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1 국어 3-1. 올바른 발음과 표기 PDF
Document Details
![InfallibleSavannah4105](https://quizgecko.com/images/avatars/avatar-6.webp)
Uploaded by InfallibleSavannah4105
박영목
Tags
Summary
This document provides an overview of Korean phonology, focusing on concepts like phoneme changes, including examples such as substitution, deletion, addition, and reduction. It aims to help students understand phonetic changes in the Korean language.
Full Transcript
고1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1. 음운의 종류 2. 자음체계표 조음 위치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두 입술 윗잇몸, 혀끝 목청 사이 조음 방법...
고1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1. 음운의 종류 2. 자음체계표 조음 위치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두 입술 윗잇몸, 혀끝 목청 사이 조음 방법 혓바닥 혀뒤 예사소리 ㅂ ㄷ ㄱ 파열음 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예사소리 ㅈ 파찰음 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 예사소리 ㅅ ㅎ 마찰음 된소리 ㅆ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3. 모음체계표 혀의 위치나 입술 모양에 변화가 없는 모음 혀의 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입술의 모양 단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혀의 높낮이 모음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이중모음 혀의 위치나 입술 모양에 변화가 일어나는 모음 ECN-0199-2017-001-000057208 - 1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영역 문법 핵심 이해 요소 : ‘기본 개념’, ‘심화 개념’, ‘활용’ ⇨ 핵심 이해 요소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서 내용 파악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 이해 전략 이해 ① 파악해야 할 ‘개념’이 무엇인가? 전략 - ‘기본 개념’ : 언어 원리의 기본 지식 (þ하위 개념의 종류, 관계, 특성 등을 통해 파악) - ‘심화 개념’ : 기본 지식 외 특이 사항, 예외 사항 (þ유사개념, 공통점, 차이점, 예시 등을 통해 파악) ② 어떤 전략으로 ‘활용’할 것인가? - ‘활용’ : 주어진 문제 상황 분석과 해결 (þ문제 상황 분석, 상황에 맞는 문법 개념을 통해 파악) 기본 개념 파악하기 1.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중심이 되는 어휘를 찾고, 기본 개념을 찾아 정리한다. 2. 개념의 상위·하위 범주에 유의하여 체계를 정리한다. 3. 교과서에 속 예시 또는 학습활동의 주요 내용을 함께 정리한다. 교과서에서 근거 찾기 ① 확인 1 중심 문법 용어·기본개념 찾기 : 음운의 변동 개념 어떤 음운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은 발음을 좀 더 쉽게 하기 위해 일어나기도 하고, 표현을 명료하게 하여 뜻을 좀 더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일어나기도 한다. 