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본 침략과 국가 방어 운동
45 Questions
1 Views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Questions and Answers

애국 계몽 운동의 배경은 무엇인가요?

사회진화론의 관점에서 국권 회복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 배경이다.

러·일 전쟁의 배경은 무엇인가요?

러·일 간의 한반도 주도권 경쟁이 배경입니다.

보안회의 주요 활동 내용은 무엇인가요?

일제 황무지 개간권 요구에 반대하는 운동을 전개하였다.

일본의 한·일 의정서 체결 시기와 그 내용을 간단히 설명해주세요.

<p>한·일 의정서는 1904년 2월에 체결되었으며, 한반도 내 영토를 군사 목적으로 이용할 수 있게 하였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헌정 연구회의 주된 목표는 무엇이었나요?

<p>독립협회를 계승하여 의회 설립과 입헌 정치체제 수립을 목표로 하였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대한 자강회의 활동 방향은 무엇인가요?

<p>헌정 연구회 계승과 실력 양성을 통한 국권 수호운동을 전개하였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제 2차 한·일 협약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p>통감부 설치와 외교권 박탈이 주요 내용입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일본의 독도 편입은 언제 일어났고, 그 해는 무엇을 의미하나요?

<p>1905년 2월에 일본이 독도를 불법 편입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신민회의 주요 목표는 무엇이었나요?

<p>국권 회복과 공화 정체의 근대 국가 수립이 주요 목표이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신민회의 활동 중 어떤 교육 기관이 설립되었나요?

<p>대성학교와 오산학교가 설립되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고종의 미국 지원 요청은 어떤 사건과 연관이 있나요?

<p>고종은 을사늑약에 대한 저항의 일환으로 미국에 지원을 요청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정미 7조약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요?

<p>일본인 차관 임명과 통감의 내정 간섭 권한 증가입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신민회가 해산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p>105인 사건을 계기로 해산되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신민회의 국외 독립운동 기지 건설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p>장기적 독립운동의 기반을 마련하기 위함이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한국의 사법권과 경찰권은 언제 박탈되었나요?

<p>사법권은 1909년에, 경찰권은 1910년에 박탈되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한·일 강제 병합 조약의 체결 날짜는 언제인가요?

<p>이 조약은 1910년 8월 22일 체결되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영국산 면제품의 조선 내 판매는 어떤 경제적 영향을 미쳤나요?

<p>영국산 면제품의 비싼 판매로 인해 일본의 수익이 증가하고, 이는 곡물 가격 폭등에 기여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거류지 무역의 특징은 무엇인가요?

<p>거류지 무역은 일본 상인이 거류지 내에서만 무역을 수행하는 형태이며, 중개 상인을 통해 내륙 시장에 침투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임오군란 이후 청·일 상인의 상권 경쟁이 어떻게 전개되었나요?

<p>임오군란 이후 조·청 상민 수륙 무역 장정 체결로 청 상인의 내지 통상권이 인정되면서 청·일 상인 간의 상권 경쟁이 치열해졌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일본의 경제 침탈 과정에서 한국 정부의 재정 관리는 어떻게 이루어졌나요?

<p>일본은 한국 정부의 세관 업무를 위탁 관리하며 대규모 차관을 제공하여 경제를 예속화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화폐정리사업(1905)의 주된 목표는 무엇이었나요?

<p>화폐정리사업의 목표는 상평통보와 백동화를 일본 제일은행권으로 교환하여 일본의 금융 지배를 확립하는 것이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이 진행한 토지 매입의 목적은 무엇인가요?

<p>일본은 청·일 전쟁 이후 토지를 매입하여 농장을 경영하고, 한·일 의정서를 통해 군용지와 철도 부지를 확보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외국 상인의 국내 시장 침투에 대해 조선 정부는 어떤 조치를 취했나요?

<p>조선 정부는 조·일 통상 장정을 체결하여 관세권을 설정하고 방곡령을 규정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일본과의 통상 장정 체결이 조선 경제에 미친 영향은 무엇인가요?

<p>통상 장정 체결로 인해 조선의 국내 산업이 보호받지 못하고 일본 상인의 시장 침투가 심화되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수립된 날짜는 무엇인가?

<p>1919년 4월이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첫 임시 대통령은 누구인가?

<p>이승만이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국민 대표 회의의 개최 배경에는 어떤 요인이 있었는가?

