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호학개론: Nursing Theory - Korean PDF

Summary

This document is an introduction to nursing, covering nursing theory and philosophical approaches. It discusses philosophical trends such as empiricism, positivism, rationalism, pragmatism, phenomenology, existentialism, and postmodernism. It also discusses the ethical and practical knowledge of 간호.

Full Transcript

간호학개론 간호학의 이론적 배경Ⅱ 오늘의 학습성과(CO) 학습목표 01.간호의 이론적, 철학적인 배경을 이해하고 간호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수업성과(LO) 01. 간호학의 개괄적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09. 간호지식의 탐구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10. 간호행...

간호학개론 간호학의 이론적 배경Ⅱ 오늘의 학습성과(CO) 학습목표 01.간호의 이론적, 철학적인 배경을 이해하고 간호의 본질을 파악할 수 있다. 수업성과(LO) 01. 간호학의 개괄적인 특성을 설명할 수 있다. 09. 간호지식의 탐구방법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10. 간호행위의 도덕적 가치와 규범에 대해 이해할 수 있다. 11. 간호에서의 과학, 철학, 미학적 의미에 대한 이해할 수 있다. 학습 순서 ▪ 철학사조: 경험주의, 실증주의, 합리주의, 실용주의, 실존주의, 현상학, 포스트모더니즘 ▪ 간호의 철학적 접근 1 간호의 이론적 배경Ⅱ 철학사조 I. 경험 ▫ 모든 지식의 근원은 경험에서 비롯됨 주의 (Empricism) ▫ 로크(Locke) ▫ ‘마음이란 백지 또는 암실/ 모든 지식은 감각과 반성 통해 외적으로 주어지는 문자이며 빛’ ▫ 특징 ▫ 지식구축: 경험된 사실 자료 근거(귀납적) ▫ 현대과학의 기반 ▫ 간호의 영향 ▫ 시각적 단서+생리적 측정 ⇒ 간호 진단 및 중재에 필수 ▫ 간호과학의 발전, 연구방법에 기여 그림출처: 위키피디아/구글 II. 실증 ▫ 경험론에 바탕을 둔 과학적 접근 주의 ▫ 형이상학적인 사변 배격 (Positivism) ▫ 관찰이나 실험 등 검증 가능한 지식만을 진실로 인정하는 인식론적 태도(선입견, 이론적 관념 배제 ⇒ 관찰된 객관적 사실로부터 귀납적으로 도출된 지식만이 참된 지식) ▫ 콩트(Comte) ▫ 인간의 인식: 신학적 단계, 형이상학적 단계, 실증적 단계 ▫ 독일 실증주의 학파 발달에 영향 ▫ 포퍼(Popper): 수정된 실증주의 ▫ 지식이나 이론: 도전 불가능한 확고한 것이 아니라 확정되지 않은 추측 ▫ 관찰과 실험에 의해 