국어의 음운 변동은 일반적으로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로 나눌 수 있다. 교체는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 으로 바뀌는 것이고, 탈락은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것이다. 첨가는 없던 음운이 새로 더해지는 것이고, 축약 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새로운 음운이 되는 것이다. 확인 2 체계 정리 : 음운 변동의 종류 확인 3 교과서 예시 정리 :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의 예 ㄴ+ ㄹ→ㄹ+ ㄹ 진리[질리] 다른 음운으로 교체됨. ㅎ+ ㅏ→ㅏ 놓아[노아] 모음 앞에서 탈락함. ㄴ+ ㅣ→ㄴ+ ㄴ+ ㅣ 맨입[맨닙] 없던 음운이 새로 첨가됨. ㅂ+ ㅎ→ㅍ 잡히다[자피다] 두 음운이 축약되어 새로운 음운이 됨. ECN-0199-2017-001-000057208 - 2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교과서에서 근거 찾기 ② 확인 1 중심 문법 용어·기본개념 찾기 : 교체(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탈락(모음탈락, 두음법칙)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음인 ‘ㄴ, ㅁ, ㅇ’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비음화라고 한다. ‘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발음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유음화라고 한다. 받침이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각각 구개음인 [ㅈ, ㅊ] 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구개음화라고 한다. 다양한 환경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된소리되기라고 한다. 어떤 모음이 일정한 환경에서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 현상을 ㉤모음 탈락이라고 한다. 이러한 모음 탈락은 실제 표기에도 반영된다. 두음은 단어의 첫소리를 뜻하는 것으로, 한자어의 경우에 단어의 첫머리에서 일부 음운이 발음되는 것을 꺼리 는 현상을 ㉥두음법칙이라고 한다. 한자음 ‘야, 려, 례, 료, 류, 리’와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 에는 ‘ㄹ’이나 ‘ㄴ’이 탈락되어 각각 ‘야, 여, 예, 요, 유, 이’와 ‘여, 요, 유, 이’로 발음되며, 이는 표기에도 반영 된다. 확인 2 체계 정리 : 교체, 탈락 교체 탈락 된소리되기 모음탈락 두음법칙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자음탈락 (㉣) (㉤) (㉥) 비음이 아닌 ‘ㄷ, ㅌ’이 두음 예사소리가 음운이 ‘ㄴ’이 유음 구개음 모음이 자음이 ‘ㄹ’이나 된소리로 비음으로 ‘ㄹ’로 바뀜 [ㅈ, ㅊ]으로 없어짐 없어짐 ‘ㄴ’이 바뀜 바뀜 바뀜 없어짐 확인 3 교과서 예시 정리 : 교체와 탈락의 예 ① 다음 단어들을 발음할 때 음운이 어떻게 바뀌는지 살펴본 후 음운 규칙을 파악해보시오. 단어 발음 달라진 음운 음운 규칙 식물 [싱물] ㄱ→ㅇ 비음화 닫는 [단는] ㄷ→ㄴ 비음화 실내 [실래] ㄴ→ㄹ 유음화 권리 [궐리] ㄴ→ㄹ 유음화 굳이 [구디] → [구지] ㄷ→ㅈ 구개음화 같이 [가티] → [가치] ㅌ→ㅊ 구개음화 입구 [입꾸] ㄱ→ㄲ 된소리되기 담다 [담따] ㄷ→ㄸ 된소리되기 실수 [실쑤] ㅅ→ㅆ 된소리되기 ② 다음에서 단어들이 어떻게 발음되는지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파악해 보시오. 