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시구조론 13주차: 에너지 및 환경 계획
28 Questions
8 Views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Questions and Answers

파리 협정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

  • 지구 평균 기온 상승을 산업화 대비 2도 이내로 유지 (correct)
  • 지구의 평균 기온 상승을 4도 이상 억제하기
  •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모든 국가에 강요하기
  • 모든 국가의 탄소 배출량을 제로로 만들기
  • 미국의 보수 성향 유권자들은 기후 위기의 실재를 믿는 비율이 진보 성향 유권자들보다 낮다.

    True (A)

    교토의정서는 언제 채택되었나요?

    1997년

    기후 변화에 따른 ________의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p>탄소 배출 절감</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용어와 설명을 매칭하시오:

    <p>UNFCCC = 1992년에 출범한 국제기구 교토의정서 =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선진국에 부과 파리 협정 = 탄소중립 목표 설정 COP = 당사국 총회</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기후변화에 대한 논쟁 중 하나는 무엇인가?

    <p>기후 변화가 자연적인 주기에 의해 발생한다는 주장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한국 정부는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지구 기온 변화를 추적한 기준 연도는 무엇인가요?

    <p>1850</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과거 이산화탄소를 가장 많이 배출한 국가는 주로 어느 지역에 해당하는가?

    <p>서구 선진국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현재 중국은 세계에서 가장 많은 이산화탄소를 배출하는 국가이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석유 생산정점을 영어로 무엇이라고 하는가?

    <p>peak oil</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석유 이외의 상대적으로 청정한 에너지원은 __________이다.

    <p>천연가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아래의 에너지원과 그 특성을 매칭하시오:

    <p>원자력 = 탄소 발생이 거의 없고 저렴한 청정 에너지 석탄 =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다량의 오염물질 배출 천연가스 = 상대적으로 청정하지만 화석연료로서 온실가스 배출 재생에너지 =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에너지 계획의 필요성 중 하나가 아닌 것은?

    <p>여름 휴가철 연장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LEED 인증은 친환경 건물 인증 프로그램이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제1차 석유파동이 발생한 연도는?

    <p>1973~1974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석유 이외의 청정 에너지원으로는 __________과 __________이 있다.

    <p>풍력, 태양열</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아래의 에너지 생산 방식과 그 종류를 매칭하시오:

    <p>소수력발전 = 지역사회 수준의 에너지 생산 고형폐기물 재활용 = 연료화 폐열 발전 = 에너지 절약</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계획의 주요 목적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p>경제적 이익 극대화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영향평가는 미국에서 1970년에 제정된 국가환경정책법에 따라 도입되었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신안군의 태양광에너지 발전을 활용한 제도는 무엇인가?

    <p>개발이익 공유제</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계획의 어려움 중 하나는 [______]의 복잡성이다.

    <p>환경과정</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법령과 해당 연도를 매칭하시오:

    <p>청정대기법 = 1970 청정수질법 = 1970 해양 보호법 = 1972 자원 보존법 = 1976</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계획의 목표 중 '심미적 가치의 보존'은 어떤 목적에 해당하는가?

    <p>미적 가치 확보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계획 관련 법률은 국내에서 처음으로 1977년에 제정되었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기업들이 환경 규제로 인해 경험하는 손실은 무엇인가?

    <p>오염물질 감축 비용 상승</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영향평가는 [______] 수준에서 주로 시행된다.

    <p>사업</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슈퍼펀드’는 어떤 법률에 의해 설정되었나?

    <p>종합환경대응배상책임법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기후변화협약(UNFCCC)

    1992년 리우 회의에서 출범한 국제기구로, 기후변화 문제에 대한 국제 협력을 목표로 합니다. 매년 당사국 총회(COP)를 개최합니다.

    교토의정서

    1997년 COP 3에서 채택된 협약으로, 선진국들에게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부과하였습니다.

    파리협정

    2015년 COP 21에서 채택된 협약으로, 모든 국가들이 순 탄소배출량 제로(탄소중립)를 지향하며 기온 상승을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목표로 합니다.

    탄소중립

    대기 중으로 배출되는 온실가스 양을 줄여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것을 말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구온난화

    지구의 평균 기온이 상승하는 현상입니다. 인간 활동에 의해 발생한다는 주장이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기후변동

    장기간에 걸쳐 지구 기후가 변화하는 현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자연재해 증가

    기후변화로 인해 자연재해(홍수, 가뭄 등)의 빈도 및 강도가 증가하고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탄소 배출 감축

    온실가스 배출을 줄이는 노력입니다. 지구 온난화를 방지하기 위한 중요한 노력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탄소 배출량 감소 추세

    선진국에서는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감소하고 있지만, 개발도상국에서는 증가하는 추세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사다리 걷어차기

    선진국이 탄소 감축을 위해 개도국이 개발하는 것을 저해하는 행위를 비판하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석유생산정점(Peak Oil)

    석유 생산량이 정점에 이른 후 점차 감소하는 시점을 말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에너지 계획 필요성

    기후 변화 대응, 석유 고갈, 에너지 수입 문제 등을 해결하기 위해 에너지 계획이 필요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천연가스

    석유보다 상대적으로 청정하지만, 화석연료로서 온실가스를 배출하고 지하수 오염 우려가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석탄

    매장량이 풍부하고 저렴하지만, 다량의 오염물질과 온실가스를 배출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원자력

    탄소 발생이 거의 없고 저렴한 청정에너지이지만, 안전사고 위험성이 존재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재생에너지

