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회차_전기생리2_양유미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순확산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 농도 차이
  • 압력
  • 삼투압 (correct)
  • 전하

삼투 현상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 반투과성 막 없이도 일어난다.
  • 용매의 입자 수 차이에 의해 발생한다. (correct)
  • 용질의 농도 차이에 의해 결정된다.
  • 용질의 질량에 의해 결정된다.

다음 중 1 osmole과 다른 값을 나타내는 것은 무엇인가?

  • 1 kg 물에 녹아 있는 포도당 180g
  • 180g의 포도당
  • 58.5g의 NaCl (correct)
  • 1 mole의 포도당

37℃에서 체내 삼투압을 실제 측정값으로 보정하기 위해 곱하는 값은 무엇인가?

<p>0.93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Na+-K+ 펌프의 주요 기능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p>세포 용적 유지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Nernst potential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p>특정 이온에 대한 평형 전압을 계산하는 데 사용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Goldman equation이 Nernst equation과 다른 점은 무엇인가?

<p>이온 투과성 고려 여부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세포 종류별 안정막 전압에 대한 설명으로 잘못된 것은?

<p>모든 세포는 동일한 안정막 전압을 가진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Electrochemical driving force를 계산하는 식으로 알맞은 것은 무엇인가?

<p>Vm - Veq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Reversal potential(역전위)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p>이온의 흐름 방향이 바뀌는 시점의 전위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신경 세포의 안정막 전압 유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은 무엇인가?

<p>K+ leak channel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활동 전위 발생 시, 나트륨 채널의 상태 변화 순서로 가장 알맞은 것은?

<p>닫힘 → 활성화 → 비활성화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유수 신경 섬유에서 도약 전도가 일어나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

<p>미엘린 수초에 의한 절연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활동 전위 발생 후 열 생산이 증가하는 이유는 무엇인가?

<p>Na+-K+ 펌프의 활성 증가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절대 불응기 동안에는 자극의 강도와 관계없이 활동 전위가 발생하지 않는 이유는 무엇인가?

<p>나트륨 채널이 비활성화되어 있기 때문에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삼투란?

삼투는 물질의 농도가 아니라 물의 농도에 대한 개념입니다. 물 분자가 많은 쪽에서 적은 쪽으로 물이 이동하는 현상.

삼투압이란?

삼투압은 반투과성 막을 사이에 두고 물의 입자 수를 맞추기 위해 생기는 높이 차로, 용액의 농도를 나타내는 척도입니다.

Na⁺-K⁺ 펌프의 역할

Na⁺-K⁺ 펌프는 3개의 Na⁺를 세포 밖으로 내보내고 2개의 K⁺를 세포 안으로 들여와 세포의 volume을 유지하는데 필수적인 역할을 합니다.

Nernst Potential이란?

Nernst Potential은 특정 이온에 대한 평형 전압으로, 이온이 가장 안정적으로 존재하는 상태를 나타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안정막 전압이란?

신경세포의 안정막 전압은 세포가 안정 상태일 때 세포 내/외부 간의 전위차를 의미하며, 주로 -60mV에서 -70mV 사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Goldman Equation이란?

Goldman Equation은 여러 이온에 대한 diffusion potential을 계산하는 식으로, 각 이온의 투과성을 고려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활동 전위 발생 조건

활동 전위는 역치 이상의 자극이 주어지면 Na⁺ 채널이 열려 Na⁺가 세포 안으로 유입되면서 발생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절대적 불응기란?

절대적 불응기는 활동 전위가 발생한 후에는 어떠한 자극에도 반응하지 않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상대적 불응기란?

상대적 불응기는 강한 자극이 주어지면 활동 전위를 일으킬 수 있지만, 정상적인 크기보다 작거나 짧은 활동 전위가 생성되는 기간을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도약전도란?

도약전도는 myelin sheath로 절연된 축삭에서 랑비에 결절을 통해 전기 신호가 점프하듯 전달되는 현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활동 전위 전파 시 이온 이동

활동 전위의 전파 과정에서 나트륨은 세포 안으로, 칼륨은 세포 밖으로 이동하며, Na⁺-K⁺ 펌프가 이를 원래 상태로 되돌립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lateau란?

