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장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PDF

Document Details

LoyalGothicArt

Uploaded by LoyalGothicArt

Gachon University

Tags

비언어 커뮤니케이션 커뮤니케이션 심리학 인간행동

Summary

이 문서는 비언어 커뮤니케이션에 대한 내용을 다루고 있으며, 비언어적 기술, 커뮤니케이션, 심리학과 관련된 질문과 내용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Full Transcript

1. 비언어란 무엇인가? 2. 비언어의 특성 3. 비언어의 기능 4. 비언어의 유형과 특징 5. 비언어 기술 2 메라비언규칙 비언어의 특성 비언어의 기능--반복기능/대체기능/ 보완.강조기능/규제조절기능/부정기능 이중구속(double bind)  비언어의 유형과 특징 ◦키네식스(kinesics) ◦ 안...

1. 비언어란 무엇인가? 2. 비언어의 특성 3. 비언어의 기능 4. 비언어의 유형과 특징 5. 비언어 기술 2 메라비언규칙 비언어의 특성 비언어의 기능--반복기능/대체기능/ 보완.강조기능/규제조절기능/부정기능 이중구속(double bind)  비언어의 유형과 특징 ◦키네식스(kinesics) ◦ 안면 피드백(facial feedback) 가설 ◦ 초두효과(primacy effect) ◦∙ 유사언어(paralanguage) ◦ 공간학(proxemics) ◦햅틱스(haptics)  공간의 거리 ◦친밀한 거리(intimate distance) ◦ 개인적 거리(personal distance) ◦ 사회적 거리(social distance) ◦ 공적 거리(public distance)  비언어적기술-기호화기술. 해독기술 비언어기술의 균형성-표현력.민감성.조절력  인상관리기술 비언어기술의 사회적 보상(social reward)  좌석배치와 비언어기술 ◦스타인저 효과(Steinzor effect) ◦테이블 상석 효과(head-of-the-table effect) 1. 평소 우리가 자주 사용하면서도 모르고 지나쳤던 비언어에 대해 말해 보시오. 2. 언어와 비언어가 일치하는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를 예를 들어 설명하고, 이에 따른 효과와 영향에 대해 말해 보시오. 3. 첫인상은 비언어와 얼마나 관련이 있는가? 자신의 경험을 중심으로 얘기해 보시오. 4. 비언어의 유형을 나누어 설명하시오. 5. 공간언어가 갖는 의미를 카메라 피사체의 크기(클로즈업부터 롱숏까지)와 비 교·설명해 보시오. 6. 비언어기술의 중요성에 대해 논하시오.  1971년 미국의 심리학자 앨버트 메라비언(Albert Mehrabian)의 연구결과  상대방에 대한 인상을 결정짓는 요인은 메시지가 아니라 이미지이다. 시각적요소>청각적요소>말 “태도에 문제 있다” 유명 美사진작가, 중국서 강연 도중 퇴장한 사연 (msn.com)(2024.9.23) 비언어란 무엇인가? ◈ 만국 공통어 - 비언어가 커뮤니케이션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65% 이상? 인간의 상징적인 비언어 언어 자연발생적인 기호 표현 행동 비언어란 무엇인가? 재현적 부호 – 상상해서 현시적 부호 떠오른 것 (presentational code) (representational code) 면대면 사진 (송신자의 현재 상황과 (사진을 통해 당시 밀접한 관련을 맺는 것) 상황을 경험) 비언어란 무엇인가? ◈ 공간언어 - “화자와 수용자 사이 물리적 거리도 비언어적인 기호”(Hall) → "Time talks and space speaks." - 친밀한 거리(45cm 이내)/ 개인적 거리(45~120cm)/ 사회적 거리(120~360cm)/ 공적 거리(360cm 이상) 비언어란 무엇인가? ◈ 비언어 효과 - 언어는 사실 정보 전달, 비언어는 감정과 느낌 전달하는데 더 효과적 통합적 커뮤니케이션 능력에 중요! 비언어란 무엇인가? 