼, 구강건조, 동공산대 2) 도파민 길항제 -dopamine 2 수용체 차단 -> 구토 억제 -파킨슨 병에는 사용 X (도파민 사용해야 함) -종류: phenothiazine계 약물 butyrophenone계 약물 benzodiazepine계 약물 Metoclopramide 약물 -부작용: 추체외로 증상 (EPS), 저혈압 (추체외로 증상: 근긴장도 증가, 손발 떨림, 움직임 느려짐(서동증), 급성 근긴장 이상, 어지러움) (1) Phenothiazine (페노티아진) 항구토제 -azine -정신과 약물 -딸꾹질 멈출 때 자주 사용 -부작용: 중증도의 진정작용, 저혈압, CNS 효과 (안절부절, 허약, 근육긴장 이상 반응, 초조), 추체외로 증상 (2) Butyrophenone (부티로페논) 계 약물 -peridol -정신과 약물 -섬망 시 사용 -수술 후 오심, 구토 치료 -항암화학요법 관련 오심 치료 -haloperidol (할로페리돌) -droperidol (드로페리돌) -부작용: 장시간 사용 시 EPS, 저혈압, CNS 증상, 대부분 잠 (3) Benzodiazepine(벤조다이아제핀)계 약물 -정신과 약물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오심, 구토를 간접적으로 조절 -진정작용, 불안 제거 작용, 예기 구토 치료에 유용 -lorazepam (Ativan) : 항암치료 전 복용 -alprazolam (Alpram): 공황장애에 자주 사용 -lorazepam + glucocorticoid, serotonin 5-HT3 수용체 길항제 병용 투여 => 구토조절, 진정, 불안 감소에 효과적 (4) Metoclopramide 약물 -흔히 사용 -항암화학요법, 방사선요법의 치료에 이용 -위운동 촉진 -> 위마비 환자 치료 -metoclopramide HCI (Macperan) -부작용: 진정, 설사 유발/EPS/위장관 폐색, 출혈, 천공 환자 금기 3)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setron -항암화학요법에 의한 오심, 구토 억제에 효과적 -수술 전, 후 오심, 구토 예방에 효과적 -dopamine 수용체를 차단하지 않아서 EPS 유발 X -작용시간 길고, 효능 우수함 -보험은 안 되지만 효과 좋고, 부작용 적음 -수술 후 3일까지는 보험 O -일반 구역, 구토에는 보험 X -ondansetron (Zodran) -dolasetron -palonosetron (Aloxi) : 수술 후 많이 사용 -부작용: 두통/설사/어지럼/피로/QT 연장 -> 부정맥 유발 4) 당질 부신피질 호르몬 -항암화학요법 관련 오심, 구토에 효과적 -다른 약물과 병용 투여 -정맥 투여하기 -짧은 시간 동안만 투여 -Dexamethazone (덱사메타손) : 항암치료에 사용 -효능 증가, 독성 감소를 위해 2가지 이상의 약물을 병용 투여함 5) 대마초제제 (cannabinoids) -마리화나의 주성분 -항암요법 받은 환자가 다른 항구토제를 사용할 수 없거나, 효과적이지 않을 때 사용 -환각, 탐닉 증상 O -> 정신장애 환자 금기 II. 지사제 및 완화제 1) 지사제 (지사제 부작용은 모두 변비) -설사: 장질환의 증상 -위장관 운동성 증가, 수분 흡수 감소 -> 설사 유발 -종류: 아편, 아편 관련 약물 / 흡착제 / 정장제 -금기: 출혈성 설사 / 고열 / 장폐쇄 / 대장염 (1) 아편 및 아편 관련 약물 (운동 억제제) -대장운동 억제 -> 연동 운동 감소 -장관 운동성 감소시킴 -> 음식물이 장내 머무는 시간 연장, 수분 흡수 -Diphenoxylate(다이페녹실레이트) : CNS 부작용 증가 -Loperamide(로페라마이드) : CNS 부작용 감소 -부작용: 간독성 / 변비 / 졸음 / 어지러움 / 복통 (2) 흡착제 -손상된 점막에 도포하여 장 점막 보호 -설사 원인인 장 내 유해물질, 독소, 세균 등 흡착하여 배설 -증상이 좋아지면 바로 끊기 -smectite -포타겔 -부작용: 변비 (3) 정장제 -장내 유해균 증식 억제하고, 정상 세균총의 증식 촉진 -> 장 기능 정상화, 설사 증상 완화 -Lactobacillus rhamosus : 아기에게 주로 사용 -bioflor -부작용: 감염, 염증으로 인한 설사는 원인물질이 장 내에 오래 머물러 증상 악화 2) 변완화제 -장운동 촉진 / 변을 부드럽게 함 / 장운동의 빈도를 늘려 변비 치료 -부작용: 복통 -마약성 진통제 부작용: 변비 -종류: 삼투성 완하제 / 자극성 완하제 / 부피형성 완하제 / 염소이온통로 활성제 / 배변 연화제 -둘코락스 / 오라팡 / 쿨프렙 (오라팡, 쿨프렙은 대장 내시경 전 사용) (1) 삼투성 완하제 -장내 삼투압 높여 장관 상피에서 변으로 수분 이동 -> 변량 증가, 장관 자극, 연동 운동 -수분, 전해질 결핍 유발하여 정기적으로 사용 X -진단, 수술을 위한 장 준비에 사용 -polyethylene glycol (쿨프렙): 3시간에 걸쳐 3~4L의 많은 용액 섭취 (대장내시경에 사용) -lactulose: 혈청 암모니아 감소 -> 간경변증, 간질환에 유용 -부작용 : 설사, 복부 경련, magnesium hydroxide 관련 마그네슘 과다증 (쇠약, 마비, 완전 심장차단, 저혈압, 홍조, 호흡억제) -신장기능 저하 / 당뇨 환자에게 신중한 투여 -lactulose는 달아서 당뇨환자에게 신중한 투여해야 함 -쿨프랩은 찬물에 섞어 먹기 (미지근한 물에 섞으면 속 미식거림 증가) -쿨프랩은 보리차 등에 섞으면 X / 맹물에 섞어야 함 (2) 자극성 완하제 -장벽을 자극하여 연동 운동 촉진 -부작용: 전해질 손실/복부경련/복부통증/설사/ 피마자유-> 자궁수축 유발, 임신 초기에는 사용 X -dulcolax (좌제) (3) 부피형성 완하제 -장으로 물 흡수 -> 대변의 크기를 증가, 부드럽게 함 -부작용: 과도한 사용 시 오심, 구토, 고창, 설사, 복부 포만감, 경련 물을 충분히 복용하지 않으면 식도, 위 폐쇄 (물을 많이 마시도록 교육) -아기오: 변비로 고생하는 임산부에게 많이 사용 -자전차 (psylium) : 자전차피 ; 간수치를 증가시킴 (4) 염소이온통로 활성제 -소장에 분포하는 염소이온통로를 활성화 -> 장액 분비, 운동 증가시키는 새로운 종류의 약물 -부작용: 위장관 폐색, crohn병, 게실염, 심한 설사 등의 과거력 있는 사람에게는 금기 -루비프로스톤 -아미티자연질캡슐 (5) 배변 연화제 -대변이 수분, 지방을 더 많이 흡수하게 함 -심근경색증, 수술 받은 환자에게 많이 사용 -부작용: 설사 -glycerin(글리세린)-관장약 (먹는 약 X) , mineral o III. 소화성 궤양 치료제 -소화성 궤양 (메인 약물) : 식도, 위, 십이지장에서 발생하는 궤양 : 점막 손상 유발하는 공격 인자 (산, 펩신, 위 나선균 helicobacter, Nsaids) : Nsaids- 콩팥 기능 저하 / 간수치 증가의 위험 있음 : 위식도역류에서는 위식도 조임근의 불완전 폐쇄 때문에 위 내용물 역류 (1) 제산제 (ex. 게비스콘) -약염기 성질 -위산과 반응하여 물, 염 형성 -위산 중화 -소화성 궤양, 속쓰림, 위식도 역류 증상 완화 -부작용: 수산화 알루미늄-변비 / 수산화마그네슘-설사 -수산화 알루미늄, 수산화 마그네슘, 탄산칼슘 -빈속에 다른 약과 섞이지 않도록 복용 (ex. 