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rts and Romanticism Lecture Notes PDF

Document Details

FaultlessBongos1814

Uploaded by FaultlessBongos1814

Sookmyung Women's University

2024

Tags

romanticism art history german literature

Summary

These are lecture notes from Sookmyung Women's University on the topic of arts and romanticism. The notes cover the concept of art, romanticism, and key figures such as Novalis. It explores German romanticism and its features.

Full Transcript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제 2주차 예술과 로맨티시즘의 개념과 특징/ ‘낮에서 밤으로’: 노발리스 목차 Ⅰ. 예술과 로맨티시즘의 개념 Ⅱ. 독일 로맨티시즘의 특징과 주요 작가 Ⅲ. ‘낮에서 밤으로’: 작가 노발리스의 『밤의 찬가』 Ⅰ. 예술과 로맨티시즘의 개념 1. 예술의 정의 - 예술(...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제 2주차 예술과 로맨티시즘의 개념과 특징/ ‘낮에서 밤으로’: 노발리스 목차 Ⅰ. 예술과 로맨티시즘의 개념 Ⅱ. 독일 로맨티시즘의 특징과 주요 작가 Ⅲ. ‘낮에서 밤으로’: 작가 노발리스의 『밤의 찬가』 Ⅰ. 예술과 로맨티시즘의 개념 1. 예술의 정의 - 예술(藝術), Art[s](영어), Kunst(독일어) - 예술은 일반적으로 학문·종교·도덕 등과 같은 인간의 문화적 산물을 가리키며, 예술활동(창작, 감상)과 그 성과(예술작품)를 총칭하는 말이다. 또한 사람들을 결합시키고 사람들에게 감정이나 사상을 전달하는 수단이 된다. 과학도 같은 구실을 하기는 하나, 과학은 주로 개념으로 설명하고 예술은 미적 형상(美的形象)으로 설명한다. -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는 심미적 대상, 환경, 경험을 창조하는 과정에서 기술과 상상력을 동원·발휘하는 인간의 활동과 그 성과. 예술이라는 용어는 사용된 매개물이나 제작물의 형태에 의해서 전통적으로 범주화된 몇 가지 표현양식 중의 하나를 지칭하기도 한다. 따라서 회화·조각·영화제작·무용 등 여러 가지 미적 표현양식들을 개별적으로 예술이라고 말하며 이 모든 것을 통틀어서 또한 예술이라 부르기도 한다. - 예술의 중심 개념은 ‘아름다움’으로서, 만약 미가 결핍되거나 상실되면 예술이라고 말할 수 없다. 그러나 아름다움만으로는 예술이라고 할 수 없으며 어떤 ‘형상’에 의해 표현되어야만 한다. 예술관을 크게 나누면 아이디얼리즘 또는 로맨티시즘과 리얼리즘이 된다. 전자를 대표하는 사람은 헤겔로서 ‘미’는 예술가의 주관적 공상이라고 보는 데 대해, 후자를 주장하는 자는 아리스토텔레스로서 미를 자연의 모방, 혹은 재현이라고 본다. 이 대립은 오늘날까지 계속되고 있다. - 예술학은 예술에 관한 학문으로, 예술철학과 구별하여 예술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의미로도 쓰인다. 예술사회학은 예술의 사회학적 연구로서 19세기 중엽에 일어났던 실증주의(實證主義)와 함께 발달했다. (출처 및 참고: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7642&cid=40942&categoryId=32856) 2. 예술의 어원 - Art[s] : 라틴어의 ‘ars'에서 유래 - Kunst : 고고독일어(750년- 1050년)의 “Können”에서 유래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1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3. 예술 개념의 역사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선사시대 (기원전 약 25,000년) 이집트인들 고대시대 (기원 전 약 1422-1411년) 7개 자유교양학과(1180년경) ‣ 일곱 가지 자유 예술 [교양학과] 1. 문법, 2. 논리학, 3. 수사학 중세시대 4. 산술, 5. 지리와 자연역사, 6. 음악[이론], 7. 