뮤지엄전시교육및보존 시험문제(2024.2학기) PDF
Document Details
Uploaded by Deleted User
2024
Tags
Summary
This document contains a Korean exam for museum exhibition, education, and preservation. The questions cover topics such as the origin of museum terminology (Museion), Renaissance-era collection displays, the impact of Christianity on collections after its acceptance, and the development of modern museums. It also examines the role of exhibitions and displays in the creation of knowledge, and how political ideologies, like Western/European centrism, are reflected in exhibitions.
Full Transcript
**Ⅰ. \ 시험유형** **Ⅱ. 시험문제** **1. 고대 문예를 관장하는 여신의 신전으로 뮤지엄 용어의 기원에 대해 밝히고 대표사례를 쓰시오.** \- 학문과 예술을 관장하는 뮤즈의 전당, [뮤제이온(Museion])이 기원이 되었다. 신전의 대표적 사례는 [\"알렉산드리아 뮤제이온]\"입니다. 알렉산드리아 뮤제이온은 기원전 3세...
**Ⅰ. \ 시험유형** **Ⅱ. 시험문제** **1. 고대 문예를 관장하는 여신의 신전으로 뮤지엄 용어의 기원에 대해 밝히고 대표사례를 쓰시오.** \- 학문과 예술을 관장하는 뮤즈의 전당, [뮤제이온(Museion])이 기원이 되었다. 신전의 대표적 사례는 [\"알렉산드리아 뮤제이온]\"입니다. 알렉산드리아 뮤제이온은 기원전 3세기경 이집트의 알렉산드리아에 설립된 **학문 연구소이자 도서관**이었습니다. 프톨레마이오스 왕조에 의해 세워진 이 장소는 당시 세계 최대의 지식 중심지 중 하나로, 철학, 과학, 문학 등 다양한 학문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학문적 탐구와 토론을 벌였습니다. 2\. 르네상스시대 소장자의 서재에서 진열된 형태의 컬렉션을 지칭하는 용어를 쓰고, 대표사례를 쓰시오. \- 스투디올로 / 대표사례는 트리부나 **3. 호기심 캐비닛의 의미는 무엇이고 소장품의 특징을 약술하시오**. \- 유럽 귀족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소장품을 진열하는 방이나 캐비닛을] 의미합니다. 이 공간은 자연사, 고고학, 예술품, 인공물 등 다양한 분야에서 수집한 희귀하고 기이한 물건들을 모아놓은 방이자 전시 공간이었습니다. **4. 기독교 공인이후 소장품 변화에 대해 대표사례를 들어 약술하시오.** \- 기독교의 공인은 예술과 소장품의 주제를 바꾸어 놓았으며, 고대 그리스-로마의 미술 양식에서 기독교적인 상징과 주제로의 전환을 가져왔습니다. [몬테 카시노 수도원은] 수도사들이 기독교의 가르침을 전파하고 신앙의 문화를 발전시키기 위해 성전환, 필사본, 성경과 같은 종교적 유물을 체계적으로 보존하고 관리하였습니다. **5. 최초의 근대적 뮤지엄 성립에 대해, 근대 뮤지엄 성립 조건을 기준으로 서로 경쟁했던 두 기관의 사례를 들어 비교, 약술하고 최종 결론을 도출하시오.** **- 대영박물관은** 과학적 탐구와 연구를 중심으로 한 교육적 역할을 강조했으며, 이를 통해 지식의 보급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반면, **루브르 박물관은** 미적 교육과 혁명적 이상을 바탕으로 예술의 민주화를 지향하며, 문화적 자부심을 고취시키는 데 더 큰 목적을 두었습니다. 