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 구조 및 성능 향상 학습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컴퓨터 하드웨어의 필수 장치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 메인 메모리 (주기억 장치)
  • 출력 장치
  • 입력 장치 (correct)
  • 중앙 처리 장치 (CPU)

중앙 처리 장치(CPU) 내의 레지스터는 CPU 외부에서 사용되며, 보조 기억 장치보다 저속으로 엑세스되는 임시 기억 장치이다.

False (B)

CPU가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가져와 실행하는 과정을 순서대로 나열하시오(예: 인출 -> 해독 -> 실행)

인출 -> 해독 -> 실행

메인 메모리가 작으면 재료를 ______ 옮기는 시간이 많이 걸려 작업 속도가 떨어진다.

<p>보관창고에</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SI 접두어(10진수 단위)와 IEC 접두어(2진수 단위)를 알맞게 연결하시오:

<p>kilo(K) = kibi(Ki) mega(M) = mebi(Mi) giga(G) = gibi(Gi) Tera(T) = tebi(Ti)</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컴퓨터의 '클록(Clock)'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요?

<p>컴퓨터에서 일정한 박자를 만들어내는 것이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시스템 버스(System Bus)의 속도는 CPU 클록과 동일하며, CPU 내부의 다양한 장치를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은 무엇이라고 하는가?

<p>컴파일</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스택(Stack)은 가장 ______ 자료가 먼저 처리되는 자료 구조입니다.

<p>나중에 들어온</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자료 구조를 그 특징에 맞게 매칭하시오:

<p>큐 (Queue) = 한쪽으로는 데이터가 들어가고, 다른 쪽으로는 나오는 구조 스택 (Stack) = 한쪽 끝에서만 데이터를 넣고 뺄 수 있는 구조 배열 (Array) = 순서대로 나열된 동일한 유형의 데이터 집합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 각 요소가 포인터를 통해 연결된 데이터 구조</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산술 논리 연산 장치(ALU)가 수행하는 연산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p>메모리 주소 할당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CPU의 명령어 처리 과정에서, MBR(Memory Buffer Register)은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저장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CPU의 명령어 처리 과정 중, 제어 장치(CU)는 IR로부터 받은 명령어를 어떻게 처리하는가?

<p>해석한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데이터를 읽거나 쓸 때 메모리나 주변 장치에 위치 정보를 보내기 위해 사용되며, 단방향 통신을 하는 버스는 ______이다.

<p>주소 버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은 CPU 명령어 처리 과정에 사용되는 레지스터이다. 각 레지스터를 알맞게 매칭하시오.

<p>MAR (Memory Address Register) = 메모리 관리자가 접근해야 할 메모리 주소를 저장 MBR (Memory Buffer Register) = 메모리 관리자가 메모리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임시 저장 PC (Program Counter) =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저장 IR (Instruction Register) = 실행중인 명령어를 저장</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휘발성 메모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p>EEPROM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DRAM은 2진 정보를 플립플롭으로 구성하여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데이터를 보존하는 특성을 가진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컴퓨터를 켰을 때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리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p>부팅</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메모리 보호를 위해 CPU가 현재 진행 중인 경계 및 크기를 ______에 저장한다.

<p>레지스터</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메모리 종류를 그 특징과 연결하시오.

<p>마스크 롬 (Mask ROM) = 제조 과정에서 데이터가 기록되어 변경 불가. PROM (Programmable ROM) = 전용 기계를 이용해 한 번만 기록 가능.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 자외선을 이용하여 데이터 소거 후 재기록 가능.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 전기적으로 데이터 소거 및 재기록 가능.</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버퍼(Buffer)의 주요 기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요?

<p>속도가 다른 두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 속도 차이를 완화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스풀(SPOOL)은 CPU와 입출력 장치가 동시에 데이터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하드웨어적으로 고안된 버퍼이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캐시 미스(Cache Miss)가 발생했을 때, CPU는 어떤 동작을 수행하는가?

<p>메모리로 가서 데이터를 찾는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캐시에 있는 데이터가 변경될 때 즉시 메모리에 반영하는 방식은 ______ 라고 한다.

<p>즉시 쓰기</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캐시 메모리 종류를 그 특징에 맞게 매칭하시오:

<p>L1 캐시 = CPU 레지스터에 직접 연결되어 빠른 속도를 제공. L2 캐시 = 메모리와 연결되어 L1 캐시보다 큰 용량을 제공.</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저장 장치 계층 구조를 구성할 때, 가격 대비 성능을 고려하여 배치하는 일반적인 원칙은 무엇인가요?

