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미디어론 - 하이퍼텍스트 강의 자료 (PDF)

Summary

This document is lecture material on new media theory, focusing on hypertext. It covers the concept and history of hypertext, the structure of hypertext systems, and related debates. The material also explores the evolution of technology and its impact on media.

Full Transcript

뉴미디어론 하이퍼텍스트 박 경 우 지난 시간? 이번 시간? 인터페이스와 UX 하이퍼텍스트 ◦ 인터페이스란? ◦ 하이퍼텍스트의 개념...

뉴미디어론 하이퍼텍스트 박 경 우 지난 시간? 이번 시간? 인터페이스와 UX 하이퍼텍스트 ◦ 인터페이스란? ◦ 하이퍼텍스트의 개념 _ 인터페이스(inter+face), UI, GUI 글쓰기 참치 , ◦ 인터페이스와 UX ◦ 정보 테크놀로지의 역사와 하이퍼텍스트 사용자 인터페이스, 인터렉션, 사용자 경험 ◦ HCI(Human Computer Interaction) ◦ 하이퍼텍스트의 역사 사람, 컴퓨터 시스템, 상호작용, 과업, 맥락 ◦ HCI의 목표와 원칙 ◦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구조와 특성 Optimal experience or Flow Usefulness 개발자 모형과 사용자 모형 ◦ 하이퍼텍스트를 둘러싼 쟁점들 Usability Visibility, Causality & Feedback, Constraint, Consistency, Affordance Affect ◦ 인터페이스와 인간 인터페이스와 부호, 인터페이스와 인간 2 하이퍼텍스트의 개념 Hypertext 상호연계된 텍스트 ◦ 하이퍼텍스트를 또는 사용하는 인터넷에서만 정보조각들것으로 보는 경향 하이퍼텍스트는 인터넷보다 역사가 훨씬 오래 됐으며, 인터넷과는 다른 경로를 따라 발전 Hyper – 초과하다, 넘다, 많다, over, 건너편의, 초월한, 과도한 텍스트와 텍스트를 연결시켜 놓은 또 하나의 텍스트 ~ ~ 통해 ◦ 개별 정보들을 링크를 이용해 유기적으로 연결시켜 놓은 텍스트 상호연계된 텍스트 또는 정보조각들 ∴ ◦ 비연속적, 비선형적 체계로 구성해낸 전자적 텍스트 또는 정보 조직 (architecture) 텍스트의 덩어리와 전자적 링크들로 구성되는 텍스트 (G. Landow. 텍스트적 관점) ~ node와 link의 네트워크 구조 (J. Nielson. 기술적 관점) ^ ① Unode 를 연결 m ≈ 하미퍼텍스트 컴퓨터 기술 (random access + hypermedia database) 정보덩어단위) 순서없이 무작위책 연결되야함 킴 기몰잡어야 □ → 미전엔 문서 따라 읽음 하미퍼텍스트는 다른 방향으로 연결해 읽을 수습 기 _ ( 비런 비연 > ^ 「 ◦ 비연속성 ∞ 전통적 텍스트는 텍스트를 읽는 순서가 규정돼 있는 선형적이고 연속적인 구조 ∞ 텍스트를 읽는 순서가 다양하고 비연속적이고 구조 하이퍼텍스트는 마미퍼 텍스트 browsing 또는 navigating = = 뒤지는 검 (For* ) 함해하듯 돌아다니며 는잤 ex 웸 브라우터 이미 3 ◦ 소설, 논문, 디지털 백과사전, 월드 와이드 웹 등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 L , 꺾 미 부분에서 모르늦길 몇 λ 크릭 → 해당 텍탈해 붉후 ,[ 백 ~ * Σ 정보 테크놀로지의 역사와 하이퍼텍스트 γ 정보테크놀티) 글쓰기 방식으로서의 하이퍼텍스트 ◦ 글을 쓰는 방식의 하나, 정보를 조직하는 방식의 하나 ◦ 정보 