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복층림의 조성․관리는 ______의 중요한 부분이다.
복층림의 조성․관리는 ______의 중요한 부분이다.
산림
산물의 처리는 ______ 폭넓은 지식을 요한다.
산물의 처리는 ______ 폭넓은 지식을 요한다.
전문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______ 요령을 숙지해야 한다.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______ 요령을 숙지해야 한다.
안전작업
산림사업에서 ______ 관리는 필수적인 절차이다.
산림사업에서 ______ 관리는 필수적인 절차이다.
설계·감리 용역시행 대상 ______은/는 복잡한 절차를 포함한다.
설계·감리 용역시행 대상 ______은/는 복잡한 절차를 포함한다.
실시설계를 위한 표준지의 조사․관리는 ______을 위한 기초 작업이다.
실시설계를 위한 표준지의 조사․관리는 ______을 위한 기초 작업이다.
조림 권장 수종에 대한 ______이 필요하다.
조림 권장 수종에 대한 ______이 필요하다.
청색 플라스틱물병에 청색 셀로판지를 붙여 사용함으로써 ____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청색 플라스틱물병에 청색 셀로판지를 붙여 사용함으로써 ____ 피해를 예방할 수 있다.
종자가 발아 후 목질부 등이 형성된 후 ____경에 보호물을 제거한다.
종자가 발아 후 목질부 등이 형성된 후 ____경에 보호물을 제거한다.
장마기간에는 파종상 주위에 물이 고여 있는지 ____ 점검해야 한다.
장마기간에는 파종상 주위에 물이 고여 있는지 ____ 점검해야 한다.
주요 수종별 파종밀도는 종자의 ____에 따라 달라진다.
주요 수종별 파종밀도는 종자의 ____에 따라 달라진다.
소나무류의 파종은 10립, ____㎝ 두께로 상을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이다.
소나무류의 파종은 10립, ____㎝ 두께로 상을 만들어 사용하는 방법이다.
산사태와 토사유출에 강한 ______ 혼효림이 목표로 한다.
산사태와 토사유출에 강한 ______ 혼효림이 목표로 한다.
산림병해충에 강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______ 혼효림이 필요하다.
산림병해충에 강하고 생태적으로 건강한 ______ 혼효림이 필요하다.
대형산불을 방지하기 위해 ______ 수림대가 포함된 혼효림을 조성해야 한다.
대형산불을 방지하기 위해 ______ 수림대가 포함된 혼효림을 조성해야 한다.
과밀 임분으로서 산사태가 우려되는 지역의 ______ 단순림이 관리 대상이다.
과밀 임분으로서 산사태가 우려되는 지역의 ______ 단순림이 관리 대상이다.
사방사업법에 의한 사방지는 ______ 복구지 포함된다.
사방사업법에 의한 사방지는 ______ 복구지 포함된다.
토사유출을 우려할 경우, 조림수종을 선정할 때 ______ 고정 효과가 큰 수종을 포함해야 한다.
토사유출을 우려할 경우, 조림수종을 선정할 때 ______ 고정 효과가 큰 수종을 포함해야 한다.
침엽수림은 솎아베기를 통해 ______ 혼효림으로 전환 유도된다.
침엽수림은 솎아베기를 통해 ______ 혼효림으로 전환 유도된다.
벌채는 산사태, 산불, 산림병해충 등 ______ 피해 복구를 제외하고는 실시하지 않는다.
벌채는 산사태, 산불, 산림병해충 등 ______ 피해 복구를 제외하고는 실시하지 않는다.
나무의 뿌리가 다층구조를 이루도록 심근성 수종을 중심으로 ______ 수종이 혼합되도록 조림수종을 선정한다.
나무의 뿌리가 다층구조를 이루도록 심근성 수종을 중심으로 ______ 수종이 혼합되도록 조림수종을 선정한다.
산림의 사방기능 제고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______을 실시하지 않는다.
산림의 사방기능 제고를 위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______을 실시하지 않는다.
