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무원의 휴가 종류와 규정에 대한 퀴즈 (Quiz about types and regulations of vacat...

UnaffectedBurgundy avatar
UnaffectedBurgundy
·
·
Download

Start Quiz

Study Flashcards

309 Questions

공무원이 연차 일수 중 사용하지 않은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매년 언제까지 사용 시기를 정하고 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하는가?

매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연차 휴가 일수에 대한 계산 방법 중, 어떤 경우에는 사실상 직무에 종사한 기간을 개월 수로 환산하여 연차 휴가 일수를 계산하는가?

휴직, 퇴직 등으로 사실상 직무에 종사하지 않은 기간이 있는 경우

어떤 경우 공무원이 공가를 승인받을 수 있는가?

건강진단, 건강검진, 결핵검진, 헌혈 등을 받기 위해 일정한 기간이 필요한 경우

공무원이 연차 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미사용 연차 일수에 대해 보상비를 지급한다.

공무원이 10일 이상 연속된 연차 사용을 신청했을 때,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할까요?

승인하여야 한다.

공무원의 연차 휴가 일수 산정 방법 중, 어떤 경우에 해당 연도에 사실상 직무에 종사한 기간을 개월 수로 환산하여 연차 휴가 일수를 계산할까요?

임용, 휴직, 퇴직 등으로 사실상 직무에 종사하지 않은 기간이 있는 경우

공무원의 휴가는 다음 중 어떤 것으로 구분되지 않는가?

월가

공무원의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에 대한 규정은 어디에 의해 정의되는가?

공무원연금법

공무원의 연차 휴가 일수 산정 방법 중, 어떤 기간은 재직기간에 산입되지 않는가?

직위해제기간

공무원이 연차 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연차 휴가 일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

공무원이 결핵검진을 받을 때는 어떤 법에 근거하여 받게 될까요?

결핵예방법

공무원이 헌혈에 참가할 때는 어떤 법에 의해 참가하게 될까요?

혈액관리법

국가적인 행사에 참가할 때는 어떤 행사에 참가하는지와 상관없이 어떤 법에 근거하여 참가하게 될까요?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

공무원이 천재지변로 인해 출근이 불가능할 때에는 어떤 법에 근거하여 이를 증명해야 할까요?

공무원의 노동조합 설립 및 운영 등에 관한 법률과 검역법

공무원이 공무국외출장을 위해 검역감염병의 예방접종을 할 때 근거가 되는 법은 무엇인가요?

검역법

'공무원 인재개발법 시행령' 제32조제5호에 따른 외국어능력에 관한 시험에 응시할 때, 어떤 시험에 응시하는지와 상관없이 어떤 법에 근거하여 시험을 응시하게 될까요?

'공무원 인재개발법 시행령'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생리기간 중 휴식을 위해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를 받을 경우, 이 휴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무급으로 처리됩니다.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은 범위 내에서 휴식이나 병원 진료를 위한 모성보호시간을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2시간

5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이 자녀를 돌보기 위해 범위 내에서 육아시간을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2시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무원이 출석수업에 참석하기 위해 제15조의 연가 일수를 초과하는 출석수업 기간에 대한 수업휴가를 받을 수 있는 경우, 이 휴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유급으로 처리됩니다.

재난으로 인한 피해를 입은 공무원의 배우자, 부모 또는 자녀에 대한 재난 피해로 인한 휴가는 어떻게 적용되나요?

법에 따라 유급으로 처리됩니다.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무원이 출석수업에 참석하기 위해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휴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유급으로 처리됩니다.

행정기관의 장이 연가 사용 촉진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대한 조치로 옳은 것은?

소속 공무원이 제1호에 따른 촉구에도 불구하고 행정기관의 장에게 연가의 사용 시기를 통보하지 않았을 때,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할 수 있을까?

행정기관의 장이 제2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속 공무원이 해당 연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어떤 조치를 할 수 있을까?

근무시간과 근무일이 따로 정해진 공무원의 권장 연가 일수(연가보상비를 지급하지 않는 경우로 한정한다)를 제외한 연가 일수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어떤 조치를 할 수 있을까?

제2항에 따른 조치와 다른 조치를 할 수 있으며,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그 권한을 하급행정기관의 장에게 위임할 수 있습니다.

공무원이 특별휴가를 받을 수 있는 경우는 다음 중 무엇인가요?

대규모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공무원으로서 장기간 피해 수습이 필요한 경우

소속 여성공무원이 임신기간이 21주 이상 27주 이내인 경우,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몇 일까지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60일

소속 남성공무원의 배우자가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이 신청하면 몇일의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3일

여성공무원이 인공수정 등 시술을 받는 경우, 몇일의 난임치료시술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2일

여성공무원이 인공수정 등 시술을 받을 경우, 시술 당일부터 몇 일까지 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1일과 시술 당일로부터 2일 이내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로부터 90일까지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는 경우는 몇 주의 임신기간에서 해당하는가요?

28주 이상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여성공무원이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이 신청하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 중' 다음에 올 수 있는 구분은 무엇인가요?

(C) (A)와 (B)

'인공수정 또는 체외수정 등 난임치료 시술을 받는 공무원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난임치료시술휴가를 받을 수 있다.'에서 '여성공무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목에서 정한 기간' 다음에 올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B) 가. 인공수정 등 시술을 받는 경우

재난 발생 지역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려는 공무원은 몇 일 이내의 재해구호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10일

공무원이 연차 휴가를 사용하지 않을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다음 재직기간의 연가 일수를 미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그 해에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할 10일 이상의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에 대한 연가보상비 지급 여부를 언제 공지해야 하나요?

매년 3월 31일까지

소속 공무원이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를 초과하는 휴가 사유가 발생했을 때,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할 수 있나요?

다음 재직기간의 연가 일수를 미리 사용하도록 할 수 있다.

연차 휴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행정기관의 장이 매년 정해야 하는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에 대한 지침은 언제 공지해야 하나요?

매년 3월 31일까지

행정기관의 장이 연차 휴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정해야 하는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에 대한 지침 중, 미사용 연가 일수에 대해서는 언제까지 제16조제5항에 따른 연가보상비를 지급하지 않을 수 있나요?

매년 3월 31일까지

공무원이 연가 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을까요?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사유에 근거하여 연가보상비를 지급할 수 있다.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경우에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사용을 승인하여야 하나요?

공무 수행에 특별한 지장이 없을 때

저축연가 일수는 소멸되기 전에 사용되지 않으면 어떻게 될까요?

10년 이내에 사용되지 않으면 소멸된다.

저축연가의 사용 절차에 대한 사항은 누가 정하나요?

인사혁신처장

공무원이 연가보상비를 지급받을 수 있는 연가 일수 중 사용하지 않고 남은 연가 일수를 언제까지 이월ㆍ저축하여 사용할 수 있나요?

다음 연도부터 10년 이내

'소속 공무원이 충분한 휴식, 가족화합 또는 자기계발 등을 위하여 3개월 이전에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일수 사용' 신청 시,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해야 하나요?

특별한 지장이 없으면 승인하여야 한다.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사용'의 신청 절차에 대한 필요한 사항은 누가 정하나요?

인사혁신처장

병가 간의 차이는 무엇입니까?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와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요양이 필요할 때

병가 일수가 연간 6일을 초과하는 경우에 필요한 서류는 무엇입니까?

질병 진단서

공가로 승인받을 수 있는 경우에는 무엇입니까?

투표 참가, 법원 소환, 승진시험 응시 등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지각ㆍ조퇴 및 외출은 어떻게 병가로 계산되나요?

