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교토의정서(Gyoto Protocol)는 어떤 해에 채택되었으며, 주로 어떤 국가에 의무를 부과했는가?
교토의정서(Gyoto Protocol)는 어떤 해에 채택되었으며, 주로 어떤 국가에 의무를 부과했는가?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
파리 협정(Paris Agreement)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
가속화되는 기후 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무엇인가?
가속화되는 기후 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지목되는 것은 무엇인가?
기후위기와 관련하여 진보 성향과 보수 성향 유권자들 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기후위기와 관련하여 진보 성향과 보수 성향 유권자들 간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지구 온난화 현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지닌 주장이 무엇인가?
지구 온난화 현상에 대한 비판적 시각을 지닌 주장이 무엇인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국가는 어디인가?
2050년까지 탄소중립을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제시한 국가는 어디인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기후 변화 협약과 관련하여 매년 개최되는 행사는 무엇인가?
기후 변화 협약과 관련하여 매년 개최되는 행사는 무엇인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기후위기 심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자연재해의 양상을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기후위기 심화의 결과로 나타나는 자연재해의 양상을 설명하는 것은 무엇인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과거에는 어느 나라들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았던가?
과거에는 어느 나라들이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았던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나라로 알려진 국가는?
탄소 배출량이 가장 많이 증가하는 나라로 알려진 국가는?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선진국의 탄소 감축 운동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한 것은?
선진국의 탄소 감축 운동에 대한 비판으로 적절한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에너지 계획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에너지 계획의 필요성을 설명하기 위해 고려해야 할 요소가 아닌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석유 생산정점(peak oil)의 개념에 적절한 설명은?
석유 생산정점(peak oil)의 개념에 적절한 설명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천연가스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천연가스의 특징으로 옳지 않은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LEED 인증과 관련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LEED 인증과 관련된 내용 중 잘못된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재생 에너지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재생 에너지의 특성으로 적절한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소수력 발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소수력 발전의 설명으로 맞는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계획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아닌 것은?
환경계획의 주요 목적 중 하나가 아닌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계획의 어려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환경계획의 어려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국가환경정책법(NEPA)의 제정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국가환경정책법(NEPA)의 제정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영향평가서(EIS)가 작성되는 경우는?
환경영향평가서(EIS)가 작성되는 경우는?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계획에서 발생하는 정치·경제적 이슈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환경계획에서 발생하는 정치·경제적 이슈 중 적절하지 않은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해양 보호 및 연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연도는?
해양 보호 및 연구에 관한 법률이 제정된 연도는?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전략환경영향평가의 정의로 가장 알맞은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국 '슈퍼펀드(Superfund)'의 목적은 무엇인가?
미국 '슈퍼펀드(Superfund)'의 목적은 무엇인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규제의 경제적 측면에 대한 주장으로 올바른 것은?
환경규제의 경제적 측면에 대한 주장으로 올바른 것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경 자원의 보존과 관련된 계획의 유사성은 무엇과 같다고 할 수 있는가?
환경 자원의 보존과 관련된 계획의 유사성은 무엇과 같다고 할 수 있는가?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기후위기
기후위기
지구의 기온 상승과 자연재해 증가, 환경 파괴 등을 야기하는 심각한 문제.
탄소중립
탄소중립
온실가스 배출량을 최대한 줄여 순 배출량을 0으로 만드는 목표.
파리협정
파리협정
2015년 기후변화협약의 후속 협약으로, 기후변화 대응을 위한 국제적 합의.
