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에너지(energy)라는 단어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에너지(energy)라는 단어의 어원은 무엇인가요?
고대 그리스어 '에네르게이아(Energeia)'에서 유래했으며, '안(en-)'과 '일(ergon)'의 합성어입니다.
에너지 자원(Energy Resources)이란 무엇인가요?
에너지 자원(Energy Resources)이란 무엇인가요?
인간 생활에 필요한 에너지를 얻을 수 있는 원천을 의미합니다.
인간 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구분은 무엇인가요?
인간 활동과의 관련성에 따른 에너지 자원의 구분은 무엇인가요?
- 고체, 액체, 기체 에너지 자원
- 1차 에너지와 2차 에너지
- 자연적 에너지 자원과 인위적 에너지 자원 (correct)
- 재생 가능 에너지와 재생 불가능 에너지
재생 가능 청정에너지(renewable clean energy)의 예시를 들어보세요.
재생 가능 청정에너지(renewable clean energy)의 예시를 들어보세요.
바이오매스를 열분해 또는 발효시켜 얻는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바이오매스를 열분해 또는 발효시켜 얻는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다음 바이오에너지 종류와 그 원료를 연결하세요.
다음 바이오에너지 종류와 그 원료를 연결하세요.
다음 에너지 자원 분류와 그 종류를 연결하세요.
다음 에너지 자원 분류와 그 종류를 연결하세요.
가채 연수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가채 연수란 무엇을 의미하나요?
자연 상태 그대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자연 상태 그대로 에너지원으로 사용하는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1차 에너지를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변환 가공한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1차 에너지를 사용하기 편리한 형태로 변환 가공한 에너지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자원의 고갈 없이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한 에너지는 무엇인가요?
자원의 고갈 없이 지속적인 이용이 가능한 에너지는 무엇인가요?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어 언젠가는 고갈되는 에너지는 무엇인가요?
매장량이 한정되어 있어 언젠가는 고갈되는 에너지는 무엇인가요?
석탄은 유기물이 퇴적된 후 지열과 지압을 받아 _____ → 갈탄 → 역청탄 → _____ 순서로 탄화가 진행됩니다.
석탄은 유기물이 퇴적된 후 지열과 지압을 받아 _____ → 갈탄 → 역청탄 → _____ 순서로 탄화가 진행됩니다.
다음 석탄의 종류와 주요 용도를 연결하세요.
다음 석탄의 종류와 주요 용도를 연결하세요.
점결탄(coking coal)을 가열하여 만드는 연료는 무엇이며, 주된 용도는 무엇인가요?
점결탄(coking coal)을 가열하여 만드는 연료는 무엇이며, 주된 용도는 무엇인가요?
석유의 주성분은 무엇인가요?
석유의 주성분은 무엇인가요?
땅속에서 뽑아낸 정제하지 않은 상태의 석유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땅속에서 뽑아낸 정제하지 않은 상태의 석유를 무엇이라고 하나요?
세계 3대 유종(벤치마크 원유)은 무엇인가요?
세계 3대 유종(벤치마크 원유)은 무엇인가요?
석유가 지하에 모여있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암석 종류(오일 트랩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요?
석유가 지하에 모여있기 위해 필요한 세 가지 암석 종류(오일 트랩 구성 요소)는 무엇인가요?
Flashcards
자원이란?
자원이란?
에너지, 즉 일을 할 수 있는 능력의 근원
수력 발전이란?
수력 발전이란?
물을 가두어 에너지로 변환하는 발전
조력 발전이란?
조력 발전이란?
바닷물의 움직임으로 에너지를 얻는 발전
파력 발전이란?
파력 발전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풍력발전이란?
풍력발전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열 발전이란?
지열 발전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태양광 발전이란?
태양광 발전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소에너지란?
수소에너지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바이오매스란?
바이오매스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non-renewable energy?
non-renewable energy?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Renewable Energy란?
Renewable Energy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석탄이란?
석탄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무연탄이란?
무연탄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유연탄이란?
유연탄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석유(Petroleum)란?
석유(Petroleum)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경질유란?
경질유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중질유란?
중질유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중질유란?
중질유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원유(Crude oil)란?
원유(Crude oil)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WTI란?
WTI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브렌트유란?
브렌트유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두바이유란?