식사 후 2시간 지나고 복용) : 다른 약과 상호작용이 많기 때문 (2) histamine 2 차단제 -tidine -제산제 H2 차단제 흡수 감소 -> 동시 복용 X (제산제와 함께 복용 X) -ranitidine, famotidine, cimetidine -여성형 유방, 젖분비 과다 같은 내분비계 부작용 -소화성 궤양, 위식도 역류, 스트레스성 궤양 예방 및 치료 (3) proton pump 억제제 (양성자 펌프 억제제) PPI (proton pump inhibitor) « -prazole -위산분비 억제 -nexium: 위출혈 시 많이 사용 -판토라인 -부작용: 골절 위험성 / 비타민 B12 흡수 저하 -theophylline 농도 감소 / digoxin 흡수 방해 (4) pepsin 억제제 (5) prostaglandin 유사체 -위산분비 억제 -위벽 보호하는 점액 생산 촉진 -부작용: 자궁수축 유발 (유도분만에 사용됨) / 유산 위험성 (11주차) 중추신경계 약물 # 중추신경계 -뇌, 척수로 구성 -다양한 활동을 통합하고, 지시를 내리는 신경세포와 신경섬유로 구성됨 # 중추신경계 약물 -뇌세포의 정보전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여러 화학물질을 조정하여 뇌 기능의 변동을 유도하는 모든 약물 #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뇌, 척수에서 신경세포 간의 정보 전달 담당 -각 신경전달물질은 고유한 기능을 가지며 다양한 생리적, 정신적 과정에 영향을 미침 # 중추신경계 이온통로 -신경전달물질이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특정 이온이 세포 안팎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통로 -신경 흥분성 조절에 중요한 역할 -신호 전달 과정에서 뉴런의 활동 조정 1. 중추신경계 흥분제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 물질 분비 촉진 -> 중추신경계 자극 -> 주의력, 집중력 높임 / 피로 줄임 1) 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같은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이 뇌의 전두엽 기능에 영향 -> 주의력 조절, 충동 억제에 문제 유발 -보통 어린시절에 발병 -증상: 주의력 부족/과잉행동/충동성 -치료: 중추신경계 자극제를 통해 신경전달물질 농도를 높여 증상 완화 : 행동 치료와 교육적 개입 병행 2) 기면증 -수면-각성 주기의 조절에 문제가 생겨 일상생활 중에도 과도한 졸음을 유발하는 질환 -렘 (REM) 수면의 비정상적인 조절로 인해 발생 -원인: 하이포크레틴 결핍 (각성 유지에 중요한 신경전달물질) -치료: 중추신경계 자극제 사용 -> 각성 유지 : 일상 활동 중 졸음을 방지하는 것이 목표 *약물 ① Amphetamines -작용: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방출 촉진 -> 중추신경계 자극 / 각성상태 유지 -> 집중력 높임 -주요 약물: 덱스트로암페타민 (dextroamphetamine)/메탐페타민(methamphetamine)/리스덱스암페타민(disdexamfetamine) -부작용: 불면증/불안/심박수 증가/고혈압/의존성 O/신경과민/체중감소/식욕부진 -상호작용: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 (MAOIs)와 함께 사용 -> 고혈압 위험 증가 ② Methylphenidate -작용: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의 재흡수를 억제하기 위해 신경전달물질의 농도 높임 -약물: 리탈린(Ritalin)/콘서타(Concerta)/페니드 (Penid) -부작용: 식욕부진/불면증/체중감소/두통/심박수 증가 -상호작용: 항고형압제와 함께 사용 -> 형압 상승 2. 