누계 8시간을 병가 1일로 계산

연차 휴가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나요?

징계 조치

임신된 여성이 동결 보존된 배아를 이식하는 체외수정 시술을 받은 경우, 해당 여성은 총 몇 일 동안 시술 관련 진료일 중에 쉬어야 하는가?

3일

난자 채취를 한 여성이 체외수정 시술을 받는 경우, 해당 여성은 총 몇 일 동안 난자 채취일과 시술 관련 진료일 중에 쉬어야 하는가?

4일

남성 공무원이 정자 채취를 한 경우, 해당 공무원은 정자 채취일 후 몇 일 동안 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가?

1일

행정기관의 장이 소속 공무원에게 탁월한 성과와 공로가 인정되는 경우 최대 몇 일의 포상휴가를 줄 수 있는가?

10일

공무원이 연간 범위에서 가족돌봄휴가를 받을 수 있는 경우는 다음 중 어느 것에 해당하는가?

돌봘해야 하는 자녀 또는 손자녀의 휴교

'공무원 인재개발법 시행령' 제32조제5호에 따른 외국어능력 시험에 응시할 때, 어떤 기관이 시험을 응시하게 되는가?

인사혁신처

'영유아보육법'에 따른 어린이집 등의 휴업으로 자녀를 돌봐야 하는 경우, 공무원은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몇 일까지 받을 수 있는가?

10일

'유아교육법'에 따른 유치원의 휴원으로 자녀를 돌봐야 하는 경우, 공무원은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몇 일까지 받을 수 있는가?

10일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 학교의 휴교로 자녀를 돌봐야 하는 경우, 공무원은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몇 일까지 받을 수 있는가?

14일

공무원이 연차휴가 일수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공무 수행에 지장이 없으면 승인하여야 한다.

공무원이 10일 이상 연속된 연차 휴가를 신청했을 때,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나요?

공무 수행에 지장이 없으면 승인하여야 한다.

법 제71조제2항제4호의 사유에 따른 휴직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공무원 임용령 제31조제2항제1호다목에 따른 휴직

연가는 오전 또는 오후의 반일(半日) 단위로 승인할 수 있는 최대 연가 일수는 몇 회인가요?

2회

공무원이 자유롭게 연가를 사용하여 심신을 새롭게 하고 공ㆍ사(公ㆍ私) 생활의 만족도를 높여 직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누구의 책임인가요?

행정기관의 장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른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으로 인해 제외되지 않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법 제71조제1항제1호에 따른 휴직 사람

공무원임용령 제31조제2항제1호다목에 따른 휴직기간이 적용되는 경우는 무엇인가요?

법 제71조제2항제4호의 사유에 따른 휴직 사람

법 제16조에 따라 연가보상비를 받지 못한 연가 일수가 남아 있는 공무원은 몇 일 추가되어 연가를 사용할 수 있나요?

1일

공무원이 결근으로 인해 연가 일수에서 공제되지 않는 경우는?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기간

공무원의 연가 일수를 산정할 때, 어떤 기간은 1개월로 계산되며, 15일 미만은 산입되지 않는가?

사실상 직무에 종사하지 아니한 기간

공무원이 질병이나 부상 외의 사유로 인한 지각ㆍ조퇴 및 외출은 연가 일수에서 어떻게 계산되는가?

누계 8시간을 연가 1일로 계산

어떤 경우에 의사의 진단서가 첨부된 병가 일수는 연가 일수에서 뺄 수 없는가?

병가 중 연간 6일을 초과하는 경우

공무원이 재직 중인데 휴직 또는 퇴직하는 등의 사유로 사실상 직무에 종사하지 아니한 기간이 있는 경우, 어떤 계산식에 따라 연가 일수를 산정하는가?

'(해당연도 중 사실상 직무에 종사한 기간 / 15) * 1개월'로 소수점 이하의 일수는 반올림

'제18조제1항에 따른 병가 중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어느 경우에 연가 일수에서 빼지 않는가?

의사의 진단서가 첨부된 경우

'제17조(연가 일수에서의 공제)'에 따른 결근으로 본다는 기준은 무엇인가?

'직위해제 일수 및 강등 처분에 따라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일수'

'공무원이 같은 항의 계산식에 따른 연가 일수를 초과하여 사용한 연가 일수'는 어떻게 처리되는가?

결근으로 처리함

공무원이 연차 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휴가 사용 시기를 정하고 통보함

공무원이 휴가기간의 범위에서 공무 외의 목적으로 국외여행을 할 수 있는 경우는 어떤 휴가를 기준으로 하루 이상 해외여행 가능한 경우인가?

특별휴가

차관급 상당 이상 공무원의 공무 외 국외여행은 어떤 인사기관과 협의하여 따로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하는가?

인사혁신처장

공무원의 휴가 일수를 초과한 휴가는 무엇으로 간주되는가?

결근

'교육공무원법'에 따른 교원의 휴가에 관해서는 누가 학사 일정 등을 고려하여 따로 정할 수 있는가?

교육부장관

'공무원임용령'에 따른 시간선택제공무원의 휴가는 어떤 법에 따라 정해지는가?

'공무원연금법'

'시간선택제공무원등'의 휴가는 어떤 규정에 따라 정해지지 않는다고 되어 있는가?

'공무원임용령'

공무원이 제1급 감염병에 대해 필수예방접종을 받지 않는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해당 공무원을 별도 관리 명부에 등재하고 감시를 강화해야 한다.

임신 중인 공무원이 출산휴가를 신청할 당시 연령이 만 40세 이상인 경우에는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출산휴가를 승인하되, 별도의 연령 기준에 따른 특별 규정을 적용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공무원이 연차 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사용하지 않은 연차 휴가 일수에 대해 문서로 설명을 요청하고, 그에 따른 이의신청 여부를 확인해야 한다.

임신 중인 공무원이 유산 또는 사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 어떤 조치를 취해야 하는가?

임신 중인 공무원에게 추가적인 특별 휴가 일수를 부여해야 한다.

제1급 감염병에 대하여 임시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취할 수 있는가?

임시예방접종 의사 여부에 따라 직무 이동 및 별도 관리를 결정할 수 있다.

공무원이 제1급 감염병 감염 여부 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 이로 인한 조치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감염 여부 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 해당 공무원을 격리조치하고 의료기관으로 보내야 한다.

공무원이 자녀의 병원 진료 동행 시 가족돌봄휴가를 무급으로 하되, 자녀를 돌보기 위한 가족돌봄휴가는 연간 몇 일까지 유급으로 하나요?

2일

여성 공무원은 임신기간 중 검진을 위해 최대 몇 일의 임신검진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10일

공무원이 휴가 중인 날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인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날짜는 휴가 일수에 어떻게 산입되나요?

산입하지 않음

공무원이 휴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어떠한 경우에는 토요일 또는 공휴일을 휴가 일수에 산입하게 되나요?

모든 경우

공무원이 재직 중 연차 휴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할 수 있나요?

연차 강제사용 요구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무원이 출석수업에 참석하기 위해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휴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출석수업휴가'로 처리

'공무원의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에 대한 규정은 어디에 의해 정의되나요?

