체육학의 구성 체계 PDF

Summary

이 문서는 체육학의 구성 체계에 대한 내용을 담고 있습니다. 체육학은 인간의 신체 활동과 관련된 인문학적, 사회학적, 자연과학적 측면을 종합적으로 다루는 학문입니다.

Full Transcript

Ⅱ. 체육학의 구성 체계 체육학(體育學, physical education)은 신체활동 또는 인간 움직임에 대한 근원과 과정을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신체활동을 스포츠라고 할 때 스포츠 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객관적이 고 타당한 진리의 탐구가 체육학의 목적이라...

Ⅱ. 체육학의 구성 체계 체육학(體育學, physical education)은 신체활동 또는 인간 움직임에 대한 근원과 과정을 과학적 방법을 통하여 연구하는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 특히 체계적이고 구체적인 신체활동을 스포츠라고 할 때 스포츠 현상을 규명하고 이를 통해 객관적이 고 타당한 진리의 탐구가 체육학의 목적이라고 할 수 있다. 체육학이 학문적으로 발전해 나감에 따라서 연구 분야도 더욱 다양해져 가는 추세이 다. 인간 움직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단순히 한 분야의 이론만으로는 설명이 부족하 기 때문에 다양하고도 종합적인 측면에서 이해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체육학의 영역 하나의 독립된 학문으로 자리 잡아가고 있는 체육학의 정체성이 체육교육과 스포츠 과학으로 함축될 때 전자는 체육학의 전문직업적 영역, 후자는 학문적인 영역으로 간 주할 수 있다. 캐처(Katch, 1990)는 학문성과 전문성의 측면에서 체육학의 정체성을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체육학의 영역) 또한 체육학은 기존의 여러 기초학문 분야를 포함하는 종합과학으로 봐야 한다. 왜 냐하면 신체활동의 정확한 규명은 철학이나 역사학 등의 인문과학 측면뿐만 아니라 생리학이나 역학 등 자연과학 측면에서도 평가될 때 보다 과학적이고 타당성을 지니 기 때문이다. 체육학이 종합과학으로서 기존의 모든 기초학문을 근간으로 이루어짐은 아래의 그림처럼 인간 움직임의 규명을 위한 연구와 제반 학문과의 관계를 통해서 알 수 있다(Nixon & Jewett, 1980). (인간 움직임의 연구) 2. 체육학의 분야 인간의 움직임을 어느 한 분야의 학문만으로 설명한다는 것은 불가능하다. 이러한 측면에서 인문과학과 사회과학, 그리고 자연과학적인 측면에서 설명하려는 노력이 있 어왔으며, 이에 따라서 세부 학문 분야가 파생되어 왔다. 체육학에 있어서 인문과학 분야로는 체육사, 체육철학 등이 포함된다. 사회과학 분야 로는 스포츠사회학, 스포츠심리학, 스포츠교육학, 스포츠경영학, 여가·레크리에이션 등 이 이에 해당한다. 또한 자연과학 분야로는 운동역학, 운동생리학, 스포츠영양학, 운 동처방, 트레이닝, 운동해부학 등이 있다. 이처럼 체육학은 그 목적에 따라서 여러 가지 세부 학문으로 파생되어 왔으며, 계속 해서 더욱 세분화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이는 인간의 움직임을 어느 한 쪽의 시각 으로만 설명하려 하거나 학문 이기주의가 나타날 수 있는 위험도 있다. 