대영박물관은 제국주의적 확장을 반영한 고대 유물과 자연사적 자료에 중점을 두었으며, 이는 국제적 수집 활동을 통해 성립되었습니다. 반면, 루브르 박물관은 예술 작품과 왕실 소장품을 중심으로 하여, 미술과 문화 유산을 국민과 공유하는 데 목적을 두었습니다. 대영박물관과 루브르 박물관은 모두 근대 뮤지엄 성립의 중요한 사례로, 공공성, 교육적 목적, 국가적 자부심 등의 성립 조건을 충족하며 발전했습니다. 그러나 대영박물관이 지식과 학문적 연구를 통한 교육을 강조한 반면, 루브르 박물관은 미적 교육과 혁명적 가치를 중심으로 한 대중 예술 교육에 초점을 맞추었습니다. 이로써 근대 뮤지엄은 학문적 연구와 대중적 예술 교육이라는 두 가지 축을 중심으로 발전했으며, 이는 현대 뮤지엄의 교육적, 문화적 역할에 중요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6. Gallery 어원과 관련이 없는 것은?** 1) 프랑스대혁명 이후 프랑스 아카데미 전람회가 열린 곳에서 유래한다. 2) 전람회가 루브르 궁의 복도에서 개최되었기 때문에 생긴 말이다. 3) 상업적인 화랑의 출현과 함께 생겨났다. 4) 1667년 루브르 궁에서 개최된 '살롱' 전람회와 관련이 있다. **7. 전시의 기초개념에서 진열(display)과 전시(exhibition)의 공통점과 차이점은 무엇인지 설명하시오.** \- 진열은 일종의 '합의'를 통해 지식을 정의하는 것으로 이끌며, 특정 관람객은 진열된 일정의 유물을 경험하고 [그 관계를 맺는 행위를 통해 지식이 형성], 전시 맥락에서 제시된 일종의 담론 행위에 참가하기도 함. 혼자서 수집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공유하는 개념. 반면 전시는 '표현하다, 보여주다'에서 기원하여 바깥을 향하는 활동을 의미. 18세기에 '공공에게 알리는 것'이라는 행위 개념이 등장하고 예술품뿐만 아니라 [상품]의 영역까지도 모두 대중과 관계하게 됨. **-\> 차이점: 예술품 뿐만 아니라 상품까지도 전시의 대상체로 다룸** **공통점: 수집물의 공인, 지식의 창출, 담론의 형성을 주도한다는 점에서 공통적이다.** **8. 전세계 국가관을 통한 전시방식과 대규모 대중적 볼거리를 선보인 전시체계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고 그 체계에서 선보인 예술을 통한 문화경쟁 시스템의 정치적 성격과 의미에 대해 분석하시오.** \- 대규모 볼거리 문화의 기원으로 [만국 박람회가] 있다. 대규모 관람객을 대상으로 하는 전시의 시작으로, 1900년 열린 파리 만국박람회는 최대규모의 국가가 참여한 국가관 전시였다. 한번에 여러 나라들의 예술품을 볼 수 있었으며, 대관람차나 유성영화 상영 등 [새로운 진보 개념의 체험]이었다. 하지만, 전시에 서양 중심, **제국 중심주의 기반의 문화 위계화를 시각화하였다**. 그리고 이 과정에서 서구중심주의의 정치 담론이 형성 되었고 설득되기도 하였다. 단순히 예술과 문화를 체험하는 자리가 아닌 국가 간의 힘을 드러내고 문화 간의 위계화를 보여주는 수단으로 사용되었다고 해석할 수 있다. **9. 20세기 후반, 현대의 중요 정치적 사건, 공동체의 트라우마을 전시 컨텐츠로 다룰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와 고려해야 하는 측면을 주요 사례를 들어 서술하시오**. \- 단순히 과거를 보존하고 전시하는 것에서 더 나아가 특정 사건을 기리고 애도하며 시대적 의미를 부여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전시된 베를린 장벽의 사례는 아픈 과거를 기억하며 미래를 나아가는 힘을 심어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 반면, 이러한 '기억'을 전시할 때 발생할 수 있는 문제들이 있다. 