천문학 ‣ 수공예/기계적 예술: 시각적 예술 (회화, 조각, 건축) 프리드리히 실러 (Friedrich Schiller, 1759-1805) ‣ 실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 근대시대 ‣ 인간의 미적 교육의 중요성 강조 ‣ 로맨티시즘: 예술가 + 천재 개념 ‣ 학문적 분류: 문학, 철학, 역사, 음악, 미술 등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2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폴 세잔 Paul Cézanne의 자화상 (1898-1900년) ‣ 예술이 그 어떤 것에도 종속되지 않는 근대~현대시대 자율성이 강조됨 ‣ 예술을 위한 예술 L’art pour l’art ‣ 기능성과 연관관계를 맺는 예술형식으 로 ‘응용 예[미]술 angewandte Kunst’ Konzeptkunst: Art & Language: Mirror Piece(1965년) / Michael Baldwin ‣ ‘동시대의 예술’ ‣ 개념미술 포스트모던 ‣ 설치미술 ‣ 사진/ 비디오 설치 ‣ 해프닝과 퍼포먼스 (출처 및 참고: https://de.wikipedia.org/wiki/Kunst) 4. 낭만적 (로맨틱[Romantic]) 이란? - 로만어 in lingua romana(라틴어를 사용하던 로마인) - 슐레겔 : 과거 라틴어 대신 민중이 사용하던 옛 프랑스어와 함께, 직접 상상력에 호소하는 궁정풍 사랑이나 신비로운 현상에 대한 중세의 이야기를 뜻하는 로망스(Romance)에서 낭만적(Romantic)이라 는 단어를 선택 - 번역어 : ‘roman’을 한자어 ‘낭만(浪漫)’으로 표현 ‘물결이 방만하게 흩어지듯이’란 의미의 한자어 사용 - 로맨틱의 어원은 로만어 “in lingua Romana”로 슐레겔의 정의에 따르면 과거에 라틴어를 대신해 민중이 사용했던 옛 프랑스어를 가리킬 뿐만 아니라 직접 상상력에 호소하는 궁정풍의 사랑이나 신비로운 현상에 대한 중세의 이야기를 뜻하던 ‘로망스(Romance)’에서 ‘낭만적(Romantic)'이라는 단어를 선택하여 사용하였다. - “‘낭만적’이란 감상적 내용을 환상적인 형식으로 우리에게 서술해 내는 것” (KA‖. 333) (최문규, 12) - 보들레르 : “낭만주의에 관해 말하는 사람은 곧 현대 예술을 말하고 있는 것이다.” (최문규, 13) - “특징: 무한한 것에 대한 동경, 현실과 이상 간의 모순, 무정형적인 카오스 상태의 예찬. 모방 대신 자기 자신의 독창적 표현, 상상력의 예찬, 꿈과 밤에의 몰입, 자아분열적인 광기, 여성성에 대한 새로 운 시각(이러한 내용적 측면에 새로운 형식 부여)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3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 환상적, 장편소설과 같은 새로운 자연문학 - 독창적 주체 강조 - 정형화된 문학 규범에서 벗어남 (출처 및 참고: 김병옥 외: 도이치문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337-346; 안삼환: 한국 교양인을 위한 새독 일문학사, 새창문화사 2016, 313-314; 최문규: 독일 낭만주의,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9-52.) 5. 로맨티시즘 (낭만주의, 로만주의, Romantik[독])이란? - 유럽에서 1790-1850년 사이(독일에서는 1830년까지)에 전개된 정신적, 예술적 운동으로 감정과 환상을 중시 - 독일에서 시작되어 전 유럽으로 확대 [영]Romanticism (로맨티시즘) - 낭만주의는 유럽에서 1790년에서 1850년 사이(독일에서는 1830년경까지)에 전개된 정신적·예술적 운동으로 특히 감정과 환상을 중요시한 정신사조이다. 일반적인 뜻으로는 감정과 환상에 이끌리는 태도 또는 분위기에 넘치는 환경 내지상황을 가리키지만, 문학예술 용어로는 보다 좁은 의미에서 사용된다. 낭만주의는 간접적이긴 하지만 프랑스혁명과 그 여파에 결정적인 영향을 받으면서 18세기에 절대주의 국가, 철학적 합리주의, 기계론적·이성중심주의적 신학(이신론, 계몽주의), 그리고 무엇보다 프랑스의 의고전주의 등과 모순관계에 있던 모든 정신적·문학적 조류들을 받아들이고자 하였다. (참고: 김병옥 외: 도이치문학용어사전, 서울대학교출판부 2001, 337-346) 6. 낭만화란? - 노발리스 : “세계는 낭만화되어야만 한다. 그렇게 우리는 근원적 의미를 다시 발견하게 된다. 낭만화라는 것은 질적 강화에 다름 아니다. […] 범속한 것에 고상한 의미를, 관습적인 것에 비밀스런 외양을, 잘 알려진 것에 미지의 것의 품위를, 유한한 것에 무한한 외양을 부여함으로써 나는 그것을 낭만화하는 것이다.” (재인용: 최문규: 도취와 아이러니의 저 놀랍고도 끝없는 변화. 