최근에는 이 에 대해서 인간의 움직임을 정확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세부 학문 분야가 통합되어서 설명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서 학문 간의 통합인 통섭(consilience)이 강조되고 있다. 1) 인문과학 분야 인문학人文學은 사전적으로 ‘언어, 문학, 역사, 철학 따위를 연구하는 학문’을 의미 하며, 인류의 모든 문화에 대한 것을 탐구한다. 인문학은 자연과학과 대조되는 개념으 로 사용되고 있는데, 자연과학처럼 객관적으로 존재하는 현상을 관찰해서 얻는 정보 를 설명하려는 시도보다는, 분석적이고 비판적이거나 사변적(경험에 의하지 않고 순수 한 이성에 의하여 인식하고 설명하는 것)인 접근방식을 사용한다. 간단히, 사람이 만 들어 내지 못하는 것을 자연과학에서 연구한다면, 처음부터 사람이 창조한 것을 인문 학에서 연구한다고 이야기하기도 한다. (1) 스포츠철학(한국체육철학회 1991년 창립) ① 스포츠철학의 의미 철학은 인간과 세계의 현상과 가치에 대한 탐구, 그 근본원리나 삶의 본질을 연구하 는 학문으로 표현된다. 스포츠철학은 체육스포츠를 중심으로 한 철학이라고 볼 수 있 는데, 체육스포츠와 관련된 용어를 명확히 하는 것으로부터 시대의 흐름과 사조를 통 해 체육스포츠를 탐구하는 일까지, 그 범위를 한정하기 힘들다. 이 영역들은 17세기 이후부터 구체화되기 시작하여 주로 존재론, 인식론, 가치론을 탐구한다. 존재론은 모든 존재의 근원이나 궁극적 원리를 탐구하는 것이고, 인식론은 ‘앎’ 혹은 지식의 본질이나 기원 또는 방법이나 구조를 탐구하는 것이다. 가치론은 가 치가 무엇이고 가치와 사실이 어떤 관계를 가지며 이 가치를 판단하는 것이 정당한 것인지 등에 대해 탐구한다. 즉 가치론은 윤리학과 미학을 다룬다. 체육스포츠의 예를 들면 체육, 스포츠, 움직임, 신체활동이 무엇인지 탐구하는 방식 은 존재론이고, 체육스포츠에 관련된 지식에 대한 탐구는 인식론이며, 체육스포츠의 가치에 대해 논하는 것은 가치론이라고 볼 수 있다. ② 스포츠 철학의 연구분야 어린 유아가 달리는 것과 육상선수가 트랙에서 달리기를 하는 것은 본질적으로 같은 운동이라고 할 수 있지만, 그 의미는 같다고 할 수 없다. 유아는 그저 ‘놀이’를 했을 수 있지만, 선수에게는 일생일대의 중대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달리기일 수 있다. 달리기의 의미에 왜 차이가 나타나는지에 대한 궁금증은 철학적 사유를 통해 해결 가 능할 것이다. 스포츠철학의 주요 연구영역은 어떤 철학사상으로 체육스포츠를 설명하 느냐에 따라 나뉠 수 있다. 철학은 시대에 따라 그 흐름의 양상이 다르게 나타나는데, 스포츠철학은 이러한 철 학적 흐름에 따라 체육스포츠를 탐구하기도 하고, 관련 인물의 사상을 탐구하기도 한 다. 스포츠철학의 체육사상 연구에 있어서 두드러진 특징 중의 하나는 특정한 인물 혹은 그 인물이 펼치고 있는 사상의 체계를 중심으로 연구하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스포츠철학은 초기 ‘놀이, 게임, 스포츠’의 존재론적인 분석을 주로 하였으나, 현대에 는 실천철학으로써 스포츠윤리학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 체육사(한국체육사학회 1993년 창립) ① 체육사의 의미 앞서 철학이 시대의 흐름과 관계가 있다고 했는데, 체육의 역사를 다루는 체육사와 철학은 상당히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다. 체육학의 한 영역으로서 체육사는 체육의 여러 사상事象(관찰할 수 있는 사물과 현상)의 발전을 그것과 관계있는 사회와 관련 지어 연구하는 학문이다. 역사연구의 특징은 존재하고 있는 역사적 자료를 근거로 연 구하는 것으로, 체육사 역시 방법을 같이 하고 있다. 역사는 인간의 자기인식을 목적으로 한다. 