단어 발음 음운 변동 대상 음운 규칙 크- + -어서 [커서] 어간 ㅡ 모음 탈락 가- + -아서 [가서] 어간 ㅏ 모음 탈락 날- + -는 [나는] 어간 ㄹ 자음 탈락 낳- + -아 [나아] 어간 ㅎ 자음 탈락 량(良) 불량(不良)/ 양심(良心) 량(良) 두음법칙 녀(女) 자녀(子女)/ 여성(女性) 녀(女) 두음법칙 ECN-0199-2017-001-000057208 - 3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교과서에서 근거 찾기 ③ 확인 1 중심 문법 용어·기본개념 찾기 : 첨가(반모음 첨가, ㄴ 첨가), 축약(거센소리되기) 모음끼리 충돌하는 것을 피하려고 반모음 ‘ㅣ’를 첨가하여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반모음 첨가라 고 한다. 예사소리인 ‘ㄱ, ㄷ, ㅂ, ㅈ’과 ‘ㅎ’이 만나 각각 거센소리인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거센소리되 기라고 한다. 확인 2 체계 정리 : 첨가, 축약 첨가 축약 반모음 첨가(㉠) ㄴ 첨가 모음 축약 거센소리되기(㉡) 모음끼리 충돌하는 것을 단어의 파생, 합성 예사소리와 ‘ㅎ’이 만나 피하기 위해 단모음끼리 만나 과정에서 ‘ㄴ’이 같은 조음위치의 반모음 ‘ㅣ’를 더해 이중모음이 됨 더해져 발음됨 거센소리로 합쳐짐. 발음하기도 함 확인 3 교과서 예시 정리 : 첨가와 축약의 예 단어 발음 달라진 음운 음운 규칙 피어 [피어/피여] + ㅣ 반모음 첨가 아니오 [아니오/아니요] + ㅣ 반모음 첨가 맨입 [맨닙] + ㄴ ㄴ 첨가 한여름 [한녀름] + ㄴ ㄴ 첨가 오- + -아 [와] ㅗ+ ㅏ→ㅘ 모음 축약 가꾸-+ -어 [가꿔] ㅜ+ ㅓ→ㅝ 모음 축약 하얗게 [하야케] ㅎ+ ㄱ→ㅋ 거센소리되기 좁히다 [조피다] ㅂ+ ㅎ→ㅍ 거센소리되기 심화 개념 파악하기 1. 기본 개념에서 예외 되거나 주의해야 할 내용을 분석한다. 2. 예시에 적용하여 심화된 개념을 점검한다. 심화 개념 정리하기 1. 연음으로 발음해야 함에도 음운변동을 해서 발음하는 경우 확인 1 혼동 이유와 개념 정리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모음으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모음 로 시작하는 말이 형식 형태소일 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올 때는 연음하고, 실질 형태소일 때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조건이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그대로 뒤 는 음운의 변동을 적용하여 발음해 아닌데도 음운을 바꾸어 잘못 발 ‣ ‣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가는 현상을 야 함. 음하는 경우가 있음. 연음이라 함. 연음은 음운이 바뀌 지 않음. [정리] 연음은 음운 변동 현상이 아니다. ECN-0199-2017-001-000057208 - 4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확인 2 예시로 개념 점검 ‘낮이’의 경우 [나지]로 발음해야 한다. ‘이, 을’은 조사로, 형식 형태소에 해당한다. ‘꽃을’의 경우 [꼬츨]로 발음해야 한다. → 그러므로 연음해 발음해야 한다. ‘닭이’의 경우 [달기]로 발음해야 한다. 2. 된소리되기와 사잇소리 현상 확인 1 혼동 이유와 개념 정리 된소리되기는 첫 번째 예사소리끼리 만났을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경우, 두 번 안울림소리가 된 된소리로 발음 날 때, 합성어이 째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받침 ‘ㄴ, ㅁ’ 뒤에 소리로 변하는 현상 면서 ‘울림소리+안울림소리’의 환 서 어미의 자음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 한자어 일 때 된소리되기인 경일 경우 사잇소리 현상임. ‣ 의 받침 ‘ㄹ’뒤에서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 지, 사잇소리 현상 나는 경우가 있음. [정리] 된소리되기는 교체현상 인지에 구분에 혼란 사잇소리 현상에는 합성어(어근+어근)일 때 울 사잇소리 현상은 첨가현상 이 발생. 