목표로 하는 산림에 따라 목표생산재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산림사업의 시기, 강도, ______ 등을 달리하여 최소의 투입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도록 함
목표로 하는 산림에 따라 목표생산재를 설정하고 그에 적합한 산림사업의 시기, 강도, ______ 등을 달리하여 최소의 투입으로 최대의 효과를 내도록 함
경제성과 이용가치를 고려한 ______의 집중 조림으로 생산성 증진
경제성과 이용가치를 고려한 ______의 집중 조림으로 생산성 증진
주수종은 생산목표재가 되는 ______으로 함
주수종은 생산목표재가 되는 ______으로 함
목표생산재가 설정되어 생육단계에 알맞은 숲가꾸기 작업을 실시하되, 목표생산재가 ______ 전까지는 숲가꾸기를 실시함
목표생산재가 설정되어 생육단계에 알맞은 숲가꾸기 작업을 실시하되, 목표생산재가 ______ 전까지는 숲가꾸기를 실시함
수종과 생산목표재에 따라 ______의 인공림의 수종별 시업기준(예시)에 따라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
수종과 생산목표재에 따라 ______의 인공림의 수종별 시업기준(예시)에 따라 작업을 실시할 수 있음
천연림의 조성·관리는 ______의 주수종과 부수종으로 구분됨
천연림의 조성·관리는 ______의 주수종과 부수종으로 구분됨
목표생산재가 우량대경재일 경우에는 ______ 작업을 실시함
목표생산재가 우량대경재일 경우에는 ______ 작업을 실시함
수원함양림의 관리목표는 수자원함양기능과 ______ 기능이 고도로 증진되는 산림
수원함양림의 관리목표는 수자원함양기능과 ______ 기능이 고도로 증진되는 산림
다층혼효림은 ______를 목표로 하는 산림이다
다층혼효림은 ______를 목표로 하는 산림이다
산림의 수자원함양기능 및 수질정화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______하는 산림으로서 다음과 같음
산림의 수자원함양기능 및 수질정화기능을 높이기 위하여 ______하는 산림으로서 다음과 같음
천연갱신에는 자연적으로 떨어져서 흩어지는 ______을 이용한 천연하종갱신과 이를 활용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천연갱신에는 자연적으로 떨어져서 흩어지는 ______을 이용한 천연하종갱신과 이를 활용한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조성작업의 일환으로 ______는 식재된 묘목과 주변 잡초목과의 경쟁을 완화시켜주는 작업이다.
조성작업의 일환으로 ______는 식재된 묘목과 주변 잡초목과의 경쟁을 완화시켜주는 작업이다.
덩굴류의 피해가 있을 경우 ______에 관계 없이 덩굴제거 작업을 실시한다.
덩굴류의 피해가 있을 경우 ______에 관계 없이 덩굴제거 작업을 실시한다.
어린나무가꾸기는 불량목 및 침입수종의 ______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작업이다.
어린나무가꾸기는 불량목 및 침입수종의 ______을 목적으로 실시하는 작업이다.
가지를 제거하거나 자연낙지 촉진을 위한 작업을 ______이라고 한다.
가지를 제거하거나 자연낙지 촉진을 위한 작업을 ______이라고 한다.
숲관리는 경쟁으로 인해 우열이 확실해진 임분을 가꾸어 나가는 단계의 ______ 작업이다.
숲관리는 경쟁으로 인해 우열이 확실해진 임분을 가꾸어 나가는 단계의 ______ 작업이다.
소경재 생산을 위한 단벌기 임분의 주 대상은 ______갱신이다.
소경재 생산을 위한 단벌기 임분의 주 대상은 ______갱신이다.
______은 갱신 직후의 임분을 완전히 자리잡을 때까지 가꾸어주는 육림방법이다.
______은 갱신 직후의 임분을 완전히 자리잡을 때까지 가꾸어주는 육림방법이다.
임분상황과 경영목표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______이 있다.
임분상황과 경영목표에 따라 다양한 방법의 ______이 있다.
Flashcards
천연갱신
천연갱신
자연적으로 떨어진 종자를 이용하여 숲을 새롭게 만드는 방법입니다.
모두베기
모두베기
모두 베어내고 새롭게 숲을 조성하는 방법입니다.
대상벌
대상벌
나무를 일부만 베어내어 햇빛이 들어오도록 하여 숲을 갱신하는 방법입니다.