이런 측면에서 체육의 역사를 탐구하는 것은 체육의 나아갈 방향을 설정하기 위한 출발점이라고 볼 수 있다. 현대 체육의 흐름이 서양을 중심으로 하고 있기 때문에, 체육에 대한 역사적 탐구 역시 서양체육을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그러나 최근 고유한 전통에 대한 가치가 재평 가되면서, 우리나라 또는 동양의 체육 관련 역사적 탐구도 활발히 이루어지고 있다. ② 체육사의 연구분야 현재 올림픽에서 치러지고 있는 스포츠 종목들은 어디에서 유래되었을까? 달리기나 수영과 같은 종목은 인류가 생존을 위해 기본적으로 해야 했던 활동들을 바탕으로 했 을 것이다. 동계올림픽종목의 경우에도 눈 덮인 산을 잘 올라갈 수 있거나, 내려올 수 있는 기술에서 출발했다. 그렇다면 도구를 사용하는 종목은 어디에서 왔을까? 양궁, 사격, 창던지기를 생각해 보면 이런 기술은 선사시대에 짐승을 사냥하는데 쓰였으며, 고대사회에서 전쟁을 수 행하기 위해 필요한 기능이었기도 하다. 전쟁의 기술을 뽐내고 겨루기 위해 시작된 것이 스포츠 경기였던 것이다. 우리가 전쟁기술에서 유래한 종목들을 겨루며 즐기고 있다는 사실은 체육의 의미를 다시 돌아보게 하는 계기를 만들어준다. 첨단무기의 등장 때문이기도 하지만 세계대 전이 종식된 현 사회에서 전쟁을 위한 활쏘기, 창던지기 등의 기능은 그 중요성이 덜 해졌다. 이러한 이유 때문에 현 사회에서는 ‘재미있게 즐기기 위해’ 만들어진 골프, 야구, 농구, 배구, 테니스, 배드민턴 등의 종목이 더욱 인기 있는 것인지도 모른다. 이렇게 현 시대의 체육에 대한 통찰력을 이끌어 내도록 하는 것이 역사의 역할이라 고 볼 수 있다. 체육의 역사적 접근은 시대와 장소를 총망라하여 이루어지고 있으며, 체육문화에 영향을 미친 인물을 중심으로 연구가 이루어지기도 한다. 2) 사화과학 분야 (1) 스포츠 심리학(한국스포츠심리학회 1989년 창립) ① 스포츠 심리학의 의미 ‘연습 때는 정말 잘 하는데, 시합에서 실력이 안 나온다’는 선수에게는 스포츠심리 학적 접근이 필요할 것이다. 스포츠 심리학은 체육과 관련된 개인의 심리적 현상을 다루는 것에서부터 집단적으로 발생하는 심리적 현상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대상과 현상을 탐구한다. 이렇게 체육에서 일어나는 의식이나 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는 것이 스포츠 심리 학이다. 스포츠 심리학은 일반적 심리학과 마찬가지로 접근방법이 다양하기 때문에 자연과학과 사회과학을 넘나드는 학문으로 평가하기도 한다. 스포츠 심리학은 체육학의 한 분야로 스포츠 및 운동에서의 인간행동을 과학적으로 연구하고 그 지식을 실제적으로 적용하는 학문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스포츠 심리학 전문가는 연구를 통해 유용한 지식을 발견할 뿐 아니라 그 지식을 실제적으로 적용할 수 있도록 교육과 상담을 할 수 있는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② 스포츠 심리학의 연구분야 최근 일반 심리학에서 ‘긍정심리학’이라는 분야가 주목받고 있는데, 이는 그동안 ‘심 리적 문제를 밝히는 것’에 집중했던 일반 심리학의 틀에서 깨어나 ‘정상적 심리상태에 서 더 나은 삶을 위한 심리적 수준’을 탐구하는 것이라 하겠다. 긍정심리학은 1998년 에서야 대두되었는데, 스포츠 심리학이야말로 보다 나은 수행을 위한 ‘최상의 심리상 태’에 주목하여 발전된 학문으로서 긍정심리학보다 앞선다고 하겠다. 