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행동의 기초 Chapter 1 PDF
Document Details

Uploaded by AppropriateDiopside3260
Tags
Summary
This document is the first chapter of a text on organizational behavior, '조직행동의 기초'. It covers fundamental concepts related to organizational behavior, including the definition of organizations, essential pre-conditions for organizational structure, and the scope and related academic fields.
Full Transcript
조직행동 Chapter 1. 조직 행동의 기초 1. 조직의 개념 1) 공동의 목표수행을 위해 함께 일하는 개인과 집단의 사회적 구성 조직...
조직행동 Chapter 1. 조직 행동의 기초 1. 조직의 개념 1) 공동의 목표수행을 위해 함께 일하는 개인과 집단의 사회적 구성 조직 개인 집단 , → 전부 충족해야함 2) 조직구성의 전제조건 m≈ 작은 단위 가정 - 공동의 목표 조직의 가장 : 노조직의 일원이 되기 위한 사회적 학습 cf ) 한 비행기에 탄 사람들 - 2인 이상의 구성원 - : 조직 X (분업 상호작용 ) × - 유기적 상호작용 , - 조직 vS 집단 이 ㆁ 공통의 목표 - 분업 ㆁ 이 2인 상호작용 ↑ ㅇ ㆁ ㅇ 분업 ㆁ X 멤버십 O (관계성 λ ) 2. 조직행동의 개념 1) 조직내의 인간의 행동을 연구하고 설명하는 학문 2) 조직행동연구의 세 가지 수준 - 개인행동 : 능력, 태도, 성격, 가치관, 지각, 스트레스, 학습, 모티베이션 _ 을 위해서 잘 학습되어야 함 갈등 권력 의사결정 커뮤니케이션 여러 심리 작용이 필요 , , , 성격 가치관 모티베이션 ⇒ 집단행동은 - 집단행동 : 커뮤니케이션, 의사결정, 리더십 , , 개인행동을 포함한다. m~ [ 서술형 > - 조직행동 : 조직구조, 조직변화, 조직개발, 조직문화 b 너무 커서 각각 과목으로 개설 3. 조직행동의 특징 1) 실천적 학문 2) 종합적 학문 3) 인간존중의 학문 4. 조직행동의 연구 범위 1) OB ㄴ macro ( 조직 이론 ) OB macro IB 어 ( industrial organ ization nelation : 노사 관계 ) theory ) 2) OT micro OB HBM ( 인적자원관리 ) 3) HRM theoretical √ practical micro OB 4) IR, OD ( OB ) 5. 조직행동의 관련 학문 1) 심리학 ~ 2) 사회학 3) 인류학 → Mix 4) 정치학 5) 행정학 6) 경제학 6. 조직행동의 연구방법 1차 자료 vs2. 차 현재를 확인 λ [ 과거만 확인이 1) 실증분석 : 조직성과 측정 현재를 측정 - ' - 회계 , 인사조직 , 재무관리 마케팅 2) 설문, 인터뷰, 관찰실험 등 주관성 객관성 - - ~ 3)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가 중요 : 타당성이 더 중요함 ( 성과 > Performance 4) 연구방법 Corporate 설문지로 측정 1 performance - 상관관계 Organizational ∞. ㄻ ( 1차 자료 ) 직무 만족 3 이직의도 → 측정되는 항목 , 조직 몰입 α - 인과관계 2 차 자료 Δ 2. financial " BOE - 매개관계 활용 ) ROA ROI … ( DB를 매출액 영업이익률 당기순이익.. , , - 조절관계 " 3. social Δ ESG 최근에 등장 6. 조직행동의 연구방법 1) 실증분석 : 조직성과 측정 * 2) 설문, 인터뷰, 관찰실험 등 * * * * 3) 신뢰성 및 타당성 확보가 중요 : 타당성이 더 중요함 「 ≈ = 일관성 목적부합성 4) 연구방법 - 상관관계 - 인과관계 - 매개관계 - 조절관계 상관관계 > w 변수 As > B 키 몸무게 < 인과관계 > A , B 원인변수 결과변수 종속 " 100 75. 1 독립. " … 251. ① 키 몸무게 ㆁ X 키 ② 몸무게 A B ERB < Performance ( 전사적자원관리 ) ' 역인과관계 L 매개관계 > < 조절된 매개관계 > A B ℃ 매개변수 ㅌ D 직무만족 조직몰입 상사신 F √ γ B : " O의 결과 A , B , c 2) c 의원인 < 조절관계 > ~ B IQ 성과 \ ℃ A 노력 학습성과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