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 음악 창작 (Modern Music Composition) PDF
Document Details

Uploaded by UnboundBouzouki
경북대학교 사범대학 부설고등학교
2025
Tags
Summary
This document explores modern music composition techniques with a focus on converging music and art. It covers various methods like minimalism and 12-tone techniques, with references to contemporary art to inspire musical creation. It provides a detailed approach on how to create modern music with use of visual art.
Full Transcript
음악과 미술의 융합 - 미니멀리즘 - 영감을 주는 미술 작품 - 12음 기법 - 음악으로의 재해석 - 우연성 음악 - 사례 분석 - 미술 작품 선택 - 작품 해설 작성법 - SDGs 주제 연계 - 효과적인 발표 전략 - 현대 음악 기법 적용 - 평가 기준 - 총 40점 - 총 40...
음악과 미술의 융합 - 미니멀리즘 - 영감을 주는 미술 작품 - 12음 기법 - 음악으로의 재해석 - 우연성 음악 - 사례 분석 - 미술 작품 선택 - 작품 해설 작성법 - SDGs 주제 연계 - 효과적인 발표 전략 - 현대 음악 기법 적용 - 평가 기준 - 총 40점 - 총 40점 - 작품의 창의성 - 내용의 충실성 - 기법 적용 정확성 - 구조와 명확성 - 총 20점 - 10점 - 전달력 - 제출 시 감점 없음 - 작품 이해도 - 보고서 점수에 포함 (영상) - 단순화와 반복 활용 - 12개의 반음의 음렬 배열 - 형식과 구조가 우연히 결정 - 최소한의 음악적 표현 - 음렬의 변주로 곡 구성 - 즉흥성과 불확정성 강조 - 청자의 적극적 참여 유도 - 조성 체계 탈피 - 생활 속 소리도 음악 - 연주자의 해석 중요 - 단순화와 반복 활용 - 최소한의 음악적 표현 - 청자의 적극적 참여 유도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1 2 3 4 2 3 4 1 3 4 1 2 4 1 2 3 - 첫 음이 한 음씩 어긋나게 연주 Violin Phase Clapping music Two pages Vexations(벡사시옹 ) 에릭 사티 (1866~1925) - 12개의 반음의 음렬 배열 - 음렬의 변주로 곡 구성 - 조성 체계 탈피 쇤베르크 현상학) - 형식과 구조가 우연히 결정 - 즉흥성과 불확정성 강조 - 생활 속 소리도 음악 - 연주자의 해석 중요 4분 33초 존 케이지 작품 창작 과정에 우연적 요소 사용 Music of changes 존 케이지 창작 또는 연주 시 주사위 같은 것으로 임의대로 결정 피아노 작품 11 슈톡 하우젠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작품 형식이 정해짐 Prepared piano 존 케이지 연주자의 선택에 따라 작품 형식이 정해짐 - 단순화와 반복 활용 - 12개의 반음의 음렬 배열 - 형식과 구조가 우연히 결정 - 최소한의 음악적 표현 - 음렬의 변주로 곡 구성 - 즉흥성과 불확정성 강조 - 청자의 적극적 참여 유도 - 조성 체계 탈피 - 생활 속 소리도 음악 - 연주자의 해석 중요 SongMaker (Chrome MusicLab) 마디 수 음계 박자 첫음 분박 음역 Sample 1 2 SongMaker로 음악 만들기 (Google Art & Culture) - '삶이여 영원하라' - '별이 빛나는 밤' - 'Campbell’s soup cans' - 'Viva la Vida' - 'Vincent' - 