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의 맥락에서 신라가 당나라와 연합하게 된 배경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의 맥락에서 신라가 당나라와 연합하게 된 배경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인가?
- 신라 내부의 정치적 불안정과 지도층의 분열 심화
- 고구려의 지속적인 군사적 압박과 남진 정책
- 당나라의 강력한 해상 군사력과 동아시아 제패 야욕 (correct)
- 백제와 고구려의 연합 전선 형성 및 신라 공격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 시기, 고구려가 수나라의 대규모 침략을 여러 차례 격퇴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인은?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 시기, 고구려가 수나라의 대규모 침략을 여러 차례 격퇴할 수 있었던 가장 중요한 요인은?
- 광활한 영토와 험준한 산악 지형을 이용한 방어
- 천리장성 축조 및 을지문덕의 뛰어난 전략 (correct)
- 당나라의 군사적 지원과 협력 관계
- 고구려 왕족 중심의 강력한 중앙 집권 체제
삼국 항쟁 시기 신라가 한강 유역을 확보한 후, 진흥왕이 추진한 정책과 그 의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삼국 항쟁 시기 신라가 한강 유역을 확보한 후, 진흥왕이 추진한 정책과 그 의의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 한강 하류에 신주를 설치하고, 순수(巡狩) 활동을 통해 지방 통치를 강화하였다. (correct)
- 북제(北齊)의 책봉을 거부하고 독자적인 연호를 사용하여 자주성을 강조하였다.
- 신주(新州)를 폐지하고 고구려 유민을 포용하여 북방 외교를 강화하였다.
- 대가야를 정복하고 영토를 확장하여 국가 재정을 확충하였다.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에서 백제가 멸망한 직접적인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에서 백제가 멸망한 직접적인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달성한 이후, 당나라가 한반도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 하자 신라가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전개한 주요한 군사적 활동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달성한 이후, 당나라가 한반도에 대한 지배력을 강화하려 하자 신라가 이를 저지하기 위해 전개한 주요한 군사적 활동은?
다음 중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의 결과로 발생한 변화가 아닌 것은?
다음 중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의 결과로 발생한 변화가 아닌 것은?
6세기 신라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6세기 신라의 성장과정에서 나타난 특징을 가장 적절하게 설명한 것은?
다음 중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 시기, 연개소문이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한 배경과 그 결과로 나타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다음 중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 시기, 연개소문이 고구려의 권력을 장악한 배경과 그 결과로 나타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적절한 것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김춘추의 역할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이루는 과정에서 김춘추의 역할로 가장 적절한 것은?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이 신라 사회에 미친 영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이 신라 사회에 미친 영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수나라가 고구려 침략에 실패한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수나라가 고구려 침략에 실패한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다음 중 고구려 멸망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다음 중 고구려 멸망의 원인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다음 중 삼국 통일 이후 신라의 변화된 모습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다음 중 삼국 통일 이후 신라의 변화된 모습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삼국 항쟁 시기 백제가 당나라와 외교 관계를 강화하려 했던 이유는?
삼국 항쟁 시기 백제가 당나라와 외교 관계를 강화하려 했던 이유는?
신라가 삼국 통일을 주도할 수 있었던 요인 중, 신라 내부의 긍정적 요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신라가 삼국 통일을 주도할 수 있었던 요인 중, 신라 내부의 긍정적 요인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에서 '세 치 혀가 바꾼 물줄기'라는 표현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7세기 동아시아 국제전쟁에서 '세 치 혀가 바꾼 물줄기'라는 표현이 의미하는 바는 무엇인가?
수나라 양제가 고구려 침략에 실패한 후, 당 태종이 고구려 정벌을 추진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수나라 양제가 고구려 침략에 실패한 후, 당 태종이 고구려 정벌을 추진한 가장 중요한 이유는?
삼국 통일 전쟁에서 백제의 흑치상지와 도침이 부흥운동을 전개한 배경으로 적절한 것은?
삼국 통일 전쟁에서 백제의 흑치상지와 도침이 부흥운동을 전개한 배경으로 적절한 것은?
신라가 통일 전쟁 후 당나라와 대립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신라가 통일 전쟁 후 당나라와 대립하게 된 결정적인 이유는?
신라의 삼국통일이 갖는 역사적 의의와 한계에 대한 평가로 가장 적절한 것은?
신라의 삼국통일이 갖는 역사적 의의와 한계에 대한 평가로 가장 적절한 것은?
Flashcards
백제 멸망 연도
백제 멸망 연도
660년 백제가 멸망했습니다.
고구려 멸망 연도
고구려 멸망 연도
668년 고구려가 멸망했습니다.
매초성 전투 연도
매초성 전투 연도
675년 매초성에서 벌어진 전투입니다.