증추신경계 억제제 ① GABA(감마아미노뷰티르산) (가바) -중추신경계에서 주요 억제성 신경전달물질로 작용하는 화합물 -뇌, 척수에서 신경세포 간의 과도한 신호 전달 억제 -흥분성 줄이고, 평온함과 안정감을 유지하는데 중요한 역할 *주요 기능: 신경 억제/스트레스 감소/수면 보조/근육 이완 *관련 약물: 벤조디아제핀계 약물 / GABA 작용제 -GABA 수용체를 활성화 -> 중추신경계의 흥분성 감소 -신경신호의 억제 -> 불안 완화, 수면 유도 *대표 증상: 불안/불면증/긴장감 *치료원칙 -신경 흥분성 줄임 -불안 완화 -수면 개선 -약물 사용 시 의존성의 위험이 있음; 단기간 사용 권장 *금기: 중증근무력증 / 수면 무호흡증 / 호흡부정 / 알코올 or 약물 남용 병력 ② Barbiturates -GABA 수용체에 직접 작용하여 중추 신경 억제 효과 O -주요 약물: 페노바르비탈(Phenobarbital), 티오펜탈(Thiopental), 아모바르비탈(Amobarbital) -부작용: 호흡억제 / 저혈압 / 중독 위험 -상호작용: 벤조디아제핀과 함께 사용 시 중추신경 억제 효과 증대 ‘ ③ 벤조디아제핀 (Benzodiazepines) -GABA 수용체의 활성화 강화 -> 중추신경계 억제하여 불안 감소 / 수면 유도 -주요 약물: 디아제팜(Diazepam), 로라제팜(Lorazepam), 알프라졸람(Alprazolam), 클로나제팜(Clonazepam) -로라제팜: 섬망 시 사용 -알프라졸람: 공황장애 시 사용 *상호작용: 알코올과 함께 사용 -> 호흡 억제 위험 증가 ④ 수면제 -작용: GABA 수용체를 활성화하거나 멜라토닌 수용체에 작용하여 수면 유도 -주요약물: 졸피뎀, 멜라토닌, 라멜테온(국내 허가 X) -부작용: 어지러움/졸음/환각/의존성(졸피뎀) -상호작용: 알코올과 함께 사용 -> 진정 및 호흡 억제 위험 증가 ⑤ 마취제 -작용: 중추신경계 억제하여 의식 소실 및 통증 완화 유도 -주요약물: 프로포폴 (propofol) -부작용: 호흡 억제, 저혈압 -상호작용: 벤조디아제핀과 함께 사용 시 중추신경 억제효과 증가 O 3. 항경련제 -신경세포의 흥분성 억제 -나트륨, 칼슘 채널 차단 -> 경련 발생 줄임 -GABA의 활성화 -> 신경흥분 억제 -증상: 경련 / 발작 / 근육경련 -치료 원칙 : 항경련제를 사용하여 발작의 빈도 줄이고 증상 완화 : 환자의 발작 유형에 따른 약물 선택 : 장기간 사용 시 정기적인 혈중 농도 모니터링 필요 (항경련제 약물의 대부분은 모니터링 필요) -금기: 간 기능 부전 / 심각한 심장 질환 / 약물에 대한 알레르기 반응 ① Phenytoin -나트륨 채널 차단 -> 신경의 과도한 흥분 억제 -심장조직의 전기흥분역치를 증가시킴 (항부정맥제로 작용) -강직 간대 발작과 국소 발작 -주요약물: 페니토인 (Phenytoin) -부작용: 잇몸증식 / 운동 실조 / 어지러움 / 두통 / 다모증 / 혈소판 감소증 / 태아기형 원인 (임신 중 사용 금기) 치료 혈중농도 범위 10~20 mcg/mL (치료 범위 좁음) -상호작용: 쿠마린계 항응고제와 함께 사용 시 항응고제 효과 감소 / 페니토인 농도 증가 ex. 와파린 ② Valproate (발프로산) -나트륨 채널 차단 -> 신경의 과도한 흥분 억제 -GABA 농도 증가시켜 항경련 효과 O -강직-간대 발작과 국소발작, 소발작, 전신발작, 양극성 장애, 편두통 -주요약물: 발프로산(Valproate), 디발프로엑스(Divalproex) -부작용: 간독성 / 췌장염 / 체중증가 / 탈모 / 치료혈중 농도 범위 50-100mcg/mL ③ Lamotrigine (라모트리진) -나트륨 채널 차단, 글루타메이트 방출 억제 -> 항경련 효과 -부분발작, 전신발작에 사용 -주요약물: 라모트리진 (lamotrigine) -부작용: 피부발진 (심각할 경우 스티븐스-존슨 