스포츠 심리학은 초기에 운동선수를 중심으로 보다 나은 경기력을 가진 선수의 성격 이나 특질을 탐구해서 일정한 법칙을 발견하려는 시도로 확산되었는데, 최근에는 선 수 뿐 아니라 일반 사람들이 운동을 지속하는 것에 대한 심리적 현상을 탐구하는 것 에도 관심을 기울이고 있다. 또한 생존보다는 삶의 질적인 향상에 관심이 많아졌기 때문에 신체활동과 긍정적 심리 효과에 대한 연구도 주목받고 있다. 현재 상담이나 심리기술훈련의 적용을 통해 스포츠 심리학적 지식을 실제 현장에 활 용하는 사례가 늘고 있으며, 자연과학적 방법을 적용한 운동학습이나 운동제어에 관 한 연구도 꾸준히 진행되고 있다. (2) 스포츠 사회학(한국스포츠사회학회 1990년 창립) ① 스포츠 사회학의 의미 인간은 ‘사회적 동물’이며, 사회 속에서 살아간다. 인간은 생존의 문제보다 사회적 문제를 더욱 중시할 수 있다. 공동생활을 영위하는 모든 집단은 사회에 속한다. 체육 은 이 사회 안에 존재하는 사람 또는 사람들 사이에서 일어나는 현상이며, 때로는 큰 사회적 영향력을 발휘한다. 스포츠 사회학은 신체활동, 체육, 운동, 스포츠와 관계된 생활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이 분야에서는 스포츠 현상을 사회현상으로 규정해서 사회학적 이론과 연구방법으로 설명하거나, 스포츠의 맥락에서 인간의 사회행동의 법칙을 규명하고자 하며, 신체활동 과 관련된 문화와 스포츠에 영향을 받고 있는 사람들의 행동 및 집단이나 개인적으로 스포츠 활동에 참여하는 사람들을 연구한다. 본 장 앞에 제시한 캐나다의 폭동은 아이스하키 경기를 계기로 일어났는데, 이를 단 순히 팀이 이기지 못했기 때문에 화난 개개인의 문제라고 보기는 어려울 것이다. 예 를 들어, 보다 많은 사람의 관심을 끌기 위해 TV 등 미디어를 이용해 ‘17년 만의’ 결 승진출과 우승의 환희를 강조하거나, 스폰서로 참여한 기업에서 조차 제품 광고에 우 승의 기대감을 높이는 마케팅 전략을 사용했을 수 있다. 이런 경우 미디어의 빈번한 노출이 사람들로 하여금 우승의 기대감을 높였고, 2위를 했음에도 불구하고 패배자가 된 것 같은 실망감을 느끼게 했을 것이라는 추측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런 현상은 스 포츠 사회학적 시각에서 민감하게 분석해야 할 부분이다. ② 스포츠 사회학의 연구분야 스포츠 사회학은 사회 곳곳에 일어나거나 혹은 영향을 미치고 있는 체육현상에 대해 이야기 한다. 그 중에서도 다른 체육학 분야에 비해 스포츠 사회학이 가지는 가장 특 별한 부분은 바로 ‘문제점’을 찾는 것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인다는 것이다. 우리가 재 미있고, 때로는 자랑스럽기까지 한 스포츠 경기를 보면서 지나치거나, 보이지 않는 그 늘을 스포츠 사회학자가 밝혀주기도 한다. 또한 사회학은 우기가 갖고 있는 ‘옳고 그름’이나 ‘정상과 비정상’과 같은 고정관념 을 틀을 벗어난 체육현상 속의 소수집단을 연구의 영역에 올려놓기도 한다. 예를 들 어, 스포츠 소외계층이나. 성(젠더gender), 스포츠 난민 등과 같은 주제다. 이러한 측면에서 스포츠 사회학 연구는 체육의 긍정적 측면과 함께 부정적 현상을 표면위에 올려놓음으로써, ‘체육의 문제점’을 인식시키고 개선점을 찾을 수 있는 계기 를 마련하기도 한다. (3) 스포츠 교육학(한국스포츠교육학회 1992년 창립) ① 스포츠 교육학의 의미 체육이 학교교육에서 이루어지기 시작했을 때 ‘체조’라는 과목으로 존재했던 것처럼 초기 체육교육은 신체단련(physical training)의 의미가 강했다. 이때 체육의 의미는 ‘신체의 교육(education of the physical)’이라는 의미로 표현할 수 있었다. 