<p>교통국·연통부 조직 발각과 무장 투쟁론자의 비판이 있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임시 정부의 삼권 분립에 따라 어떤 기관들이 구성되었는가?

<p>임시의정원, 국무원, 법원이 구성되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임시 정부에서 재정 확보와 정보 수집을 위해 설립된 비밀 조직의 이름은 무엇인가?

<p>연통부와 교통국이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대한민국 임시 정부는 어떤 외교 활동의 성과를 얻었는가?

<p>중국 정부의 승인을 받고, 소련으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한·일 애국단이 조직된 해는 언제인가?

<p>1931년이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대한민국 임시 정부가 활동한 장소 중 하나는 무엇인가?

<p>상하이이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물산 장려 운동의 주체는 누구였나요?

<p>중산 계급이 주체였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농민들이 생존권을 위협받게 된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요?

<p>토지 조사 사업과 산미 증식 계획 때문입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소작 쟁의에서 농민들이 요구한 사항은 무엇이었나요?

<p>소작료 인하와 지주 부담 전가 반대였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노동자들이 겪었던 주요 어려움은 무엇인가요?

<p>저임금과 열악한 노동 환경이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원산 총파업의 주요 목적은 무엇이었나요?

<p>임금 인상과 노동 시간 단축이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농민과 노동자의 운동이 반제국주의 항일 투쟁으로 발전한 배경은 무엇인가요?

<p>일제의 탄압 강화가 배경입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농민 조합 조직화의 영향은 무엇이었나요?

<p>소작 쟁의 횟수와 참여농민이 증가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농민 · 노동 운동이 전개되던 시기가 언제인가요?

<p>주로 1920년대와 1930년대입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학생 항일 운동의 활성화 배경은 무엇인가요?

<p>3·1 운동 이후 청년과 학생들이 항일 투쟁 주체임을 자각하게 된 것입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6·10 만세 운동의 주도 세력은 누구였나요?

<p>조선공산당, 천도교, 그리고 학생 단체들이 주도하였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의의는 무엇인가요?

<p>학생들이 선도하며 시민과 노동자의 참여를 이끌어낸 점입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조선 청년 총동맹의 결성 연도는 언제인가요?

<p>1924년에 결성되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학생들이 주도한 만세 시위는 어떤 구체적 투쟁 지침을 제시했나요?

<p>일제 타도를 위해 민중이 실천해야 할 구체적 투쟁 지침을 제시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러·일 전쟁의 배경

러시아와 일본 사이 한반도 영향력을 두고 벌어진 전쟁.

을사늑약의 내용

대한제국의 외교권을 박탈하고 통감정치를 시행한 조약입니다.

을사의병

을사늑약에 반발하여 일어난 항일 무장투쟁입니다.

정미 7조약의 내용

대한제국에 대한 일본의 내정 간섭을 강화한 조약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한·일 강제 병합 조약

대한제국을 일본의 식민지로 만든 조약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헤이그 특사

고종이 을사늑약에 반발하여 미국에 지원을 요청하고, 국제사회에 대한 제국의 주장을 알리기 위해 파견한 특사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통감정치

일본의 통감부가 대한제국의 정치에 간섭하는 정치 방식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독도의 불법 편입

러일전쟁중 일본이 자국 영토로 편입한 독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애국 계몽 운동

국권 회복을 위한 교육과 산업 진흥, 애국심 고취 운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보안회

1904년 조직된 애국 계몽 단체. 일제의 황무지 개간권 요구 반대 운동 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헌정 연구회

독립협회 계승, 입헌 정치체제 수립을 목표로 한 단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대한자강회

1906년 결성된, 실력 양성과 국권 수호를 위한 계몽 운동 단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신민회

1907년 결성된 항일 비밀 결사 조직. 국권 회복, 공화 정체 목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실력 양성 운동

신민회 등, 교육, 산업 육성을 통해 국권을 회복하려는 운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외 독립 운동 기지 건설

일제의 국권 침탈에 대비, 장기적인 독립 운동의 기반 마련을 위한 활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05인 사건

신민회 해산의 계기가 된 사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대한민국 임시 정부의 수립

1919년 4월, 국내외 독립운동 세력이 중국 상하이에서 결성된 정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임시 정부의 체제

민족주의와 사회주의 등 다양한 이념을 가진 사람들이 참여하여 삼권 분립 원칙을 기반으로 운영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임시 정부의 활동 (비밀 조직)

