음운의 종류와 변동
30 Questions
0 Views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자음 체계에서 '된소리'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 (correct)

'마찰음'에 속하는 자음은 무엇인가?

  • (correct)

다음 중 '예사소리'에 해당하는 자음은 무엇인가?

  • (correct)

'비음'에 해당하는 자음은 무엇인가?

<p>ㅁ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자음 체계의 조음 방법에서 '파찰음'에 속하지 않는 자음은?

<p>ㄱ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반모음 첨가가 적용되는 단어는 무엇인가?

<p>피어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모음 축약에 해당하는 예시는 무엇인가?

<p>오- + -아 (B), 가꾸- + -어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ㄴ 첨가가 적용되는 단어는 무엇인가?

<p>한여름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거센소리되기에 해당하는 예시는 무엇인가?

<p>하얗게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단모음끼리 만났을 때 적용되는 규칙은 무엇인가?

<p>모음 축약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두음법칙에 따라 어떻게 발음이 변화하는가?

<p>‘녀’가 ‘여’로 변화한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모음 탈락이 적용될 때 나타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p>모음이 사라진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비음화의 예가 아닌 것은 무엇인가?

<p>‘ㅁ’이 발음에서 소실된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구개음화에 해당하는 과정은 무엇인가?

<p>‘[ㅈ, ㅊ]’이 구개음으로 변화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자음탈락 현상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p>단어의 길이가 늘어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낮이'를 올바르게 발음했을 때의 표기는 무엇인가?

<p>[나지]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꽃을'의 경우 올바른 발음은 무엇인가?

<p>[꼬츨]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연음과 관련된 음운 변동이 발생하는 경우는 어떤 경우인가?

<p>형식 형태소 뒤에 실질 형태소가 올 때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음운 변동이 일어날 수 있는 조건은 무엇인가?

<p>자음으로 끝나는 말 뒤에 모음이 올 때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연음이 음운 변동 현상이 아닌 이유는 무엇인가?

<p>연음은 앞 음절의 끝소리가 바뀌지 않기 때문이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단모음에서 후설 원순 모음은 어떤 것인가?

<p>ㅜ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고모음에 해당하는 단모음은 어디에 위치하는가?

<p>혀의 뒤쪽 (C), 혀의 앞쪽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기본 개념'의 정리를 위한 첫 번째 단계는 무엇인가?

<p>중심 어휘 찾기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이중모음의 특징은 무엇인가?

<p>혀의 위치나 입술 모양에 변화가 있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후설 평순 모음 중 하나는 무엇인가?

<p>ㅡ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단어 '식물'의 발음은 어떻게 변화하였는가?

<p>[싱물]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단어 '실내'에서 어떤 음운 규칙이 적용되는가?

<p>유음화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단어 '닫는'에서 어떤 음운 변화가 발생하는가?

<p>ㄷ→ㄴ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단어 '같이'는 어떻게 발음 변화가 이루어지는가?

<p>ㅌ→ㅊ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단어 '입구'의 발음 변화는 무엇인가?

<p>ㄱ→ㄲ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두음 법칙

단어의 첫머리에서 특정 음운이 발음되는 것을 꺼리는 현상. 한자어에서 '야, 려, 례, 료, 류, 리' 또는 '녀, 뇨, 뉴, 니'가 단어의 첫머리에 올 때 'ㄹ'이나 'ㄴ'이 탈락되어 각각 '야, 여, 예, 요, 유, 이'와 '여, 요, 유, 이'로 발음되는 현상.

비음화

비음('ㅁ', 'ㄴ', 'ㅇ')이 아닌 음운이 비음으로 바뀌는 현상.

모음 탈락

모음이 탈락되어 발음되는 현상.

자음 탈락

자음이 탈락되어 발음되는 현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된소리되기

'ㄷ', 'ㅌ'이 된소리('ㄲ', 'ㄸ')로 바뀌는 현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음운

한국어에서 소리를 내는 기본 단위. 예를 들어 '가'는 한 음운으로 이루어져 있고, '강'은 'ㄱ', 'ㅏ', 'ㅇ' 세 개의 음운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음 방법

입술, 잇몸, 혀 등의 발음 기관을 사용하여 소리를 내는 방법. 예를 들어 'ㅂ', 'ㄷ', 'ㄱ'은 막혔다가 터지는 파열음이고, 'ㅅ', 'ㅈ', 'ㅊ'은 막혔다가 틈새로 공기가 빠져나오는 파찰음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음 위치

소리를 내는 입의 위치, 예를 들어 'ㅂ', 'ㅃ', 'ㅍ'은 입술로 소리를 내고, 'ㄷ', 'ㄸ', 'ㅌ'은 윗잇몸과 혀끝으로 소리를 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자음 체계표

자음을 조음 방법과 조음 위치에 따라 분류한 표.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등 자음의 종류와 그에 따른 발음 기관의 위치를 한눈에 볼 수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소리가 나는 정도에 따라 나누는 자음의 종류. 예사소리는 기본적인 소리이고, 된소리는 예사소리보다 세게 발음하는 소리, 거센소리는 예사소리보다 더 세게 발음하는 소리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반모음 첨가

두 개의 모음이 만나 발음하기 어려울 때, 사이에 반모음 'ㅣ'를 넣어 발음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피어'는 '피여'로 발음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ㄴ 첨가

단어의 파생이나 합성 과정에서 'ㄴ'이 붙어 발음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맨입'은 '맨닙'으로 발음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모음 축약