테크놀로지 정보를 처리하는 기술, 정보를 표현하는 기술 정보의 부호화 오우리머림 속에 있는 것 부호 화승 해 표현 말름으로 ) 정보 테크놀로지와 매체의 변화 ◦ 구어, 글쓰기, 인쇄, 디지털 정보 테크놀로지 … ◦ “There is no free lunch.” : 얻든 것금 → 능은 것도크 Wew 기준보+ 더 좋은 미디어 되려면 얻는게 > 잃눌게 도되야함 기존 D ㆍ C ㆍ어가 가진 잠험을 모두 갖는게 λ 미다디가 : 구어 (orality) ◦ 언어의 구술 의존성 ◦ 공존을 전제 ~ 현존과 동시성 입어야함 ~ ~ 같이 같이 ☆ → 특각피드백 P 같은 시같은 공동 사회와 공동체 기억 말 → 글쓰기 (writing) ◦ 가장 중요한 정보 테크놀로지 말을 → 물자로 ◦ 경험의 변환자이자 저장 장소로서의 언어 (Marshall McLuhan) 한 대 일7 ~~ _ 학습에 박차를 가하고, 시공간을 뛰어 넘어 지식과 통찰력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 (McLuhan) 전달값 읽을 부재와 비동시성의 혼합 , 현존과 동시성을 비동시적 커뮤니케이션으로 전환 개인적 사색과 신중한 생각 신속성과 관찰가능성의 부재 글스즉각파역 , 4 정보 테크놀로지의 역사와 하이퍼텍스트 인쇄술 (printing) ◦ 사회 단위의 확대 중세라는 신적 질서에서 근대 세계로의 변화 고정되고 변화하지 않는 언어 기록을 배포하려는 노력 ( 더 멀리까지 정보보냄 ) ◦ 복제술로서의 인쇄술 (Gutenberg 혁명) 여론 →혁명의 배경 「 같은 텍스트, 무한한 사본 (Elizabeth Eisenstein. 필사 문화와 인쇄 문화) 」 같은 텍스트에 대해 여러 개의 사본을 만들 수 있는 절대적으로 중요한 요소를 추가 Multiplicity (복수성 ] 여러자뇨만출수 ☆킷 동일한 메시지가 사회적으로 확산될 수 있는 시대 ◦ 고정된 기록에 의한 시간과 공간의 지배 독자들의 가상공동체와 추상적 공중의 등장 [ → 다룬공간에서 같은 메시지 밝음으로 그메시지대한 m → 무리 집단☆ ] , 시간과 공간적으로 떨어져 있는 독자들이 같은 정보를 공유 σ 가치있는 진품이분위기 아우라 (Aura)의 붕괴 (Walter Benjamin. 기술 복제 시대의 예술 작품) 「 ~ 」 복제본으로 인다어깐 붕광다 예술 작품이 갖는 유일무이한 현존성, 일회적 현존성 단독적 현존성 singular presence ( 질짜민 그 |가 가절의미가현론성심 ] 염화 베를린 천사의 시 (빔 벤더스, 1987) - 지상에 온 두 천사의 시선으로 다양한 인간 군상들의 다양한 모습들을 보여주고, 유 한한 삶이 주는 무한한 가치를 표현 도보면됨이들은 [환에 다음에 ' (병원히살면지금머동카는 - π맘미엄마나통 B 가 = 영원히살기에 담문간의 고정적이고 선형적인 텍스트 그험통해ㆍ명원한엉커화 아인간은. ⑮ 한했다 , 자연 언어의 풍부함을 특정 방식으로 고정시킴 5 정보 테크놀로지의 역사와 하이퍼텍스트 제금까지 ∞ 잠차별화된텍스트 디지털 정보 테크놀로지의 발전 ◦ 잉크에서 전자 코드로의 이동 3 부호통해 젬보와직접만나는게α~ 항상 물리적인 공간에 물리적인 표시를 하는 형태로 존재해왔던 글쓰기가 전자 부호 형태 로 변화 촉각에서 디지털로의 이동 (Jean Baudrillard) 고정성과 유연성, 순서와 접근성을 혼합한 정보 테크놀로지 ◦ 가상의 텍스트 독자와 작가에게 모두 가상 독자와 작가가 화면에서 접하는 텍스트는 가상 텍스트다 작가나 독자 모두 직접 접속할 수 없다 메모리에 있는 걸 → 인터페이스 통해 봄 독자는 저장된 텍스트의 가상 이미지를 접할 뿐 텍스트 자체를 만나는 게 아니다 _ 작성 중인 텍스트를 메모리에 저장하기 전까지는 전자 복제본을 갖고 작업하는 것 비트 텍스트: 비트는 인간의 척도가 아니다. 낯설고 추상적인 텍스트 가상적 ∞ 현존 (virtual presence) ' 실제가 ☆.