예로[, 미국 홀로코스트 메모리얼 뮤지엄의 \]는 나치 시절의 한 소년의 이야기를 가상으로 만들었다. 이때 역사적 사건 전시를 위해 가짜의 인물을 만들어 전시하는 것은 역사적 사실을 공식화하는 뮤지엄의 윤리성 [문제를] 생각해보게 만든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항상 역사적 사건의 진위와 진정성을 정확히 판별하고 과정 또한 정당해야 할 것이다. **10. 20세기 후반, 현대 뮤지엄의 융복합적 성격에 대해 주요 개념어를 활용해서 설명하고 대표 사례를 들어 전시 및 교육 콘텐츠 활용의 복합성을 약술하시오.** \- 20세기 후반부터 뮤지엄 공간의 융복합적인 성격이 나타난다. 전통적으로 작품에 대해 다뤘다면 현재에서는 자료 및 아카이브, 필사본 같은 기록물까지도 뮤지엄 콘텐츠로 수렴되고 있다. 이러한 추세를 잘 반영한 단어로 '라키비움'이라는 개념이 생겨났다. 라키비움은 도서관, 기록관, 박물관을 합성한 용어로 현대뮤지엄의 이러한 융복합적인 기능을 나타낸 단어이다. 라키비움의 예시로 영국의 국립도서관이 있다. 영국 국립도서관에는 아이작 뉴턴의 거대한 조각상이 입구를 맞이하며 다빈치 노트북의 필사화나 쇼팽의 악보, 영국대헌장 등 장르를 가리지 않는 다양한 소장품을 볼 수 있다. 이러한 소장품들은 전시 및 교육 콘텐츠로 활용되어, 관람객에게 예술과 과학, 역사적 지식을 융합적으로 제공하는 복합적인 경험을 선사합니다. **11. 대안적 뮤지엄 운동으로 생활사 복원운동에서 비롯된 뮤지엄 개념에 대해 설명하고 특성을 약술하시오.** \- 대안적 뮤지엄 운동은 기존의 전통적인 뮤지엄 개념에 도전하고, 이를 보다 포괄적이고 참여적인 방식으로 변화시키려는 시도로 정의됩니다. 이 운동은 과거의 단순한 유물 수집과 전시에서 벗어나, [일상생활의 경험과 사회적 맥락을 복원하고 보존]하는 생활사 복원운동에서 영향을 받았으며, 특히 [역사 속에서 소외되었던 일상적인 삶과 문화를] 중심으로 다루는 특징을 가집니다. **12. 에코뮤지엄의 개념과 도입 취지에 대해 설명하고 전통적인 뮤지엄과 비교해서 어떤 차별점을 보이는지 비교 설명한 후, 문화매개적 측면의 대안성에 대해 결론을 도출하시오.** \- 대안적 뮤지엄 운동에서 비롯된 개념으로 '에코 뮤지엄'이 있다. 에코 뮤지엄은 [생태학과 박물관을] 합친 단어로 유물을 안전하게 보존하는 전문가 중심의 박물관에서 벗어나 [지역주민]이 중심이 되어 유물뿐만 아니라 다양한 사회, 역사, 문화적 맥락을 보존하는 새로운 문화기관에 대한 개념이다. 문화기관의 사회적 역할을 강조하며 [지속가능성을] 확보하고자 하는 것이 큰 차별성이다. 이러한 에코뮤지엄은 지역정체성에 대한 다양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며 여기에 새로운 기획자의 역할에 주목하고 사회문화적 갈등에 대처하는 등 대안적 문화매개 활동을 이어가고 있다. **13. 에코뮤지엄의 단계별 네트워킹의 특징에 대해 설명하시오.** \- [태동기:] 지역공동체의 가치 발견과 사람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 지역주민이 지역의 자원을 조사, 발굴 [형성기]: 발굴된 자원의 가치 부여를 통하여 자원 간의 네트워크를 형성하는 과정, 지역 공동체와 지역 자원의 네트워크를 형성 [성숙기]: 에코뮤지엄이 외부와 관계 맺기를 하는 과정, 에코뮤지엄협회 또는 같은 취지를 갖는 단체들과 연할 활동 전개 등 외부와의 네트워크를 형성 **14. 최초의 공공박물관으로서 한국의 근대 뮤지엄 성립과 변화 과정에 대해 설명하고 시기별 소장품 수집 및 전시방식, 도록 발간 등 주요 특징을 함께 서술하시오**. \- 대한제국기 황실에서 설립한 우리나라 최초의 공공 박물관으로 [\]이 있었다. 창경궁 내 건립되고 식물원과 동물원까지 있었다는 게 특징이다. 