오류 가능성에 대한 엄격한 시험 필요(견디지 못하는 이론은 버림받고 다른 추측이 대체) 그림출처: 위키피디아/구글 ▫ 간호의 영향 ▫ 간호학의 연구와 실무에 기반 ▫ 반복적인 경험, 관찰과 실험 통해 수집된 자료 계량화하여 확증하고 타당성 검증하는 과학적 지식구축 ⇒ 근거기반의 간호 ▫ 실증주의: 기계론적 환원주의적 세계관(인간=자연과학의 연구대상/ 인과론의 원리 적용) ⇔ 간호학의 인간관과 어긋남(인간 = 총체적 전인적 인격체) ⇔ 계량화할 수 없는 간호 현상 이해 한계 III. 합리 ▫ 이성이 지식의 원천(이성과 정신의 힘 옹호) 주의 ▫ 이성론, 이성주의(주관적인 감정, 경험: 비합리적 ⇔ 이성적, (Rationalis m) 논리적, 필연적인 것 중요) ▫ 경험론과 대립 ▫ 감각적, 경험적으로 인식된 사실의 진실성 부정 ▫ 참된 지식: 생득적, 명증적 원리에서 유래 ▫ 데카르트(Descartes) ▫ 정신과 신체의 이분법적 사고 ▫ 칸트의 관념론: 직관(감각적 자료 수용), 사유(감각적 자료를 관념적 틀 가지고 체계적으로 정리하는 것) 그림출처: 위키피디아/구글 IV. 실용 ▫ 지식의 가치를 행동의 결과로 판단 주의 ▫ 19세기~20세기 전반 미국의 주류 이룬 철학사조: 법, 교육, 정치, (Pragmatis m) 사회, 이론, 예술, 종교에 영향 ▫ 특징 ▫ 실재의 가변적 성질 강조 ⇒인간 지식: 실재에 적용하고 통제하는 도구 ▫ 비판적 경험론 계승: 연구활동에서 고정된 원칙이나 선험적 추론보다 현실 경험 중요 ▫ 생각, 명제의 실용적 의미: 현실에 적용할 때 발생하는 실제 결과에 의함 듀이(Dewey) ▫ 진리: 검증과정에 의해 결정 ▫ 관념: 외부 대상의 반영이나 모사가 아닌 행위의 도구 그림출처: 위키피디아/구글 V. 현상학 ▫ 실증주의, 객관주의에 대한 회의로 등장 (Phenomenolo gy) ▫ 후설(Husserl) ▫ “이념의 옷이 우리로 하여금 하나의 방법인 것을 참된 존재로 여기게 만든다” ▫ “상태 그 자체로 돌아가라” ▫ “엄밀학”: 철학 혹은 과학이 다루고자 하는 사태와의 적합성을 갖추어야 함 ⇒ 그대로 받아들이기 ▫ 현상학 ▫ 현상을 중요하게 여기는 철학사조, 인간의 살아있는 경험 연구 ▫ 의식의 작용(의식현상)을 분석하는 철학적 태도 그림출처: 위키피디아/구글 ▫ 현상학적 환원: 무비판적으로 익숙한 자연적 태도, 선입견 등 생각 중지 (현상학적 판단중지) ⇒ 순수 의식 속에 드러난 체험의 본질 탐구 ▫ 순수 체험의 본질 직관하여 기술 ⇒ 탐구의 목적 ▫ 본질: 대상이 그러한 의미를 지닌 대상으로 존재할 수 있게 해주는 무엇(예: 슬픔-슬픔이 되도록 하는 기본 구조) ▫ ‘의식’ 강조 ▫ 지식이 습득되는 과정, 지식에 대한 초점 제공 ▫ 영향 ▫ 철학, 연구 방법론에서 현상학의 다양한 갈래 발생 ▫ 간호학: 왓슨, 파시 등 여러 학자의 이론의 기반 VI. 