림소리 뒤에서 안울림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 우가 있음. 확인 2 예시로 개념 점검 등짐[등찜] → ‘등 + 짐’의 합성어이고 울림소리인 ‘ㅇ’과 안울림소리인 ‘ㅈ’이 만났기 때문에 사잇소리 현상임. 갈등[갈뜽] → 한자어의 받침 ‘ㄹ’뒤에서 뒤의 예사소리 ‘ㄷ’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이므로 된소리되기임. 국밥[국빱] → ‘ㄱ’과 ‘ㅂ’은 안울림소리, 예사소리끼리 만난 경우이므로 된소리되기임. 안고[안꼬] → 용언 활용 시 어간 받침 ‘ㄴ’ 뒤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된소리되기임. 활용 전략 파악하기 1. 문제 상황을 분석하여 적용할 수 있는 문법 개념을 파악한다. 2. 상황에 적합한 문법개념을 적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한다. 상황에 적용하기 ① 1. 문제 상황 분석 아버지: 명수야, 집에서 나오면서 문 잘 잠궜지? 명수: 그럼요. 참. 아버지, 우리 올해 김치 담궜어요? 아버지: 아직 안 담궜다. 그러고 보니 언제 할지 생각해봐야겠구나. 명순: 참, 아버지랑 오빠도. 잠궜지랑 담궜어요가 뭐예요? 발음이 틀렸잖아요. 쓸 때도 그렇게 쓰는 건 아니겠죠? 명수, 아버지:...... 왜? ⇨ 용언의 활용 시 잘못된 발음 첨가로 인한 혼동. 2. 문제 상황 해결 어간 원형 : ‘잠그다’, ‘담그다’ 평소 발음 습관을 점검해 잘못 ‘잠그-’, ‘담그-’ + ‘-아’로 활용 ‘잠궜지’는 ‘잠갔지’로, ‘담궜어 된 발음과 표기를 고쳐야 함. : ‘ㅜ’는 첨가되지 않음. ‣ ‣ 요’는 ‘담갔어요’로 발음하고 써야 용언의 활용에 대한 이해가 필 ‘잠구다, 담구다’ 한다. 요. : 사전에 없는 말. ‘잠그다, 담그다’ : ‘으’탈락 ECN-0199-2017-001-000057208 - 5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상황에 적용하기 ② 1. 문제 상황 분석 명수: 명순아, 선릉[선능]이 누구 묘인 줄 알아? 명순: 그럼. 조선 제9대 왕인 성종이 묻힌 왕릉[왕능]이잖아. 근데 오빠 또 발음 틀렸다? 명수: 뭐, 뭐? 뭐가 틀렸다는 거야? 명순: 선릉 말이야. 발음 틀렸다고. 명수: 그럼 너도 틀렸네. 왕릉[왕능]이라고 했잖아. 명순: 아이고 참...... ⇨ 교체 현상 중 유음화, 비음화 현상에 대한 이해 부족. 2. 문제 상황 해결 잘못된 발음이 표기에도 영향 표준발음법 제19항: 받침 ‘ㅁ, 을 줄 수 있으므로 정확한 표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 준 발음을 하는 것이 중요함. 선릉은 [설릉]으로 유음화를,‘왕 로 발음한다. → 비음화 음운 변동 현상 중 인접한 두 ‣ ‣ 릉’은 [왕능]으로 비음화를 적용 표준발음법 제20항: ‘ㄴ’은 ‘ㄹ’ 자음끼리 영향을 주어 나타나 하여 발음해야 함. 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 는 자음동화에 대한 이해가 필 다. → 유음화 요함. ECN-0199-2017-001-000057208 - 6 - 고1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1. 음운의 종류 2. 자음체계표 조음 위치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두 입술 윗잇몸, 혀끝 목청 사이 조음 방법 혓바닥 혀뒤 예사소리 ㅂ ㄷ ㄱ 파열음 된소리 ㅃ ㄸ ㄲ 거센소리 ㅍ ㅌ ㅋ 예사소리 ㅈ 파찰음 된소리 ㅉ 거센소리 ㅊ 예사소리 ㅅ ㅎ 마찰음 된소리 ㅆ 비음 ㅁ ㄴ ㅇ 유음 ㄹ 3. 모음체계표 혀의 위치나 입술 모양에 변화가 없는 모음 혀의 앞뒤 전설 모음 후설 모음 입술의 모양 단모음 평순 원순 평순 원순 혀의 높낮이 모음 고모음 ㅣ ㅟ ㅡ ㅜ 중모음 ㅔ ㅚ ㅓ ㅗ 저모음 ㅐ ㅏ 이중모음 혀의 위치나 입술 모양에 변화가 일어나는 모음 ECN-0199-2017-001-000057208 - 7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영역 문법 핵심 이해 요소 : ‘기본 개념’, ‘심화 개념’, ‘활용’ ⇨ 핵심 이해 요소를 어떻게 파악하는지에 따라서 내용 파악 정도가 달라질 수 있음. 