한일 1907년과 1912년에 걸쳐 합병 이후 이왕가 박물관으로 명칭이 바뀌었다. 소장품으로는 왕실에서 소장하던 골동 서화 일부 혹은 도자기나 불상 등이었고 대부분이 왕실 전래품보다 [외부에서 구입한 것이었다]. 기존의 왕실 소장품 중심으로 뮤지엄이 설립되는 것과의 변화가 있었다. 이왕가 박물관은 소장품 수준이 높았던 걸로 알려져 있으며, 대형 사이즈인 최초의 도록은 이왕가 박물관 소장품에 있었으며 유물 사진이 수록되어 있었다. 후에 이왕가 박물관은 덕수궁으로 이전하면서 이왕가 미술관으로 개관하였다. **15. 대한제국 시기에 국제 전시 참가를 통해 한국의 시각문화가 소개되었던 대표사례 2개를 들어 그 특성을 비교, 서술하시오.** \- 1) [시카고 만국박람회]: 한국의 자주성을 각인시키기 위해 참가 결정, 공식적으로 참가한 최초의 박람회 -\> 정치적인 선택 스미스 소니언의 주도하에 따라 문명권별 권역 배치를 통하여 장엄함을 강조하였다. 조선관은 한옥 형태의 소규모 국가관이였으며 주로 수공예품이나 일상품 위주로 진열되었다. 수공예 문화를 알릴 수 있었던 기회 2\) [파리 만국박람회] 밀레니엄 시대에 들어선 박람회에 대한 참가. 대한제국의 풍습과 문화를 알리려는 목적에 따라 산업품보다는 특산품과 수공예품 위주로 진열을 하였음. 여러 항목에서 메달을 수여한 바가 있음. 마찬가지로 똑같은 수공예품이어도 종류나 개수가 조금 더 많아짐. **16. 해외 주요 뮤지엄이 한국의 공예품을 소장하고 전시 콘텐츠로 활용한 사례 2개를 들어 한국문화의 해외확산의 측면에서 그 특성과 의미를 서술하시오.** \- 1) [프리어 뮤지엄의 알렌 컬렉션]: 특산품이나 수공예품에서 나아가 양질의 예술작품이라 불릴 수 있는 [도자기 컬렉션을] 미국의 알렌이 수집함. 그는 왕실과 교류하며 민영익을 크게 살렸고 이후 백만장자 프리어에게 컬렉션을 판매. 그렇게 해서 프리어의 거대한 아시아미술 컬렉션이 완성됨. 의미? 프리어의 컬렉션과 피코크 룸의 사례를 통해 해외에 소지하고 있는 소장품들이 아시아에 그대로 양질의 정치 콘텐츠를 이루고 있는 모습으로 수렴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2\) V&A 뮤지엄의 앰벌리 컬렉션 한국 공예품들: 영국 지역의 [앰벌리]는 화로나 갓과 같은 한국 공예품을 구입하며 민속학적 관점에서 한국 문화에 대한 해외문화관의 관심이 드러남. 이후에 공예품 수집을 위해 도자기 학예사인 [왈드]를 한국에 파견했다가 도자기 컬렉션에 많은 관심을 갖게 됨. 이 과정에서 유명한 [르블론드] 컬렉션도 기증 받아 전시하게 됨. 르블론은 기증하면서 도록도 발간하여 한국 컬렉션이 지속적인 지식창출의 연구대상으로 자리하는 것을 의도함. 작품대여-\> 전시-\> 기증에 이르는 공신력 있는 해외 뮤지엄 소장품으로 수렴되는 과정을 보여준 사례이자 민속적, 인류학적 관점이 아니라 교육과 연구, 예술 전시의 맥락에서 한국 유물이 소개되어 한국 문화의 우수함을 대중적을 알리는 최초의 사레 **17. 자연사 소장품이 부족한 한국의 뮤지엄 환경에서 대안적 전시콘텐츠로서 식물학 분야의 실물자료와 이미지 자료의 발굴 사례를 소개하고 그 한계와 성과를 평가하시오.** \- 발굴사례: [외국인 선교사의 식물 채집이] 있다. 19세기 후반부터 외국인에 의한 한국의 식물채집이 시도됨. 선교회 소속의 **포리**는 한구에서 3회에 걸쳐 식물 채집을 하였음. 한계와 성과: 근대적 식물학 연구의 기초자료 형성, 한국의 식물들을 최초로 체계적으로 채집하며이후에 한국의 식물분류학 도입하는데 기여. \ 식민지 개척을 위한 서구의 욕망과 선교지 확장을 위한 종교계의 필요가 반영된 [정치적인 채집이라고] 해석할 수 있음 -\> 따라서, 선교사들의 식물 채집이 학문적 성과를 내고 한국 식물학 발전에 기여한 것은 분명하지만, 이를 단순한 학문적 공헌으로만 보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 이러한 활동이 지닌 정치적, 문화적 맥락을 고려할 때, 향후 한국 뮤지엄에서는 이러한 식물 자료들을 단순 전시가 아닌, 식민지적 맥락과 서구적 시선에 대한 [비판적 성찰을 동반한 전시 콘텐츠로] 발전시킬 필요가 있습니다. **18. 