'공무원법'에 의해 정의됨

공무원의 휴가는 연가, 병가, 공가, 특별휴가로 구분된다. (True/False)

True

법 제28조제2항제2호ㆍ제3호 및 제10호에 따라 임용된 경력직공무원 및 특수경력직공무원의 재직기간이 2년 미만이면서 유사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2년 미만의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에 각각 2일을 더해야 한다. (True/False)

True

재직기간은 휴직기간, 정직기간, 직위해제기간 및 강등 처분에 따라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기간을 포함한다. (True/False)

False

법 제16조에 따라 연가보상비를 받지 못한 연가 일수가 남아 있는 공무원은 몇 일 추가되어 연가를 사용할 수 있다. (True/False)

True

공무원이 헌혈에 참가할 때는 어떤 법에 의해 참가하게 될까?

False

공무원이 결핵검진을 받을 때는 어떤 법에 근거하여 받게 될까?

False

공무원이 올림픽, 전국체전 등 국가적인 행사에 참가할 때 연가보상비를 받을 수 있는지?

False

혈액관리법에 따라 헌혈에 참가할 때, 공무원은 반드시 헌혈을 해야 하는지?

False

공무원이 천재지변, 교통 차단 또는 그 밖의 사유로 출근이 불가능할 때 연차휴가를 사용할 수 있는지?

True

공무원이 결핵검진을 받을 때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받게 될까?

False

행정기관의 장은 연가 사용 촉진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는 연가 일수의 일부에 대하여 조치를 할 수 있다. (참/거짓)?

False

매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의 기간 중에 행정기관의 장이 소속 공무원별로 사용해야 할 연가 일수를 알려주고, 소속 공무원이 그 사용 시기를 정하여 10일 이내에 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도록 촉구할 수 있다. (참/거짓)?

False

소속 공무원이 제1호에 따른 촉구에도 불구하고 행정기관의 장에게 연가의 사용 시기를 통보하지 않으면, 행정기관의 장은 그 해 10월 31일까지 제1호에 따라 알려준 연가 중 사용하지 않은 연가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소속 공무원에게 통보할 수 있다. (참/거짓)?

False

행정기관의 장은 제2항 각 호에 따른 조치를 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소속 공무원이 해당 연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그에 해당하는 연가보상비를 지급해야 한다. (참/거짓)?

False

제12조제1호 또는 제2호에 따른 기관의 장은 해당 기관에 소속된 공무원으로서 근무시간과 근무일이 따로 정해진 공무원의 권장 연가 일수를 제외한 연가 일수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제2항에 따른 조치와 다른 조치를 할 수 있다. (참/거짓)?

False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 차권을 하급행정기관의 장에게 위임할 수 있는 경우도 있다. (참/거짓)?

False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사용'은 신청이 절차적으로 정해져 있지 않다. (참/거짓)?

False

'시간선택제공무원등'의 휴가는 어떤 규정에 의해 정해지지 않는다. (참/거짓)?

False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사용'을 위한 조치는 신청 시 특정한 조치가 필요하다. (참/거짓)?

False

'제18조제1항에 따른 병가 중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어느 경우에 연가에서 빼지 않는다. (참/거짓)?

False

연가 일수에서의 공제에 관한 규정에 따르면,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일수는 모두 연가 일수에서 뺀다. (True/False)?

True

연차 휴가 중 병가로 인정되는 경우, 의사의 진단서가 첨부된 병가 일수는 연가 일수에서 빼지 않는다. (True/False)?

True

소속 공무원의 배우자가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은 몇일의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는가? (10일 / 15일 / 20일)

False

'제18조제1항에 따른 병가 중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연가 일수에서 뺀다.'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True/False)?

False

연차 휴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정해야 하는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에 대한 지침은 언제까지 제16조제5항에 따른 연가보상비를 지급하지 않을 수 있는가? (직전 연도 / 당해 연도 / 다음 연도)

False

연차 휴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정해야 하는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에 대한 지침은 언제 공지해야 하나요? (월말 / 반기말 / 연초)

False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사용'의 신청 절차에 대한 필요한 사항은 누가 정하나요? (인사혁신처장 / 행정기관의 장 / 국무총리)

False

'공무원이 헌혈에 참가할 때는 어떤 법에 의해 참가하게 될까요?'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True/False)?

True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생리기간 중 휴식을 위해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를 받을 경우, 이 휴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True/False)?

True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른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은 법 제71조제2항제1호에 따른 휴직 중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을 포함하지 않는다.

True

공무원이 자유롭게 연가를 사용하여 심신을 새롭게 하고 공ㆍ사(公ㆍ私) 생활의 만족도를 높여 직무 생산성을 높일 수 있도록 특정한 계절에 치우치지 아니하게 연가계획을 수립하여 실시하여야 한다.

True

병가를 받지 않은 공무원에 대해서는 연간 범위에서 가족돌봄휴가를 받을 수 있다.

False

연가는 오전 또는 오후의 반일(半日) 단위로 승인할 수 있으며, 반일 연가 2회는 연가 1일로 계산된다.

True

소속 공무원이 그 해에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할 10일 이상의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를 지침에 따라 사용하지 않은 경우에는 연가보상비를 지급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다.

False

공무원은 재직 중 병가나 휴직을 신청할 때 만 40세 이상이라면 특별한 조치를 받아야 한다.

False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라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이 발생한 경우, 공무원은 해당 사실로 인해 제외되어야 한다.

False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라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으로 인해 제외되는 경우는 법 제71조제1항제1호에 따른 휴직 중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이 포함된 경우이다.

False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라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으로 인한 휴직기간은 법 제71조제2항제4호의 사유에 해당되지 않는다.

True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른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으로 인해 제외되지 않는 경우, 다음 해에만 제1항의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에 각각 1일을 추가로 받을 수 있다.

True

제18조 제1항에 따르면 공무원이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하여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연 60일을 넘어 병가를 받을 수 있다. (True/False)

False

제18조 제1항에 따르면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지각, 조퇴, 및 외출은 누계 8시간을 병가 1일로 계산한다. (True/False)

True

제18조 제3항에 따르면 병가 일수가 연간 6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단서를 첨부해야 한다. (True/False)

True

제19조에 따르면 공무원이 공무와 관련하여 국회, 법원, 검찰, 경찰 또는 국가기관에 소환되었을 때 이에 직접 필요한 기간 또는 시간을 공가로 승인받아야 한다. (True/False)

True

소속 공무원이 병역판정검사ㆍ소집ㆍ검열점호 등에 응하거나 동원 또는 훈련에 참가할 때 행정기관의 장은 직접 필요한 기간 또는 시간을 병가로 승인해야 한다. (True/False)

False

소속 공무원이 법률에 따라 투표에 참가할 때 이에 직접 필요한 기간 또는 시간을 병가로 승인받아야 한다. (True/False)

False

소속 공무원이 승진시험ㆍ전직시험에 응시할 때 이에 직접 필요한 기간 또는 시간을 병가로 승인받아야 한다. (True/False)

False

소속 공무원이 원격지로 전보 발령을 받고 부임할 때 이에 직접 필요한 기간 또는 시간을 병가로 승인받아야 한다. (True/False)

False

병가 일수가 연간 6일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의사의 진단서를 첨부하지 않아도 된다. (True/False)

False

공무원이 결근으로 본다는 기준은 연간 6일을 초과하는 경우이다. (True/False)

False

제16조의3에 따르면, 연가보상비를 지급받을 수 있는 연가 일수 중 사용하지 않고 남은 연가 일수를 이월ㆍ저축하여 사용할 수 있다. (True/False)

True

저축연가 일수는 10년 이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된다. (True/False)

True

저축연가와 소멸된 저축연가에 대해서는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사유를 제외하고는 연가보상비를 지급하지 않는다. (True/False)

True

저축연가에 대한 연가보상비 지급 방법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 (True/False)