    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청정 에너지원이지만, 현재 가격 경쟁력이 낮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토지이용계획

    에너지 계획의 한 영역으로, 통행량 감소와 개발 방식을 고려하는 계획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친환경 건물

    에너지 효율이 높고 환경 친화적인 건축물 디자인을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태양광 에너지 개발이익 공유제

    신안군에서 태양광 에너지 발전으로 얻는 이익을 지역 사회와 공유하는 제도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계획의 목표 (인간건강)

    환경 계획은 인간의 건강과 생명에 대한 위협을 최소화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계획의 목표 (자원보존)

    미래를 위해 자원을 보존하는 것이 환경계획의 또 다른 중요한 목표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영향평가(EA)

    환경에 미칠 수 있는 영향을 평가하는 절차입니다. 간단한 평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영향평가서(EIS)

    중대한 환경 영향이 예상될 때 작성하는 자세한 환경 영향 평가 보고서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가환경정책법(NEPA)

    미국에서 1970년에 제정된 환경 정책을 위한 기본 법률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계획의 어려움 (복잡성)

    환경 문제는 여러 요인이 복잡하게 얽혀 있어 해결하기 어렵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계획의 어려움 (이해관계자 갈등)

    환경 보호와 개발 간의 이해관계가 상충하여 갈등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계획의 정치·경제적 쟁점(기업손실)

    환경 규제는 기업에게 비용 증가를 가져올 수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계획의 정치·경제적 쟁점(비용-편익 분석)

    환경 규제의 비용이 그로 인한 편익을 상회할 경우 합당하다고 판단할 수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강의 소개

    • 2024년 11월 19일
    • 도시구조론 13주차
    • 에너지 및 환경 계획
    • 강사: 김승정 교수
    •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목차

    • 기후위기의 심화
    • 에너지 계획
    • 환경계획

    기후위기의 심화

    •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해 급증
    • 잦은 태풍, 홍수, 폭염
    • 지구촌 곳곳 이상기후(한국 포함)
    • 기후위기로 인한 세계 평균 소득 19% 감소 불가피

    기후변화 추이

    • 1850년부터 2023년까지 지구 기온 추이
    • 월별 지구 평균 온도 변화
    • 1850~2023년간 지구 기온 추이: 지구 온난화가 가속화되고 있음을 보여주는 그래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추이

    • 1750~2020년간 대기 중 이산화탄소 함량의 추이 (하와이 마우나로아 관측소 기준)
    • 산업화 이전 이후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국제협력(기후위기 대응)

    •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UNFCCC) : 1992년 리우 회의에서 출범
    • 교토의정서(1997): 선진국들에게 온실가스 감축 의무 부과
    • 파리협정(2015): 2020년 이후 세계 각국 모두 순 탄소 배출량 0(net-zero) 달성 목표

    기후위기 논쟁

    • 기후변화 현상의 실재에 대한 논쟁
    • 미국의 경우, 정치적 이념과 얽힘
    • 탄소 배출 감축에 대한 반대 의견

    에너지 계획

    • 기후 위기에 대응하기 위한 탄소 배출 감축 필요성
    • 석유 고갈 우려
    • 석유생산정점(peak oil): 석유 생산량의 최고점을 지나 감소하는 현상
    • 에너지 수입에 따른 적자 및 지정학적 리스크(예: 중동 지역 분쟁)
    • 1차, 2차 석유 파동에 대한 언급

    에너지 계획의 영역

    • 석유 이외의 에너지원(천연가스, 석탄, 원자력, 재생에너지(풍력, 태양광))
    • 석유 이외의 에너지원: 장점 및 단점

    에너지 계획의 영역(계속)

    • 토지이용계획: 교통, 개발계획과 연계
    • 교통: 승용차 이외 교통수단 활성화
    • 건축: 에너지 효율 개선 및 친환경 건물 증가
    • 지역사회 차원의 에너지 생산: 소수력, 폐기물 연료화, 태양광, 폐열 이용, 공동주택 건립

    환경계획

    • 인간 건강, 자원 보존, 심미적 가치 보존, 자연 보호를 위한 계획
    • 환경계획의 어려움: 복잡성, 이해관계자 간 갈등, 정치·행정적 경계의 무관성

    환경계획의 등장

    • 미국: 국가환경정책법(NEPA, 1970) 제정 및 환경 평가 의무화
    • 청정대기법, 청정수질법, 해양생태구역 보호법 등의 제정

    환경 계획 쟁점

    • 환경 규제의 사회, 정치, 경제적 영향

    • 환경보호와 경제 성장의 균형

    • 환경 계획에 대한 비판적 시각과 긍정적 시각

    • 특정 에너지 개발 지역/시범 프로젝트 사례 언급

    • 대도시권과 국토/지역 계획은 다음 강의에서 다룸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Description

    이 퀴즈는 도시구조론 13주차 강의 내용을 기반으로 합니다. 기후위기와 에너지 및 환경 계획의 다양한 측면을 살펴보며, 기후변화의 추세와 국제 협력 방안에 대해 논의합니다. 환경 문제에 대한 이해를 돕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을 모색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More Like This

    Energy Policy and Climate Change Quiz
    10 questions

    Energy Policy and Climate Change Quiz

    GroundbreakingLucchesiite9496 avatar
    GroundbreakingLucchesiite9496
    Climate Change and Energy Quiz
    48 questions
    Climate Change and Energy Transition
    48 question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