18세기 성립된 유럽의 공적 전시의 대표 사례를 소개하고 그 특성을 약술하시오.** \- 피에트로 안토니오 마르티니, **\,** 1787 프랑스 왕립 아카데미가 개최하는 '살롱'전시는 프랑스 왕이 후원하는 왕립 아카데미 예술가들이 공적으로 승인받는 기회가 되었다. 공적 전시의 초기 형식인 18세기 루브르의 살롱 전시는 고전 전시의 기준이 되었고 심사위원단은 왕립 아카데미 소속의 역사화가로 구성, 장르화는 살롱 전시에서 배제되었다. **19. 20세기 모더니즘 미술전시에서 도입된 전시방식과 공간을 지칭하는 주요 개념을 소개하고 구체 사례를 들어 그 특징과 미학적 의미를 설명하시오.** \- MoMA의 \가 있다. 해당 전시는 현대 전시의 시초라고 불릴 만큼 작품배치와 전시방식이 매우 독특하다. 바로 모마에서 개발한 모노톤의 방식인 '화이트 큐브'를 도입하여 백색의 사각형 공간을 만들었고 관람에 적절한 조명을 세팅하여 작품의 개별성을 부각시켰다. 화이트 큐브는 백색의 수직, 수평의 공간을 의미하며 예술의 순수성을 강조하였다. 이로 인해 관람자는 미적 경험이 극대화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었다. 해당 전시 공간은 유럽 중심주의의 역사에서 탈피하고 예술을 위한 미술관으로 탈바꿈시킨 의미가 있다. **20. 20세기 실험성과 혁신성을 전시에 도입한 대표 사례 2개를 소개하고 각각 어떤 특징이 있으며, 그 문화적 의미는 무엇인지 비교, 약술하시오.** \- 먼저, **페기 구겐하임 미술관의 \**은 다양한 공간 구성 체계를 도입하며 유럽의 전위적인 작품을 전시하였다. 키네틱한 작품 걸개나 2분마다 조명이 들어오는 등 독특한 환경을 조성하여 환상과 현실의 구분을 흐릿하게 하였다. 당시 2차세계대전의 현실과 낯설은 세계에 대한 경험의 공간을 창조하였다. 한편, **마르셀 뒤샹의 \**은 실로 간섭된 작품과 전시환경을 만들어 전시의 혁신성을 보여줬다. 전시공간을 미로처럼 만들며 실의 틈새공간을 너머로 작품을 보는 것에 대한 새로운 감각을 유도한 것이 특징이다. 2차세계대전을 피해 망명했던 유럽 예술가들의 작품과 그들의 망명을 전시 기법으로 도입하여 기성미술에 대한 저항정신을 녹여냈다. 2\) 페기 구겐하임의 \*\*\\*\*과 마르셀 뒤샹의 \*\*\\*\*은 20세기 전시에서 실험성과 혁신성을 도입한 대표적인 사례로, 두 전시 모두 2차 세계대전이라는 어두운 현실을 배경으로 새로운 전시 기법을 통해 강렬한 문화적 메시지를 전달했습니다. \: 구겐하임 미술관의 전시는 전위적인 유럽 작품을 전시하며, 환상과 현실의 경계를 흐릿하게 만들었습니다. 키네틱한 작품 설치와 조명 효과는 관람객에게 몰입감을 주어, 전쟁으로 혼란스러운 시대적 상황과 낯선 현실을 반영했습니다. \: 뒤샹의 전시는 전시 공간 자체를 미로처럼 만들어 관람객이 작품과 상호작용하게 했습니다. 실로 얽힌 전시 공간은 예술 작품을 물리적, 시각적으로 방해하며, 전시의 고정된 방식에 도전하는 혁신성을 보여주었습니다. 구겐하임의 전시는 전위 예술의 힘을 통해 현실에서 벗어난 공간을 창조함으로써, 전쟁 속에서도 예술이 제공할 수 있는 탈출구를 상징했습니다. 뒤샹의 전시는 기성 미술과 제도에 대한 저항을 전시 기법 자체로 표현했습니다. 두 전시는 모두 전쟁의 영향을 받았지만, 구겐하임은 환상의 세계를, 뒤샹은 저항과 해체의 메시지를 전시 기법으로 구현하며 다른 방식으로 문화적 의미를 전달했습니다. **21. 21세기 디지털 플랫폼 전시 사례를 소개하고 공공성의 측면에서 장점과 단점을 서술하시오.