False

행정기관의 장은 제15조에 따라 소속 공무원이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일수 사용을 신청한 경우, 특별한 지장이 없으면 이를 승인하여야 한다. (True/False)

False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사용의 신청 절차는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 (True/False)

True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제15조의 연가 일수 또는 제16조의3제1항에 따른 저축연가 일수를 활용하여 충분한 휴식, 가족화합 또는 자기계발 등을 위하여 3개월 이전에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일수 사용을 신청한 경우, 공무 수행에 특별한 지장이 없으면 이를 승인하여야 한다. (True/False)

True

소속 공무원이 제15조의 연가 일수 또는 제16조의3제1항에 따른 저축연가 일수를 활용하여 충분한 휴식, 가족화합 또는 자기계발 등을 위하여 3개월 이전에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일수 사용을 신청한 경우, 특별한 지장이 없으면 행정기관의 장은 이를 승인하여야 한다. (True/False)

True

소속 공무원이 해당 연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할 수 있을까? (True/False)

True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은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를 유급으로 받을 수 있다. (참/거짓)

False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은 1일 2시간의 범위에서 휴식이나 병원 진료 등을 위한 모성보호시간을 받을 수 있다. (참/거짓)

False

5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24개월의 범위에서 1일 최대 2시간의 육아시간을 받을 수 있다. (참/거짓)

False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무원은 출석수업에 참석하기 위해 제15조의 연가 일수를 초과하는 출석수업 기간에 대한 유급 수업휴가를 받을 수 있다. (참/거짓)

False

5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자녀를 돌보기 위해 24개월의 범위에서 1일 최대 2시간의 육아시간을 받을 수 있으며, 육아시간의 사용 기준 및 절차는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 (참/거짓)

False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유산ㆍ사산 또는 조산(早産)의 위험이 있는 경우, 생리기간 중 휴식을 위해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를 받는 경우, 이 휴가는 유급으로 한다. (참/거짓)

False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임신 중인 공무원에게 출산 전과 출산 후를 통하여 90일의 출산휴가를 승인해야 한다. (True/False)

True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유산 또는 사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출산휴가를 신청할 당시 연령이 만 40세 이상인 경우 출산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출산휴가를 신청할 수 있다. (True/False)

True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제1급감염병에 대해 필수예방접종을 받지 않은 공무원에게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할 수 없다. (True/False)

False

법 제25조에 따라 소속 공무원이 결혼하거나 그 밖의 경조사가 있는 경우, 해당 공무원의 신청에 따라 경조사휴가를 주어야 한다. (True/False)

False

임신 중인 공무원이 출산 후의 휴가기간이 45일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True/False)

True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출산 전 어느 때라도 최장 44일의 범위에서 출산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True/False)

False

법 제24조에 따라 소속 공무원이 제1급감염병 감염 여부 검사를 받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할 수 없다. (True/False)

False

법 제42조제2항제3호에 따라 소속 공무원이 제1급감염병 감염 여부 검사를 받은 경우, 해당 공무원은 출산 휴가 기간을 승인받을 수 없다. (True/False)

False

법 제20조에 따르면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결혼하거나 그 밖의 경조사가 있는 경우에는 해당 공무원의 신청에 따라 별표 2의 기준에 따른 경조사휴가를 주어야 한다. (True/False)

True

법 제25조에 따르면 소속 공무원이 결혼하거나 그 밖의 경조사가 있는 경우, 해당 공무원의 신청에 따라 90일(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120일)의 출산휴가를 주어야 한다. (True/False)

False

공무원이 휴가기간의 범위에서 공무 외의 목적으로 국외여행을 할 수 있는 경우가 있다. (참/거짓)?

False

차관급 상당 이상 공무원의 공무 외 국외여행은 인사혁신처장이 외교부장관과 협의하여 따로 정하는 바에 따라야 한다. (참/거짓)?

False

휴가 일수를 초과한 휴가는 결근으로 간주된다. (참/거짓)?

False

교육공무원법에 따른 교원의 휴가는 교육부장관이 학사 일정 등을 고려하여 따로 정할 수 있다. (참/거짓)?

False

시간선택제공무원의 휴가는 별표 3에 따른다. (참/거짓)?

False

재난 발생 지역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려는 공무원은 몇 일 이내의 재해구호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참/거짓)?

False

동결 보존된 배아를 이식하는 체외수정 시술을 받는 경우, 총 3일이 걸린다. (True/False)

True

난자 채취를 하여 체외수정 시술을 받는 경우, 총 4일이 걸린다. (True/False)

True

소속 공무원이 국가 또는 해당 기관의 주요 업무를 성공적으로 수행하여 탁월한 성과와 공로가 인정되는 경우, 10일 이내의 포상휴가를 받을 수 있다. (True/False)

True

공무원은 연간 10일의 범위에서 가족돌봄휴가를 받을 수 있다. (True/False)

True

남성 공무원은 정자 채취일에 1일의 휴가를 사용할 수 있다. (True/False)

True

행정기관의 장이 탁월한 성과와 공로에 대한 판단의 기준을 정한다. (True/False)

True

공무원은 어린이집등의 휴업, 휴원, 휴교, 그 외 이에 준하는 사유로 가족돌봄휴가를 받을 수 있다. (True/False)

True

'공무원 인재개발법 시행령' 제32조제5호에 따른 외국어능력 시험에 응시할 때, 어떤 기관이 시험을 응시하게 되는가? (True/False)

False

공무원의 휴가는 연가, 병가, 공가, 특별휴가로 구분된다. (True/False)

False

'공무원이 같은 항의 계산식에 따른 연가 일수를 초과하여 사용한 연가 일수'는 어떻게 처리되는가? (True/False)

False

공무원이 연가를 활용하지 않거나 연가 승인을 받지 못한 경우, 연가보상비를 받을 수 있는 연가대상 일수는 10일을 넘을 수 없다.

True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에게 3월 31일까지 그 해에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할 10일 이상의 권장 연가 일수를 정하여 공지하여야 한다.

True

휴가 촉진을 위해 필요하다고 인정되면 권장 연가 일수 중 미사용 연가 일수에 대해서는 연가보상비를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True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의 연가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매년 소속 공무원이 그 해에 최소한으로 사용해야 할 15일 이상의 권장 연가 일수를 정하여 공지하여야 한다.

False

연가보상비를 받을 수 있는 연가대상 일수는 25일을 초과할 수 있다.

False

연가 사용 촉진을 위해서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에 대한 연가보상비 지급 여부는 매년 4월 30일까지 공지되어야 한다.

False

연가보상비를 받을 수 있는 연가대상 일수는 20일을 초과할 수 있다.

False

공무원이 재난 발생 지역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려는 경우 5일 이내의 재해구호휴가를 받을 수 있다. (True/False)

True

임신기간이 22주 이상 27주 이내인 여성공무원은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60일까지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다. (True/False)

True

소속 남성공무원의 배우자가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이 신청하면 제10항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 중 3일의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다. (True/False)

True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생리기간 중 휴식을 위해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를 받을 경우, 이 휴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True/False)

False

법 제71조제2항제4호의 사유에 따른 휴직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True/False)

False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은 범위 내에서 휴식이나 병원 진료를 위한 모성보호시간을 얼마까지 받을 수 있나요? (True/False)

False

'소속 공무원이 충분한 휴식, 가족화합 또는 자기계발 등을 위하여 3개월 이전에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일수 사용' 신청 시,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해야 하나요? (True/False)

False

'시간선택제공무원등'의 휴가는 어떤 규정에 따라 정해지지 않는다고 되어 있는가? (True/False)

False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 학교의 휴교로 자녀를 돌봐야 하는 경우, 공무원은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몇 일까지 받을 수 있는가? (True/False)

False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 학교의 휴교로 자녀를 돌봐야 하는 경우, 공무원은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몇 일까지 받을 수 있는가? (True/False)

False

행정기관의 장은 연가 일수 산정 시, 1개월로 계산되며 15일 미만은 산입되지 않는다. (참/거짓)?

