근육계통 총론
10 Questions
2 Views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Questions and Answers

뼈대근육의 특징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 정신적 조절이 필요하다.
  • 항상 불수의적이다.
  • 자율적으로 움직일 수 있다.
  • 가로무늬 구조를 가진다. (correct)
  • 심장근육의 중요한 특징은 무엇인가?

  • 의식적으로 조절할 수 있다.
  • 뼈대근육과 동일한 수축 방식을 가진다.
  • 주로 자율신경계에 의해 조절된다. (correct)
  • 근육의 길이가 항상 변한다.
  • 근육의 부착과 작용에서 고정점의 정의는 무엇인가?

  • 이동하지 않는 점이다. (correct)
  • 모든 근육에 해당하는 부분이다.
  • 움직이는 점이다.
  • 근육이 붙는 지점이다.
  • 등척성 수축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p>관절과 근육의 길이가 유지된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근육의 수축 유형 중 등장성수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p>고정된 중량 부하로 힘을 생성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근육 원섬유의 구성에서 Z선의 기능은 무엇인가?

    <p>근육의 기본 단위를 형성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주작용근의 정의는 무엇인가?

    <p>움직임에 대해 가장 주도적으로 작용하는 근육이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근수축 유형 중 등속성 수축의 특징은 무엇인가?

    <p>일정한 속도로 수축과 이완이 이루어진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근육섬유의 기본 단위는 무엇인가?

    <p>근절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민무늬근육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

    <p>내장 기관의 운동에 관여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골격근(뼈대근육)

    인체의 움직임을 담당하는 근육으로, 뼈에 부착되어 있습니다.

    근육섬유(근섬유)

    근육을 구성하는 기본 단위로, 수축성을 가진 섬유상 세포입니다.

    근육원섬유

    근육섬유 내 미세한 섬유, A띠와 I띠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등장성 수축

    근육의 길이가 변화하면서 힘을 생성하는 수축 방식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등척성 수축

    근육의 길이가 변하지 않고 힘을 생성하는 수축 방식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힘줄(건)

    근육을 뼈에 연결하는 단단한 조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기시(origin)

    근육이 부착되는 고정점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정지(insertion)

    근육이 부착되는 움직이는 점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주작용근

    움직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근육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길항근

    주작용근의 반대 방향으로 작용하는 근육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근육계통 총론

    • 근육(muscle)은 수축성이 있는 조직으로, 신경 자극에 반응해 수축(contract)하고 이완(relax)한다.
    • 근육은 장기로 분류되는데, 근육 조직 외에도 상피, 결합, 신경 조직이 함께 존재하기 때문이다.
    • 근육은 관절을 고정, 자세 유지, 운동, 체온 발생 등 4가지 중요한 기능을 수행한다.
    • ATP가 필요하다.
    • 근육 조직은 과민성(irritability), 수축성(contractility), 확장성(extensibility), 탄력성(elasticity) 등의 기능적 특성을 가진다.

    인체의 근육

    • 뼈대근육(골격근, skeletal muscle): 가로무늬근(striated muscle), 수의근(voluntary muscle)으로 체중의 40~45%를 차지한다. 원통형이며 뼈에 부착되어 있다.
    • 심장근육(심근, cardiac muscle): 가로무늬근에 속하지만, 가지형태. 불수의근(involuntary muscle). 심장벽에 존재하며 혈액 순환을 담당한다.
    • 민무늬근육(평활근, smooth muscle): 불수의근. 내장 및 혈관벽에 존재하며, 소화관 운동과 같은 내장 운동에 관여한다.

    뼈대근육의 구성

    • 잔섬유(filament, thin filament 및 thick filament) → 근섬유(myofibril) → 근섬유다발(fascicle) → 근육(muscle) → 근막(fascia) → 힘줄(tendon) → 골막(periosteum)으로 구성된다.
    • 근육원섬유마디(sarcomere)는 근육의 조직학적 단위이며, Z disc 사이의 부분을 말한다. 약 2.5µm이다.
    • A띠(dark band)와 I띠(light band)로 구성된 근육원섬유마디는 구성단백질, 액틴(actin), 미오신(myosin) 등으로 구성된다.

    뼈대근육의 수축

    • 운동신경에서 아세틸콜린이 분비되어 신경근육연접을 통해 자극이 전달된다.
    • 근육세포질그물에 저장된 Ca2+ 이온이 방출되어 교차결합을 형성한다.
    • 가는섬유와 굵은섬유의 상호작용(sliding filament theory)를 통해 근수축이 발생한다.
    • 근육의 길이 변화에 따라 등장성 수축(isotonic contraction)과 등척성 수축(isometric contraction)이 있다.

    근육의 부착과 작용

    • 근육은 뼈에 닿는 부분을 이는곳(origin), 닿는곳(insertion)으로 나눈다.
    • 주요 근육, 보조 근육, 협력 근육, 대항 근육 등의 작용을 이해해 근육의 기능을 파악할 수 있다.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Description

    이 퀴즈는 근육계통의 기본 개념과 기능, 그리고 인체의 근육 종류에 대해 다룹니다. 근육 조직의 특성과 뼈대근육의 구성요소에 대한 이해도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