점차 체 육의 교육적 성과와 교육적 의미를 강조하게 되면서 체육교육(physical education)은 ‘신체를 통한 교육(education through the physical)’의 의미로써 교육의 한 영역으 로서 존재하게 되었다. 1950년대 체육학의 위기가 닥치고 체육의 학문화를 위한 노력이 강조되면서 체육교 육의 학문화를 위한 노력이 이루어졌다. 따라서 이전에 교육의 한 영역으로 존재했던 physical education 대신 체육교육을 과학적 시각으로 연구하고 하나의 학문적 영역 으로 정립하려는 시도가 전개되었고, 이에 따라 체육학의 하위영역으로서 sport pedagogy라는 학문영역이 수립되었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 분야 최대 학회인 한국스 포츠교육학회에서 이 명칭을 사용하고 있다. 저명한 스포츠 교육학자 Sidentop은 sport pedagogy를 ‘체력, 체육교육, 스포츠교육프로그램을 가르치는 과정, 이에 따른 결과, 이에 대한 내용을 아우르는 연구’로 정의하고 있다. 이렇게 스포츠 교육학은 학 교뿐 아니라 모든 장소에서 이루어지는 신체활동에 대한 모든 교육적 현상과 행위를 대상으로 하며, 이를 과학적으로 탐구하여 획득한 지식체계라고 볼 수 있다. ② 스포츠 교육학의 연구분야 우리나라처럼 국가교육과정을 운영하는 경우, 체육과 교육과정을 수립하는데 있어 스포츠 교육학자의 역할이 크다. 어떤 연령에서 신체, 인지, 정서를 아우르는 전인적 성장에 도움이 되는 적합한 신체활동을 적용할 것인지, 그것을 어떤 형식으로 학교교 육에 도입할 것인지의 문제가 걸린 때문이다. 스포츠 교육학자는 전반적인 교육과정의 지향점(사조)뿐 아니라, 내용과 교수법(교수 모형)에서부터 결과평가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이고 이론적인 지식을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스포츠 교육학은 가르침을 받는 대상뿐 아니라 교사교육에도 관심을 갖는다. 체육교사로서 갖추어야할 소양이나 자질에 대한 논의와 함께, 수립한 교육프로그램을 체계적으로 분석하는 데에도 관심을 갖는다. (4) 스포츠 산업 · 경영학(한국스포츠산업경영학회 1995년 창립) ① 스포츠 산업 · 경영학의 의미 스포츠 산업은 스포츠와 관련된 직접 또는 간접적인 재화財貨나 서비스를 생산하거 나 제공하는 것과 관계된 산업을 의미하며, 우리나라 스포츠 산업의 규모는 2014년 40조가 넘는 규모로 국내총생산(GDP)의 2.91%를 차지하고 있다. 우리나라의 스포츠 산업 규모는 점차 증가하는 추세로 앞으로도 이런 전망이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이 런 스포츠 산업의 성장과 더불어 스포츠 산업을 조직, 기획, 지휘, 통제, 나아가 조화 시킬 수 있는 경영능력의 필요성도 증대되고 있다. 스포츠 산업 · 경영학은 체육학 학문분야 중에서 비교적 최신 학문으로서, 스포츠 의 산업적 가치가 증대되면서 특히 2000년 이후 학문적 연구가 급격히 증가했다. 건 강에 대한 관심과 여가선용으로써의 스포츠에 대한 질적 욕구가 확장되고 있는 추세 에서 스포츠 산업에 대한 국가적 관심 역시 높아지고 있다. 2007년 ‘스포츠 산업 진 흥법’이 제정되고, 2012년부터 한국표준산업분류에 스포츠 산업이 포함되었으며, 한 국스포츠개발원에서 스포츠 산업관련 사업을 증대한 것이 대표적 예이다. 따라서 스포츠 산업 · 경영학의 필요성과 학문적 발전은 보다 증대될 것으로 예상된 다. 