False

제18조에 따른 병가 중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연가에서 빼지 않는다. (참/거짓)?

False

행정기관의 장이 연가 사용 촉진이 특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에 대한 조치로 옳은 것은? (참/거짓)?

False

임신 중인 공무원이 유산 또는 사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다. (참/거짓)?

False

'공무원임용령'에 따른 시간선택제공무원의 휴가는 어떤 법에 따라 정해지는가? (참/거짓)?

False

'제17조(연가 일수에서의 공제)'에 따른 결근으로 본다는 기준은 무엇인가? (참/거짓)?

False

'공무원임용령' 제31조제2항제1호다목에 따른 휴직기간이 적용되는 경우는 무엇인가요? (참/거짓)?

False

'공무원이 결핵검진을 받을 때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받게 될까? (참/거짓)?

False

'임신된 여성이 동결 보존된 배아를 이식하는 체외수정 시술을 받은 경우, 해당 여성은 총 몇 일 동안 시술 관련 진료일 중에 쉬어야 하는가? (참/거짓)?

False

'법 제28조제2항제2호ㆍ제3호 및 제10호에 따라 임용된 경력직공무원 및 특수경력직공무원의 재직기간이 2년 미만이면서 유사경력이 있는 경우에는 2년 미만의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에 각각 2일을 더해야 한다.' (참/거짓)?

False

공무원의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를 계산할 때, 휴직기간, 정직기간, 직위해제기간 및 강등 처분에 따라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기간은 어떻게 산입되지 않는가?

전혀 산입되지 않는다.

법 제28조제2항제2호ㆍ제3호 및 제10호에 따라 임용된 경력직공무원 및 특수경력직공무원의 재직기간이 2년 미만인 경우, 이들의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에 각각 몇일을 더하는가?

1일

「공무원연금법」 제25조에 따른 재직기간은 어떻게 계산되는가?

연월일수(年月日數)로 계산한다.

재직 중인 공무원이 휴직 또는 퇴직하는 등의 사유로 사실상 직무에 종사하지 아니한 기간이 있는 경우, 연가 일수를 어떻게 산정하는가?

해당 기간을 전혀 산입하지 않는다.

공무원이 연가보상비를 받을 수 있는 연가 대상 일수는 최대 몇 일인가요?

20일

행정기관의 장은 매년 언제까지 소속 공무원이 사용해야 할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를 공지해야 하나요?

3월 31일

'제15조의 연가 일수를 초과하는 휴가 사유'에 해당하는 경우 소속 공무원에게 제15조의 어떤 항목에 따른 연가 일수를 다음 재직기간의 연가 일수로 미리 사용하게 할 수 있나요?

제3항

'연가 사용 촉진'을 위해, 매년 정해야 하는 권장 연가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가 일수에 대한 지침이 언제 공지되어야 하나요?

3월 31일

'제16조의2(연가 사용의 권장)'에 따라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경우에는 권장 연가 일수 중 미사용 연가 일수에 대해서는 어떤 조치를 할 수 있나요?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공무원이 저축연가를 사용하지 않고 남은 연가 일수를 그 해의 마지막 날을 기준으로 이월ㆍ저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기간은?

해당 연도부터 10년 이내

저축연가와 제2항에 따라 소멸된 저축연가에 대해서는 어떤 사유를 제외하고는 제16조제5항에 따른 연가보상비를 지급하지 않나요?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사유

'공무원의 휴가는 연가, 병가, 공가, 특별휴가로 구분된다.' 이 설명은 옳은가요?

옳음

'소속 공무원이 결혼하거나 그 밖의 경조사가 있는 경우, 해당 공무원의 신청에 따라 90일(한 번에 둘 이상의 자녀를 임신한 경우에는 120일)의 출산휴가를 주어야 한다.' 이 설명은 옳은가요?

옳음

'시간선택제공무원등'의 휴가는 어떤 규정에 의해 정해지지 않는가요?

'공직선거법'과 '집행기관'의 규정, '부서'의 규정에 의해 정해짐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유산 또는 사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에도 출산휴가를 신청할 당시 연령이 만 40세 이상인 경우 출산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범위에서 출산휴가를 신청할 수 있다.' 이 설명은 옳은가요?

옳지 않음

'공무원이 결핵검진을 받을 때는 어떤 법에 근거하여 받게 될까요?'

'산업안전보건법'에 근거하여 받게 됨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은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를 유급으로 받을 수 있다.' 이 설명은 옳은가요?

옳지 않음

공무원이 결핵검진을 받을 때 '산업안전보건법'에 따라 받게 될 것이다?

재난 발생 지역에서 자원봉사활동을 하려는 공무원은 몇 일 이내의 재해구호휴가를 받을 수 있나요?

3일

'공무원 인재개발법 시행령' 제32조제5호에 따른 외국어능력 시험에 응시할 때, 어떤 기관이 시험을 응시하게 되는가?

한국어교육진흥원

'초ㆍ중등교육법' 제2조 학교의 휴교로 자녀를 돌봐야 하는 경우, 공무원은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몇 일까지 받을 수 있는가?

14일

'인공수정 또는 체외수정 등 난임치료 시술을 받는 공무원은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라 난임치료시술휴가를 받을 수 있다.'에서 '여성공무원: 다음 각 목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 해당 목에서 정한 기간' 다음에 올 수 있는 것은 무엇인가요?

'임신 중'

'소속 공무원이 해당 연가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할 수 있을까?

'연차휴가 자동 사용 처리'

다음 중 제18조에 따른 병가 승인이 가능한 경우는 무엇인가요?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제18조에 따르면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가 있는 경우 어떤 조치를 해야 하나요?

의사의 진단서를 첨부해야 한다.

행정기관의 장이 승인할 수 있는 최대 병가 일수는 얼마인가요?

180일

공무원이 공무와 관련하여 국회, 법원, 검찰, 경찰 또는 국가기관에 소환되었을 때 이에 직접 필요한 기간을 어디에서 승인받아야 하나요?

행정기관의 장

병가 일수가 연간 6일을 초과하는 경우, 어떤 서류를 첨부해야 하나요?

의사의 진단서

'병역법'이나 다른 법령에 따른 병역판정검사, 소집, 검열점호 등에 응하거나 동원 또는 훈련에 참가할 때 승인해야 하는 휴가는 무엇인가요?

공가

'공무와 관련하여 국회, 법원, 검찰, 경찰 또는 그 밖의 국가기관에 소환되었을 때 이에 직접 필요한 기간을 공가로 승인받아야 한다'는 내용은 몇 조에서 확인할 수 있나요?

제19조

'스케줄 상 문재지변로 인한 출근불능시' 해당 공무원은 어떤 서류를 첨부하여야 하나요?

각별한 서류 제출 불필요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생리기간 중 휴식을 위해 매월 1일의 유급 여성보건휴가를 받는 경우, 이 휴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무급으로 처리된다.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유산ㆍ사산 또는 조산(早産)의 위험이 있는 경우, 생리기간 중 휴식을 위해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 이외에 얼마까지 모성보호시간을 받을 수 있나요?