증후군 : 이차 감염으로 사망도 O / 처음에는 전신 발진 -> 전신의 표피, 진피 분리) : 어지러움 / 시력장애 -상호작용: 발프로산과 함께 사용 -> 라모트리진의 혈중 농도 증가 => 부작용 위험 증가 ④ Carbamazepine -나트륨 채널 차단 -> 신경의 과도한 흥분 억제 -대발작, 부분발작, 난치성 발작 치료, 조울증, 삼차신경통, 알코올 금단증상 -주요 약물: 카바마제핀(Carbamazepine, Epileptol, Tegretol) -부작용: 어지러움 / 졸음 /두통 / 백혈구 감소증 -상호작용: 포도주스, 자몽주스와 동시 섭취 -> 카바마제핀 혈중 농도 증가 -> 독작용 ⑤ Gabapentin(가바펜틴) -칼슘 채널 차단 -> 신경 흥분성 감소 -부분발작 보조치료, 신경통 치료 -부작용: 졸음 / 어지러움 / 체중증가 / 피로감 -상호작용: 진정제와 병용 시 진정 효과 증가 가능 ⑥ Topiramate(토피라메이트) -나트륨 채널 차단 / GABA 활성화 / 글루타메이트 억제 등 다양한 기전을 통해 항경련 효과 -부분발작, 전신발작, 편두통에 사용 -부작용: 체중 감소 / 어지러움 / 기억력 문제 / 신결석 -상호작용: 다른 CNS 억제제와 함께 사용 시 진정효과 증가 -Phenytoin -건강력 확인 사정 -환자의 지식 평가 -신기능, 간기능 확인 간호진단 -투약 부작용과 관련된 지식 부족 -처방된 약을 정해진 시간에 복용 계획 -투약 부작용 설명 -부작용 발생 시 의료진에게 설명 -치료범위(10~20mcg/mL)를 정하기 위해 항경련제의 혈청농도 모니터 (치료범위 좁음) -안전한 환경 조성 간호중재 -영양섭취 양상 확인 (Phenytoin은 식욕감퇴, 오심, 구토 유발) -경구용 피임약, 항경련제를 사용하는 여성 환자에게 추가적인 피임법을 사용하도록 조언하기 -졸림 -> 운전, 위험한 활동하지 않도록 조언 일반 -기형 유발 O (임신 중에는 약물 조절) -알코올, 다른 CNS 제제 함께 투약 X -반동성 발작(발작의 재발) 예방을 위해 약물 중단 시 서서히 감량 -잇몸손상이 있을 수 있으므로 예방적 치과 진료 필요 -투약의 지속성 매우 중요 -> 정해진 시기에 병원 방문 -항경련제를 자가처방하지 않도록 교육 -Phenytoin은 insulin 분비 억제 -> 담수치를 높일 수 있음 (당뇨 ->평소보다 자주 혈청 glucose 수치 확인) 식이 -매일 동일한 시간에 음식, 우유와 함께 항경련제 복용 -소변색이 핑크빛의 붉은색 or 붉은 빛의 살색으로 변화 O (인체에는 무해) 부작용 -부드러운 칫솔 사용하도록 조언 -인후통, 타박상, 코피 등은 혈액문제 의미 -> 의료진에게 알리도록 교육 -stevens-hohnson 증후군: 발진으로 시작 4. 신경계 질환 치료제 1) 파킨슨병 -도파민 부족으로 인해 운동 기능에 장애 발생 -증상: 떨림 / 근육 경직 / 운동 완만 (느림) / 균형 장애 -치료원칙: 도파민 수치 증가 or 도파민 대사 억제 -> 운동 증상 개선 / 약물치료 외에도 운동, 물리치료 병행 -금기: 정신병 병력 / 협심증 / 심근경색 / 임신 ① Carbidopa-Levodopa(카비도파-레보보파) -레보도파: 도파민의전구체 / 도파민 수치 증가 -> 운동기능 개선 -카비도파: 레보도파의 말초분해 억제 -> 뇌로 도파민 전달 증가 -주요약물: 카비도파-레보도파(Carbidopa-Levodopa) / 로피니롤(Ropinirole) / 프라미펙솔(Pramipexole) -부작용: 운동 이상증 / 오심 / 저혈압 / 착각 / 환각 -상호작용: 비타민 B6과 함께 사용 -> 레보도파 효과 감소 ② MAO-B 억제제 -MAO-B(Monoamine oxidase B) 효소를 억제 -> 도파민 분해 감소 => 뇌 내의 도파민 농도 증가 -파킨슨병 환자에서 운동증상을 완화하는데 도움 -주요 약물: 