** \- 21세기 디지털 플랫폼 전시의 대표적 사례로 구글 아트 앤 컬쳐가 있다. 해당 웹사이트는 여러 온라인 전시, 가상 투어, 라이브 스트리밍 등 디지털 프로그램을 선보이며 세계 유명 뮤지엄 소장품을 아우르는 대표적인 플랫폼이다. 공공성의 측면에서 이러한 플랫폼은 미술에 대한 접근성을 높여줬다. 시간과 공간의 제약 없이 원할 때 전세계의 작품들을 관람하는 것은 엄청난 혜택이다. 반면에, 뮤지엄의 공적 자산인 소장품을 구글과 같은 테크기업의 사업화 하는 것에 대한 문제는 남아있다. **22. 전시기획에서 전시준비를 위한 주요 단계를 설명하시오.** \- 1) 전시 필요성 인식-개최 기관의 미션에 맞아야 하고, 소장품 증대, 발굴, 기증 등 기관 운영과도 맞아야 함. 2\) 제안서 작성-전시내용, 추진방법이 명시된 제안서 작성. 타킷층, 전시 기간 및 공간, 예상 예산 등 구체화. 3\) 타당성 조사,검토-전시시기,공간,예산,참여인력 선정,전시 필요자원 확보,후원사 유치 등 현실화 요건 계획 4\) 전시사례,작품수집 연구-타기관 방문,유사전시 사례 조사,외부 전문가 자문,전시 컨텐츠 구체화 5\) 전시기획서 작성-전시주제,목표,취지 기술, 디자인 설계가 나올 정도로 자세하게 작품리스트,배치방식 확정 **23. 모더니즘 이전, 뮤지엄 교육의 사례 2개를 들어, 각각의 특성과 차이점을 비교, 약술하시오.** \- 먼저, 미국화가 **새뮤얼 모스의 그림 실물 교육이** 있었다. 일반적인 시각교육과 달리 실제 작품으로 학습이 이루어지는 실물교육의 원칙에 따라 뮤지엄 교육이 이루어졌다. 이를 통해 학습자는 실제 작품을 직접 관찰하며 다양한 감각기관을 활용하고 지식을 함양할 수 있었다. 한편, 영국에선 **산업 디자인 향상을 위한 목적으로 뮤지엄 교육도** 있었다. 사우스켄싱턴 뮤지엄은 디자인 교육을 수행하는 아카데미를 설립하였다. 이를 통해 뮤지엄의 교육기능이 강화되었으며 뮤지엄 교육이 대중교육에서 전문교육으로 확대되기도 하였다. 이 두 사례는 교육 방식과 대상에서 차이를 보입니다. 새뮤얼 모스의 실물 교육은 예술 교육에 중점을 두었고, 미술 작품을 직접 관찰하며 감각적이고 직관적인 학습을 제공했습니다. 반면, 사우스켄싱턴 뮤지엄은 산업 디자인을 교육하여 예술 교육을 보다 산업적이고 실용적인 측면으로 확장시켰습니다. **24. 미학적 전시와 맥락적 전시의 특징을 비교, 약술하고 뮤지엄 교육은 어떤 전시 방식에 수행될 수 있는지 의견을 밝히시오.** \- **미학적 전시는** 모마의 화이트 큐브와 같이 순수예술에 대한 이해와 감상을 추구한다. 관람객은 전시동선에 따라 작품에 노출됨으로써 작품 개별 자체에 집중하고 미학적으로 감상하게 되는 것이 특징이다. 한편, **맥락적 전**시는 예술의 다양한 관계성을 조망한다. 관람객은 작품에 대한 다양한 정보, 사회문화적 관계망 안에서 감상하도록 한다. 미학적 전시는 작품의 관점에서 바라본다면 맥락적 전시는 대중의 관점에서 바라본다. 이를 토대로 본다면 뮤지엄 교육은 맥락적 전시 방식에서 효과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맥락적 전시는 관람객이 작품과의 대화를 나누거나 다양한 사회적 맥락을 고려하는 데 도움을 주는 등 교육적 기능을 더 잘 수행할 수 있을 것 같기 때문이다. **25. 뮤지엄 교육이 대두하게 된 이유를 밝히고 뮤지엄 교육의 3대 구성요소를 설명하시오.** \- 산업혁명 이후 공공 뮤지엄의 전문 교육기능이 대두하게 되었다. 뮤지엄 교육은 전통적인 뮤지엄의 역할과 정의를 비판하는 신박물관학 이론이 생겨나면서 대두되기 시작했다. 명작의 수집 혹은 보존이라는 역할에서 더 나아가 대중의 접근성과 소통을 강조한 이론이다. 이러한 뮤지엄 교육의 3요소로는 [뮤지엄, 교육적, 주체적 요소가] 있다. 뮤지엄 요소는 실제 전시되는 소장품을 교육적 매체로 사용하는 것이다. 교육적 요소는 관람자에 따른 맞춤형 교육방법을 개발하는 것이다. 