이를 위한 전문가의 양성과 활용방안에 대한 체육학자들의 신중한 고민과 방향제 시가 필요한 시기이다. ② 스포츠 산업 · 경영학의 연구분야 스포츠 산업 · 경영학의 관심이 증대된 계기는 올림픽 등 메가 스포츠 이벤트를 통 해 특정 기업이 유명해지고, 스포츠 경기를 통한 홍보효과에 대해 기업이 관심을 갖 게 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초창기 스포츠 산업 · 경영학 연구는 스포츠 마케팅 분 야에 많은 관심을 가지고 진행되었다. 특히 국내의 경우 스포츠 마케팅 분야에서도 소비자 행동에 관한 연구가 주류를 이루었다. 향후 스포츠 산업 · 경영학 연구는 스포츠와 관련한 법, 윤리, 정치, 경제적 주제 등 이슈를 중심으로 진행되거나, 스포츠 경영 환경, 경영 과정, 현장 중심적 접근 등 다 각적 방법을 사용한 균형적 주제의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제기되고 있다. 이런 연구 성과와 지식체를 토대로 스포츠 산업 · 경영학 전문가는 스포츠 경영현장에서 요구하 는 효과적 경영전략을 제시할 수 있어야 한다. 스포츠 산업 · 경영학 전문가를 양성하기 위한 체계적 교육과정에 대한 논의도 진행 되고 있는데, 스포츠 경영학개론, 스포츠 경영정보, 스포츠 경영 현장실습, 스포츠 마 케팅, 스포츠 시설관리, 스포츠 소비자 행동론, 스포츠 이벤트 기획론 등이 교육과정 의 주요 과목으로 대두되고 있다. 3) 자연과학 분야 골프를 잘 하는 데에는 이유가 있을 것이다. 골프를 더 잘하고 싶은 사람은 관심 있 고 실력 있는 프로골프선수의 폼을 따라하게 된다. 때로는 선수의 아주 하찮은 행동 까지도 면밀히 관찰하여 자신이 좋아하는 선수와 비슷해지려 노력을 한다. 그렇다면 골프를 잘하기 위한 이상적인 스윙의 각도, 혹은 이상적인 근력과 유연성 그리고 타 이밍이 있을까? 그리고 어떤 방법으로 이것을 규명할 것인가? 이런 의문을 해결하기 위해 연구자는 선수의 근력, 유연성, 관절의 각도, 골프 클럽 과 공의 임팩트 지점, 스윙 속도 그리고 그 외에 찾을 수 있을 만큼의 수많은 과제를 증명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 자연 과학적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자연과학은 주로 물리학, 생물학, 화학, 지구화학, 천문학으로 구성되며, 자연현상을 관찰함으로써 얻은 양적인 자료를 통해 현상을 이해하려 한다. 체육학에서도 인간의 신체와 움직임을 이런 자연과학적 접근을 통해 설명하려는 노력이 이루어졌다. 체육현상을 물리학, 생물학, 화학 등의 학문적 입장과 방법을 통해 설명한 것을 자 연과학적 접근이라고 할 수 있다. 체육의 자연과학적 학문 분야 중 대표적으로 운동 생리학과 생체역학에 대해 알아보자. (1) 운동생리학(한국운동생리학회 1988년 창립) ① 운동생리학의 의미 체육학대사전은 운동생리학(exercise physiology)을 다음과 같이 정의하고 있다. 인간의 운동기능과 그 발휘에 관한 응용 생리학의 한 분야인 동시에 운동의 문화적 형태인 스포츠, 체육활동의 합리적 발전, 사람들의 건강 향상에 기초적인 이론을 제 공할 것을 목적으로 한 스포츠 의학, 체육과학의 한 분야이기도하다. 운동과 근 · 신 경계, 호흡 · 순환 · 대사 · 적응 등의 생리학 외에 트레이닝, 체력과 그 측정, 발육 · 발달, 스포츠적성 등의 분야가 있다. 운동생리학은 이렇게 방대한 내용을 담고 있는데, 간단히 말해서 ‘신체적 운동에 대 한 일시적 반응 및 장기적 적응을 연구’하는 학문으로서, 최근에 운동생리학자는 방법 론적인 관점에서 어떤 질병에 대한 신체활동의 효과나 기전(mechanism)에 대한 연 구를 진행하고 있다. 운동생리학 연구는 처음에 에너지 대사나 신체활동에 의한 에너 지 소비 등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하여 건강증진이나 웰빙의 관점에서 방대한 생리학 적, 생화학적 연구가 이뤄지고 있다. 