1일 2시간

5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자녀를 돌보기 위해 24개월의 범위에서 최대 몇 시간의 육아시간을 받을 수 있나요?

2시간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무원이 출석수업에 참석하기 위해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휴가는 무엇인가요?

특별휴가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공무원의 배우자, 부모(배우자의 부모를 포함한다) 또는 자녀가 입은 피해를 포함하는 법은 무엇인가요?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한국방송통신대학교 설립 및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무원이 추가로 받을 수 있는 휴가는 무엇인가요?

특별휴가

다음 중 공무원의 연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연가보상비를 받지 못한 연가 일수가 남아 있는 공무원에 대해서는 다음 해에만 제1항의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에 각각 1일을 더한다.

법 제71조제2항제4호에 따른 휴직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

다음 중 연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소속 공무원이 결혼하거나 그 밖의 경조사가 있는 경우, 해당 공무원의 신청에 따라 별표 2의 기준에 따른 경조사휴가를 주어야 한다.

공무원의 결근으로 인해 연가 일수에서 공제되지 않는 경우는 다음 중 무엇인가요?

결근ㆍ휴직(법 제71조제1항제1호에 따른 휴직 중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은 제외한다)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른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으로 인해 제외되지 않는 사람은?

범위 내에서 육아시간을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 5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

행정기관의 장은 임신 중인 여성 공무원에게 출산 후 얼마나의 휴가를 승인해야 하나요?

120일

임신 중인 공무원이 출산휴가를 신청할 때 연령이 만 40세 이상이면 어떤 조치를 해야 하나요?

추가 휴가를 주어야 함

임신 중인 공무원이 유산 또는 사산의 경험이 있는 경우 출산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는 범위는 얼마인가요?

59일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다음 중 어느 경우에 출산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도록 해야 하나요?

모두 해당됨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르면 제1급감염병에 대하여 필수예방접종을 받거나 감염 여부 검사를 받을 때, 공무원은 어떤 조치를 요청할 수 있나요?

추가 휴가 요청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1급감염병에 대하여 필수예방접종을 받거나 감염 여부 검사를 받을 때,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종류의 휴가를 주어야 하나요?

병가

'감염병의 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에 따른 제1급감염병에 대하여 필수예방접종을 받거나 임시예방접종을 받을 때, 소속 공무원은 본인의 어떤 상황을 기재한 단서를 제출해야 하나요?

'병가' 기재 단서

공무원의 휴가에 관한 특례인 제24조의2에서 말하는 '학사 일정'은 무엇을 의미합니까?

학교의 학사운영 일정

시간선택제공무원 등의 휴가에 관한 특례에 따르면, 어떤 조합의 공무원이 별표 3에 따른 휴가를 사용해야 하나요?

시간선택제임기제공무원, 한시임기제공무원, 채용공무원

교육공무원법 제2조에 따른 교원의 휴가에 관한 특례에서 교육부장관이 따로 정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휴가 일수

'공무원임용령' 제31조 제2항 제1호다목에 따른 휴직기간이 적용되는 경우, 어떤 사유로 인해 해당 휴직기간이 적용되게 됩니까?

자녀의 출산

'공무원임용령' 제31조 제2항 제1호다목에 따른 휴직기간이 적용되는 경우, 어떤 조건을 충족해야 해당 휴직기간을 사용할 수 있습니까?

별도의 조건 없음

'공무원임용령' 제31조 제2항 제1호다목에 따른 휴직기간이 적용되는 경우, 해당 공무원은 어느 시점까지 그 대상이 됩니까?

자녀가 출생한 날부터 6세 이하의 자녀를 양육할 때까지

연가보상비를 받을 수 있는 연가 일수 중 사용하지 않고 남은 연가 일수를 이월ㆍ저축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경우, 연간 최대로 이월ㆍ저축할 수 있는 연가 일수는?

20일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제15조의 연가 일수 또는 제16조의3제1항에 따른 저축연가 일수를 활용하여 충분한 휴식, 가족화합 또는 자기계발 등을 위하여 어디까지 연가 일수 사용을 신청할 수 있나요?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일수

법 제71조제2항제4호의 사유에 따른 휴직으로 인한 휴직기간에 해당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육아휴직 중

'10일 이상 연속된 연가 사용'의 신청 절차에 대한 필요한 사항은 누가 정하나요?

상급행정기관의 장이 정한다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여성공무원이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이 신청하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 중' 다음에 올 수 있는 구분은 무엇인가요?

'출산 후 6개월까지'에 구분되는 기간 중

'공무원이 자녀의 병원 진료 동행 시 가족돌봄휴가를 무급으로 하되, 자녀를 돌보기 위한 가족돌봄휴가는 연간 몇 일까지 유급으로 하나요?

3일까지

제18조에 따른 병가 중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언제 연가에서 빼지 않나요?

건강진단서를 제출하지 않은 경우에만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생리기간 중 휴식을 위해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를 받을 경우, 이 휴가는 어떻게 처리되나요?

유급으로 처리됩니다.

법 제25조에 따라 소속 공무원이 결혼하거나 그 밖의 경조사가 있는 경우, 해당 공무원의 신청에 따라 경조사휴가를 주어야 합니다. (True/False)

행정기관의 장은 연가 일수 산정 시, 1개월로 계산되며 15일 미만은 산입되지 않는다. (참/거짓)?

소속 공무원의 배우자가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은 몇일의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는가? (10일 / 15일 / 20일)

20일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여성공무원이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이 신청하면 다음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 중' 다음에 올 수 있는 구분은 무엇인가요?

유산휴가

'공무원이 헌혈에 참가할 때는 어떤 법에 의해 참가하게 될까요?'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True/False)?

True

'제18조제1항에 따른 병가 중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어느 경우에 연가에서 빼지 않는다. (참/거짓)?

거짓

'공무원이 결핵검진을 받을 때는 어떤 법에 근거하여 받게 될까요?'

'결핵검진 및 결핵환자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제17조(연가 일수에서의 공제)'에 따른 결근으로 본다는 기준은 무엇인가? (참/거짓)?

'같은 달 내의 3회 이내'

'공무원이 휴가 중인 날이 토요일 또는 공휴일인 경우, 일반적으로 해당 날짜는 휴가 일수에 어떻게 산입되나요?'

'휴가일 수에 포함'

공무원이 질병이나 부상 외의 사유로 인한 지각ㆍ조퇴 및 외출은 연가 일수에서 어떻게 계산되나요?

반차로 계산된다.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이 유산ㆍ사산 또는 조산(早産)의 위험이 있는 경우, 생리기간 중 휴식을 위해 매월 1일의 여성보건휴가를 받는 경우, 이 휴가는 유급으로 한다. (참/거짓)'

연가 일수를 산정하는 계산식에 따르면, 사실상 직무에 종사한 기간은 어떻게 계산되나요?

개월 수로 환산하여 계산하고, 15일 이상은 1개월로 계산하며, 15일 미만은 산입하지 않는다.

제17조에 따른 연가 일수에서 공제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요?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한 지각ㆍ조퇴 및 외출

공무원임용령 제31조제2항제2호에 따른 기간 중 직무에 종사하지 못하는 일수는 연가 일수에서 뺀다. 이 경우 해당 기간은 어떻게 산정되나요?

연가 일수에서 뺀다.

공무원 재해보상법에 따른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으로 인해 제외되지 않는 사람은 누구인가요?