두바이유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에너지 자원 개요
- 에너지의 어원은 그리스어 '에네르게이아'로, 내재된 힘을 의미하며, 이는 일을 할 수 있는 근원적인 힘을 지칭
- 에너지 자원은 인간의 생활과 산업 활동에 필요한 힘을 얻을 수 있는 자연적 또는 인공적인 요소들을 의미
- 이러한 자원은 연소, 화학 반응, 핵 반응, 태양 복사 등을 통해 에너지를 방출하거나 변환할 수 있음
에너지 자원의 분류
- 에너지 자원은 화석 연료, 핵 에너지, 자연 에너지로 분류됨
- 화석 연료는 지질시대에 존재하던 동식물 잔해가 변질되어 만들어진 재생 불가능한 에너지원
- 핵 에너지 자원은 핵분열용(우라늄)과 핵융합용(중수소)으로 구분
- 자연 에너지 자원은 수력, 조력, 파력, 풍력, 지열, 태양광, 수소, 바이오매스 등을 포함하는 재생 가능한 청정 에너지원임
신에너지와 재생에너지
- 신에너지는 화석 연료를 변환시켜 이용하거나 수소, 산소 등의 화학 반응을 통해 전기 또는 열을 얻는 에너지를 포함
- 수소에너지, 연료전지, 석탄 액화·가스화 에너지 등이 해당
- 재생에너지는 햇빛, 물, 지열, 강수, 생물 유기체 등 재생 가능한 에너지원을 변환시켜 이용하는 에너지
- 태양 에너지, 풍력, 수력, 해양 에너지, 지열 에너지, 바이오 에너지 등이 해당
조력, 조류, 파력 발전
- 조력 발전은 해수면의 상하 운동을 이용
- 조류 발전은 울돌목과 같이 유속이 빠른 해역에서 조류의 흐름을 이용
- 파력 발전은 파도의 에너지를 이용
에너지 자원의 분류 기준
- 발생 원천에 따라 1차 에너지(자연에서 직접 획득)와 2차 에너지(1차 에너지를 변환)로 분류
- 1차 에너지 예시: 석탄, 석유, 태양광, 풍력, 수력, 원자력
- 2차 에너지 예시: 전기, 수소, 석유 제품(휘발유, 경유, 등유)
- 재생 가능 여부에 따라 재생 가능 에너지(지속적인 공급)와 비재생 에너지(한정된 양)로 분류
- 재생 가능 에너지 예시: 태양광, 풍력, 수력, 바이오매스, 지열
- 비재생 에너지 예시: 석탄, 석유, 우라늄
- 석탄, 석유, LNG는 화석연료, 원자력은 핵에너지, 수력등은 재생에너지에 해당
- 사용 형태에 따라 화석 연료, 핵 에너지, 대체 에너지로 구분
- 화석 연료 예시: 석탄, 석유, 천연가스
- 핵 에너지 예시: 원자력 발전 (우라늄, 플루토늄)
- 대체 에너지 예시: 수소 에너지, 연료 전지, 인공 광합성 기술
화석 연료 자원: 석탄
- 석탄은 오랜 기간 동안 동식물이 퇴적되어 탄화 과정을 거쳐 형성된 퇴적암으로, 탄소, 수소, 산소 등으로 구성
- 매장량이 풍부하지만 환경적으로 불리한 화석 연료임
- 석탄은 탄소 함량, 휘발성 물질, 불순물 함유량, 기공 구조, 색상과 광택으로 특성을 구분
- 탄소 함량이 높을수록 열량이 높고 품질이 좋음
- 석탄은 습지, 늪지대에서 유기물이 축적된 후 부패 및 탄화 과정을 거쳐 생성
석탄의 분류
- 석탄은 탄소 함량과 변질 정도에 따라 이탄(Peat), 갈탄(Lignite), 아역청탄(Sub-bituminous coal), 역청탄(Bituminous coal), 무연탄(Anthracite)으로 분류
- 이탄은 초기 단계의 석탄으로, 탄소 함량이 낮고 수분 함량이 높음
- 갈탄은 이탄보다 탄화도가 높으며, 역시 수분과 휘발성 물질이 많음
- 아역청탄은 갈탄보다 탄소 함량이 높고, 주로 발전용 연료로 사용
- 역청탄은 탄소 함량이 80~90%로, 열량이 높아 화력 발전, 제철, 시멘트 생산에 사용
- 무연탄은 탄소 함량이 가장 높고, 연소 시 연기가 적어 난방용 연료 및 산업용으로 사용
전세계 석탄 매장량 분포 (2020년 기준)
- 총 매장량: 약 1조 69억 6,360만 톤
- 주요 매장 국가:
- 미국: 23.2%
- 러시아: 15.1%
- 호주: 14%
- 중국: 13.3%
- 인도: 10.3%
- 상위 5개국이 전체 매장량의 약 76%를 차지
전세계 석탄 생산 동향 (2022년 기준)