Plateau는 심장근에서 활동 전위가 길게 유지되는 현상으로, 칼슘 채널과 칼륨 채널의 작용에 의해 나타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과분극이란?

과분극은 나트륨 채널이 닫히고 칼륨만 관여하여 세포 내 (-) 전하가 일시적으로 많아지는 현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전기생리학(2) 개요

  • 전기생리학(2)는 생명과학 I의 자극 전달, 흥분 전도 개념을 심화시킨 내용
  • 기본적인 이론과 내용 위주로 학습하는 것이 중요
  • Membrane Potential 파트에서는 수치 계산보다는 개념적 이해에 집중

막 전위 생성

1. 확산 순수율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확산은 농도, 전하, 압력과 관련됨
  • 농도차: 고농도에서 저농도로 물질 이동 (순확산)
  • 전기적 전위차: 전하를 고려하여 전위차 계산
  • 압력차: 압력이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물질 이동, 투과성과 관련

2. 전기화학적 전위

  • 삼투는 물의 농도에 대한 개념
  • 삼투압: 반투과성 막을 경계로 용매가 이동할 때 발생하는 높이 차이; 입자 수에 대한 개념
  • 삼투압 계산 시 몰랄 농도(osmolality)와 몰 농도(osmolarity) 구분 필요

몰랄 농도 vs 몰 농도

  • 삼투압 관련 몰농도 개념 도입 시 비전해질: 1 mole = 1 osmole
  • 전해질: 해리된 입자 수를 곱하여 계산
  • 몰랄 농도(osmolality): 물 1kg 당 용질의 osmole 수
  • 몰 농도(osmolarity): 물 1L 당 용질의 osmole 수

체내의 정상 삼투압(Real Osmolarity)

  • 37℃에서 300mOsm/L, 1 osmole/L = 19300 mmHg 삼투압
  • 체내 측정값은 5500 mmHg; 이온 전하, 움직임 제한 등의 변수 존재
  • 실제값 계산 시 계산값에 0.93 곱함

3. Na+-K+ 펌프 (Sodium-Potassium Pump)

  • 능동 수송에 필요한 에너지
  • 세포 안팎의 농도 구배 유지에 필수적 역할
  • 세포 volume 유지
  • 3개의 Na+를 밖으로, 2개의 K+를 안으로 수송

네른스트 전위 (Nernst Potential)

1. 네른스트 전위란?

  • 특정 이온에 대한 평형 전압
  • 신경세포, 근육세포 등에서 작용 전위와 관련
  • 세포 안 K+ 많음, 세포 밖 Na+ 많음
  • K+는 농도 구배 따라 세포 밖으로 이동하려 함
  • Na+는 세포 안으로 이동하려 함
  • 전기적 전위차 고려 시 밖 (+) 전하, 안 (-) 전하 반영 필요
  • K+를 밖으로 끌어내는 힘을 네른스트 전위라 함
  • 네른스트 방정식으로 계산 (-94mV, Na+는 +61mV)

2. 네른스트 방정식 (Nernst Equation)

  • 임의의 이온 S의 평형 전위값(ES) 계산식
  • EK = (RT/zF) * ln([K+]o/[K+]i)
    • RT/F는 37°C에서 약 61로 계산
    • z: 이온의 전하, F: 패러데이 상수
  • 양이온: log 앞 상수 (+), 음이온: log 앞 상수 (-)
  • 음이온의 경우 분자/분모 뒤집어 계산

기출

3. 골드만 방정식 (Goldman-Hodgkin-Katz Equation)

  • 여러 이온에 대한 diffusion potential 계산
  • 각 이온의 투과성 (permeability) 값 추가
  • 골드만 방정식 = 60mV * log( (Pk[K+]o + PNa[Na+]o + PCl[Cl-]i) / (Pk[K+]i + PNa[Na+]i + PCl[Cl-]o) )

안정막 전위 (Resting Membrane Potential)

1. 안정막 전위 (휴지 전압)