해당 공무원

공무원이 헌혈에 참가할 때는 어떤 법에 의해 참가하게 될까요?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True/False)?

헌혈법

공무원이 결핵검진을 받을 때는 어떤 법에 근거하여 받게 될까?

결핵검진법

법 제42조제2항제3호에 따라 소속 공무원이 제1급감염병 감염 여부 검사를 받은 경우, 해당 공무원은 출산 휴가 기간을 승인받을 수 없다. 이 문장은 옳은 설명이다. (True/False)?

감염병예방 및 관리에 관한 법률

임신기간이 15주 이내인 여성공무원이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는 기간은?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10일까지

임신기간이 28주 이상인 여성공무원이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는 기간은?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90일까지

소속 여성공무원이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이 신청하면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주어야 하는 행정기관의 장의 의무에 관한 것으로 옳은 것은?

임신기간에 따라 다른 기간의 휴가를 주어야 한다.

소속 여성공무원의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 기간은 어떻게 결정되는가?

법에서 정한 임신기간에 따라 정해진다.

임신기간이 22주 이상 27주 이내인 경우, 유산하거나 사산한 날부터 몇 일까지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는가?

60일까지

인공수정 등 난임치료 시술을 받는 여성공무원은 얼마나 많은 시술휴가를 받을 수 있는가?

총 2일(시술 당일에 1일과 시술일 전날, 시술일 후 2일 이내이거나 시술 관련 진료일 중에 1일)

남성공무원의 배우자가 유산하거나 사산한 경우, 해당 공무원이 신청하면 제10항 각 호의 구분에 따른 기간 중 몇 일의 유산휴가 또는 사산휴가를 받을 수 있는가?

5일

체외수정 시술을 받는 경우, 난자 채취일 전날부터 시술일 후 몇 일까지 가족돌봄휴가를 받을 수 있는가?

4일

소속 공무원이 재직기간별 연가 일수를 초과하는 휴가 사유가 발생했을 때, 행정기관의 장은 어떤 조치를 할 수 있는가?

휴가 사유에 따라 연가 일수를 추가로 부여할 수 있다.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은 범위 내에서 휴식이나 병원 진료를 위한 모성보호시간을 얼마까지 받을 수 있는가?

3일

'영유아보육법'에 따른 어린이집 등의 휴업으로 자녀를 돌봐야 하는 경우, 공무원은 가족돌봄휴가를 최대 몇 일까지 받을 수 있는가?

10일

'공무원임용령'에 따른 시간선택제공무원의 휴가는 어떤 법에 따라 정해지는가?

'공직선거법시행령'

'공무원 인재개발법 시행령' 제32조제5호에 따른 외국어능력에 관한 시험에 응시할 때, 어떤 기관이 시험을 응시하게 되는가?

'한국어능력시험위원회'

'제17조(연가 일수에서의 공제)'에 따른 결근으로 본다는 기준은 무엇인가?

'공무원 재해보상법 시행령'

Study Notes

공무원의 휴가 종류와 연차 일수, 연가 사용 규정 요약

  1. 공무원의 휴가 종류는 연가, 병가, 공가, 특별휴가로 구분된다.

  2. 재직 기간에 따른 연차 일수가 정해져 있으며, 휴직, 정직, 강등 처분 등에 따른 기간은 산입하지 않는다.

  3. 연차 일수를 초과한 경우, 다음 재직 기간의 연차 일수를 사용할 수 있다.

  4. 연차는 오전 또는 오후의 반일 단위로 승인 가능하며, 반일 연차 2회는 1일로 계산된다.

  5. 연차 신청 시, 공무 수행에 지장이 없으면 승인해야 한다.

  6. 공무상 연차를 승인할 수 없거나 해당 공무원이 연차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연차보상비를 지급할 수 있다.

  7. 연차보상비는 연차보상비 지급 대상 일수가 20일을 초과할 수 없다.

  8. 연차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소속 공무원은 최소 10일 이상의 연차를 사용해야 한다.

  9. 법 제28조 제2항 제2호ㆍ제3호 및 제10호에 따라 임용된 경력직공무원 및 특수경력직공무원은 유사경력이 있는 경우, 2년 미만의 재직 기간별 연차 일수에 각각 2일을 더한다.

  10. 법 제71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은 결근 및 휴직으로 산입하지 않는다.

  11. 병가를 받지 않은 공무원 및 연가보상비를 받지 못한 연차 일수가 남아 있는 공무원은 다음 해에만 연차 일수에 각각 1일을 더한다. 공무원 연차 휴가 사용과 보상에 관한 규정

  12. 연차 보상비 지급 여부는 연차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차 일수에 따라 결정된다.

  13. 행정기관의 장은 연차 사용 촉진을 위해 권장 연차 일수 중 미사용 연차 일수에 대해 보상비를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14. 공무원은 연차 일수 중 사용하지 않은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매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사용 시기를 정하고 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15. 소속 공무원이 제때 통보하지 않으면 행정기관의 장은 사용하지 않은 연차 일수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통보할 수 있다.

  16.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해당 연차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상비를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17. 근무시간과 근무일이 따로 정해진 공무원의 권장 연차 일수에 대해 제2항에 따른 조치와 다른 조치를 할 수 있다.

  18. 이월ㆍ저축한 연차는 10년 이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된다.

  19.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사유를 제외하고는 소멸된 연차에 대해 보상비를 지급하지 않는다.

  20. 행정기관의 장은 10일 이상 연속된 연차 사용을 신청한 경우 공무 수행에 특별한 지장이 없으면 승인하여야 한다.

  21. 10일 이상 연속된 연차 사용의 신청 절차 등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

  22. 행정기관의 장은 연차 사용에 따른 업무대행자 지정, 인력 보충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3. 인사혁신처장공무원의 휴가, 병가, 공가 등에 대한 규정

  24. 연차 휴가는 결근, 정직, 직위해제, 강등 등으로 인해 직무에 종사하지 못한 일수를 제외한 일수로 산정한다.

  25. 임용, 휴직, 퇴직 등으로 사실상 직무에 종사하지 않은 기간이 있는 경우, 해당 연도에 사실상 직무에 종사한 기간을 개월 수로 환산하여 연차 휴가 일수를 계산한다.

  26. 질병이나 부상 외의 사유로 인한 지각, 조퇴, 외출은 누계 8시간을 연차 휴가 1일로 계산한다.

  27.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연차 휴가 일수에서 제외한다. 다만, 의사의 진단서가 첨부된 경우는 제외하지 않는다.

  28. 행정기관의 장은 공무원이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감염병에 걸려 출근이 위험할 때, 공무상 질병이나 부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요양이 필요할 때, 각각 연 60일, 연 180일 범위에서 병가를 승인할 수 있다.

  29. 공무와 관련하여 병역판정검사, 소집, 검열점호 등에 응해야 할 때, 법원, 검찰, 경찰 등에 소환되었을 때, 투표에 참가할 때, 승진시험, 전직시험에 응시할 때, 건강진단, 건강검진, 결핵검진, 헌혈, 외국어능력 시험, 국가적인 행사 등에 참가할 때는 공가를 승인받을 수 있다.

  30. 천재지변, 재해 등으로 인해 직무공무원의 근로 및 휴가에 관한 법률 요약

  31. 공무원은 교통 차단 등의 사유로 출근이 불가능할 때 교섭위원으로 선임될 수 있다.

  32. 공무원은 검역 감염병 예방접종을 받아야 할 때가 있다.

  33. 공무원은 감염병 예방접종이 필수인 경우, 또는 감염 여부 검사를 받아야 할 때가 있다.