마지막으로 주체적 요소는 교육자에게 많은 선택의 권한을 주며 알맞은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26. 미국의 경제대공황 시기에 뮤지엄 교육이 도입된 방식을 설명하고 그 교육적, 미술사적 성과를 설명하시오.** \- 미국 경제대공황 시기, 많은 단체가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MoMA(Museum of Modern Art)는 정부로부터의 재정 지원을 유지하기 위해 **사회 교육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개발하고 확대하기 시작했습니다. 특히, \*\*연방미술프로젝트(Federal Art Project)\*\*의 전시 프로그램은 대중에게 예술을 보다 쉽게 접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했으며, 이를 통해 미술의 사회적 역할과 가치를 강조했습니다. 특히 벽화 미술을 통해 대중은 일상 공간에서 예술을 체험하며 예술의 사회적 가치를 재인식하게 되었습니다. 이 과정에서 예술 교육이 단순한 감상에 그치지 않고, 사회적, 정치적 메시지를 전달하는 매체로 기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었습니다. 미술사적으로도 디에고 리베라나 호세 등과 같은 인재들을 발굴하는 성과를 이루었다 **27. 미국 뉴욕현대미술관(MoMA)에 뮤지엄 프로그램을 도입하는데 선구적인 역할을 했던 교육 담당자를 소개하고 MoMA 초기 교육 프로그램을 사례로 들어 뮤지엄 교육의 특성과 교육자의 역할을 분석, 평가하시오.** \- [빅터 다미코는] MoMA에서 뮤지엄 교육의 선구적인 역할을 한 인물로, 그의 초기 교육 프로그램 사례를 통해, 뮤지엄 교육의 특성과 교육자의 역할을 구체적으로 분석하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MoMA의 초기 교육 프로그램은 특히 어린이들이 창의성을 발휘하고 예술에 직접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는 것이 특징이었습니다. 다미코는 아트 스튜디오를 중심으로 다양한 미술 도구와 재료를 통해 아이들이 스스로 탐구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설계하였으며, 이를 통해 아이들이 단순히 예술 작품을 감상하는 것에서 벗어나, 창작의 과정을 경험하게 했습니다. 또한, 저소득층 아이들에게도 이러한 교육 기회를 무료로 제공함으로써, 경제적 배경에 상관없이 누구나 예술을 접할 수 있는 광범위한 접근성을 보장했습니다. 그는 전통적인 미술 교육 방식에서 벗어나, 반복적인 학습이 아닌 창의적이고 실험적인 접근 방식을 도입하였습니다. 그의 교육 철학과 접근 방식은 오늘날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의 기초가 되었으며, 미술 교육의 민주화를 이끌어냈다고 평가할 수 있습니다. **28. 패커드 보고서에서 제안한 뮤지엄 교육의 지향점과 교육적 기반을 약술하시오.** \- 패커드 보고서에는 뮤지엄의 정체성을 사회교육 기관으로서 확립하는데 기여하였다. 패커드는 진보주의 교육에 기반하여 즉각 경험에 의한 미술교육을 중요시하였다. 그는 권위적이고 식상한 교육을 거부하는 대신 민주적 환경에서 학습의 증진을 중요시한 인물이였다. 이러한 기반과 지향점을 가진 패커드는 학교 교육과는 차별화 되는 뮤지엄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중요하게 여겼다. **29. 다름 괄호 안에 적절한 용어를 넣으시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