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술과 낭만주의: 개념과 역사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예술 활동과 그 결과물을 총칭하며, 사람들을 결합시키고 감정이나 사상을 전달하는 수단이 되는 것은 무엇인가?

  • 과학
  • 예술 (correct)
  • 도덕
  • 종교

예술의 중심 개념으로, 결핍되거나 상실되면 예술이라고 할 수 없는 것은 무엇인가?

  • 이상
  • 아름다움 (correct)
  • 개념
  • 형상

헤겔이 대표하는 예술관은 무엇이며, 그는 '미'를 어떻게 보았는가?

  • 낭만주의, 무한한 동경의 표현
  • 아이디얼리즘, 예술가의 주관적 공상 (correct)
  • 리얼리즘, 자연의 모방
  • 리얼리즘, 과학적 연구 대상

예술사회학은 19세기 중엽에 일어난 어떤 사상적 흐름과 함께 발달했는가?

<p>실증주의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낭만적'이라는 번역어의 의미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p>섬세하고 절제된 감정의 표현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낭만주의 시대에 '모방 대신 자기 자신의 독창적 표현'을 강조한 이유는 무엇인가?

<p>개인의 개성과 주관성을 중시하기 위해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유럽에서 낭만주의가 전개된 시기는 대략 언제부터 언제까지인가?

<p>1790년대~1850년대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노발리스가 '낭만화'에 대해 설명한 내용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p>일상적인 것에 새로운 의미를 부여하는 것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독일 낭만주의 시대적 배경으로 알맞지 않은 것은?

<p>절대 왕정 강화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피히테의 철학이 낭만주의 형성에 기여한 점은 무엇인가?

<p>주관주의적 요소를 강화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셸링의 자연철학이 피히테의 관념론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p>자연을 살아있는 유기체로 인식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슐라이어마허의 종교 철학에서 종교의 본질로 규정된 것은 무엇인가?

<p>우주의 직관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독일 낭만주의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p>합리성과 이성 중시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점진적 보편시학'에 대한 설명으로 알맞은 것은?

<p>모든 것을 포괄하고 끊임없이 변화하는 시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노발리스의 문학 세계에 영향을 준 인물은 누구인가?

<p>소피 폰 퀸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노발리스에게 '밤'의 모티브가 중요한 의미를 갖게 된 계기는 무엇인가?

<p>소피 폰 퀸의 죽음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노발리스의 대표적인 미완성 소설 제목은?

<p>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노발리스의 작품 『밤의 찬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계몽주의적 이성의 중요성 강조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노발리스는 어떤 사람이라고 평가할 수 있는가?

<p>시인, 소설가, 철학가, 역사, 정치학자, 자연과학자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밤의 찬가』에서 노발리스가 '성스러운 밤'에 부여한 의미와 가장 거리가 먼 것은?

<p>세상과의 단절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예술의 정의

학문, 종교, 도덕 등 인간의 문화적 산물을 가리키며 예술활동과 그 성과를 총칭한다.

예술의 중심 개념

'아름다움'이 결핍되거나 상실되면 예술이라고 할 수 없다. 어떤 '형상'에 의해 표현되어야만 한다.

아이디얼리즘

미는 예술가의 주관적 공상으로 보는 관점

리얼리즘

미를 자연의 모방 또는 재현으로 보는 관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예술학

예술에 관한 학문으로, 예술철학과 구별하여 예술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의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예술사회학

예술의 사회학적 연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Art 어원

라틴어 'ars'에서 유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Kunst 어원

고고독일어 'Können'에서 유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실러의 미적 교육론

인간의 미적 교육의 중요성을 강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근대 예술의 특징

예술이 그 어떤 것에도 종속되지 않는 자율성이 강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응용 예[미]술

기능성과 연관 관계를 맺는 예술 형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점진적 보편시학

진보적인 보편 문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로맨티시즘

유럽에서 1790-1850년 사이에 전개된 정신적, 예술적 운동으로 감정과 환상을 중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낭만화

세계를 낭만화하는 것은 질적 강화에 다름 아니다. 범속한 것에 고상한 의미를 부여하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셸링의 자연철학

자연을 절대적 자아의 소산으로 보지 않고, 객관적 관념론의 입장에서 자연계를 하나의 살아있는 유기체로 인식하는 자연철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슐라이어마허의 종교철학

종교의 본질을 '우주의 직관'이라 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독일 로맨티시즘 특징