이해 전략 이해 ① 파악해야 할 ‘개념’이 무엇인가? 전략 - ‘기본 개념’ : 언어 원리의 기본 지식 (þ하위 개념의 종류, 관계, 특성 등을 통해 파악) - ‘심화 개념’ : 기본 지식 외 특이 사항, 예외 사항 (þ유사개념, 공통점, 차이점, 예시 등을 통해 파악) ② 어떤 전략으로 ‘활용’할 것인가? - ‘활용’ : 주어진 문제 상황 분석과 해결 (þ문제 상황 분석, 상황에 맞는 문법 개념을 통해 파악) 기본 개념 파악하기 1. 교과서 내용을 바탕으로 중심이 되는 어휘를 찾고, 기본 개념을 찾아 정리한다. 2. 개념의 상위·하위 범주에 유의하여 체계를 정리한다. 3. 교과서에 속 예시 또는 학습활동의 주요 내용을 함께 정리한다. 교과서에서 근거 찾기 ① 확인 1 중심 문법 용어·기본개념 찾기 : 음운의 변동 개념 어떤 음운이 놓이는 환경에 따라 발음이 달라지는 현상을 음운의 변동이라고 한다. 음운 변동은 발음을 좀 더 쉽 게 하기 위해 일어나기도 하고, 표현을 명료하게 하여 뜻을 좀 더 분명하게 전달하기 위해 일어나기도 한다. 국어의 음운 변동은 일반적으로 ‘교체’, ‘탈락’, ‘첨가’, ‘축약’으로 나눌 수 있다. 교체는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 로 바뀌는 것이고, 탈락은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지는 것이다. 첨가는 없던 음운이 새로 더해지는 것이고, 축약은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새로운 음운이 되는 것이다. 확인 2 체계 정리 : 음운 변동의 종류 확인 3 교과서 예시 정리 : 교체, 탈락, 첨가, 축약의 예 ㄴ+ ㄹ→ㄹ+ ㄹ 진리[질리] 다른 음운으로 교체됨. ㅎ+ ㅏ→ㅏ 놓아[노아] 모음 앞에서 탈락함. ㄴ+ ㅣ→ㄴ+ ㄴ+ ㅣ 맨입[맨닙] 없던 음운이 새로 첨가됨. ㅂ+ ㅎ→ㅍ 잡히다[자피다] 두 음운이 축약되어 새로운 음운이 됨. ECN-0199-2017-001-000057208 - 8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교과서에서 근거 찾기 ② 확인 1 중심 문법 용어·기본개념 찾기 : 교체(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탈락(모음탈락, 두음 법칙) 비음이 아닌 음운이 비음인 ‘ㄴ, ㅁ, ㅇ’의 영향을 받아 비음으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비음화라고 한다. ‘ㄴ’이 앞이나 뒤에 오는 유음 'ㄹ‘의 영향을 받아 [ㄹ]로 발음되는데, 이러한 현상을 ㉡유음화라고 한다. 받침이 ‘ㄷ, ㅌ’인 형태소가 모음 ‘ㅣ’나 반모음 ‘ㅣ’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와 만나면 각각 구개음인 [ㅈ, ㅊ]으 로 바뀌어 발음되는 현상을 ㉢구개음화라고 한다. 다양한 환경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을 ㉣된소리되기라고 한다. 어떤 모음이 일정한 환경에서 탈락되어 발음되지 않는 현상을 ㉤모음 탈락이라고 한다. 이러한 모음 탈락은 실제 표기에도 반영된다. 두음은 단어의 첫소리를 뜻하는 것으로, 한자어의 경우에 단어의 첫머리에서 일부 음운이 발음되는 것을 꺼리는 현상을 ㉥두음법칙이라고 한다. 한자음 ‘야, 려, 례, 료, 류, 리’와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에는 ‘ㄹ’이나 ‘ㄴ’이 탈락되어 각각 ‘야, 여, 예, 요, 유, 이’와 ‘여, 요, 유, 이’로 발음되며, 이는 표기에도 반영된다. 확인 2 체계 정리 : 교체, 탈락 교체 탈락 된소리되기( 모음탈락 두음법칙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자음탈락 ㉣) (㉤) (㉥) 비음이 아닌 ‘ㄷ, ㅌ’이 두음 예사소리가 음운이 ‘ㄴ’이 유음 구개음 모음이 자음이 ‘ㄹ’이나 된소리로 비음으로 ‘ㄹ’로 바뀜 [ㅈ, ㅊ]으로 없어짐 없어짐 ‘ㄴ’이 바뀜 바뀜 바뀜 없어짐 확인 3 교과서 예시 정리 : 교체와 탈락의 예 ① 다음 단어들을 발음할 때 음운이 어떻게 바뀌는지 살펴본 후 음운 규칙을 파악해보시오. 