연세대학출판문화원 2019, 92.) - 노발리스는 환상을 극대화시켜 표현할 수 있는 동화를 ‘문학의 규범’으로 생각함 Ⅱ. 독일 로맨티시즘의 특징과 주요 작가 1. 시대적 배경 - 프랑스혁명(1789년-1799년) 이후인 1798년부터 약 1830년까지 (유럽 1850년경까지) - 독일은 나폴레옹 군대를 맞아 자유[해방]전쟁/ 1806년 독일 신성로마제국 해체 1814/15년 오스트리아 빈[비인]회의 2. 낭만주의의 형성과정에서 중요한 영향을 준 철학 - 피히테 Johann Gottlieb Fichte(1762-1814)의 주관적 관념철학 : 칸트의 현상론에서 출발하여 주관주의적 요소를 강화함. 칸트가 끝내 해결할 수 없는 것으로 남겨놓은 물자체 das Ding an sich 대신주체인 을 주장함.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4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 셸링 Friedrich Wilhelm Joseph von Schelling(1775-1854)의 자연철학 : 피히테의 주관적 관념론에서 벗어나 자연을 절대적 자아의 소산으로 보지 않고, 객관적 관념론의 입장에서 자연계를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로 인식하는 자연철학을 발전시킴. - 슐라이어마허 Friedrich Schleiermacher(1768-1834)의 낭만적 종교철학 : 종교의 본질은 이라 하여 계몽주의의 이신론이나 칸트의 도덕종교론에 반대하고 종교를 오성이나 사유, 의지나 행위가 아닌 직관과 감정문제로 규정함. - 추가설명 : 로맨티시즘 이념은 이 세계의 중심을 인간 자아에 두며, 자유의지로부터 기인된 환상을 중시하는 초월 철학의 영향을 받았다. 19세기에 이르러 칸트 철학과 아울러 자아의식 및 주관적 표현을 지향하는 피히테 철학을 토대로 합리적 이성에 의해 억제된 감정을 내적으로 개방하려는 움직임이다. 낭만주의자들이 동경했던 세계는 그들의 자유와 의지가 한껏 펼쳐질 수 있는 현실의 모든 구속에서 벗어날 수 있는 환상적 세계라고 할 수 있다. - 계몽주의는 지식과 이성으로 “신화적 세계로부터의 해방”이라는 의미에서 “탈신화화”의 운동이라고 불림. 그러나 세계를 마법에서 해방시키려 했지만, 오히려 활발한 동화창작을 통해서 신화적 형상을 되살려 기적과 마법의 세계를 예술적으로 형상화하는 결과를 낳았다. - “낭만주의가 동화의 구전 전설을 재발견하였을 때 낭만주의는 계몽주의를 따르는 듯한 동시에 계몽주의에 대항하는 듯한 반항적인 제스츄어로 다음과 같이 말했다. 즉 이성의 통제에 의해 허용되지 않았던 모든 것이 결코 거짓은 아니라고 말이다. 그것과 결부되어 있던 점은 비코 (Vico)와 헤르더(Herder)에서 시작된 동화적, 전설적 소재와 형상의 근원적 상황을 새롭게 평가하는 관점이었다. 고대 그리스로마 예술의 이야기 이전에는 태고적 여러 민족에 대한 암흑과 전율뿐만 아니라 또한 무엇보다도 진리와 거짓, 현실과 꿈을 구분할 수 없는 상태의 소박함이 있었다.“ (블루멘베르크) (재인용: 최문규: 도취와 아이러니의 저 놀랍고도 끝없는 변화. 연세대학출판문화원 2019, 48-49.) 3. 독일 로맨티시즘 특징 - 질서 · 냉정 · 조화 · 균형 · 이상화 · 합리성 등에 대한 거부 - 계몽주의와 18세기의 합리주의 및 유물론에 대한 반발 - ‘낮에서 밤으로’, ‘꿈’, ‘자연’, ‘상상력’ - 개성 · 주관 · 비합리성 · 상상력 · 개인 · 자연스러움 · 감성 · 환상 · 초월성 등을 강조 - 환상(문학창작의 핵심 개념)과 감정을 중시 - 민족과 “민중성” 강조 – 게르만 신화/ 신화학의 발달 - 독일 낭만주의 작가들의 민요 수집과 동화 창작. 특히 구전되던 전래(민중)동화와 병행해서 창 작(예술)동화 - 중세 독일을 황금시대로 여김 - 향토문학 진작/ 민족 고유의 문화 (언어의 중요성) 강조 - 점진적 보편시학(보편포에지) progressive Universalpoesie [진보하는 보편문학(보편 포에지)] 프리드리히 슐레겔의 정의 : 낭만주의 문학은 “점진적 보편시학[진보하는 보편문학]이다.” ‘문학은 모든 것을 포괄하고, 모든 형식을 혼합하며, 낭만적 이로니의 의미에서 언제나 자신을 초월해야 한다. 그리고 정지 상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라, 진행 중(활동적, 생산적)이어야 한다.’ (재인용 및 참고: 최문규: 독일 낭만주의. 연세대학교출판부 2005, 96-98.)