  34. 공무원은 결혼 등 경조사가 있는 경우, 경조사휴가를 신청할 수 있다.

  35. 공무원은 임신 중 출산 전과 후에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으며, 출산 후의 휴가기간이 45일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36. 임신 중인 공무원은 유산, 사산, 조산 등의 사유로 최장 44일의 범위에서 출산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37. 여성공무원은 생리기간 중 여성보건휴가를 받을 수 있다.

  38.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은 1일 2시간의 모성보호시간을 받을 수 있다.

  39. 5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육아시간을 받을 수 있다.

  40.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무원은 출석수업에 참석하기 위해 수업휴가를 받을 수 있다.

  41. 공무원은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경우, 휴가를 받을 수 있다.

공무원의 휴가 종류와 연차 일수, 연가 사용 규정 요약

  1. 공무원의 휴가 종류는 연가, 병가, 공가, 특별휴가로 구분된다.

  2. 재직 기간에 따른 연차 일수가 정해져 있으며, 휴직, 정직, 강등 처분 등에 따른 기간은 산입하지 않는다.

  3. 연차 일수를 초과한 경우, 다음 재직 기간의 연차 일수를 사용할 수 있다.

  4. 연차는 오전 또는 오후의 반일 단위로 승인 가능하며, 반일 연차 2회는 1일로 계산된다.

  5. 연차 신청 시, 공무 수행에 지장이 없으면 승인해야 한다.

  6. 공무상 연차를 승인할 수 없거나 해당 공무원이 연차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연차보상비를 지급할 수 있다.

  7. 연차보상비는 연차보상비 지급 대상 일수가 20일을 초과할 수 없다.

  8. 연차 사용을 촉진하기 위해, 소속 공무원은 최소 10일 이상의 연차를 사용해야 한다.

  9. 법 제28조 제2항 제2호ㆍ제3호 및 제10호에 따라 임용된 경력직공무원 및 특수경력직공무원은 유사경력이 있는 경우, 2년 미만의 재직 기간별 연차 일수에 각각 2일을 더한다.

  10. 법 제71조 제1항 제1호에 따른 공무상 질병 또는 부상으로 인한 휴직은 결근 및 휴직으로 산입하지 않는다.

  11. 병가를 받지 않은 공무원 및 연가보상비를 받지 못한 연차 일수가 남아 있는 공무원은 다음 해에만 연차 일수에 각각 1일을 더한다. 공무원 연차 휴가 사용과 보상에 관한 규정

  12. 연차 보상비 지급 여부는 연차 일수와 미사용 권장 연차 일수에 따라 결정된다.

  13. 행정기관의 장은 연차 사용 촉진을 위해 권장 연차 일수 중 미사용 연차 일수에 대해 보상비를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14. 공무원은 연차 일수 중 사용하지 않은 일부 또는 전부에 대해 매년 6월 1일부터 7월 31일까지 사용 시기를 정하고 행정기관의 장에게 통보하여야 한다.

  15. 소속 공무원이 제때 통보하지 않으면 행정기관의 장은 사용하지 않은 연차 일수의 사용 시기를 정하여 통보할 수 있다.

  16. 행정기관의 장은 소속 공무원이 해당 연차를 사용하지 않은 경우 보상비를 지급하지 않을 수 있다.

  17. 근무시간과 근무일이 따로 정해진 공무원의 권장 연차 일수에 대해 제2항에 따른 조치와 다른 조치를 할 수 있다.

  18. 이월ㆍ저축한 연차는 10년 이내에 사용하지 않으면 소멸된다.

  19. 인사혁신처장이 정하는 사유를 제외하고는 소멸된 연차에 대해 보상비를 지급하지 않는다.

  20. 행정기관의 장은 10일 이상 연속된 연차 사용을 신청한 경우 공무 수행에 특별한 지장이 없으면 승인하여야 한다.

  21. 10일 이상 연속된 연차 사용의 신청 절차 등은 인사혁신처장이 정한다.

  22. 행정기관의 장은 연차 사용에 따른 업무대행자 지정, 인력 보충 등 필요한 조치를 하여야 한다.

  23. 인사혁신처장공무원의 휴가, 병가, 공가 등에 대한 규정

  24. 연차 휴가는 결근, 정직, 직위해제, 강등 등으로 인해 직무에 종사하지 못한 일수를 제외한 일수로 산정한다.

  25. 임용, 휴직, 퇴직 등으로 사실상 직무에 종사하지 않은 기간이 있는 경우, 해당 연도에 사실상 직무에 종사한 기간을 개월 수로 환산하여 연차 휴가 일수를 계산한다.

  26. 질병이나 부상 외의 사유로 인한 지각, 조퇴, 외출은 누계 8시간을 연차 휴가 1일로 계산한다.

  27. 연간 6일을 초과하는 병가 일수는 연차 휴가 일수에서 제외한다. 다만, 의사의 진단서가 첨부된 경우는 제외하지 않는다.

  28. 행정기관의 장은 공무원이 질병이나 부상으로 인해 직무를 수행할 수 없을 때, 감염병에 걸려 출근이 위험할 때, 공무상 질병이나 부상으로 직무를 수행할 수 없거나 요양이 필요할 때, 각각 연 60일, 연 180일 범위에서 병가를 승인할 수 있다.

  29. 공무와 관련하여 병역판정검사, 소집, 검열점호 등에 응해야 할 때, 법원, 검찰, 경찰 등에 소환되었을 때, 투표에 참가할 때, 승진시험, 전직시험에 응시할 때, 건강진단, 건강검진, 결핵검진, 헌혈, 외국어능력 시험, 국가적인 행사 등에 참가할 때는 공가를 승인받을 수 있다.

  30. 천재지변, 재해 등으로 인해 직무공무원의 근로 및 휴가에 관한 법률 요약

  31. 공무원은 교통 차단 등의 사유로 출근이 불가능할 때 교섭위원으로 선임될 수 있다.

  32. 공무원은 검역 감염병 예방접종을 받아야 할 때가 있다.

  33. 공무원은 감염병 예방접종이 필수인 경우, 또는 감염 여부 검사를 받아야 할 때가 있다.

  34. 공무원은 결혼 등 경조사가 있는 경우, 경조사휴가를 신청할 수 있다.

  35. 공무원은 임신 중 출산 전과 후에 출산휴가를 받을 수 있으며, 출산 후의 휴가기간이 45일 이상이 되도록 해야 한다.

  36. 임신 중인 공무원은 유산, 사산, 조산 등의 사유로 최장 44일의 범위에서 출산휴가를 나누어 사용할 수 있다.

  37. 여성공무원은 생리기간 중 여성보건휴가를 받을 수 있다.

  38. 임신 중인 여성공무원은 1일 2시간의 모성보호시간을 받을 수 있다.

  39. 5세 이하의 자녀가 있는 공무원은 육아시간을 받을 수 있다.

  40. 한국방송통신대학교에 재학 중인 공무원은 출석수업에 참석하기 위해 수업휴가를 받을 수 있다.

  41. 공무원은 재난으로 피해를 입은 경우, 휴가를 받을 수 있다.

이 퀴즈는 공무원의 휴가 종류와 연차 일수, 연가 사용 규정에 대해 알아보는 것입니다. 공무원들이 근무하면서 사용하는 연차, 병가, 공가, 특별휴가의 종류와 각각의 규정, 그리고 연

Make Your Own Quizzes and Flashcards

Convert your notes into interactive study material.

Get started for free

More Quizzes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