단어 발음 달라진 음운 음운 규칙 식물 [싱물] ㄱ→ㅇ 비음화 닫는 [단는] ㄷ→ㄴ 비음화 실내 [실래] ㄴ→ㄹ 유음화 권리 [궐리] ㄴ→ㄹ 유음화 굳이 [구디] → [구지] ㄷ→ㅈ 구개음화 같이 [가티] → [가치] ㅌ→ㅊ 구개음화 입구 [입꾸] ㄱ→ㄲ 된소리되기 담다 [담따] ㄷ→ㄸ 된소리되기 실수 [실쑤] ㅅ→ㅆ 된소리되기 ② 다음에서 단어들이 어떻게 발음되는지 살펴보고 이 과정에서 일어나는 현상을 파악해 보시오. 단어 발음 음운 변동 대상 음운 규칙 크- + -어서 [커서] 어간 ㅡ 모음 탈락 가- + -아서 [가서] 어간 ㅏ 모음 탈락 날- + -는 [나는] 어간 ㄹ 자음 탈락 낳- + -아 [나아] 어간 ㅎ 자음 탈락 량(良) 불량(不良)/ 양심(良心) 량(良) 두음법칙 녀(女) 자녀(子女)/ 여성(女性) 녀(女) 두음법칙 ECN-0199-2017-001-000057208 - 9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교과서에서 근거 찾기 ③ 확인 1 중심 문법 용어·기본개념 찾기 : 첨가(반모음 첨가, ㄴ 첨가), 축약(거센소리되기) 모음끼리 충돌하는 것을 피하려고 반모음 ‘ㅣ’를 첨가하여 발음하기도 하는데 이러한 현상을 ㉠반모음 첨가라고 한다. 예사소리인 ‘ㄱ, ㄷ, ㅂ, ㅈ’과 ‘ㅎ’이 만나 각각 거센소리인 [ㅋ, ㅌ, ㅍ,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을 ㉡거센소리되기 라고 한다. 확인 2 체계 정리 : 첨가, 축약 첨가 축약 반모음 첨가(㉠) ㄴ 첨가 모음 축약 거센소리되기(㉡) 모음끼리 충돌하는 것을 단어의 파생, 합성 예사소리와 ‘ㅎ’이 만나 피하기 위해 단모음끼리 만나 과정에서 ‘ㄴ’이 같은 조음위치의 반모음 ‘ㅣ’를 더해 이중모음이 됨 더해져 발음됨 거센소리로 합쳐짐. 발음하기도 함 확인 3 교과서 예시 정리 : 첨가와 축약의 예 단어 발음 달라진 음운 음운 규칙 피어 [피어/피여] + ㅣ 반모음 첨가 아니오 [아니오/아니요] + ㅣ 반모음 첨가 맨입 [맨닙] + ㄴ ㄴ 첨가 한여름 [한녀름] + ㄴ ㄴ 첨가 오- + -아 [와] ㅗ+ ㅏ→ㅘ 모음 축약 가꾸-+ -어 [가꿔] ㅜ+ ㅓ→ㅝ 모음 축약 하얗게 [하야케] ㅎ+ ㄱ→ㅋ 거센소리되기 좁히다 [조피다] ㅂ+ ㅎ→ㅍ 거센소리되기 심화 개념 파악하기 1. 기본 개념에서 예외 되거나 주의해야 할 내용을 분석한다. 2. 예시에 적용하여 심화된 개념을 점검한다. 심화 개념 정리하기 1. 연음으로 발음해야 함에도 음운변동을 해서 발음하는 경우 확인 1 혼동 이유와 개념 정리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모음으 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모음 로 시작하는 말이 형식 형태소일 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올 때는 연음하고, 실질 형태소일 때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조건이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그대로 뒤 는 음운의 변동을 적용하여 발음해 아닌데도 음운을 바꾸어 잘못 발 ‣ ‣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 가는 현상을 야 함. 음하는 경우가 있음. 연음이라 함. 연음은 음운이 바뀌 지 않음. [정리] 연음은 음운 변동 현상이 아니다. ECN-0199-2017-001-000057208 - 10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확인 2 예시로 개념 점검 ‘낮이’의 경우 [나지]로 발음해야 한다. ‘이, 을’은 조사로, 형식 형태소에 해당한다. ‘꽃을’의 경우 [꼬츨]로 발음해야 한다. → 그러므로 연음해 발음해야 한다. ‘닭이’의 경우 [달기]로 발음해야 한다. 2. 