순수 비언어 ① 신체 모습: 체격, 의상 및 장식 ② 신체 움직임: 얼굴 표정, 눈 움직임, 몸짓, 접촉, 신체 언어 ③ 발성 행위: 유사언어, 전상징성 소리, 대화 순서, 침묵 ④ 상황: 시간, 공간, 냄새 비언어란 무엇인가? ◈ 비언어 분류 기준 : by 냅(Knapp) ① 동작학: 신체 언어 (손과 팔, 머리, 발, 다리, 자세 전환, 제스처, 눈동자 움직임, 안면 표정) ② 유사언어(준언어): 언어의 내용을 제외한 음성 및 패턴과 관련한 모든 것. (목소리 고저, 크기, 속도, 휴지(pause), 불필요한 발성음(아, 에, 음 따위), 정해진 시간 내 말하는 단어 숫자 등) => 억양 ③ 신체접촉: 만지는 행위 ④ 공간학: 대인간의 공간(거리)과 영역 규범에 관한 것 ⑤ 신체적 특성: 피부색, 몸매, 몸 냄새, 매력 등 ⑥ 장식품: 향수, 옷, 보석, 가발 등 ⑦ 환경적 요인: 그 안에서 행동이 일어나는 물리적 장치(교실, 사무실, 복도, 거리) 비언어란 무엇인가? ◈ 비언어의 특성 - 언어와 비언어의 차이 첫째, 표현 양식(기호)이 매우 다양하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언어와 비교하기 어렵다. 둘째, 아무리 정교한 비언어라 해도 언어가 갖고 있는 구조적 안정성과 융통성에는 미치지 못한다. 셋째, 의미가 언어보다 포괄적이고 막연하다. - 에크만과 프리젠(Ekman & Friesen)의 분류 행동적인 메시지: 정보 행위와 커뮤니케이션 행위 비언어 행동: 의도적인 것과 비의도적인 것 비언어란 무엇인가?  맥케이(MacKay) - 송신자가 보내는 비언어 신호를 목적 지향적 신호와 비목적 지향적 신호의 두 가지 타입으로 나누고, 수신자에 따라 해독이 다르게 나타나고 있다고 말하고 있음 비언어란 무엇인가? ◈ 비언어의 기능 1. 반복기능 2. 대체기능 3. 보완기능/강조기능 4. 규제기능/조절기능 5. 부정기능 - 이중구속(double bind): 언어와 비언어 메시지 사이에 상충이 일어나 는 모순된 커뮤니케이션 , 본심이 아닌 말을 할때 비언어란 무엇인가? ◈ 비언어의 유형과 특징 1. 신체언어  가장 원초적인 인간 본능의 하나로서, 중요한 비언어 행위  키네식스(kinesics): 자세와 몸짓, 얼굴표정, 제스처 등 신체가 만들어내는 언어를 연구하는 학문분야  안면 피드백(facial feedback) 가설: 사람들이 웃는 표정을 지을 땐 기분이 즐거워지지만, 시무룩한 표정을 만들면 기분이 나빠지는 것을 경험하는 것으로 밝혀짐. 비언어란 무엇인가? 2. 외모/의상/장신구  외모 - 초두효과(primacy effect) : 타인과의 접촉 시 인상 형성에서 처음 들어온 정보가 나중에 들어온 정보보다 더 큰 영향을 준다는 것  의상/장신구 - 부의 척도이자 사회적 신분을 손쉽게 드러내는 비언어 역할을 함 예) 매들린 올브라이트 여사의 브로치가 상징하는 것 - ‘평화를 상징하는 비둘기’, ‘냉혹한 승부사 뱀’ 같은 이미지 비언어란 무엇인가? 3. 유사언어(paralanguage) - 언어 자체가 아닌, 언어의 음성적 측면과 관련된 감정 상태와 성격을 주로 나타냄 - 유사언어와 관련한 습관은 그 사람의 성격을 판단하는 단서가 됨 4. 공간/시간 언어 - 공간학(proxemics) : 커뮤니케이터와 수용자 사이의 물리적 거리를 중요한 비언어로 봄 비언어란 무엇인가? 5. 접촉언어 ◈ 햅틱스(haptics) 일반적인 인간관계에서 접촉은 친밀감을 표시하기 때문에, 이를 지표로 삼는 연구가 이뤄지기도 하는데, 이를 연구하는 학문 분야 를 의미함. 신체접촉에는 남녀 간, 문화 간 차이가 크게 존재 비언어란 무엇인가? ◈ 비언어 기술  비언어 기호화 기술(표현력)은 ‘카리스마’의 핵심적 요소  비언어 해독 기술(민감성)은 ‘피드백’의 핵심 요소  조절 기술(감정 조절, 역할 바꾸기 등)도 중요!  표현력/민감성/ 조절력의 균형을 유지할 때 첫 만남에서 장점으로 작용 - 비언어는 인상 형성 과정과 관계 설정에 중요!! → ‘인상관리 기술’(속임수의 경우는?)  발언 기회도 비언어 기술과 관련 지님 비언어란 무엇인가? ◈ 관계 형성과 비언어 기술  관계 발전 초기에 매우 중요(호감을 얻기 쉽다)  사회적 교환이론 - 의미 있는 단계 진입 시 비언어를 감정 단계로 연결하는 일 필요 (사회적 보상 발생)  사회적 침투이론 - 친밀감 증가를 위한 자아노출 교환 시 비언어 해독과 조절 기술 중요  비언어 상호작용 기술이 대인관계를 유지하고 굳건하게 만드는 요소  이미 성립된 관계나 오래 된 관계에서는 비언어가 더 자주, 효율적으로 작동 - 기호화나 해독화보다 조절력이 더 중요! 비언어란 무엇인가? ◈ 좌석배치와 비언어 기술  이전에 논쟁 벌인 사람과는 맞은 편에 앉는 경향  앞에 앉은 사람이 말한 직후 말하는 경향(‘스타인저효과’)  상석 차지한 사람들은 지배적 성격(‘테이블 상석효과’)  맞은 편 사람과 눈 맞춤을 많이 함으로써 커뮤니케이션 증대  제3자에겐 눈에 잘 띄는 사람이 주도적 화자로 인식되는 경향(지각되는 상황이 중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