교토의정서
교토의정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UNFCCC)
국제연합 기후변화협약(UNFCCC)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구온난화
지구온난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탄소 배출 감축
탄소 배출 감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기후변화 논쟁
기후변화 논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탄소배출량 감소 추세 국가
탄소배출량 감소 추세 국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개발도상국의 탄소 배출 추세
개발도상국의 탄소 배출 추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사다리 걷어차기 비판
사다리 걷어차기 비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제 규제 약화의 영향
국제 규제 약화의 영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에너지 계획의 필요성
에너지 계획의 필요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석유생산정점(Peak Oil)
석유생산정점(Peak Oil)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천연가스의 특징
천연가스의 특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원자력 에너지의 문제점
원자력 에너지의 문제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재생에너지의 장점
재생에너지의 장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가환경정책법(NEPA)
국가환경정책법(NEPA)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영향평가
환경영향평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영향평가서(EIS)
환경영향평가서(EI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계획의 목적
환경계획의 목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역사회의 에너지 생산
지역사회의 에너지 생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계획의 어려움
환경계획의 어려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슈퍼펀드
슈퍼펀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한계효과
한계효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경규제의 정치·경제적 쟁점
환경규제의 정치·경제적 쟁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략환경영향평가
전략환경영향평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2024-2 도시구조론 13주차 강의
- 강의 주제: 에너지 및 환경 계획
- 강의 날짜: 2024년 11월 19일
- 강사: 김승정 교수, 한동대학교 공간환경시스템공학부
목차
- 기후위기의 심화
- 에너지 계획
- 환경계획
기후위기의 심화
- 기후위기에 따른 자연재해의 급증이 심화되고 있음
- 이상기후 현상(잦은 태풍, 홍수, 폭염)이 빈번하게 발생
- 지구온난화는 세계 평균 소득을 19% 감소시킬 것으로 예측됨
기후변화 추이(1850~2023)
- 지구 기온 상승 추세가 뚜렷함
- 월별 지구 평균 기온이 20세기 평균보다 높은 기간이 증가
이산화탄소 농도 증가
- 1750년 이후 대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가 급증
- 산업화 이전 대비 50% 증가
기후변화협약(UNFCCC) 및 관련 협약
- 1992년 리우 회의(Rio Summit)에서 출범
- 1995년부터 매년 당사국 총회(COP) 개최
- 교토의정서(Kyoto Protocol, 1997): 선진국 온실가스 감축 의무 할당
- 파리 협정(Paris Agreement, 2015): 탄소 중립 목표, 1.5도 이내 온도 상승 제한
기후위기 논쟁
- 기후변화의 심각성과 인간의 활동 연관 여부에 대한 논쟁 존재
- 지구온난화의 진실성에 대해 부정하는 사람들 존재
- 미국 트럼프 행정부의 파리협정 탈퇴 등
누구의 책임인가?
- 과거 선진국은 이산화탄소 배출량 많음
- 현재 개발도상국(특히 중국)의 배출량 증가
- 국제적 협력과 감축 노력 필요
에너지 계획
-
기후위기 대응 및 석유 고갈에 대한 우려
-
석유 의존도 감소를 위한 새로운 에너지원 필요
-
다양하고 다층적인 에너지원 탐색이 중요
-
전통적 에너지원 (석유, 석탄, 천연가스)의 문제점:
- 지속가능성의 문제
- 환경오염
-
재생에너지 (풍력, 태양광, 수력, 바이오마스):
- 탄소중립
- 재생 가능
- 시스템 개발과 인프라 구축 필요
-
에너지 계획:
- 지역적인 에너지 시스템 개발이 권장
- 여러 에너지원을 조합(포트폴리오)
-
에너지 계획 영역:
- 토지 이용 계획:
- 개발 지역 선정, 개발 계획 수정
- (예)복합용도 개발 (주거, 상업, 공업)
- 교통 계획:
- 승용차 이외의 대중교통, 자전거 전용 도로, 버스 전용 차선 등
- 건축 계획:
- 건물 에너지 효율 개선, 에너지 소비 절감
- 친환경 건축 자재 사용
- 토지 이용 계획:
환경계획
- 인간 건강 보호, 자원 보존, 환경 미적 가치 보호가 목표
- 환경 계획의 어려움:
- 환경 문제의 복잡성
- 이해 당사자 간의 갈등
- 환경 계획 관련 법규 및 제도의 중요성:
- 환경 계획 수립을 지원하는 법규 (예: 미국 국가환경정책법)
- 환경 영향 평가 (EA, EIS)
에너지계획, 환경계획 관련 요약
- 2개의 주제 (에너지 / 환경)에 대한 분류가 명확함
- 각 주제에 대한 세부적인 설명과 예시 제공
- 현실적인 문제점과 갈등 해결에 대한 제시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Related Documents
Description
이 퀴즈는 도시구조론 13주차 강의의 주요 내용을 다룹니다. 기후위기, 에너지 계획, 환경계획에 관한 주제를 통해 현대 사회의 도전과제를 탐구합니다. 여러분의 이해도를 테스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