질서, 냉정, 조화, 균형, 이상화, 합리성 등에 대한 거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노발리스

본명은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프라이헤어 폰 하르덴베르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밤의 찬가

총 6편의 찬가로 구성된, 시인의 유일한 완성작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파란 꽃

『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겐] (파란 꽃) Heinrich von Ofterdingen』을 통해 전기 낭만주의자들이 열광했던 문학과 철학을 표현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예술과 로맨티시즘의 개념

  • 예술(藝術)은 영어로 Art[s], 독일어로 Kunst를 의미
  • 예술은 학문, 종교, 도덕과 같은 인간의 문화적 산물을 지칭하며, 창작 및 감상 활동과 예술작품을 총칭
  • 예술은 사람들을 결합시키고 감정이나 사상을 전달하는 수단으로 기능하며, 과학과는 달리 미적 형상으로 설명됨
  • 예술은 기술과 상상력을 동원하여 심미적 대상, 환경, 경험을 창조하는 인간 활동과 그 결과
  • 예술은 전통적으로 범주화된 표현 양식을 지칭하며, 회화, 조각, 영화, 무용 등이 이에 해당
  • 예술의 중심 개념은 아름다움이며, 미가 결핍되면 예술이라 할 수 없음
  • 예술관은 아이디얼리즘(헤겔)과 리얼리즘(아리스토텔레스)으로 나뉘며, 전자는 주관적 공상, 후자는 자연의 모방을 강조
  • 예술학은 예술에 대한 학문으로, 예술철학과 구별되는 과학적 연구 의미를 가짐
  • 예술사회학은 19세기 중엽 실증주의와 함께 발달
  • Art[s]는 라틴어 'ars'에서, Kunst는 고고독일어 "Können"에서 유래

예술 개념의 역사

  • 선사시대: 빌렌도르프의 비너스 (기원전 약 25,000년)
  • 고대시대: 이집트인들의 예술 (기원전 약 1422-1411년)
  • 중세시대: 7개 자유교양학과 (문법, 논리학, 수사학, 산술, 지리, 음악, 천문학) 및 수공예/기계적 예술 (회화, 조각, 건축)
  • 근대시대: 프리드리히 실러의 『인간의 미적 교육론』에서 인간 미적 교육의 중요성이 강조되었고, 로맨티시즘은 예술가+천재 개념과 관련됨
  • 근대~현대시대: 폴 세잔의 자화상에서 예술의 자율성이 강조되었고, '예술을 위한 예술' 사상이 나타남
  • 기능성과 연관된 '응용 예[미]술 angewandte Kunst' 등장
  • '동시대의 예술', 개념미술, 포스트모던, 설치미술, 사진/비디오 설치, 해프닝과 퍼포먼스 등이 나타남

낭만적(로맨틱) 이란?

  • '낭만적'은 로만어 "in lingua Romana"(라틴어를 사용하던 로마인)에서 유래
  • 슐레겔은 직접 상상력에 호소하는 궁정풍 사랑이나 신비로운 중세 이야기를 뜻하는 '로망스(Romance)'에서 '낭만적(Romantic)'이라는 단어 선택
  • 'roman'을 '낭만(浪漫)'으로 번역하며 "물결이 방만하게 흩어지듯이"의 의미를 가짐
  • 로맨틱 어원은 로만어 "in lingua Romana"
  • 낭만적이란 감상적 내용을 환상적인 형식으로 서술
  • 보들레르는 낭만주의가 곧 현대 예술이라고 언급
  • 낭만주의 특징: 무한한 것에 대한 동경, 현실과 이상 간의 모순, 카오스 상태의 예찬, 자기 독창적 표현, 상상력, 꿈과 밤에의 몰입, 자아분열적 광기, 여성성에 대한 새로운 시각 등

로맨티시즘

  • 환상적 장편소설과 같은 새로운 자연문학 나타남
  • 독창적 주체 강조
  • 정형화된 문학 규범에서 벗어남
  • 1790-1850년 유럽에서 (독일은 1830년까지) 감정과 환상을 중시하는 정신적, 예술적 운동 전개
  • 독일에서 시작되어 유럽 전체로 확대 (영: Romanticism)
  • 특히 감정과 환상을 중요시한 정신사조
  • 프랑스 혁명과 그 영향으로 18세기 절대주의 국가, 철학적 합리주의, 기계적이성 중심주의적 신학(이신론, 계몽주의), 프랑스의 의고전주의 등과 모순 관계에 있는 모든 정신적, 문학적 조류들을 받아들임
  • 노발리스는 세계를 낭만화해야 하며, 근원적 의미를 재발견해야 한다고 주장
  • 낭만화: 범속한 것에 고상한 의미를, 관습적인 것에 비밀스러운 외양을, 잘 알려진 것에 미지의 것의 품위를, 유한한 것에 무한한 외양을 부여하는 것
  • 노발리스는 환상을 극대화하여 표현할 수 있는 동화를 문학의 규범으로 생각함