국내 비밀 행정 조직(연통부)과 통신 기관(교통국)을 통해 독립운동 자금 확보, 정보 수집, 국내 연락망 구축을 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임시 정부의 활동 (자금 마련)

독립 공채와 의연금 모금 등을 통해 독립운동 자금을 확보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임시 정부의 활동 (외교)

국제 사회에 한국의 독립을 알리고, 중국 정부의 승인과 소련으로부터의 지원을 받으려고 노력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임시 정부의 활동 (무장 활동)

광복군을 조직하여 무장 투쟁을 벌였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민 대표 회의 (1923)

임시 정부 내부의 의견 차이와 갈등으로 인해 정부 운영이 혼란스러워진 사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한·일 애국단 (1931)

임시정부의 침체기를 극복하고자 조직된 항일 독립 단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중계무역의 영향

영국산 면제품이 조선에 비싸게 판매되고, 일본은 수익을 많게 얻고 곡물을 대량 구매, 쌀값 상승 및 농촌 경제 타격이라는 결과를 가져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거류지 무역

일본 상인이 거류지 안에서만 무역을 하게 된 시스템으로, 중개상인을 통해 내륙 시장까지 침투하는 방식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청·일 상인 상권 경쟁

임오군란 이후 조선에서 청·일 상인들의 상권 다툼이 심화되어, 1890년대 초 청·일의 수출액이 거의 비슷해졌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일본의 경제 침탈 (재정 장악)

일본이 한국의 정부 세관 업무를 관리하고, 대규모 차관을 제공하여 경제를 예속시키려는 전략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화폐정리사업 (1905)

일본의 금융 지배 전략으로, 메가타 주도 아래 상평통보와 백동화를 일본 제일 은행권으로 교환하는 사업으로, 국내 상인 등에 큰 타격을 주고 일본의 금융 장악을 가속화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토지 침탈

청·일 전쟁 이후 일본이 조선의 토지를 대량으로 매입하고, 철도 부지와 군용지를 확보하며 농장 경영 및 토지를 약탈하는 전략입니다. 동양 척식주식회사 설립도 이러한 맥락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선의 경제 변화

개항 이후 외국 상인의 침투로 조선의 경제가 변화하고, 이에 대한 대응으로 기선 구입과 해운회사 설립 등의 적극적인 노력과 함께 민간의 회사 설립을 통해 상권 잠식에 대항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경제적 구국 운동

외국 세력의 경제적 침탈에 대응하여, 조선 정부가 조·일통상장정 체결과 기선구입, 해운회사 설립 등의 노력을 기울이고, 민간에서도 회사 설립으로 상권 잠식에 저항하는 경제적 구국운동이 전개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물산 장려 운동

1920년대 민족 자본을 육성하고 외국 상품의 소비를 줄이려는 운동. 조선 사람이 만든 것을 사용하자는 취지로, 국산품 애용 운동을 뜻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농민 운동의 주요 원인

토지 조사 사업과 산미 증식 계획으로 인해 많은 농민들이 소작농으로 전락하고, 각종 세금과 비용 부담으로 생존권이 위협받았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농민 운동의 주요 활동

소작료 인하, 지주 부담 전가, 소작권 이전 반대 등을 요구하며 소작 쟁의를 벌였습니다. 농민 조합을 조직하고, 조선 농민 총동맹을 결성하여 힘을 모았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노동 운동의 원인

낮은 임금, 열악한 노동 환경, 장시간 노동, 민족 차별적 학대 등으로 노동자들이 큰 어려움을 겪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노동 운동의 목표

임금 인상, 노동 시간 단축, 비인간적 대우와 작업 환경 개선 등을 요구하며 노동 쟁의를 벌였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농민 및 노동 운동의 변화

일제의 탄압이 강화되면서 농민과 노동자들은 사회주의 세력과 연대하여 혁명적 조합을 결성하고, 비합법적 폭력 투쟁을 전개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농민 및 노동 운동의 결과

농민과 노동자들의 운동은 계급 해방을 추구하는 혁명 운동으로 발전했고, 반제국주의 항일 투쟁의 중요한 부분을 차지했지만 중일 전쟁 이후 일제의 탄압으로 점차 위축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원산 총파업 (1929)