기벌포 전투 연도
기벌포 전투 연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한강 유역 점령 연도
한강 유역 점령 연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관산성 전투 연도
관산성 전투 연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나라
수나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양제의 정벌 대상
양제의 정벌 대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 양제의 고구려 침공 연도
수 양제의 고구려 침공 연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살수대첩
살수대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개소문의 쿠데타
연개소문의 쿠데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안시성 전투 연도
안시성 전투 연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소모전
소모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백제 공격 연도
백제 공격 연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황산벌 전투
황산벌 전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매소성 전투
매소성 전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기벌포 해전 승리 연도
기벌포 해전 승리 연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구려 유민 지원
고구려 유민 지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평양성 함락
평양성 함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신라의 통일
신라의 통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삼국전쟁에서 동아시아 국제대전으로
- 신라는 해상로를 개척
- 족함을 알면 욕되지 않음
- 외교적 수완이 물줄기를 바꿈
- 과소평가하면 큰 코를 다침
신라, 바닷길을 열다
- 660년 백제가 멸망
- 668년 고구려가 멸망
- 동아시아 국제전에는 삼국, 수, 당, 일본, 말갈이 연루
- 675년 매초성 전투 발생
- 676년에 기벌포 전투 발생
- 698년에 진국이 건국되었고, 713년에 발해군왕 관직이 수여
- 이 시기는 한국사에서 중요한 전환점
삼국 항쟁의 본격화
- 6세기 신라의 성장 촉진한 왕은 지증왕, 법흥왕, 진흥왕
- 551년 백제, 신라, 가야 연합군이 한강 유역을 점령
- 553년 신라가 한강 하류를 장악하고 신주를 설치하면서 고구려가 이를 묵인
- 554년에 관산성 전투 발발로 성왕이 전사
- 신라의 영향력이 확대되어 한강 유역을 확보했고, 대가야를 합병
- 564년 북제의 책봉을 받음
- 진흥왕은 독자적인 연호와 순수를 시행
족한 줄 알면 욕되지 않으리
- 589년에 중국이 통일 왕조로 재편
- 다원적 질서에서 일원적 국제 질서로 전환
- 고구려는 천하관을 유지하며 독자적인 세력 형성
- 수의 양제는 서돌궐과 토욕혼을 정벌
- 백제와 신라는 수나라에 외교 관계를 구축
제2차 전쟁 (612)
- 607년에 고구려와 돌궐이 교섭하고 수 양제의 영양왕 입조 요구를 거절
- 612년에 수 양제가 113만 대군을 이끌고 고구려를 침공했지만, 요동성에서 저지
- 30만 별동대로 평양성을 공략했으나, 을지문덕에게 살수에서 대패
- 영양왕은 외교적으로 항복
당(唐)의 성립과 고구려 정벌
- 당 태종은 동돌궐을 멸망시키고 '천가한'의 칭호를 받음
- 고구려를 제외한 주변국을 정벌
- 고구려는 천리장성을 축조
- 642년 연개소문이 쿠데타를 일으킴
- 645년 당이 연개소문 단죄를 명분으로 침략했으나 안시성 전투에서 패배
세 치 혀가 바꾼 물줄기
- 수나라와 당나라의 잇따른 고구려 침공 실패
- 당의 전술 변화는 고종 즉위 후 시작
- 소규모 장기 소모전 전개
- 고구려 남부에 제2전선 구축
신라의 상황 변화
- 대외적으로 백제와의 대립이 격화, 642년에 대야성이 함락
- 내부적으로 여왕 즉위 후 내부 반란과 주변국의 압박에 직면하고 김춘추의 정치적 입지가 축소
- 외교적 타개를 모색하며 고구려와의 회담을 추진했지만, 대당 외교를 통해 당의 연호와 복식을 도입하고 나당밀약을 체결
- 당의 일원적 국제 질서를 수용
통일전쟁
- 660년 나당 연합군이 백제를 공격하여 황산벌 전투에서 승리
- 사비성이 함락되고 의자왕과 태자를 포함한 1만여 명이 당나라로 압송
- 665년 연개소문 사망 후 내분 발생
- 668년 평양성이 함락되면서 안동도호부가 설치되고 보장왕 등이 강제 이주
- 백제의 흑치상지와 도침, 고구려의 검모잠과 고연무 등이 부흥운동을 전개했으나 모두 실패
얕보다 큰 코 다친다
- 신라와 당의 갈등으로 웅진도독부, 안동도호부, 계림주가 설치
- 당은 665년에 문무왕과 부여융의 회맹을 추진
- 신라는 고구려 유민을 지원
- 675년 매소성 전투와 676년 기벌포 해전에서 승리
- 안동도호부가 평양에서 요동으로 이전
- 국제 정세 변화는 동아시아에 영향을 미치고 토번이 발흥
삼국통일?
- 신라의 통일은 통일 왕조의 등장과 외교 역량, 내부 계층 통합 및 결속력 등의 요소가 작용
- 영역과 계통 통합 면에서는 한계 존재
- 발해 건국으로 남북조시대가 열림
- 신라의 통일은 생존을 위한 활동에서 출발, 통일신라가 ‘일통삼한’을 강조한 점을 고려할 때, 하나의 국가 성립이라는 점에서 큰 의미를 지님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