<p>비싸고 빠른 저장 장치를 CPU 가까이에 배치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폴링(Polling) 방식은 CPU가 입출력 작업을 직접 처리하지 않고 입출력 관리자에게 위임하여 시스템 효율을 높이는 방식이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인터럽트 벡터(Interrupt Vector)는 무엇을 위한 주소 정보를 포함하는가?

<p>인터럽트 처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CPU와 DMA가 동시에 메모리에 접근할 때 CPU가 사용 권한을 양보하는 것을 ______라고 한다.

<p>사이클 훔치기</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은 DMA 관련 용어이다, 각 용어를 알맞게 매칭하시오.

<p>DMA (Direct Memory Access) = 직접 메모리 접근. 메모리 맵 입출력 = 입출력 장치를 위해 입출력 작업 영역을 메모리에 할당. 사이클 훔치기 = CPU와 DMA가 동시에 메모리에 접근하면 CPU가 사용 권한을 양보.</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single processor system)의 주요 한계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요?

<p>CPU 클록을 높이는 데 발열 등의 기술적인 제약이 있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multi processor system)에서는 모든 프로세서가 시스템 버스를 통해 메인 메모리를 공유하지 않는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파이프라이닝(Pipelining)의 주요 단점은 무엇인가?

<p>단계별 실행 속도가 다르기 때문에 완전한 병렬화가 불가능하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물리적 CPU 코어는 하나지만 운영체제는 논리적 CPU가 2개 있는 것처럼 속이는 기술을 ______라고 한다.

<p>멀티 스레딩</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멀티코어 시스템 관련 용어의 특징을 알맞게 연결하시오.

<p>파이프라이닝 = 하나의 명령어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병렬 처리한다. 슈퍼 스칼라 = 여러 명령어를 병렬로 실행하여 단일 스레드의 성능을 극대화한다. 멀티 스레딩 = 하나의 물리적 코어에서 두 개의 논리적 코어를 사용하여 스레드를 병렬로 처리한다. 멀티 코어 = 여러 물리 코어를 사용하여 병렬로 작업을 처리한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멀티 코어(Multi-core) 프로세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요?

<p>하나의 CPU 내에 여러 개의 코어를 집적하여 병렬 처리를 가능하게 하는 기술이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슈퍼 스칼라 아키텍처는 명령어 처리 과정에서 속도 차이에 의한 병렬화의 단점을 해결하기 위해 특정 기능의 장치를 추가한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멀티 코어 시스템에서, 듀얼 코어(dual core)는 CPU의 주요 기능을 담당하는 코어가 몇 개인가?

<p>2개</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CPU가 입출력 장치의 상태를 주기적으로 검사하여 일정한 조건을 만족할 때 데이터를 처리하는 방식을 ______라고 한다.

<p>폴링</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컴퓨터 성능 향상 기술의 특징을 알맞게 매칭하시오.

<p>버퍼 = 속도 차이가 큰 장치 간의 데이터 전송을 효율적으로 관리 캐시 =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를 저장하여 접근 속도를 향상 인터럽트 = CPU가 다른 작업을 수행하는 동안 입출력 작업을 처리 DMA = CPU의 개입 없이 메모리와 주변 장치 간 직접 데이터 전송</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하드웨어 (H/W)

컴퓨터에서 각종 정보의 입력, 처리, 저장이 실제로 일어나게 해주는 물리적인 실체.

소프트웨어 (S/W)

정보 처리의 종류를 지정하고 정보의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동작이 일어나는 시간을 지정해주는 명령들의 집합.

중앙 처리 장치 (CPU)

명령어를 실행하는 핵심 장치로, 산술 논리 연산 장치, 제어 장치, 레지스터로 구성.