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5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4. 독일 로맨티시즘의 작가 노발리스 루드비히 티크 (Friedrich von Hardenberg, 1772-1801) (Ludwig Tieck, 1773-1853) 빌헬름 슐레겔(Wilhelm Schlegel,1767-1845) 프리드리히 슐레겔(Friedrich Schlegel,1772-1829) 그림 형제 빌헬름 하우프 (형 야콥 그림: Jacob Grimm:1785-1863, 동생 빌헬름 그림: Wilhelm Grimm:1786-1859) (Wilhelm Hauff, 1802-1827)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6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하인리히 하이네 에.테.아. 호프만 (Heinrich Heine, 1797-1856) (E.T.A. Hoffmann,1776-1822)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프리드리히 드 라 모테 푸케 (Chamisso, Adelbert von, 1781-1838) (Friedrich de la Motte Fouqué, 1777-1843) 카롤리네 폰 귄더로데 베티나 폰 아르님 (Karoline von Guenderrode, 1780-1806) (Bettina von Arnim, 1785-1859)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7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클레멘스 브렌타노 아힘 폰 아르님 (Clemens Brenntano, 1778-1842) (Achim von Arnim, 1781-1831) Ⅲ. ‘낮에서 밤으로’: 작가 노발리스 (Novalis, 1772-1801) ‣ 독일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시인 ‣ 본명: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프라이헤어 폰 하르덴베르크 Georg Friedrich Freiherr von Hardenberg ‣ 대표작: 「밤의 찬가 Hymnen an die Nacht」, 『파란 꽃 Heinrich von Ofterdingen』 ‣ 실러, 슐레겔, 칸트, 티크 등과 교류하며 ‘낭만주의’ 문학 운동을 벌이다가 29세의 나이에 폐결핵으로 일찍 작고 1. 노발리스 생애와 연보 연도 주요활동 1772년 독일 오버비더슈테트 Oberwiederstedt 성 (작센-안할트 Sachsen-Anhalt 주)에서 출생 1790년 독일 예나Jena 대학에서 법학을 공부를 시작함 피히테 (Johann Gottlieb Fichte)와 횔덜린(Friedrich Hölderlin)을 예나 대학에서 만나고, 1795/96년 피히테 철학 연구 시작 - 바이마르에서 프리드리히 폰 슐레겔의 형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슐레겔과 괴테를 만남 1798년 - 『아테네움Athenaeum』지에 노발리스(Novalis)라는 필명으로 「꽃가루Blütenstaub 」를 발표, 『신앙과 사랑 Glauben und Liebe』을 발표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8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 예나에서 루트비히 티크(Ludwig Tieck)를 만나면서 예나를 중심으로 한 ‘전기 낭만주의’ 문학 1799년 - 슐라이어마허(Schleiermacher)의 「종교에 대하여」라는 연설을 연구 - 「기독교 혹은 유럽 Die Christenheit oder Europa」, 『성곡[성직자의 노래] Geistliche Lieder』 집필 1800년 - 「밤의 찬가 Hymnen an die Nacht」 초고 완성 - 『파란 꽃』과 시 작품을 계속 쓰며, 시 「죽은 자들의 노래 Lied der Toten」 완성 1월 - 의학, 종교 그리고 시에 대한 글을 씀 1800년 8월 「밤의 찬가」가 수정된 상태로 『아테네움』 제 6호에 실림 1801년 작고함 3월 25일 - 오버비더슈테트 성 (생애 참고 및 사진출처: https://de.wikipedia.org/wiki/Novalis) 2. 