셀레길린(Selegiline), 라사길린(Rasagiline) -부작용: 두통 / 어지러움 /불면증 /구강건조 /오심 -상호작용: 다른MAO 억제제와 병용시 -> 고혈압 위험 증가 삼환계항우울제(TCA) 및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와 병용 -> 세로토닌 증후군 위험 증가 2) 알츠하이머병 (치매와 유사) -원인: 아세틸콜린 감소, 뇌 신경 세포의 손상 -증상: 기억력 저하 / 인지기능 저하 / 일상생활 수행 어려움 -치료 원칙: 아세틸콜린 분해 억제 -> 신경 전달 개선 : NMDA 수용체 억제 -> 신경 세포 보호 : 약물 치료 외에도 인지 훈련 및 생활 환경 개선 필요 -금기: 심각한 간 질환 / 위장관 출혈 (위 보호제와 함께 복용) -치료제: 콜린에스터 분해효소 억제제; 아세틸코린 분해 억제, 신경전달 개선 : NMDA 수용체 길항제 -> 신경 세포 보호 효과 -주요 약물: 도네페질, 리바스티그민, 메만틴 -부작용: 오심/구토/설사/체중감소/어지러움 -상호작용: 항콜린제와 함께 사용 시 약효 감소 가능 -항파킨슨병: 도파민 작용제 -기립성 저혈압 발생할 수 있으므로 천천히 일어나도록 하기 -저단백 음식 섭취하도록 함 -갑자기 투약을 중단하지 않도록 교육 -소변 색이 변하고, 공기에 노출되면 어두워질 수 있음을 설명 환자교육 -땀 색깔이 어두워질 수 있으나 무해하고, 옷을 변색시킬 수 있음을 설명 -공복에 투여 O / but, 위장관계 불편감이 있으면 음식과 함께 투여 -selegiline 고용량 섭취 환자는 Tyramine이 풍부한 음식을 피하도록 함 -심박수 체크하고, 맥박수 감소 or 불규칙성 발생 시 보고하도록 교육 (12주차) 통증 및 염증 약물 1. 항염증 약물 1) 염증 -신체의 조직 손상 및 감염에 대한 방어 반응 -손상된 조직을 복구하고 해로운 자극을 제거하기 위해 신체에서 일어나는 복잡한 생리적 반응 *염증과정 -혈관반응, 세포반응, 면역반응의 3가지 단계 -혈관확장으로 인한 발적, 부종, 열, 통증 등의 증상 *항염증 약물 -염증을 억제하거나 완화하는 약물 -과도하거나 만성적인 염증 반응을 줄여 손상 예빵 *종류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 (NSAIDs) -스테로이드성 항염증약물 (Glucocorticoids) (1)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NSAIDs) *작용기전 -COX(Cyclooxygenase) 효소 억제를 통해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차단 -> 염증, 통증, 발열을 완화 *COX-1 억제 -위점막보호, 혈소판응집기능저해 → 위장관부작용위험 *COX-2 억제 -염증 부위에서 염증 반응 억제 -효과: 염증 감소, 통증 완화, 발열 감소 -부작용: 위장관출혈, 소화성궤양, 신장손상 등 -간호중재: 부작용을 줄이기 위해 음식과 함께 복용 -> 장기 복용시 간과 신장기능 모니터링 필요 Œ Salicylates (살리실산염)군 « -COX-1과 COX-2를 비선택적으로 억제 -> 프로스타글란딘의 합성 억제 => 염증, 통증, 발열 완화 -혈소판 응집 억제 효과로 항혈전제로도 사용 *부작용 및 유해반응 -위장관 자극 / 출혈 위험 / 이명 / 신장기능 저하 -«레이 증후군: 뇌, 간에 손상일으키는 증후군 (특히 어린이에게 사용 시 독감, 수두 같은 바이러스 감염 후에 발생) *주요약물: astrix, aspirin *상호작용 -항응고제와 병용 시 출혈 위험 증가 -NSadids 병용 시 위장관 자극 증가  이부프로펜 (Ibuprofen) -COX-1, COX-2 억제하여 프로스타글란딘 합성 차단→ 염증, 통증, 발열 완화 -염증 억제와 