조선 노동 운동의 대표적인 사건으로, 임금 인상, 노동 시간 단축, 열악한 작업 환경 개선 등을 요구하며 벌어진 대규모 파업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학생 항일 운동의 배경

3·1 운동 이후 청년과 학생들이 민족 운동의 주체임을 자각하고, 단체를 조직하여 항일 투쟁을 전개하게 되었습니다. 특히 사회주의 사상의 영향을 받아 계급 해방을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선 청년 총동맹

1924년에 결성된 청년 운동 단체로, 청년 운동을 통일적으로 이끌기 위해 만들어졌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6·10 만세 운동

1926년에 일어난 대규모 시위로, 청년과 학생 운동의 활성화와 순종의 서거 등이 배경이 되었습니다. 조선공산당, 천도교, 학생 단체들이 함께 계획했지만 일제 경찰에 발각되어 학생 단체 주도로 만세 시위가 전개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광주 학생 항일 운동

1929년에 일어난 학생 중심의 항일 운동으로, 광주에서 한·일 학생 충돌이 발생하고 경찰의 편파적인 대처로 인해 시작되었습니다. 광주 지역 학생들의 연대와 신간회의 지원을 받아 전국으로 확산되면서 시민과 노동자들이 함께 참여하는 대규모 항일 운동으로 발전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의 의의

광주 학생 항일 운동은 학생들이 주도하고 시민과 노동자들이 참여하여 3·1 운동 이후 가장 큰 규모의 항일 민족 운동으로 기록됩니다. 이 운동은 일제의 잔혹한 식민 지배에 맞서 민족의 자주 독립을 향한 의지를 보여주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Japanese Invasion and National Defense Movement

  • Russo-Japanese War (1904-1905):

    • Triggered by competition for control of Korea between Russia and Japan.
    • Korea declared neutrality, but Japan attacked Russian naval forces.
    • The Korea-Japan Treaty of 1904 was signed, leading to Japanese advisors being brought in.
    • Annexation of Dokdo (Takeshima) in 1905.
    • The 1905 Treaty of Portsmouth granted Japan's special rights in Korea.
  • Consolidation of Japanese Control:

    • The Second Korea-Japan Treaty/Gugun-Year Treaty (1905) led to the establishment of Japanese control over Korea.
    • This treaty stripped Korea of its diplomatic power.
    • Resistance: Nationalistic groups, newspapers, and citizens reacted against the treaty. The resistance prompted the exile and assassination of important figures.
    • The 1907 treaty further weakened Korea and imposed Japanese advisors to Korean ministries.
    • 1909 - Seizure of Korea's judicial power.
    • 1910 - Annexation of Korea by Japan.
  • Nationalistic and Patriotic Resistance Movements:

    • Gugun (Korean Patriotic Army): a movement to resist Japanese rule.
      • Notable figures: Leaders like Min Jong-seok, Choi Ik-hyeon, Sin Dol-seok, and others resisted Japanese rule within Korea.
      • This involved citizens who participated in violent and non-violent ways to oppose Japanese rule.
    • Korean Patriotic War: This involved a resistance fight to resist the Japanese rule in all phases.
      • Korean resistance involved many citizens from all social classes - both wealthy and poor people.

Dokdo and Gando

  • Dokdo (Takeshima):

    • Dokdo was an important and indigenous territory of Korea and existed since ancient times
    • This island was claimed by Korea via declaration, and administrative documents.
    • Japan illegally claimed Dokdo while the Russo-Japanese war was going on.
  • Gando: - Gando is the area between the Tumen River and the Songhua River. - It was demarcated by the Joseon Dynasty and the Qing Dynasty using the Baekdu Mountain Boundary Stone in 1712. - This boundary agreement defined the territory that Koreans resided in Gando. - The Treaty of Gando made the Gando territory a formal part of the Qing territory, and the associated mineral and land rights were ceded to Japan.

Anti-Japanese Guerrilla Warfare

  • Eumiybong (Late 19th Century):

    • The movement was in response to the Japanese reforms and associated political and social upheaval.
    • This was a unified effort of Korean citizens.
  • Eulsa Uprising (1905 - 1909):

    • This uprising was in response to Japan's increasing aggression.
  • Jeomi Uprising (1907-1910):

    • This uprising was a large-scale resistance to the Japanese occupation and associated policies.
    • Led by figures like Lee In-yeong, unifying people from different regions and classes to fight against Japanese rule.
    • This uprising involved the use of military strategies and weaponry from various regions of Korea.