노발리스의 문학세계 - 낭만주의자로서의 시작: 소피와의 만남에서 발단 “노발리스는 소피를 이야기할 때마다 시인이 되었다.” (슐레겔) - 약혼녀 소피 폰 퀸 (1782-1797): 노발리스(당시 22세)가 1794년 열두 살의 소피를 알게 됨, 소피는 열다섯 살의 나이로 영면함 - 소피의 죽음 이후 칸트, 피히테, 셸링 철학에 심취하며 내면적 공간과 인식의 지평을 넓히기 시작 - 젊은 나이에 요절하였지만, 시인, 소설가, 철학가, 역사, 정치학자, 자연 과학 등 다방면에 업적을 남김 - 낭만화란? “비천한 것에 고상한 품격을, 사소한 모든 것에 중요함을, 유한한 외관에 무한한 영원성을 부여하는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9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것 그것이 낭만화이다.” (김주연: 독일 시인론. 열화당 1983.) - ‘파란 꽃’ 모티브 미완성 소설 『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겐] (파란 꽃) Heinrich von Ofterdingen』을 통해 전기 낭만주의자들이 열광했던 문학과 철학을 표현함 - ‘밤’의 모티브 이후 후기 낭만주의자들에게 사랑받게 된 밤의 모티브는 서사시 「밤의 찬가 Hymnen an die Nacht」 를 통해 문학적으로 형상화됨 3. 노발리스의 영향 - 노발리스에게 어두운 대지에 성스러운 이방인이 쉬고 있습니다. 그의 부드러운 입에서 신의 한탄이 새어나갔죠. 그는 한창때 침몰했으니까요. 파란꽃 한송이가 밤의 고통스러운 집에서 줄기차게 그의 노래를 부르고 있습니다. G.[게오르크] 트라클 - 지와르[게오르크] 루카치: “낭만주의시대 다른 시인들은 그저 낭만주의 시인일 뿐이지만 노발리스야말로 낭만주의 시대의 참다운 유익한 시인이다.” - 가스통 바슐라르: “노발리스 땅의 심연은 너무 깊고, 불의 열기는 너무 뜨거워 쉽게 간취할 수 없다.” - 토마스 만: “노발리스는 욕망과 도의, 자유와 형식에 대한 지식을 갖고 심오한 생물학적, 윤리적 발언을 했다. […]” (참고 및 출전: 김주연: 독일 시인론. 열화당 1983./김주연: 노발리스. 문학과지성사 2019.) 4. 노발리스의 『파란 꽃』(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겐] Heinrich von Ofterdingen) ◎ 노발리스의 사망 후 1802년 미완성작으로 출간 ◎ 교양소설 형식 ◎ 원제: 『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겐]』 ◎ 내용 - 1부: 하인리히의 여행이야기로, 함께 여행하는 상인들의 동화와 이야기들을 통해 그리고 십자군 기사, 포로가 되어있는 아침의 나라의 여인 출리마, 산사람 및 은둔자와의 만남을 통해 세계를 경험함. 여행의 발단은 “꿈”이며 꿈속에서 무한한 동경에 대한 상징인 “파란꽃”을 목격. - 2부: 동시대의 친구이자 낭만주의 이론가였던 루드비히 티크에 의한 “보고” 형식 ◎ 작품 발췌 “우리의 조용한 축제, 우리의 정원, 우리의 밤을 찬양하라. 안락한 가구를, 우리의 재산을,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10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매일같이 새로운 손님들이 오네. 일찍 오는 사람들, 늦게 오는 사람들, 그 많은 무리들 위에 삶의 불길이 활활 타오르네.” - 제1부– 5. 노발리스의 『밤의 찬가 Hymnen an die Nacht』 ◎ 원제: 「Hymnen an die Nacht」 ◎ 1800년 『아테네움』에 발표 ◎ 총 6편의 찬가로 구성된, 시인의 유일한 완성작 ◎ 주제 - 밤의 형상화로 죽음의 시문학적 극복을 시도. - 성스러운 잠(=죽음)을 통해 내세와의 결합 가능성을 설파하고 죽음과 낮의 극복자인 예수를 찬양 - 고대의 신화적 요소와 기독교적 요소를 결합 - 1-2찬가는 꿈과 현실의 대립 - 2-4찬가는 삶과 죽음의 대립을 형상화함 ◎ 형식: - 1-3찬가 산문 - 4-5찬가 산문에 운문이 삽입 - 6찬가 운문 ◎ 내용: - 1-4찬가: 연인의 무덤 앞에서 죽음을 극복하는 시적 자아의 개인적 체험 - 5 찬가: 앞의 체험이 예수를 통해 인류 전체에게 부여된다는 세계사적 역사철학적 일반화 시도 ☞ 동시대인들에게 단지 ‘캄캄한 밤’으로 인식되던 ‘밤’에 여러가지 의미를 부여한 작품으로 노발리스의 낭만주의 문학론이 가장 잘 나타남 ◎ 작품발췌 “성스러운, 무어라 말할 수 없이 신비로운 밤으로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11 - 예술과 로맨티시즘 2주차 강의록 나는 내 몸을 돌린다 – 저 멀리 세상이 있구나. 깊은 구렁텅이 속에 잠긴 채 그곳은 얼마나 황량하고 고독한지!” “구름 속에서 나는 애인의 정화된 모습을 보았지 – 그녀의 두 눈에 영원성이 쉬고[깃들어] 있네 – 나는 그녀의 두 손을 잡고 있다. 