  • 세포 안정 상태 (흥분 X, 활동 X) 시 막의 내/외부 전위차
  • 세포 내부: K+ 이온 많음, 외부: Na+, Ca2+ 이온 많음
  • 농도 구배에 의해 전위차 발생
  • 신경, 근육세포: 강한 (-) 전하
  • hair cell, 적혈구: (+) 전하에 가까움

2. 전기화학적 추진력 (Electrochemical Driving Force)

  • VDF = Vm - Veq (막 전위 - 평형 전위)
  • 두 값으로 이온 이동 방향 추측 가능 양이온: 양(+)의 값일 때 외부로, 음(-)의 값일 때 내부 이동 음이온: 반대 방향

Neuron의 안정막전압

  • Na+-K+ 펌프: 전하 차에 의해 바깥쪽은 (+), 안쪽은 (-)가 형성
  • K+ 투과성이 Na+보다 100배 이상 높음; K+ leak channel 통해 K+가 밖으로 새어나감

3. 안정막 전위 계산 (Calculation of Resting Membrane Potential)

  • K+만 움직인다고 가정 시 네른스트 방정식 사용

활동 전위 (Action Potential)

1. 신경세포 활동 전위 (Neuronal Action Potential)

  • 휴지 상태: -70mV 유지, Na+, K+ 채널 대부분 닫힘
  • 역치(-55mV) 이상 자극 시 Na+ 채널 열림 -> Na+ 폭발적 유입
  • 재분극 시작 시 Na+ 채널 닫힘 (resting level 도달 전까지 다시 안 열림)
  • Na+ 채널 닫히기 시작 시 K+ 채널 열림
  • K+ 이동 -> 휴지 전위 도달

활동전위 과정

  • Na 채널 안쪽 inactive site 존재 -> 안정막 전압으로 돌아갈 때까지 열리지 않음
  • 닫히는 Na 채널과 달리 K 채널은 resting level에 도달 할 때까지 잘 닫히지 않음
  • K 채널은 Na 채널보다 부분적으로 열리므로 점진적 변화 (상대적으로 느림)
  • threshold (역치): Na channel을 열 수 있을 만한 힘

활동전위 발생 Summary

    1. Na+ channel
  • A (resting) : 닫힘

  • B (depol) : 열림

  • C ( repol:)열림

  • D:(hyperpol열림

    1. K voltage gated channel: n gate
  • A :(resting) 닫힘

  • B: (depol) 열림

  • C:(repol) 닫힘

  • D:(hyperpol) 열림

활동전위 요약 Summary

  • Conductance 변화는 대부분 나트륨 채널의 전도도 변화에 일어난다. -Leak k channel이 존재하기 있기 때문에 50~100 K의conducatance가 Na보다 높다. -Na+ conductance 5000배 정도 급격하게 증가해서 K 에비해1000배 정도 높은 상태

  • 이후 K의 칼륨채널 닫히면서 AP가 마무리된다. 그리고 휴지전위로 돌아감

  • Na+/k+ pump, k+ leak channel 등에 의해 다시 resting potential으로 돌아간다

타 이온의 역할

  • (1) 불수과 음이온
  • 세포막을 투과하지않고 세포안에 위치해 negative charge를 유지
  • (2) CA+: 심근, 평활근에서 작용
  • 자극 Voltage gated ca 채널 열려 Na 과 depolarization 과정에 관여

활동전위 진행과정

  • positive feedback cycle 자극 -> voltage gated Na channel 열림 -> 급격한 Na 유입-> 휴지전위->volatage gated Na채널 더 열림-> 일정량 유입 후 Na채널 닫힘

  • Threshold potentioal: 55vmv정더까지

  • 액션 포텐셜 Propation: (1) 액션포텐셜 none. (2) 액션 포텐셜/트레숄더보다 더 크다.

  • Na, K 농도 차이 이전으로

유수신경섬유 & 무수신경섬유

  • 슈반세포->미엘린, 절연체->이온 투과성을 5000배 감소
  • action potential이 절까지 도약전도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Membrane Potential Quiz
10 questions

Membrane Potential Quiz

HeartwarmingGray avatar
HeartwarmingGray
Membrane Potential in Biophysics
15 questions
Membrane Potential and Equilibrium
18 questions
Neuroscience: Membrane Potential Quiz
10 question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