두 개의 모음이 만나 하나의 모음으로 합쳐지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오- + -아'는 '와'로 발음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거센소리되기

예사소리와 'ㅎ'이 만났을 때, 같은 조음 위치의 거센소리로 발음되는 현상입니다. 예를 들어, '하얗게'는 '하야케'로 발음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음운 규칙

모음 첨가, ㄴ 첨가, 모음 축약, 거센소리되기 등과 같은 음운 변화 규칙을 통해, 단어의 발음이 변하는 현상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현상은 단어의 생성과 변화를 이해하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음

단어의 끝이 자음으로 끝나고 뒤에 모음으로 시작하는 형식 형태소가 올 때, 앞 음절의 끝소리가 그대로 뒤 음절의 첫소리로 옮겨가는 발음 현상 입니다. 음운 변동이 일어나는 것이 아니라,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음 vs. 음운 변동

연음은 음운 변동이 아닌, 발음을 편하게 하기 위한 자연스러운 현상입니다. 음운 변동은 소리의 변화를 일으키지만, 연음은 단순히 소리를 연결하는 현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음 적용 예시

‘낮이’는 [나지]로, ‘꽃을’은 [꼬츨]로 발음해야 합니다. ‘이’, ‘을’은 조사로, 형식 형태소이기 때문에 연음이 적용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음 적용 예시 2

‘닭이’는 [달기]로 발음해야 합니다. ‘이’가 조사로, 형식 형태소이기 때문에 연음이 적용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음 적용 예외

‘꽃이’는 [꼬치]로 발음해야 합니다. ‘이’가 명사로, 실질 형태소이기 때문에 음운 변동이 적용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유음화

자음 'ㄴ'이 'ㄹ'로 발음되는 현상. 'ㄴ'이 모음 'ㅣ' 앞에 오는 경우 발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구개음화

자음 'ㄷ', 'ㅌ'이 각각 'ㅈ',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 'ㄷ', 'ㅌ'이 모음 'ㅣ' 또는 'i' 앞에 오는 경우 발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된소리되기 (조건)

자음 'ㄱ', 'ㄷ', 'ㅅ', 'ㅈ', 'ㅊ'이 모음 앞에서 각각 'ㄲ', 'ㄸ', 'ㅆ', 'ㅉ', 'ㅊ'으로 발음되는 현상. 특정 조건에서만 적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모음 체계

혀의 앞뒤 위치와 입술 모양에 따라 분류되는 모음. 혀의 위치가 앞쪽에 있으면 전설 모음, 뒤쪽에 있으면 후설 모음이며, 입술 모양이 평평하면 평순 모음, 둥그렇게 오므리면 원순 모음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단모음

혀의 위치나 입술 모양에 변화가 없는 모음. 예를 들어 'ㅏ', 'ㅣ', 'ㅗ', 'ㅜ' 등이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이중모음

혀의 위치나 입술 모양에 변화가 일어나는 모음. 예를 들어 'ㅐ', 'ㅔ', 'ㅘ', 'ㅚ' 등이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설 평순 모음

혀의 위치가 앞쪽에 있으면서 입술 모양이 평평한 모음. 'ㅣ', 'ㅔ', 'ㅐ' 등이 이에 속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후설 원순 모음

혀의 위치가 뒤쪽에 있으면서 입술 모양이 둥그렇게 오므린 모음. 'ㅜ', 'ㅗ', 'ㅟ', 'ㅚ' 등이 이에 속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음운의 종류

  • 음운은 조음 위치(입술, 잇몸, 센입천장, 여린입천장, 목청) 와 조음 방법(안울림, 울림)으로 구분됨
  • 분절 음운: 자음, 모음
  • 비분절 음운: 소리의 장단, 억양, 세기 등

자음 체계표

  • 조음 위치: 입술, 윗잇몸/혀끝, 센/여린 입천장, 혀 뒤, 목청 사이
  • 조음 방법: 파열음, 파찰음, 마찰음, 비음, 유음
  • 예사소리, 된소리, 거센소리 구분

모음 체계표

  • 혀의 위치(앞/뒤), 입술 모양(평순/원순), 혀의 높낮이(고/중/저) 기준으로 분류함
  • 단모음, 이중모음 구분

음운 변동

  • 음운 환경에 따라 발음이 변화하는 것
  • 교체: 어떤 음운이 다른 음운으로 바뀜
  • 탈락: 원래 있던 음운이 없어짐
  • 첨가: 없던 음운이 새로 추가됨
  • 축약: 두 음운이 합쳐져 하나의 새로운 음운이 됨

음운 변동의 종류

  • 교체: 비음화, 유음화, 구개음화, 된소리되기
  • 탈락: 모음 탈락, 두음법칙, 자음 탈락
  • 첨가: 반모음 첨가, ㄴ 첨가
  • 축약: 거센소리되기, 모음 축약

심화 개념

  • 연음: 음운이 바뀌지 않고, 그대로 연결하여 발음하는 것
  • 된소리되기와 사잇소리 구별
  • 된소리되기: 예사소리가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자음끼리의 조합, 활용형태, 한자어에서 나타남)
  • 사잇소리: 울림소리와 안울림소리의 조합으로 된소리로 바뀌는 현상 (합성어에서 나타남)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Description

이 퀴즈는 음운의 종류와 변동에 대해 다룹니다. 음운의 조음 위치와 방법, 자음 및 모음 체계표, 음운 변동의 종류에 대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발음의 변화에 대한 이해를 통해 한국어 음운론의 심화 개념을 익혀보세요.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