'Andy Warhol' - 생명력과 희망의 메시지 - 예술가의 고뇌와 아름다움 - 대중문화와 예술의 경계 - 현대 미술 사조 탐구 - SDGs 가치 반영 - Google Art & Culture - 미술-음악-SDGs 연계 - AI 도구 활용 가능 - 사회적 메시지 표현 - 페이징 기법 (4회 이상) - 패들렛 활용 공유 - 반복, 첨가 기법 - 작품 해설 작성 - 전위, 역행 기법 활용 - 효과적인 발표 전략 - 옵아트 - Google Art & Culture - DALL-E, Krea 등 활용 - 신조형주의 - 현대 미술 사조 검색 - AI 기반 현대 미술 생성 - 키네틱아트 - 작품 탐색 - 창의적 접근 - 추상미술 옵아트 화면이 움직이는 듯 한 착각을 일으키게 하는 미술 브리짓 라일리 [사각형의 운동] 옵아트 빅토르 바자렐리 [빠삐용] 옵아트 조셉 앨버스 [정사각형에 대한 오마주] 신조형주의 대상의 본질을 나타내기 위해 단순화한 미술 신조형주의 몬드리안 [컴포지션] 신조형주의 테오 반 두스 부르크 [The Cardplayers] 신조형주의 바르트 반 데어 레크 [건초를 만드는 사람] 키네틱 아트 작품 자체가 움직이거나 움직이는 부분을 넣은 예술 알렉산더 칼더의 모빌 키네틱 아트 테오 얀센 [해변 동물] 키네틱 아트 최우람 [원탁] 키네틱 아트 장 팅겔리의 분수 미술 작품에 어울리는 단어 점 선 면 색 명암 톤 양감 질감 재질감 공간감 원근감 조화 통일 변화 비례 균형 대비 강조 율동 동세 - 지속가능발전목표 탐구 - 선택 작품 분석 - SDGs 메시지 음악화 - 관심 분야 SDGs 선택 - SDGs 관련성 파악 - 창의적 표현 방법 구상 - 주제의 현대성 고려 - 시각-개념 연결 탐구 - 청각적 임팩트 고려 오늘의 Step 점 선 면 색 명암 톤 양감 질감 재질감 공간감 원근감 조화 통일 1. 미술 작품 선정 하기 변화 비례 균형 대비 강조 율동 동세 2. 선택한 미술작품명, 미술작품 선정 이유 작성 3. 미술작품 연계 SDGs 선정 👌 - 4회 이상 사용 - 특정 패턴 지속 반복 - 음악 요소 점진적 변화 - 미니멀리즘 표현 - 시간차 반복 활용 - 강조와 집중 효과 - 4회 이상 사용 - 음렬 상하 뒤집기 - 음렬 역순 재생 - 음악 요소 점진적 추가 - 새로운 선율 창출 - 원곡과 대칭 구조 - 복잡성 증가 표현 - 대비 효과 생성 - 다양성 확보 - 패들렛 계정 생성 - 작품 번호 부여 - 작품 의도 명확히 전달 - 새 보드 만들기 - 이름과 작품명 명시 - 시각 자료 활용 - 작품 업로드 및 배치 - 음원 또는 영상 링크 첨부 - 청중 참여 유도 - SDGs 가치 명확히 제시 - 각 기법의 선택 이유 - 제목에 반영된 SDGs 설명 - 기법을 통한 표현 효과 - 사회적 메시지 강조 - SDGs 메시지와의 연결 - 시각적 요소의 청각화 - 간결하고 명확한 문장 사용 - 색채와 음색의 관계 - 전문 용어 적절히 설명 - 구조적 유사성 설명 - 논리적 구조로 내용 전개 - 시각과 청각의 상호작용 - 사회 문제 인식 확대 - 음악적 표현력 향상 - 예술 간 경계 탐험 - 예술을 통한 메시지 전달 - 현대 음악의 이해 심화 - 창의적 사고 확장 - 개인의 역할 고찰 - 창작 도구 확장 - 다중감각 예술 탐구 - SDGs 이외 주제 발굴 - AI 작곡 도구 활용 - 기술과 예술의 결합 - 지역 특화 문제 반영 - 인간-AI 협업 모델 - 장르 간 경계 허물기 - 글로벌 이슈 음악화 - 새로운 음악 형식 창출 - 현대 음악, 미술, SDGs의 융합을 통한 창의적 표현의 중요성 강조 - 학습자의 예술적, 사회적 성장 촉진 - 다양한 예술 분야와 사회 이슈의 연계 가능성 확인 - 지속적인 예술 탐구와 사회 참여의 중요성 인식 - AI와 현대 음악의 결합 등 미래 발전 방향 모색 - 융합적 사고와 창의성 개발의 필요성 강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