메모리 (Memory)

작업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저장 장치 (보조 기억 장치)

전원의 온·오프와 상관없이 데이터를 영구적으로 저장하는 장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입출력 장치

외부의 데이터를 컴퓨터에 입력하거나, 컴퓨터에서 처리한 결과를 외부로 출력하는 장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메인보드

CPU, 메모리 등 다양한 부품을 연결하는 커다란 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폰 노이만 구조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인출, 해독, 실행하는 구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클록 (Clock)

컴퓨터에서 일정한 박자를 만들어내어, 펄스를 만드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헤르쯔 (Hz)

클록 또는 CPU의 성능을 표현하는 단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시스템 버스

메모리와 주변 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CPU 버스

CPU 내부의 다양한 장치를 연결하는 버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컴파일 (Compile)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컴파일러 (Compiler)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역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큐 (Queue)

먼저 들어온 자료가 먼저 처리되는 구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스택 (Stack)

가장 나중에 들어온 자료가 먼저 처리되는 구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열 (Array)

형태가 같은 자료를 나열하여 메모리에 연속으로 저장하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결 리스트 (Linked List)

데이터를 포인터로 연결해 데이터를 중간에 삽입 가능하게 해주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술 논리 연산 장치 (ALU)

데이터의 덧셈, 뺄셈, 곱셈, 나눗셈 같은 연산을 수행하는 장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제어 장치 (CU)

명령어를 해독하여 실행에 필요한 제어 신호를 발생시켜 모든 장치를 제어하는 장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레지스터 (Register)

CPU 내부에서 사용되며 고속으로 액세스가 가능한 임시 기억 장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 (MAR)

입출력 관리자가 접근해야 할 메모리 주소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 (MBR)

메모리 관리자가 메모리에서 가져온 데이터를 임시 저장하는 레지스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프로그램 카운터 (PC)

다음에 실행할 명령어의 위치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명령 레지스터 (IR)

실행 중인 명령어를 저장하는 레지스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누산기 (AC)

ALU에서 계산된 과정을 누적 저장하는 레지스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RAM (Random Access Memory)

임의의 주소에 빠르게 접근할 수 있는 특성을 가진 메모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RAM

전원이 공급되는 동안 데이터 보존, 속도가 빨라서 캐시에서 주로 활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DRAM

휘발성. 2진 정보를 커패시터에 공급되는 전하 형태로 보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EEPROM

전기적 신호를 이용해 빠르게 데이터를 지우고 다시 쓸 수 있는 비휘발성 메모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ROM (Read-only Memory)

변경할 필요가 없는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저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메모리 보호

사용자 영역의 작업이 운영체제 영역의 작업으로 침범하지 못하도록 막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부팅

컴퓨터를 켰을 때,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올리는 과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버퍼 (Buffer)

일정량의 데이터를 모아 한 번에 옮김으로써 속도가 다른 두 장치 간의 차이를 완화하는 역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스풀 (SPOOL)

CPU와 입출력장치가 독립적으로 동작하도록 고안된 소프트웨어적인 버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캐시 (Cache)

메모리의 데이터를 미리 가져와 저장해두는 임시 장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캐시 히트 (cache hit)

캐시에서 원하는 데이터를 찾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캐시 미스 (cache miss)

캐시에 원하는 데이터가 없으면 메모리로 가서 찾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즉시 쓰기 (write through)

캐시에 있는 데이터가 변경되면 이를 즉시 메모리에 반영하는 방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연 쓰기 (write back)

캐시에 있는 데이터가 변경되면 변경된 내용을 모아서 주기적으로 반영하는 방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제어 버스

제어장치와 연결된 버스로, CPU가 메모리와 주변장치에 제어 신호를 보내기 위해 사용한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주소 버스

메모리 주소 레지스터와 연결된 버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데이터 버스

메모리 버퍼 레지스터와 연결된 버스로, 데이터 전송 양방향 담당.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운영체제 및 컴퓨터 구조

  • 컴퓨터 구조 및 성능 향상에 대한 학습

공지사항

  • 과제: Ch.1 ~ Ch.2 연습문제 풀어보기 (제출 불필요)
  • 퀴즈: 3월 24일 (월) 수업 시간에 진행 (약 20분), 객관식 또는 단답형으로 연습문제 기반 출제

학습 목표

  • 컴퓨터를 구성하는 하드웨어의 특성 이해
  • CPU와 메모리의 구성 및 동작 방식 이해
  • 컴퓨터 성능 향상 기술 및 멀티 프로세싱에 대한 이해

학습 내용

  • 컴퓨터의 기본 구성 요소
  • CPU와 메모리의 역할 및 중요성
  • 컴퓨터 성능을 개선하는 기술
  • 멀티 프로세싱의 개념 및 작동 원리

1. 컴퓨터의 기본 구성

하드웨어 (H/W)

  • 컴퓨터에서 정보의 입력, 처리, 저장이 실제로 이루어지도록 지원하는 물리적 실체

소프트웨어 (S/W)