독일 로맨티시즘의 특징과 주요 작가

  • 프랑스 혁명 이후 1798년부터 약 1830년까지 (유럽은 1850년경까지). 독일은 나폴레옹 군대를 맞아 자유[해방]전쟁을 치렀고, 1806년 독일 신성로마제국 해체. 1814/15년 오스트리아 빈[비인]회의 개최
  • 피히테의 주관적 관념철학은 칸트의 현상론에서 출발하여 주관주의적 요소를 강화하고, 주체인 자아의 절대성을 주장
  • 셸링의 자연철학은 피히테의 주관적 관념론에서 벗어나 자연을 객관적 관념론의 입장에서 살아있는 유기체로 인식
  • 슐라이어마허의 낭만적 종교철학은 종교의 본질을 우주의 직관으로 규정하고, 종교를 직관과 감정 문제로 봄
  • 로맨티시즘 이념은 인간 자아를 중심에 두고, 자유의지에서 기인된 환상을 중시하는 초월 철학의 영향을 받음
  • 계몽주의는 지식과 이성으로 "탈신화화" 운동을 전개했으나, 낭만주의는 오히려 활발한 동화창작을 통해 신화적 형상을 되살림
  • 낭만주의는 질서, 냉정, 조화, 균형, 이상화, 합리성 등에 대한 거부
  • 낭만주의는 계몽주의와 18세기의 합리주의 및 유물론에 대한 반발
  • '낮에서 밤으로', '꿈', '자연', '상상력' 등을 강조
  • 개성, 주관, 비합리성, 상상력, 개인, 자연스러움, 감성, 환상, 초월성 등을 강조
  • 환상(문학 창작의 핵심 개념)과 감정을 중시
  • 민족과 "민중성” 강조 – 게르만 신화/신화학의 발달
  • 독일 낭만주의 작가들의 민요 수집 및 동화 창작 활발
  • 중세 독일을 황금시대로 여김
  • 향토문학 진작/ 민족 고유의 문화 (언어의 중요성) 강조
  • 점진적 보편시학(보편포에지) progressive Universalpoesie [진보하는 보편문학(보편 포에지)] 주창
  • 낭만주의 문학은 모든 것을 포괄하고, 모든 형식을 혼합하며, 낭만적 아이러니의 의미에서 언제나 자신을 초월해야 한다고 봄
  • 독일 로맨티시즘의 작가: 노발리스, 루드비히 티크, 빌헬름 슐레겔, 프리드리히 슐레겔, 그림 형제, 빌헬름 하우프, 하인리히 하이네, 에.테.아. 호프만, 아델베르트 폰 샤미소, 프리드리히 드 라 모테 푸케, 카롤리네 폰 귄더로데, 베티나 폰 아르님, 클레멘스 브렌타노, 아힘 폰 아르님 등

'낮에서 밤으로': 작가 노발리스 (Novalis, 1772-1801)