된소리되기와 사잇소리 현상 확인 1 혼동 이유와 개념 정리 된소리되기는 첫 번째 예사소리끼리 만났을 때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변하는 경우, 두 번 안울림소리가 된 된소리로 발음 날 때, 합성어이 째 용언이 활용할 때 어간의 받침 ‘ㄴ, ㅁ’ 뒤에 소리로 변하는 현상 면서 ‘울림소리+안울림소리’의 환 서 어미의 자음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 한자어 일 때 된소리되기인 경일 경우 사잇소리 현상임. ‣ 의 받침 ‘ㄹ’뒤에서 뒤의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 지, 사잇소리 현상인 나는 경우가 있음. [정리] 된소리되기는 교체현상 지에 구분에 혼란이 사잇소리 현상에는 합성어(어근+어근)일 때 울 사잇소리 현상은 첨가현상 발생. 림소리 뒤에서 안울림소리가 된소리로 나는 경 우가 있음. 확인 2 예시로 개념 점검 등짐[등찜] → ‘등 + 짐’의 합성어이고 울림소리인 ‘ㅇ’과 안울림소리인 ‘ㅈ’이 만났기 때문에 사잇소리 현상임. 갈등[갈뜽] → 한자어의 받침 ‘ㄹ’뒤에서 뒤의 예사소리 ‘ㄷ’이 된소리로 나는 경우이므로 된소리되기임. 국밥[국빱] → ‘ㄱ’과 ‘ㅂ’은 안울림소리, 예사소리끼리 만난 경우이므로 된소리되기임. 안고[안꼬] → 용언 활용 시 어간 받침 ‘ㄴ’ 뒤에서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발음되는 된소리되기임. 활용 전략 파악하기 1. 문제 상황을 분석하여 적용할 수 있는 문법 개념을 파악한다. 2. 상황에 적합한 문법개념을 적용하여 문제 상황을 해결한다. 상황에 적용하기 ① 1. 문제 상황 분석 아버지: 명수야, 집에서 나오면서 문 잘 잠궜지? 명수: 그럼요. 참. 아버지, 우리 올해 김치 담궜어요? 아버지: 아직 안 담궜다. 그러고 보니 언제 할지 생각해봐야겠구나. 명순: 참, 아버지랑 오빠도. 잠궜지랑 담궜어요가 뭐예요? 발음이 틀렸잖아요. 쓸 때도 그렇게 쓰는 건 아니겠죠? 명수, 아버지:...... 왜? ⇨ 용언의 활용 시 잘못된 발음 첨가로 인한 혼동. 2. 문제 상황 해결 어간 원형 : ‘잠그다’, ‘담그다’ 평소 발음 습관을 점검해 잘못 ‘잠그-’, ‘담그-’ + ‘-아’로 활용 ‘잠궜지’는 ‘잠갔지’로, ‘담궜어 된 발음과 표기를 고쳐야 함. : ‘ㅜ’는 첨가되지 않음. ‣ ‣ 요’는 ‘담갔어요’로 발음하고 써야 용언의 활용에 대한 이해가 필 ‘잠구다, 담구다’ 한다. 요. : 사전에 없는 말. ‘잠그다, 담그다’ : ‘으’탈락 ECN-0199-2017-001-000057208 - 11 - 3-1.올바른 발음과 표기 상황에 적용하기 ② 1. 문제 상황 분석 명수: 명순아, 선릉[선능]이 누구 묘인 줄 알아? 명순: 그럼. 조선 제9대 왕인 성종이 묻힌 왕릉[왕능]이잖아. 근데 오빠 또 발음 틀렸다? 명수: 뭐, 뭐? 뭐가 틀렸다는 거야? 명순: 선릉 말이야. 발음 틀렸다고. 명수: 그럼 너도 틀렸네. 왕릉[왕능]이라고 했잖아. 명순: 아이고 참...... ⇨ 교체 현상 중 유음화, 비음화 현상에 대한 이해 부족. 2. 문제 상황 해결 잘못된 발음이 표기에도 영향을 표준발음법 제19항: 받침 ‘ㅁ, 줄 수 있으므로 정확한 표준 발 ㅇ’ 뒤에 연결되는 ‘ㄹ’은 [ㄴ]으 선릉은 [설릉]으로 유음화를,‘왕 음을 하는 것이 중요함. 로 발음한다. → 비음화 ‣ ‣ 릉’은 [왕능]으로 비음화를 적용 음운 변동 현상 중 인접한 두 표준발음법 제20항: ‘ㄴ’은 ‘ㄹ’ 하여 발음해야 함. 자음끼리 영향을 주어 나타나는 의 앞이나 뒤에서 [ㄹ]로 발음한 자음동화에 대한 이해가 필요함. 다. → 유음화 ◇「콘텐츠산업 진흥법 시행령」제33조에 의한 표시 ◇「콘텐츠산업 진흥법」외에도「저작권법」에 의하여 보호되 1) 제작연월일 : 2018년 01월 29일 는 콘텐츠의 경우, 그 콘텐츠의 전부 또는 일부를 무단으 2) 제작자 : 교육지대㈜ 로 복제하거나 전송하는 것은 콘텐츠산업 진흥법 외에도 3) 이 콘텐츠는 「콘텐츠산업 진흥법」에 따라 최초 제작일부 저작권법에 의한 법적 책임을 질 수 있습니다. 터 5년간 보호됩니다. ECN-0199-2017-001-000057208 - 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