실체를 메모리에 디지털 정보 문화의 특성 a 메모리에 존재하는 것을 인터페이스를 통해 보여주는 텍스트 ◦ 네트워크로 연결된 전자 커뮤니케이션 새로운 형태의 텍스트성 링크 ◦ 불안정한 텍스트 γ 해석누주의 따기 맞게 해석도 다 맞음 → 불안점 텍스트는 다양하게 해석될 수 있다는 점에서 원래 불안정 γ 형태 등 ㆁ 하이퍼텍스트는 의미, 구조, 시각적 디스플레이 요소가 모두 불안정한 최초의 텍스트 ~ 전자 글쓰기는 다양성을 갖춘 반면에 손으로 쓰거나 인쇄한 텍스트에 비해 고정성, 신뢰성, 안정성은 부족 그때그때 달라짐 6 하이퍼텍스트의 역사 인간의 정신(mind)에 관한 다양한 이론들로부터 발전 ◦ 인간 정신의 작동방식을 모방하기 문서없는 인간의 병각방식 모방 생각의 특성과 표현 꼬리의꼬리물고 글쓰기의 불편함 기존의 글쓰기와 같은 선형적 방법은 우리의 정신 작용의 풍부함을 담아내는 데 한계가 있다 한계 극복위해 생각 ~ Vannevar Bush ◦ 하이퍼텍스트의 시조 ◦ As we may think (1945) – association 연장 (우리 생각의 핵심= 연장] 인간의 마음: association system, non-linearity, hyper-space 생각하는 대로 ㅣ 연삼계 비설형침 과공간점 \ | 꼬리 → 꼬리물그 ] 순미 × 생각 ] ( 여러개 공감권 돌여러공감행각 ~ 생각을 기록하고 분류하는 기술 3 생각하는 거 기록의 자동화와 상호연계 링크 → 연결 ◦ Memex(memory extender) 기억확장기 인간의 기억 능력을 보조하는 기계 정보를 저장해 두고 자유자재로 찾아볼 수 있는 기계 장치 책상과 투사(projection) 하이퍼링크 개념을 최초로 공식화 σ 자료함께 여러 읽는 정치 화면의 특정 낱말을 가리키면 그와 관련된 내용을 찾아서 화면에 투사 제안에 그침 LWhuy 기기에는캄미 계산만.물자목암 7. 미 5 ? 1 / 419 8 하이퍼텍스트의 역사 Douglas Engelbart ◦ 마우스를 발명한 스탠포드 연구소의 연구원 마우스, 하이퍼미디어 검색 및 퍼블리싱, 다중 윈도우, GUI, 원격화상회의, 전자 게시판 등 α 우리가 마용하는 컴퓨터 베스템 발명 등 발명 ( 부뮈 ) 단순히 계산기 기능을 하던 컴퓨터 사용분야를 일상생활로 확장 인간지능확장 (AUGMENT) 프로젝트(1962) → 인간 염역 확장 미디어와 컴퓨터의 결합 「 계산기를넘에 에 ◦ “controlled association” –> connection 연산 아닌 통제된 연상 품 , 연예 그량혈땅히 NLS (oN-Line System, 1968). (무작위시방향장크 모든 연구내용을 ‘저널(Journal)’이라는 장치에 저장하고, 상호 참조 (cross reference) [ 관련자묘뜨게하하는 ) 하이퍼텍스트 시스템과 상호작용 컴퓨팅 기술 개발에 활기 Theodor Nelson (Ted Nelson) ◦ 1965년 하이퍼텍스트라는 말을 처음으로 고안 Memex에서 제시된 개념을 하이퍼텍스트라는 이름으로 현실화 (부 - 제한 ) “By hypertext, I mean nonsequential writing-text that branches and allows놓 choice to the ← reader, best read at an interactive screen.” 