함께 위장관 자극 -관절염, 월경통, 급성 및 만성 통증, 발열에 사용 *부작용 : 위장관 자극 / 소화불량 / 두통 / 신장기능 저하 / 고혈압 *주요 약물 : Motrin, Advil *상호작용 -항응고제와 병용 시 출혈 위험 증가 -리튬과 병용 시 리튬 농도 상승 / NSAiDs와 병용 시 부작용 증가 Ž 케토롤락 -강력한 진통 효과 -단기적인 통증관리에 효과적 -신독성의 위험 / 신장기능이 저하된 환자의 사용 주의 -최대 사용 기간은 일반적으로 5일 이내로 제한 *부작용 : 위장관 자극 (복통, 궤양) / 출혈 위험 증가 / 신장 기능 저하 *상호작용 -항응고제와 병용 시 출혈 위험 증가 -알코올과 병용 시 위장관 자극 증가  COX-2 억제제 (Celecoxib) -COX-2만을 선택적으로 억제 -> 염증, 통증 완화 -COX-1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음 -> 위장관 부작용 적음 *부작용 : 소화불량 / 부종 / 고혈압 (나트륨 저류) / 심혈관계 질환 위험 증가 *주요약물 -celecoxib (celebrex) *상호작용 -출혈 위험 증가 (2)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Glucocorticoids) [장기적으로 사용 X] *작용기전 -염증성 사이토카인 생성 억제 및 면역 반응 억제 -호르몬 역할: 부신피질에서 자연적으로 분비 : 스트레스 반응에서 중요한 역할 *효과 -염증 감소, 면역 반응 억제 -강력한 항염 효과로 염증성 질환에 사용 *주요약물 -Hydrocortisone, Prednisolone, Dexamethasone *부작용 -장기 사용 시 부신 억제, 당뇨병, 근육쇠약, 골다공증, 고혈압 (3) 항류마티스제 *류마티스 관절염 -관절 주위를 둘러싼 활막의 염증으로 인해 발생하는 만성 자가면역질환 *전통적 약물 ①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 -작용기전 : 엽산 대사 억제 -> DNA 합성 방해 / 면역 반응 억제 -> 염증 감소 -적응증 :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등 자가면역질환 치료에 사용 -부작용 및유해반응 : 간독성, 골수억제, 오심, 구토 : 간기능, 혈액 수치 정기적으로 모니터링 ② TNF-α 억제제 *인플릭시맙 (infliximab) -주요약물: Remicade -부작용: 감염 위험 증가 *에타네르셉트 (etanercept) -주요약물: enbrel -부작용: 주사부위 반응 / 면역력 저하 ③ 비TNF-α 억제제 *아바타셉트(Abatacept) -T세포 활성 억제 -> 면역반응 조절 -부작용: 감염위험 증가 *리툭시맙(Rituximab) - 표적치료 항암제 -B세포를 표적으로 해서 B세포 매개 면역 반응 억제 -적응증: 비호지킨 림프종 -부작용: 발열, 오한 / 면역력 저하 -> 감염 위험 증가 (4) 통풍 치료제 *통풍 -요산 대사 이상으로 발생하는 염증성 관절염 -요산 결정이 관절과 주변 조직에 침착되어 염증 유발 -> 위험요인 -고퓨린 식이 / 알코올 섭취 / 신장 기능 저하 ① 콜히친(Colchicine) -급성 통풍 발작 -> 염증 반응 억제 / 예방 목적으로도 사용 -요산 배출이나 혈중 요산 농도에는 영향 X (요산 배출하는 약 따로 사용) *부작용 -설사, 구토, 복통, 심장질환, 위장관 질환 시 사용 금기 -음식과 함께 복용 ② 알로퓨리놀(Allopurinol) -요산 생성 억제제 / 만성 통풍 예방 *부작용 -간기능 장애 / 신독성 *상호작용 -항응고제 병용 시 항응고 효과 증가 2. 