운동생리학은 전문체육 선수의 경기력 향상을 위해 활용할 수 있다. 이때 자신의 운 동에 적합한 트레이닝 방법을 찾거나 기술발휘를 위해 중점적으로 사용할 근육을 단 련하는데 운동생리학적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선수의 체력이나 호흡 또는 영 양상태 등 선수의 현재 상태를 진단하는데 운동생리학적 지식이 유용하게 사용된다. 만약 일반 사람이라면, 건강의 증진이나 질병의 예방, 체력향상 또는 부상의 예방을 위해 운동생리학적 지식을 사용할 것이다. ② 운동생리학의 연구분야 인간의 신체는 계속 활동한다. 우리 신체가 활동을 멈춘 때는 죽음에 이른 것이라 고 볼 수 있다. 일상생활에서 신체활동이 가장 적을 때는 수면상태이나, 수면상태에 있더라도 심장은 계속 뛰면서 폐에서 받아들인 산소를 몸 곳곳에 보내고, 자율신경에 의해 근육이 움직이면서 폐나 심장의 활동이 일어나게 된다. 뿐만 아니라 꿈을 꾸지 않더라도 뇌는 지속적으로 활동하며, 안구가 움직이거나, 뒤척이기 위해 팔과 다리 근 육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렇게 ‘가만히’ 있는 상태에서도 신체기관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쉬지 않고 움직이 는데, 신체가 운동을 할 경우에는 보다 유기적이고 활발한 움직임이 일어난다. 때문에 운동의 결과로 나타난 신체의 변화를 규명하는 것은 하나의 독립적인 기능만으로 설 명할 수 없다. 이렇게 운동생리학의 연구영역은 신체활동과 연관된 생리적 또는 생화학적 반응과 연관된 분야를 총체적으로 아우른다. 운동생리학적 연구를 위해 실제 선수나 사람을 대상으로 삼기도 하지만, 직접적으로 확인하기 힘든 신체 기관 내의 물질을 주제로 하거나 고혈압과 같은 만성질환에 작용하는 운동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동물실험을 수행하는 경우도 많다. 실험용 동물(특히 쥐)의 경우 실험환경과 처치(운동)환경을 효 과적으로 통제할 수 있고, 해부하여 특정 기관에 있는 물질을 검출할 수 있으며, 고 혈압이나 비만의 상태로 만들어 실험할 수 있기 때문에 운동생리학적 연구목적을 달 성하기 용이한 연구대상으로 여기고 있다. 운동생리학의 여러 연구분야 중 운동과 영양, 트레이닝, 운동처방 등은 각각 하나의 학문분야로 분리하여 연구되기도 한다. 특히 트레이닝의 경우, 최근 선수뿐 아니라 일 반인에 이르기까지 ‘자신에게 맞는 운동’을 하려는 욕구가 증가하면서, 적절한 운동법 을 계획 및 적용하는 전문 직종으로서 역할이 증대될 것으로 보인다. 운동처방의 경 우 ‘아픈 곳을 치료하기 위한’ 물리치료의 개념이 아니라, 의학적으로 치유가 되었더 라도 치료한 부분의 근력 증강 또는 전반적 체력수준을 평소 운동수준과 같이 단련하 면서도 부상 및 위험성을 최소화 한다는 측면에서 주목받고 있다. (2) 스포츠 생체역학(한국운동역학회 1976년 창립) ① 생체역학의 의미 생체역학(biomechanics)은 역학적 원리를 인체에 적용하는 것으로써 인체에 작용 하는 힘과 이에 대한 운동에 관한 연구를 의미한다. 의학에서는 인공관절과 같은 인 체의 기관이나 조직을 연구하는 분야의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유사한 용어로 kinesiology라는 용어가 있는데, 이것은 운동학‘으로 번역하기도 하 며, 힘에 대한 부분을 배제하고 주로 운동(움직임 자체)에 대해 연구하는 것을 의미한 다. 또한 운동역학(motor mechanics)은 자동차 등 기계의 힘과 움직임을 연구하는 학문으로 보기도 하지만, 신체가 힘을 내서 스스로 움직이거나 다른 물체를 움직이는 것을 연구의 주제로 삼는다. 