Patriotic Enlightenment Movement

  • Background: The desire for Korea to have independent governance.
  • Methods: Focus on education and industrial development to cultivate patriotism and national awareness, thereby resisting Japanese rule.
  • Organizations:
    • Boanhoe (Security Association):
      • Focused on organizing resistance against Japanese demands for land.
      • Resisted the Japanese occupation and fought against Japanese rule.
    • Hundeon Gung-gukhoe (Constitutional Research Society):
      • Succeeded the Tongniphoe and advocated for a constitutional monarchy.
    • Daeehan Jakghoe (Great Korea Self-Strengthening Society):
      • Emphasized strength-building to protect national sovereignty.
      • Published pamphlets and books to promote nationalistic sentiment.
    • Shinminhoe (New People's Association):
      • Established schools (e.g., Tae-seong School), fostered nationalism through education, and worked for a democratic republic.

National Defense, Economic, and Cultural Changes in the Modern Age

  • Economic Penetration of Foreign Powers:

    • The opening of Korean ports to trade led to the entry of Japanese traders.
    • The unequal treaties (e.g. Ganghwa Treaty) greatly harmed Korea's economy, and benefited Japanese traders.
    • Korea's domestic industry suffered greatly because of the unregulated and unfairly priced imports from Japan. Thus creating a hardship in the domestic sector.
    • Local Korean merchants and their businesses were heavily burdened from having to deal with the influx of foreign traders.
  • Economic Resistance and Movements:

    • Economic resistance movements: Many merchants and other business owners held protests against these economic vulnerabilities.
    • Economic movements: Businesses and groups resisted to protect their businesses from being hurt by Japanese economic activity. The resistance included protests and political action.
      • Bukgugeong (Joseon Bank): Established to defend Korean economic interests
      • Hangseong Bank (1897): A response Japanese financial influence
      • Daehan Cheonil Bank (1899):
    • National Defense Against Economic Losses:
    • Various initiatives were launched to promote the independence and development of Korean businesses and industries.
  • National Defense Movement and Economic Development:

    • Gukche Bosang Undong (National Compensation Movement): A national movement to collect funds to pay off Korea's national debt. This was an initiative that directly challenged the Japanese occupation.
    • Economic Development Initiatives: Numerous initiatives were created to address the issues around economic independence, resistance, and national sovereignty. These initiatives involved many social sectors (e.g. merchants, local business owners).
  • Modern education and news sources:

    • Korean schools and universities: There was a marked increase in education.
      • Western educational systems were adopted, and Korean educators and community members established schools and institutions to help people learn more critically about Japanese rule.
    • Newspapers: Many newspapers were established to raise national awareness of the situation. Many newspapers openly opposed the oppressive Japanese regime. Examples include
      • Daehan Maeil Sinbo
      • Hangseong Sunpo
  • Religious Developments:

    • Emergence of Christianity and other religions in Korea during this time. The increasing presence of other religions promoted more social awareness.
    • The rise of Christian communities caused a shift in Korean society.
    • Christianity fostered social change, independence, and a resistance against Japanese rule.

Korean Independence Movement

  • Anti-Japanese Secret Societies:

    • Independant Army Corps: established to resist Japanese rule in various regions of Korea (particularly in Manchuria).
  • Establishment and Activities of the Provisional Government:

    • Formation of the Republic of Korea Provisional Government: establishment of a government-in-exile during the Japanese occupation.
      • Various Korean groups from various places formed a unified government to fight for Korean independence from the Japanese rule in Korea.
  • Guerrilla Warfare:

    • Armed resistance to Japanese occupation: Armed groups, trained in guerilla tactics, fought against Japanese forces. These groups included local workers, farmers, students, and other residents of Korea.
  • Cultural Activities:

    • Cultural activities to encourage nationalism and resistance. Korean writers, historians, artists, and other cultural leaders promoted nationalism and resistance through their work.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한국사 부교재 PDF

Description

이 퀴즈는 1904-1905년 러일 전쟁과 그 이후의 일본의 한국 지배 강화를 다룹니다. 일본은 한국의 외교력을 약화시키며 여러 조약을 체결하고, 민족주의 단체의 저항에 직면했습니다. 이 시기의 역사적 사건들을 통해 한일 관계를 이해해보세요.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