비아편 유사제 및 아편 유사제 진통제 1) 비아편 유사제 ①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중추신경계에서 프로스타글란딘 생성 억제 -> 진통 및 해열 효과 -위장관 부작용이 적음 / 경증에서 중증도 통증에 사용 *주요약물 -타이레놀 (tylenol) *부작용 -고용량 사용시 간독성 *상호작용 -알코올과 병용 시 간독성 위험 증가 -와파린과 함께 사용 시 항응고 효과 강화 ② 트라마돌 (tramadol) -중추신경계의 뮤 수용체에 부분적으로 작용 -> 진통 효과 -노르에피네프린 및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 작용도 함께 일으킴 -> 통증 조절 -중독성이 덜하며, 다양한 통증 상태에 사용 *부작용 -어지럼, 구토 *상호작용 -중추신경 억제제와 함께 사용 시 호흡억제 2) 아편 유사제 ① 몰핀 (morphine) -중증 통증 관리에 사용 ex. 암성 통증 -중추신경계의 μ-수용체에 결합 -> 강력한 진통 효과 *부작용 -호흡억제 (가장 큼)/ 졸음 / 의존성 발생 가능 *상호작용 -다른 CNS 억제제와 병용 시 호흡억제 위험 증가 ② 코데인(Codeine) -중추신경계의 μ 수용체에 결합 -> 진통 효과 및 기침 억제 효과 (탁월) *적응증 -통증완화 / 기침 억제 *부작용 -변비 / 호흡억제 / 장기간 사용 시 의존성 위험 (-> 단기 사용) ③ 펜타닐 (Fentanyl) -중추신경계의 μ 수용체에 강하게 결합 -> 강력한 진통 효과 *적응증 -수술 후 통증 관리 / 암성 통증 -패치 형태는 만성 통증 완화에 사용 *부작용 - 호흡 억제 *상호작용 -진정제와 병용 시 중추신경 억제 효과 증가 -알코올과 함께 사용 시 위험 증가 -앱스트랄: 설하 투여 ④ 메페리딘(Meperidine, Pethidine) -중추신경계의 μ 수용체에 결합 -> 진통 효과 *적응증 - 급성 통증 완화 *부작용 -고용량 사용 시 신경독성 발생 (의존성이 강하기 때문에 용량은 점차 늘려야 함) *주의사항 -MAO 억제제와 병용 시 고혈압 위기 발생 O -신경독성 때문에 장기간 사용은 피하기 (장기간 사용 시 의존성 증가) ⑤ 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환자가 스스로 진통제를 투여하여 통증 조절하는 방식 -수술 후 통증이나 암성 통증에 사용 *구성요소 - 펌프 장치, 진통제 (주로 아편유사제) *주요 특징 -자가 조절 가능: 환자가 통증을 느낄 때 직접 버튼을 눌러 진통제 투여 -잠금장치: 과용 방지를 위해 일정시간 동안 추가 투여 제헌 -효과적인 통증 관리: 일정한 진통 효과 유지, 환자 만족도 증가 -통증 조절의 즉시성, 환자 만족도 증가, 의료진의 업무 부담 감소 *부작용 -오심, 구토 (정말 심함) 3) 아편 유사 억제제 ① 날록손(nalaxone) -아편계 약물에 의해 발생하는 호흡 억제 및 과다복용을 역전시키는 약물 -마약성 약물의 효과를 억제하고, 빠르게 해독하는 역할 *부작용 -일반적으로 날록손은 안전하게 사용되지만 급성 금단 증상/구토/불안/떨림/발한/빠른 심장 박동 등 발생 O 3) 편두통 치료제 ① 트립탄 -급성 편두통 발작 시 사용 -세로토닌 수용체 작용제로 혈관 수축 유도 -부작용: 가슴 통증/어지럼/혈압 상승 -MAO 억제제와 병용 시 세로토닌 증후군의 위험 증가 ② 에르고타민 -편두통 및 군발성 두통에 사용 -세로토닌 수용체에 결합하여 혈관 수축 -부작용: 메스꺼움, 구토, 말초혈관 수축 -혈관 수축제와 병용 시 혈관 수축 과도 위험 *편두통 치료제 분류 및 주요 약물 (13주차. 정신치료 약물) 01. 항정신병 약물 1) 조현병 (schizophrenia) 02. 항불안제 03. 항우울제 (14주차). 내분비계 약물 01. 내분비계 약물 02. 당뇨병 치료제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