실존주의 ▫ 현존하는 것이야말로 진실로 현실적으로 존재하는 것 (existentialism) ▫ 인간에게만 한정(실존하는 자는 오직 인간) ▫ 특징: (인간) 존재 이해, 실존 설명, 현실성 중시 ▫ 주체적 관점에서 인간의 완전한 자유와 책임 강조 ▫ 고독, 불안, 절망 등 한계 조건 추구 ▫ 실존 ▫ 고유한 개별자로 존재 ▫ 순수한 인격체(자유의 핵심) ▫ 어떤 특정한 방식으로 인간일 수 있음은 자신의 결단과 관련 ▫ 키에르케고르(Kierkegaard) ▫ “개인의 주체성이 진리” ▫ 인류는 개별적인 ‘나’와 ‘너’로 구성(실존주의 사상의 핵심) ▫ 신 앞에 선 고독한 인간 ▫ 실존단계(3단계) ▫ 미적 실존: 인간은 삶의 의미를 향락에서 발견 → (향락) 싫증, 자기 상실 ⇒ 윤리적 실존: 엄숙한 도덕률 따를 수 없는 후회, 도달 불가 → 절망 → 무력감 → 자기 내면의 고뇌와 모순 받아들이고 승화 ⇒ 종교적 실존: 인간은 하느님과 맺어진 생활 그림출처: 위키피디아/구글 ▫ 야스퍼스(Jaspers) ▫ 실존: “내가 그것에 바탕을 두고 사유하고 행동하는 근원”, “자기 자신과 관계되며 또한 그 가운데 초월자와 관계되는 것” ▫ 하이데거(Heideggar) : 세계 내 존재로서의 현존재 ▫ 기초적 존재론: 인간존재로서의 현존재의 존재 이해 통해 모든 존재하는 것에 대한 존재 의미 밝히려 함 ▫ 현존 재분석: 본래의 나로부터 분리되어 있는 비본래적인 삶으로부터 본래의 삶(실존) 회복 ⇒ 양심에 귀 기울이기 ▫ 양심: “나 자신 안에서 나 자신을 앞으로 불러세우는 침묵의 소리” 그림출처: 위키피디아/구글 ▫ 사르트르의 실존사상 ▫ 실존: 전 인류의 성실에 비추어 마땅히 저항해야 할 때 저항하는 인간 ▫ 인간: 의존할 수 있는 어떤 것도 찾아낼 수 없기 때문에 고독하고 자유로움 ⇒ 자유의 형벌 ▫ 존재의 두가지 영역 ▫ 즉자존재: 충만한 것, 동요하지 않는 것 안정된 것 등 대상으로서의 사물(인간도 대상화 시 즉자존재) ▫ 대자존재: 텅 비어있는 것, 동요하고 있는 것, 불안정한 상태 ▫ 간호의 영향 ▫ 인간관: 인간은 고유한 존재로 스스로 실존의 방식을 선택하는 자유로운 존재임 ▫ 상처, 질병 등 곤경 겪어내며 살아가야 하는 대상자들의 생생한 체험 ⇒ 간호사가 깊이 이해해야 하는 중요한 간호 현상 ▫ 파시(parse) “인간 되어감” 이론에 영향 ▫ 인간은 부분의 합 이상이며 환경과 인간은 불가분한 관계/ 간호는 인간을 돕기 위해 추상적인 지식체를 사용 ▫ 환자의 삶의 질에 초점 VII. 포스트 ▫ 모던(Modern): 18세기 계몽주의로부터 시작된 이성중심주의 모더니즘 시대 ⇒ 지나친 객관성 ⇒ 실존주의 ⇒ 포스트모던 운동 (Phenomenology) ▫ 모더니즘 철학 ▫ 보편성, 객관성, 과학주의, 절대진리 추구 ▫ 특징: 이성중심적, 남성중심적, 주체 중심적 사유방식 ▫ 메타내러티브: 모든 사람의 인생, 경험, 삶의 의미에 대한 해답과 설명이 가능한 한가지 담론 ▫ 포스트모더니즘 ▫ 메타내러티브 거부/ 중심적 가치 해체 ▫ 사회의 산업화, 기술의 발전과 우월성, 지나치게 높은 과학의 위상과 과학에 대한 의존에 대한 반발 ▫ 특징 ▫ 주도적 흐름 밖 주변에서 머물고 있거나 경계 밖으로 밀려나 타자화 되어 있던 관념 찾아 다양한 가치와 차이 부각시킴 ▫ 삶의 모든 영역에서 계급과 경계 허물기 ▫ 탈중심화 ▫ 권위적, 주도적 문화의 속박으로부터 인간 해방 ⇒ 모든 가능성을 향해 인식의 지평 열기 ▫ 경계의 와해, 개성의 중시, 페미니즘, 전 지구화의 경향, 소수자의 등장 2 간호의 이론적 배경 Ⅱ 간호의 철학적 접근 I. 