눈물들이 반짝이는, 찢기지 않는 끈이 되었다. [……] 그녀의 목을 감고 나는 새로운 삶의 황홀한 눈물을 흘렸다네. 그것은 당신을 꾼 최초의 꿈이었소.” (인용 및 참고: 김주연: 노발리스. 문학과지성사 2019, 63; 74-75.) Ÿ 최문규: 도취와 아이러니의 저 놀랍고도 끝없는 변화. 독일 낭만주의 작품 이해와 분석. 연세대학교 대학출판문화원 2019. Ÿ 최문규: 독일 낭만주의, 연세대학교 출판부 2005. Ÿ 지명렬 : 독일 낭만주의 총설. 서울대학교출판부 2000. Ÿ 박광자 : 독일의 소설가 20인. 충남대학교 출판부 2008. Ÿ 노발리스: 김재혁 역: 푸른 꽃, 민음사 2003. Ÿ 바르바라 바우만 외: 독일문학사, 경진문화사 2002. Ÿ 김주연: 독일 시인론. 열화당 1983. Ÿ 김주연: 노발리스. 문학과지성사 2019. - https://de.wikipedia.org/wiki/Kunst#/media/ -https://mittelalter.fandom.com/de/wiki/Freie_K%C3%BCnste?file=Hortus_Deliciarum%252C_Philosophie_mit_sieben_freien_K%25C3%2 5BCnste.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8/82/Novalis.jpg/200px-Novalis.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5/5c/Ludwig_Tieck.jpg/220px-Ludwig_Tieck.jpg -https://de.wikipedia.org/wiki/August_Wilhelm_Schlegel#/media/Datei:August_Wilhelm_von_Schlegel.jpg -https://de.wikipedia.org/wiki/Friedrich_Schlegel#/media/Datei:Schlegelvers1829.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f/ff/Grimm.jpg/400px-Grimm.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a/ae/Behringer_-_Wilhelm_Hauff_1826.jpg/220px-Behringer_-_Wilhelm_Hauff _1826.jp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b/b6/Heinrich_Heine.PNG/200px-Heinrich_Heine.PNG -http://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thumb/e/ec/ETA-Hoffmann.JPG/220px-ETA-Hoffmann.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c/c4/Chamisso_Adelbert_von_1781-1838.pn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a/a2/Friedrich_de_la_Motte-Fouqu%C3%A9_in_Husarenuniform.jpg -https://de.wikipedia.org/wiki/Karoline_von_G%C3%BCnderrode -https://de.wikipedia.org/wiki/Bettina_von_Arnim#/media/Datei:Bettina_v_Arvim.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5/5c/Brentano2.jpg -https://upload.wikimedia.org/wikipedia/commons/9/97/Ludwig_Achim_von_Arnim.jpg -https://de.wikipedia.org/wiki/Novalis -https://de.wikipedia.org/wiki/Sophie_von_K%C3%BChn -https://www.amazon.com/Hymnen-Nacht-Geistliche-Lieder-German/dp/3847821792/ref=sr_1_3?crid=G19HE2AIMAQO&keywords=H ymnen+an+die+Nacht+von+novalis&qid=1644219280&sprefix=hymnen+an+die+nacht+von+novalis%2Caps%2C220&sr=8-3 - Copyright ⓒ Sookmyung Women's University. All rights reserved.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