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전쟁에서 동아시아 국제대전으로 PDF

Summary

These slides discuss the history of the Silla Dynasty and the unification of Korea. It mention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kingdoms of Silla, Baekje, and Goguryeo, and their interactions with other countries like China and Japan.

Full Transcript

삼국전쟁에서 동아시아 국제대전으로 삼국전쟁에서 동아시아 국제대전으로  신라, 바닷길을 열다  족한 줄 알면 욕되지 않으리  세 치 혀가 바꾼 물줄기  얕보다 큰 코 다치다 1. 신라, 바닷길을 열다 660년 백제 멸망 668년 고구려 멸망 동아시아 국제전: 삼국+수·당+일본+말갈 675년 매초성 전투 676년...

삼국전쟁에서 동아시아 국제대전으로 삼국전쟁에서 동아시아 국제대전으로  신라, 바닷길을 열다  족한 줄 알면 욕되지 않으리  세 치 혀가 바꾼 물줄기  얕보다 큰 코 다치다 1. 신라, 바닷길을 열다 660년 백제 멸망 668년 고구려 멸망 동아시아 국제전: 삼국+수·당+일본+말갈 675년 매초성 전투 676년 기벌포 전투 698년 진(振, 震), 713년 발해군왕 관직 삼국통일? 한국사의 전환점 삼국 항쟁의 본격화 6세기 신라의 성장 -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 551년 한강 유역 점령: 백제 · 신라 · 가야 연합군 새로운 주 - 553년 한강 하류 점령, 신주(新州) 설치: 고구려의 묵인 일종의 행정구역 - 본격적인 영토 전쟁 554년 관산성 전투 - 성왕의 죽음 - 신라의 영향력 확대: 한강 유역 확보 대가야 합병 중국과의 독자적 교류 - 564년 북제의 책봉 진흥왕: 독자 연호, 순수(巡狩) 2. 족한 줄 알면 욕되지 않으리 중국의 통일 왕조 등장(589년) - 수(隋), 당(唐) - 다원적 질서 ⇒ 일원적 국제질서 고구려의 천하관 - 천손사상, 독자적 세력 형성 수 문제와 양제 - 양제: 서돌궐, 토욕혼 정벌 국제전 양상과 외교전 - 백제와 신라의 대수 외교 제2차 전쟁(612) - 607년 고구려와 돌궐의 교섭. 수 양제 정 책봉 의 영양왕 입조 요구와 거절. - 612년 수 양제가 113만의 대군을 거느 θ 리고 다시 공격. 요동성에 가로막히자, 30 만 별동대로 평양성을 직접 공격. - 을지문덕에게 살수에서 대패(살수대첩) - 영양왕의 외교적 항복 당(唐)의 성립과 고구려 정벌 당 태종 - 동돌궐 멸망: ‘천가한(天可汗)’의 존호 - 고구려를 제외한 주변국 정벌 고구려의 대비 - 천리장성 축조 연개소문의 쿠데타(642년) 연개소문 단죄의 명분으로 침략(645년) 안시성 전투 3. 세 치 혀가 바꾼 물줄기 수 · 당의 연이은 실패 당의 전술 변화 - 고종 즉위 - 소규모 장기 소모전 - 고구려 남부에 제2전선 구축 측천무후 신라의 상황 변화 대외적 상황 - 백제와의 대립 격화: 무왕 - 대야성 함락(642년) 내부 상황 - 여왕 즉위: 내부 반란과 주변국의 시선 - 김춘추의 정치적 입지 축소 외교적 타개 시도 - 고구려와의 회담 - 대당 외교: 당의 연호, 복식 등 도입, 나당밀약 - 당의 일원적 국제질서 수용 고구려-백제-왜 ⇔ 당-신라 외교관계 통일전쟁 660년 나당 연합군 백제 공격 - 소정방, 김유신 - 황산벌 전투 - 사비성 함락: 의자왕과 태자 등 1만여 명 당으로 압송 고구려 멸망 면망후] [백제 - 665년 연개소문 사망: 내분 발생 - 집권층의 당과 신라 투항 행정구역 - - 668년 평양성 함락: 안동도호부 설치, 보장왕 등 강제 이주 부흥운동의 실패 - 백제의 흑치상지와 도침, 고구려의 검모잠과 고연무 4. 얕보다 큰 코 다친다 신라와 당의 갈등 의미 신라를 - 웅진도독부, 안동도호부, 계림주 설치 - 당: 665년 문무왕과 부여융의 회맹 추진 피로 맹세 - 신라: 고구려 유민 지원 대당 전쟁 - 675년 매소성 전투, 676년 기벌포 해전 - 안동도호부의 이동: 평양 ⇒ 요동 국제 정세의 변화도 영향 동아시아 개입↓ - 토번의 발흥 삼국통일? 신라의 통일 원인 신자가 빠른 대처 - 대외적 요소: 통일 왕조의 등장과 외교 역량 한나라 - 내부적 요소: 다양한 계층의 통합, 내부 결속력 통일이라고 할 수 있는가? - 영역, 계통의 통합이라는 면에서 한계 - 발해의 건국: 남북조시대 신라는 통일의 의지가 있었는가? - 생존을 위한 활동에서 출발 통일의제 > - 마한 , 진한 변한. - 통일신라: ‘일통삼한(一統三韓)’을 강조 - 하나의 국가 성립이라는 의미는 크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