현재는 신체활동에 역학을 적용한 학문분야의 경우 힘의 문제를 고려하지 않는 운동 학보다, 생체역학 또는 운동역학적 연구가 주를 이루고 있다. 우리나라의 경우 생체역 학과 운동역학이라는 용어가 혼용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이 분야의 가장 권위 있는 학회인 한국운동역학회는 생체역학으로 번역되고 있는 biomechanics 라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다. 생체역학은 전문체육 선수뿐 아니라, 운동 중 부상을 방지하거나, 새로운 운동 용구 를 개발하고, 운동 자세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유용한 방법이기도 하다. ② 생체역학의 연구분야 같은 힘을 주더라도 손으로 공을 치는 것과, 방망이를 들고 공을 치는 것에는 차 이가 있다. 또한 아주 강한 힘을 주었더라도 천천히 부딪히면 충격량이 작고, 작은 힘을 주었더라도 빠르게 부딪히면 충격량이 크다. 왜 그럴까? 이 문제를 밝혀줄 수 있는 것이 생체역학이다. 천분의 일초가 승부를 가리듯 아주 작은 힘과 타이밍의 차 이가 커다란 결과의 차이를 가져오는 것이 스포츠다. 따라서 미세한 신체의 움직임부 터 매우 빠른 움직임과 도구의 조작을 요하는 스포츠 분야에서 생체역학적 분석은 매 우 의미 있는 것이다. 신체를 하나의 물체로 보고 그 운동과 힘을 연구하는 관점은 단순하다고 볼 수 있지 만, 인간의 움직임이 무궁무진한 형태로 발현된다는 측면에서 생체역학적 분석방법은 다양화 될 수밖에 없다. 생체역학은 최근 운동기술의 향상뿐 아니라, 스포츠 산업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일반인의 운동 또는 스포츠 활동 참여가 늘어나면서 보다 질 높은 복장 및 용구를 사용하려는 욕구가 늘어나고 있기 때문이다. 가장 대표적인 예로 관절보호 신발이나 걷기에 적합한 신발인 워킹화의 탄생을 들 수 있다. … 최근 신발산업진흥센터 성능평가지원팀에서는 ㈜화승 르까프 관절보호신발에 대 한 평가 및 K-SWISS Tube 러닝화에 대한 기능적 평가, ㈜트렉스타 NESTFIT등산 화의 근피로도 측정, ㈜코오롱스포츠 근피로도 감소 효과를 가지는 등산화 개발, HEAD 베어풋 러닝화에 대한 족저압력 및 근활성도 평가, FILA Bubble 러닝화의 적 저압력 평가, ㈜블랙야크 트레블 워킹화의 후족각 분석 및 근피로도를 통한 평가, ㈜ 원광JFC 골프화의 스윙 및 보행 시 골프화의 우수성 등 다양한 카테고리 별 신발에 대한 생체역학적 성능평가가 이루어지고 있으며, 각 기업들은 성능의 우수성을 마케 팅에 활용하여 알리고 있다. 또한 신발 기업 브랜드들의 국외 글로벌화를 위하여 캐 나다 캘거리대학교, 미국 I-generator, 싱가폴 싱가폴국립대학교 등과의 컨소시엄으 로 국내외 생체역학적 성능평가를 진행하고 있다. … 이런 측정을 위해서 전문적인 장비와 충분한 장소가 필요하지만, 이것을 직접 연구하고 명확하게 해석할 수 있는 전문가는 생체역학적 지식을 활용하여 실제에 적용하는데 있어 예민한 감각을 갖추어야 할 것이다. 현재는 신소재와 첨단장비 가 급증하고 가볍게 몸에 착용할 수 있는 센서가 등장함으로써 자신의 동작을 수 월하게 관찰할 수 있는 시대가 되었다. 보다 질 높은 스포츠 문화와 건강에 대한 욕구가 나날이 증가하는 가운데 생체역학자는 정확한 동작의 측정이나 보다 이상 적인 동작에 대한 정보를 명확하게 제시해 줄 수 있어야 할 것이다.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