- 총 생산량: 약 85억 8,200만 톤
- 주요 생산 국가:
- 중국: 전 세계 총생산량의 52%
- 인도: 11%
- 인도네시아: 13%
석탄소비
- 2023년 석탄 소비는 전년 대비 2.2% 증가할 것으로 예상
- 2024년에는 소비량이 역대 최고치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
- 주요 소비국은 중국과 인도이며, 이들 국가에서는 경제 성장 및 전력 수요 증가로 석탄 소비가 증가
- 반면, 서방 국가에서는 청정 에너지원으로 전환을 추진하며 석탄 의존도를 감소시키는 추세
- 미국과 유럽연합(EU) 등 선진국에서는 석탄 발전량이 이미 정점을 지났으며 2024년에는 각각 5%와 12% 감소할 것으로 예상
화석 연료 자원: 석유 (Petroleum)
- 석유는 오랜 기간 동안 유기물이 지하에서 분해 및 변형되어 형성된 액체 화석 연료로, 탄화수소로 구성
- 원유(Crude Oil) 상태로 존재하며, 정제 과정을 거쳐 휘발유, 경유, 등유 등의 다양한 석유 제품으로 가공
- 경질유는 휘발성이 강해 쉽게 증발하고 경질유와 중질유의 중간 성질을 갖는 석유도 있다
석유의 특징
- 밀도는 물보다 낮아 물 위에 뜨고, 탄화수소 성분에 따라 휘발성이 강해 휘발유와 같은 경질유는 쉽게 증발한다
- 연소 시 높은 열량을 발생시키며, 원유의 종류에 따라 점도 차이가 크다
- 다른 석유 제품과 쉽게 혼합되어 다양한 연료와 제품 생산이 가능하고, 유출 시 환경 오염을 유발할 수 있다
석유 생성 과정
- 바다와 호수에 서식하던 해양 미생물과 플랑크톤이 사멸 후 퇴적물 속에 매몰되어 분해되면서 원유와 천연가스로 변환
- 생성된 석유는 다공성 암석 (저류암)에 갇히게 되며, 개발 가능한 유전(Oil Field)을 형성
원유의 분류
- 원유는 성질, 유황 함량, 산지에 따라 분류
- 경질유 (Light Crude Oil): WTI(West Texas Intermediate), 브렌트유 (Brent Crude)
- 중질유 (Medium Crude Oil): 경질유와 중질유의 중간 성질
- 초중질유 (Extra Heavy Crude Oil): 점성이 매우 높으며 고온 처리 후 운송, 매장량은 풍부, 베네수엘라 원유
- 저유황 원유(황 함량 5% 미만)와 고유황 원유(탈황 공정 필요)로 나뉨
- 산지별 분류: WTI(미국 텍사스), 브렌트유(북해), 두바이유(중동)
석유 발견의 필수 조건
- 근원암 (Source Rock): 유기물이 풍부한 퇴적암
- 저류암 (Reservoir Rock): 석유가 모여 저장되는 다공질 암석 (사암, 석회암, 돌로마이트 등)
- 덮개암 (Cap Rock, Impermeable Rock): 석유가 새어 나가지 않도록 덮는 불투수성 암석
전 세계 석유 매장량 분포
- 2020년 말 기준, 확인된 매장량은 약 1조 7천억 배럴
- 중동 지역: 약 50%
- 아메리카 대륙: 약 30%
- 아프리카: 약 8%
- 유럽 및 아시아: 각각 약 8%
-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이라크 등 중동 지역에 석유 자원이 집중
전 세계 석유 생산 동향
- 2024년, 세계 석유 공급량은 전년 대비 약 120만 배럴/일 증가하여 평균 5,300만 배럴/일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 미국은 셰일 오일 생산 증가로 생산량이 지속적으로 증가
- 캐나다는 오일샌드 개발 확대로 생산량이 늘어나고 있다
전 세계 석유 소비 동향
- 2024년, 세계 석유 수요는 전년 대비 약 80만 배럴/일 증가하여 총 1억 360만 배럴/일에 도달할 것으로 예상
- 중국의 경제 성장 둔화로 석유 수요 증가세가 약화
- 전기차 보급 확대가 석유 수요에 영향을 미치고 있음
- 석유 수요가 2029년에 정점을 찍고 이후 감소 전망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