  • 독일의 대표적인 낭만주의 시인
  • 본명: 게오르크 프리드리히 프라이헤어 폰 하르덴베르크 Georg Friedrich Freiherr von Hardenberg
  • 주요 작품: 「밤의 찬가 Hymnen an die Nacht」, 『파란 꽃 Heinrich von Ofterdingen』
  • 실러, 슐레겔, 칸트, 티크 등과 교류하며 낭만주의 문학 운동 전개, 29세 폐결핵으로 작고
  • 1772년 독일 오버비더슈테트 출생
  • 1790년 예나Jena 대학에서 법학 공부 시작
  • 1795/96년 예나 대학에서 피히테, 횔덜린 만나고, 피히테 철학 연구 시작
  • 1798년 바이마르에서 프리드리히 폰 슐레겔의 형 아우구스트 빌헬름 폰 슐레겔과 괴테를 만남
  • 『아테네움Athenaeum』지에 노발리스(Novalis)라는 필명으로 「꽃가루Blütenstaub」 발표, 『신앙과 사랑 Glauben und Liebe』 발표
  • 1799년 예나에서 루트비히 티크(Ludwig Tieck)를 만나면서 예나 중심 '전기 낭만주의' 문학 전개
  • 슐라이어마허(Schleiermacher)의 「종교에 대하여」라는 연설 연구
  • 「기독교 혹은 유럽 Die Christenheit oder Europa」, 『성곡[성직자의 노래] Geistliche Lieder』 집필
  • 1800년 1월, 「밤의 찬가 Hymnen an die Nacht」 초고 완성
  • 『파란 꽃과 시 작품 계속 쓰며, 시 「죽은 자들의 노래 Lied der Toten」완성, 의학, 종교 그리고 시에 대한 글을 씀
  • 1800년 8월,「밤의 찬가」가 『아테네움』제6호에 수정된 상태로 실림
  • 1801년 3월 25일 작고
  • 낭만주의자로서의 시작은 소피와의 만남에서 비롯
  • "노발리스는 소피를 이야기할 때마다 시인이 되었다.” (슐레겔)
  • 약혼녀 소피 폰 퀸 (1782-1797): 노발리스(22세)가 1794년 12살 소피를 알게 됨. 소피는 15살의 나이로 영면
  • 소피의 죽음 이후 칸트, 피히테, 셸링 철학에 심취하며 내면적 공간과 인식의 지평 넓히기 시작
  • 젊은 나이에 요절했지만 시인, 소설가, 철학가, 역사, 정치학자, 자연 과학 등 다방면에 업적 남김
  • "비천한 것에 고상한 품격을, 사소한 모든 것에 중요함을, 유한한 외관에 무한한 영원성을 부여하는 것 그것이 낭만화이다.”
  • 「파란 꽃」 모티브: 미완성 소설 『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겐] (파란 꽃) Heinrich von Ofterdingen』 통해 전기 낭만주의자들이 열광했던 문학과 철학 표현
  • '밤'의 모티브: 이후 후기 낭만주의자들에게 사랑받게 된 밤의 모티브는 서사시「밤의 찬가 Hymnen an die Nacht」를 통해 문학적으로 형상화됨
  • 지와르[게오르크] 루카치: “낭만주의시대 다른 시인들은 그저 낭만주의 시인일 뿐이지만 노발리스야말로 낭만주의 시대의 참다운 유익한 시인이다."
  • 가스통 바슐라르: "노발리스 땅의 심연은 너무 깊고, 불의 열기는 너무 뜨거워 쉽게 간취할 수 없다."
  • 토마스 만: "노발리스는 욕망과 도의, 자유와 형식에 대한 지식을 갖고 심오한 생물학적, 윤리적 발언을 했다. [...]"
  • 교양소설 형식
  • 원제: 『하인리히 폰 오프터딩엔[겐]』
  • 하인리히의 여행 이야기
  • 여행의 발단은 “꿈”이며 꿈속에서 무한한 동경에 대한 상징인 “파란꽃”을 목격
  • 동시대 친구이자 낭만주의 이론가였던 루드비히 티크에 의한 “보고” 형식
  • 『밤의 찬가 Hymnen an die Nacht』은 총 6편의 찬가로 구성된 시인의 유일한 완성작
  • 밤의 형상화로 죽음의 시문학적 극복 시도
  • 성스러운 잠(=죽음)을 통해 내세와의 결합 가능성을 설파하고 죽음과 낮의 극복자인 예수를 찬양
  • 고대의 신화적 요소와 기독교적 요소를 결합
  • 1-2찬가는 꿈과 현실의 대립
  • 2-4찬가는 삶과 죽음의 대립을 형상화
  • 형식: 1-3찬가 산문, 4-5찬가 산문에 운문 삽입, 6찬가 운문
  • 동시대인들에게 단지 '캄캄한 밤'으로 인식되던 '밤'에 여러가지 의미를 부여한 작품으로 노발리스의 낭만주의 문학론이 가장 잘 나타남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Artistic Production and Cult Value
18 questions

Artistic Production and Cult Value

AffluentMahoganyObsidian avatar
AffluentMahoganyObsidian
Umetnost i Estetika
0 questions

Umetnost i Estetika

JudiciousColumbus4065 avatar
JudiciousColumbus4065
Art Module #1: Defining Art and Its Purposes
32 question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