  • 정보 처리의 종류를 지정하고 정보 이동 방향을 결정하는 명령어 집합

컴퓨터의 필수 장치

  • 중앙처리장치 (CPU): 데이터 연산 및 제어
  • 메인 메모리: 프로그램 실행에 필요한 데이터 저장
  • 주변장치: 입출력 장치, 저장 장치 등

중앙 처리 장치 (CPU)

  • 명령어 실행의 핵심 장치
  • 산술 논리 연산 장치 (ALU): 산술 및 논리 연산 수행
  • 제어 장치 (CU): 명령어 해독 및 장치 제어 신호 생성
  • 레지스터: CPU 내부의 고속 임시 기억 장치

메모리 (Memory)

  • 작업에 필요한 프로그램과 데이터를 저장하는 장소, 휘발성 기억 장치 사용
  • 고속 액세스 가능, 보조 기억 장치보다 고가

저장 장치 (보조 기억 장치)

  • 메모리보다 느리지만 용량이 크고 저렴
  • 전원 상태와 무관하게 데이터 영구 저장
  • 종류: 자성 이용 장치, 레이저 이용 장치, 메모리 이용 장치 등

입출력 장치

  • 입력 장치: 키보드, 마우스, 스캐너 등 외부 데이터 입력
  • 출력 장치: 프린터, 모니터, 스피커 등 처리 결과 출력

메인보드

  • CPU, 메모리 등 부품 연결, 장치 간 데이터 통로 제공
  • 버스(bus): 데이터가 지나다니는 통로
  • 그래픽, 사운드, 랜카드 기본 장착 및 성능 향상을 위한 별도 장착 가능

1-2. 폰 노이만 구조

  • 메모리에서 명령어를 인출하여 실행
  • CPU 내 제어 장치가 명령어를 해독하고 ALU 및 관련 장치에 제어 신호를 전달
  • ALU는 명령어를 실행 후 결과를 레지스터나 메모리에 저장

요리사 모형 비유

  • 요리사(CPU), 도마(메모리), 보관 창고(저장장치)
  • CPU는 저장장치의 재료를 메모리로 가져와 요리
  • 메모리는 핵심 작업 공간, 저장장치는 보조 공간

메인 메모리 크기와 컴퓨터 속도

  • 메인 메모리(도마)가 작으면 재료를 자주 옮겨야 하므로 속도 저하
  • 도마가 충분히 크면 작업 속도에 영향 미미

1-3. 기초 용어 정리

데이터 표시 단위

  • 비트(b): 0 또는 1
  • 바이트(B): 8비트

단위환산

  • k 또는 K (kilo-): 1,024
  • M (mega-): 1,048,576
  • G (giga-): 1,073,741,824
  • T (tera-): 1,099,511,627,776
  • P (peta-): 1,125,899,906,842,624
  • E (exa-): 1,152,921,504,606,846,976
  • Z (zetta-): 1,180,591,620,717,411,303,424
  • Y (yotta-): 1,208,925,819,614,629,174,706,176

클록 (Clock)과 헤르쯔 (Hz)

  • 클록: 컴퓨터의 일정한 박자 생성기
    • 펄스(Pulse): 클록에 의해 생성되는 틱(tick)
  • 일정 간격에 맞춰 컴퓨터 부품 작업 진행
    • CPU는 클록 한 번에 한 번의 덧셈, 메모리도 클록이 발생할 때마다 데이터 액세스
  • 헤르쯔 (Hz): 클록 또는 CPU 성능 단위
  • 1초 동안 몇 번의 펄스(클록 틱)가 발생하는지 나타냄

시스템 버스와 CPU 버스

  • 시스템 버스: 메모리와 주변 장치 연결, FSB(Front-Side Bus) 또는 전면 버스
  • CPU 버스: CPU 내부 장치 연결, BSB(Back Side Bus) 또는 후면 버스
  • BSB 속도: CPU 클록과 동일, FSB보다 훨씬 빠름

프로그래밍과 프로그래밍 언어

  • 프로그래밍: 컴퓨터 프로그램 제작
  • 프로그래밍 언어: 프로그램 제작에 사용

프로그래밍 언어 종류

  • 기계어: 0과 1로 구성, 컴퓨터 직접 이해
  • 어셈블리어: 기계어의 문자 표현, 저급 언어
  • 고급 언어: 사람이 이해 가능한 단어 기반, C, Java, Python 등

컴파일 (Compile)

  • 고급 언어를 기계어로 번역하는 과정

컴파일러 (Compiler)