이 비순미후인 갈고레가1 분기 소 v에게 선택을 허융 동시 π 가당 갈알 : " 0 *작엠 < -"- &? t 비술* 짐인글쓰기텍츠로 ,가피 독□ 매가 머획 남 조란 * 참 한리스텔 " = 가차 구포 | ∞ 외는 , ◦ 재나두 (Xanadu) 프로젝트 모든 사람이 쓴 모든 것을 담고 있는 저장소 모든 것을 상호연결 [연결해 도게힘 ] Docuverse (document + universe) 전세계적으로 탈중심화된 하이퍼텍스트 출판 Tim Berners-Lee가 개발한 WWW 등에 큰 영향 9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일반 구조 노드 (node) ◦ 한번에 볼 수 있는 개개의 웹 페이지 ◦ 정보의 마디, 정보의 덩어리 ◦ 앵커 노드 (anchor node)와 목적지 노드 (destination node) L ÷ 출발점 측도착점 링크 (link) ◦ 노드와 노드를 연결시켜 주는 끈 ◦ 하이퍼텍스트의 최대 강점은 링크 ◦ 단방향 링크 (one directional link)와 양방향 링크 (bidirectional link) : 하미퍼링트장치가 있냐에 따라 표현 층위 (무리 눈에 보여게 해주는) ◦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규정해 주는 층위 3 하이퍼텍스트의 중심은 언제나 가상의 중심이며, 다양한 연결과 대화를 제공 ~ L 실재적 가상성 또는 가상적 현존 평해회 중임 ↑클록때마와동험배 , 저자와 글쓰기 L 연결방식따라 불러나보가 ◦ 하이퍼텍스트 시대의 저작권 (authorship) 저자의 권력과 독자의 능력 독자가 자신만의 경로를 선택하고, 저자가 쓴 텍스트에 주석을 달고, 다른 사람이 쓴 텍스트를 연결 [원하는 지로봄 ) 논문 쓰기와 유사 통일성과 단일성으로 표상되는 자아 내지 주체 개념에 대한 의문 통일된 작가가 텍스트의 내부에 함축적으로 존재한다고 가정 “저자가 이야기하고자 하는 바는?” 저자는 네트워크 상의 하나의 노드로 존재할 뿐이다 γ 피가 한듯말 A 자료출하 다 밝힘 노드로서의 저자의 중요성과 저작권은 그래서 더욱 중요 (ChatGPT와 Bing) ~≈ 연결, 12 하이퍼텍스트를 둘러싼 쟁점들 저자와 글쓰기 ◦ 다중 저자 또는 공동 저자 텍스트의 개방성과 확장성 한 작가의 텍스트는 다른 작가의 텍스트와 무한히 연관되어 간다 능동적 독자는 다양한 경로를 선택하면서 텍스트를 재생산 조직적 생산의 산물 [ 통심화 반복 ] [ 홀자시 공동 저자) 내러티브 (narrative) N7가 ◦ 선형적 내러티브와 하이퍼텍스트적 내러티브 내러티브는 이야기가 어떻게 서술되었는가를 탐구 이야기를 조직하는 방법과 서술하는 방법에 관해 탐구하는 것 (David Bordwell) Aristotle의 시학 (poetics)과 내러티브 」 논리적관계 ☆ 에피소드들 간에 관계가 없고, 삽화적이며 모자이크적인 플롯은 나쁜 플롯 ^ 좋은 서사의 기준 개별적 경험으로서의 선형성과 다중적 선형성 하이퍼텍스트적 내러티브에서는 정해진 시작과 결말이라는 통일성과 총체성을 거 부 다중적 선형성을 병렬적으로 유지 절대악과 절대선이 없는 드라마 (다중적이고 복합적인 서사. 저마다의 이유와 서사) 철대, 미물한국 철마크금털대막 ' α 설내r2 * , ◦ 내러티브의 완결성 문제 내러티브의 시작과 종결 전통적 텍스트는 정해진 시작과 끝이 있는 완결적 구조 하이퍼텍스트에서 이야기의 종결은 읽기가 끝나는 시점 [클릭 ] 다양한 가능성을 열어두기 13 요약 다음 시간? 하이퍼텍스트 인터넷 ◦ 하이퍼텍스트의 개념 ◦ 인터넷의 정의와 역사 텍스트의 덩어리와 전자적 링크들로 ◦ 인터넷의 논리와 주요 특성 구성되는 텍스트 ◦ 교재 node와 link의 네트워크 구조 이재현(2000), 1장 강의 Pack 7장 ◦ 정보 테크놀로지의 역사와 하이퍼텍스트 구어, 글쓰기, 인쇄술 디지털 정보 테크놀로지 프로젝트 조별 회의 ◦ 1분반 4/21 (월) ◦ 하이퍼텍스트의 역사 ◦ 2분반은 생략 인간의 정신 ◦ 프로젝트 계획서 초안 제출 Bush, Engelbart, Nelson ◦ 하이퍼텍스트 시스템의 구조와 특성 중간시험 표현 층위, HAM 층위, 데이터베이스 ◦ 1분반 4/22 (화) 층위, 노드와 링크 ◦ 1분반 4/23 (수) ◦ 하이퍼텍스트를 둘러싼 쟁점들 텍스트 저자와 글쓰기 내러티브 1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