간호의 ▫ 1970년대 간호학자: “간호의 본질은 무엇인가?”(존재론적 질문) 본질에 대한 ▫ 과학, 예술, 실천적 행위로 간호의 본질적 속성 이론적 틀에 남는 탐구 것 불가능 ⇒ 4개의 메타패러다임(인간, 환경, 건강, 간호) ▫ 본질에 대한 이해 ▫ “어떤 철학적 관점에서 인간을 볼 것인가?” ▫ “어떤 관점에서 인간이 살아가고 있는 세계(환경)을 볼 것인가?” ▫ “건강의 진정한 의미는 무엇인가?” ▫ “인간관”에 따라 간호의 정의 달라져야 함 ▫ 간호사의 삶 ▫ 간호사로서 나의 인생은 어떤 것이어야 하는가? ▫ 곧 간호사로서의 나의 삶은 어떤 이야기가 될 수 있는가? ▫ 간호사는 어떤 삶을 살아야 하는가? ▫ 삶의 양식 ▫ 소유양식: 세계와 나의 관계는 소유나 점유 관계 ▫ 존재양식: 능동성/ 나누어 갖고 주고, 희생 치르는 경향 ▫ 자신을 새롭게하며 스스로 성장하고 사랑하며 고립된 자아 초월하는 삶 ▫ 간호사의 삶의 성향 ▫ 소유양식 or 존재양식 II. 간호의 ▫ 간호 현상에 대한 이해 +’아는’ 방법에 대한 관점 제공 특성과 ▫ 간호 지식의 특성 탐구하는 인식론 제공 탐구 방법 ▫ 간호학: 응용과학 ⇒ 과학적, 객관적 지식+습득된 지식(직관적, 암묵적 지식) ▫ 카퍼(Carper): 간호지식(경험적 지식, 윤리적 지식, 심미적 지식, 인격적 지식) ▫ 김혜숙(1996): 간호학문의 실천적 특성 강조(과학적, 윤리적, 미학적 차원) ▫ 인본주의 바탕 과학적 지식, 기술 활용 ⇒ 개인의 가치와 표현 방식 통해 구현 ▫ 연구방법 ▫ 양적 연구: 실증주의, 인식론 바탕 ▫ 실증주의: 경험적 검증 강조, 결과적 산물과 이론에 중점, 맥락과 관계 없는 사실의 독립성, 일반화된 객관성 채택 ▫ 우연한 현상 없음(필연적 원인 존재/인과론) ▫ 간호 실무 및 이론: 관찰, 실험, 실무 경험 통해 얻은 감각적 정보 바탕 ⇒ 이론 도출 및 타당성 검증 ▫ 질적 연구: “객관적 지식만으로 간호 현상 이해할 수 있는가?” ▫ 간호의 목적: 실증주의적 접근으로는 한계 ▫ 개인이 체험하는 삶의 의미 중시, 체험의 본질, 상호작용 과정 발견하여 기술 ▫ 필요한 간호지식 개발 III. 간호의 ▫ “무엇이 훌륭한 간호이며, 어떻게 하는 것이 간호를 제대로 윤리적 실천하는 것인가?” 지식과 실천 ▫ 간호에 가치 부여, 가치 실현하는 간호실천의 지침과 기준 제공 ▫ 간호와 윤리 ▫ 지식의 창조 과정: 가치의 명료화 과정(무엇이 선한가? 옳은가? 행동의 목적은? ▫ 의사결정: 가치를 옹호하는 간호 행위의 선택(윤리: 자율성의 원칙, 악행 금지의 원칙, 선행의 원칙, 정의의 원칙 등) ▫ 윤리적 지식: 무엇이 선한가? 옳은가? 행동의 목적은? 요약 ▪ 간호 학문의 기반이 되는 주요 철학사조: 경험주의, 실증주의, 합리주의, 실용주의, 실존주의, 현상학, 포스트모더니즘 ▪ 간호의 철학적 접근: 간호의 본질은? 지식의 특성? 윤리적 부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