  • 컴파일을 담당하는 프로그램, 소스 코드를 기계어로 번역하여 실행 파일 생성
  • 인터프리터(Interpreter): 소스 코드를 한 번에 한 문장씩 번역 및 실행

자료 구조

  • 큐(Queue): FIFO(First-In, First-Out), 먼저 들어온 데이터 먼저 처리
  • 스택(Stack): LIFO(Last-In, First-Out), 나중에 들어온 데이터 먼저 처리
  • 배열(Array): 동일 자료형 연속 저장, 삽입/삭제 어려움
  • 연결 리스트(Linked List): 포인터로 연결, 삽입/삭제 용이

2. CPU와 메모리

2-1. CPU의 구성과 동작

  • ALU (Arithmetic and Logic Unit): 산술 및 논리 연산 수행
  • CU (Control Unit): 명령어 해독 및 제어 신호 생성
  • Register: 고속 임시 기억 장치

CPU 명령어 처리 과정

  • 덧셈 과정 예시: 메모리의 두 수를 더하여 저장

덧셈 과정

  • int D2 = 20;: //메모리 100번지가 D2로 가정
  • int D3 = 30;: //메모리 120번지가 D3로 가정
  • int sum;: //메모리 160번지가 sum으로 가정
  • sum = D2 + D3;

어셈블리어 변환

  • LOAD mem(100), register 2: //메모리 100번지(D2) 내용을 R2로 이동
  • LOAD mem(120), register 3: //메모리 120번지(D3) 내용을 R3로 이동
  • ADD register 5, register 2, register 3: //R2와 R3를 더한 후 R5에 임시 저장 MOVE register 5, mem(160): //R5의 결과를 160번지 (sum)에 저장

CPU 명령어 처리 과정 구성

  • 인출(Fetch): 메모리에서 명령어 가져오기
  • 해독(Decode): 명령어 해석
  • 실행(Execute): 명령어 실행

CPU 명령어 처리 관련 레지스터

  • MAR (Memory Address Register): 메모리 주소 저장
  • MBR (Memory Buffer Register): 메모리 데이터 임시 저장
  • PC (Program Counter): 실행할 명령어 주소 저장
  • IR (Instruction Register): 실행 중인 명령어 저장
  • AC (Accumulator): 연산 결과 누적 저장

인출 과정

  • PC 값이 MAR로 전달, 해당 주소의 명령어가 MBR을 통해 IR에 로드
  • PC는 다음 명령어 주소로 업데이트

해독 과정

  • CU가 IR의 명령어를 해독, 필요한 데이터 위치 파악

실행 과정

  • 해독된 명령에 따라 데이터 이동, 연산 수행, 결과 저장
  • 제어장치는 MBR의 값을 레지스터2 로 이동

버스의 종류

  • 제어 버스: CPU가 메모리/주변 장치 제어 (양방향)
  • 주소 버스: 메모리/주변 장치 주소 전송 (단방향)
  • 데이터 버스: 데이터 전송 (양방향)

2-2. 메모리의 종류와 부팅

메모리 종류

  • RAM (Random Access Memory) 임의 주소에 빠르게 접근, 휘발성
  • ROM (Read-Only Memory) 비휘발성, 읽기 전용

휘발성 메모리

  • DRAM: 커패시터 기반, 재충전 필요, 메인 메모리에 사용
  • SRAM: 플립플롭 기반, 전원 공급 시 데이터 유지, 캐시에 사용

ROM

  • 마스크 롬 (mask ROM) 데이터 지우기/쓰기 불가
  • PROM (Programmable ROM) 한 번만 저장 가능
  • EPROM (Erasable Programmable ROM) 여러 번 쓰기/지우기 가능
  • EEPROM (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OM) 비휘발성, 전기적 신호로 빠르게 데이터 처리
  • 플래시 메모리 (Flash Memory) 디지털 카메라, MP3 플레이어, USB 등에 사용
  • SSD 빠른 데이터 접근 속도, 저전력, 높은 내구성

메모리 보호

  • 사용자 영역 침범 방지, 시분할 환경에서 작업 공간 분리
  • 한계 레지스터: CPU가 현재 진행중인 경계 및 크기를 레지스터에 저장
  • 보호: 운영체제가 중단된 동안 CPU가 하드웨어 레벨에서 보호

부팅 과정

  • 컴퓨터 전원 켜짐 -> 운영체제를 메모리에 로드하는 과정
  • 마스터 부트 레코드 (MBR): 하드 디스크 첫 번째 섹터에 부트스트랩 코드 저장
  • 부트스트랩 (로더): 운영체제 실행에 필요한 작은 코드, 하드 디스크에서 운영체제를 메모리로 가져와 실행