군상벌
군상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어미나무작업
어미나무작업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움싹갱신
움싹갱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성단계
조성단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풀베기/덩굴제거
풀베기/덩굴제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가지치기
가지치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복층림 조성
복층림 조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임연부 조성
임연부 조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내화수림대 조성
내화수림대 조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림사업의 특성
산림사업의 특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림사업 안전사고 현황
산림사업 안전사고 현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림사업 안전 작업 요령
산림사업 안전 작업 요령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림사업 안전사고 대응
산림사업 안전사고 대응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집중 조림
집중 조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략 수종 선정
전략 수종 선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목표 생산재 중심 숲 가꾸기
목표 생산재 중심 숲 가꾸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도태 간벌
도태 간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부수종
부수종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주수종
주수종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천연림 보육
천연림 보육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원 함양림 관리 목표
수원 함양림 관리 목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원 함양림 관리 대상
수원 함양림 관리 대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다층 혼효림
다층 혼효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청색 플라스틱 물병 파종법
청색 플라스틱 물병 파종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보호물 제거 시기
보호물 제거 시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파종조림의 관리
파종조림의 관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장마철 파종상 관리
장마철 파종상 관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망사 제거
망사 제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림 관리 목표
산림 관리 목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내화 수림대
내화 수림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림 관리 대상
산림 관리 대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사방지 조림
사방지 조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숲 가꾸기
숲 가꾸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침엽수림 숲 가꾸기
침엽수림 숲 가꾸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벌채 제한
벌채 제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사태 우려 지역
산사태 우려 지역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과밀 침엽수림 관리
과밀 침엽수림 관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2024년 산림경영지도원 임용전형 학습모듈 - 조림(기본서)
- 본 자료는 산림경영지도원 임용 필기시험 학습자료로, 산림경영지도원 업무 수행에 필요한 지침, 법령, 대학교재, 산림청 기술서 등을 발췌·정리
- 기본서로 산림경영지도원이 알아야 할 필수 지식
- 157페이지의 참고 자료 목록 및 전공 서적 활용하여 학습 필요
- 다른 자료와 상충되는 내용 발생 시, 본 자료 기준으로 필기시험 평가 진행 예정
목차
- Ⅰ. 조림과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
- 조림 정의 및 지속가능한 산림자원 관리 개념
- 산림 기능 구분 (목재, 수원, 산지재해, 자연환경, 산림휴양, 생활환경 보전)
- 목재생산림, 수원함양림, 산지재해방지림, 자연환경보전림, 산림휴양림, 생활환경보전림의 조성 및 관리
- 인공갱신, 천연갱신, 움싹갱신 (맹아갱신) 방법
- 육림(숲가꾸기) : 조성단계(풀베기, 덩굴제거, 어린나무가꾸기, 가지치기), 관리단계(솎아베기)
- II. 갱신
- 갱신 결정 절차
- 인공갱신 (식재조림, 파종조림)
- 천연갱신 (개벌, 대상벌, 군상벌, 산벌, 모수작업 등)
- III. 숲가꾸기 의사결정
- 인공림, 천연림
- Ⅳ. 산림 조성
- 풀베기 방법 (모두베기, 줄베기, 둘레베기), 시기, 우선순위
- 덩굴제거(칡, 다래 등) 방법, 약제 처리 방법, 시기
- 어린나무가꾸기(형질불량목, 폭목 제거), 시기
- 가지치기
- V. 수확과 산물의 처리
- 수확 및 산물 처리 방법, 일반적 벌채방법
- 친환경 벌채 기준
- VI. 숲가꾸기 설계·감리 및 사업 시행
- 설계·감리 대상 및 내용
- 작업원, 안전관리, 감리 대상 등
- VII. 산림사업 안전사고 예방
- 산림사업 특성 및 안전사고 발생 현황
- 주요 사업별 안전작업 요령, 안전사고 대응 및 수습
- VIII. 수원함양림
- IX. 산지재해방지림
- X. 자연환경보전림
- XI. 산림휴양림
- XII. 생활환경보전림
- 곁들임
- 조림 권장 수종
- 조림지 활착률 조사요령
- 기준 벌기령, 벌채·굴취 및 임도 등의 시설 기준
- 수종별 시업기준
- 개정일람표 (2021년 이후 발생한 변경 사항 기록)
수확 방법
-
모두베기, 골라베기, 어미나무작업 방법 및 기준
-
벌채 금지구역 및 친환경 벌채 기준
-
기타 벌채와 관련된 세부 기준 및 방법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