3. 컴퓨터 성능 향상 기술

버퍼 (Buffer)

  • 일정량의 데이터를 모아 한 번에 전송, 속도 차이 완화
  • HDD 메모리 버퍼, 네트워크 버퍼 등에 사용

스풀 (SPOOL: Simultaneous Peripheral Operation On-line)

  • CPU와 입출력 장치의 독립적 동작을 위한 소프트웨어 버퍼
  • 예: 프린터 스풀러

캐시 (Cache)

  • CPU와 메모리 간 속도 차이 완화, 자주 사용하는 데이터 임시 저장
  • CPU가 사용할 데이터 미리 저장

캐시 구조 관련 용어

  • 캐시 히트(cache hit): 캐시에서 원하는 데이터 발견
  • 캐시 미스(cache miss): 캐시에 데이터 없음, 메모리에서 찾음
  • 캐시 적중률(cache hit ratio): 약 90% 수준

캐시 적중률 향상

  • 캐시 크기 증가
  • 지역성 활용: 가까운 데이터 사용 빈도 높음
  • 교체 알고리즘, 블록 크기 등

캐시 쓰기 방식

  • 즉시 쓰기(write through): 캐시 변경 즉시 메모리 반영, 안전하지만 성능 저하
  • 지연 쓰기(write back): 변경 내용 모아 주기적 반영, 성능 향상, 데이터 불일치 가능

캐시 종류

  • L1 캐시: CPU 레지스터와 직접 연결, 명령어/데이터 분리
  • L2 캐시: 메모리와 연결, 일반 캐시

3-2. 저장 장치의 계층 구조

  • 가격, 속도, 용량 고려, 최적의 조합 구성
  • 빠르고 비싼 장치 CPU 가까이, 느리고 저렴한 장치 멀리 배치

이점

  • CPU는 레지스터나 캐시에 빠르게 접근
  • 메모리 내용은 저렴한 하드 디스크에 영구 저장

단점

  • 데이터 일관성 문제 (지연 쓰기)

3-3. 인터럽트

폴링 (Polling)

  • CPU가 직접 입출력 장치 관리, 효율성 감소

인터럽트 (Interrupt)

  • 입출력 관리자가 입출력 처리, CPU는 다른 작업 수행, 시스템 효율 증가

인터럽트 동작 방식

  • CPU가 입출력 관리자에 요청, 관리자가 데이터 전송 후 CPU에 완료 보고

추가 관련 용어

  • 인터럽트 번호 (IRQ): 작업 종료 알림
  • 인터럽트 벡터: 인터럽트 처리 주소 정보 배열

DMA (Direct Memory Access)

  • 입출력 관리자가 CPU 개입 없이 메모리 접근 가능, 사이클 훔치기 발생 시 CPU가 양보

4. 멀티 프로세싱

단일 프로세서 시스템 (Single Processor System)

  • 하나의 프로세서가 작업 처리, CPU 클록 향상에 한계

멀티 프로세서 시스템 (Multi Processor System)

  • 여러 프로세서가 작업 처리, 레지스터와 캐시 공유, 메인 메모리 공유, 보드 설계 복잡

성능 향상하는 방법

  • 클록 속도 향상(높은 발열을 동반)
  • 파이프라이닝(명령어를 여러 단계로 나누어 병렬적으로 처리)
  • 슈퍼스칼라(특정 기능의 장치를 추가하여 성능을 높임)
  • 멀티 스레딩(하나의 코어에서 여러 개의 스레드를 동시에 처리)
  • 멀티코어 프로세서(하나의 칩에 여러 개의 코어를 집적)

4-2. CPU 병렬 처리

파이프라이닝 (Pipelining)

  • 명령어 처리 단계 분할, 병렬 실행

슈퍼 스칼라 (Super Scalar)

  • 명령어 병렬 처리, 특정 기능 장치 활용

멀티 스레딩 (Multi Threading)

  • 하나의 CPU 코어가 다중 스레드 처리, 자원 공유

멀티 코어 (Multi-core)

  • 하나의 칩에 여러 코어 집적, 병렬 처리 능력 향상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Computer Architecture Overview
41 questions

Computer Architecture Overview

InvaluableAcademicArt9503 avatar
InvaluableAcademicArt9503
Computer Science: How Computers Work
32 question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