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ATP 분자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ATP 분자를 구성하는 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 아데노신
- 리보오스
- 인산기
- 지방산 (correct)
다음 중 ATP-PC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ATP-PC 시스템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 크레아틴 인산(PC)이 고갈되면 ATP를 빠르게 생성할 수 있다. (correct)
- 산소를 필요로 하는 대사 과정이다.
- 장시간, 저강도 운동의 주요 에너지원이다.
- 주로 미토콘드리아에서 발생한다.
다음 중 글리코겐 분해(glycogenolysis)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글리코겐 분해(glycogenolysis)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 지방산을 ATP로 전환
- 글리코겐을 글루코스로 분해 (correct)
- 아미노산을 혈당으로 전환
- 글루코스를 글리코겐으로 변환
해당 과정에서 포도당 분해의 최종 산물은 무엇입니까?
해당 과정에서 포도당 분해의 최종 산물은 무엇입니까?
유산소성 ATP 생산에서 혈당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해당과정 또는 지방 산화로부터 아세틸 CoA가 통과해야 하는 회로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유산소성 ATP 생산에서 혈당을 효율적으로 생산하기 위해 해당과정 또는 지방 산화로부터 아세틸 CoA가 통과해야 하는 회로의 이름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ATP-PC 시스템의主要 제한 요인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ATP-PC 시스템의主要 제한 요인은 무엇입니까?
고강도 운동 중에 근육에서 포도당이 분해되는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고강도 운동 중에 근육에서 포도당이 분해되는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의 소화, 흡수 및 대사 과정을 고려할 때 궁극적인 공통 경로는 어디입니까?
탄수화물, 지방 및 단백질의 소화, 흡수 및 대사 과정을 고려할 때 궁극적인 공통 경로는 어디입니까?
인슐린이 근육 세포로의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는 주요 메커니즘은 무엇입니까?
인슐린이 근육 세포로의 포도당 흡수를 촉진하는 주요 메커니즘은 무엇입니까?
지방 대사에서 베타 산화의 주요 목적은 무엇입니까?
지방 대사에서 베타 산화의 주요 목적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고강도 운동 시 몸에서 에너지로 단백질이 이용되는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고강도 운동 시 몸에서 에너지로 단백질이 이용되는 현상을 가장 잘 설명하는 것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에피네프린이 글리코겐 분해, 즉 운동 중 신체의 포도당 동원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에피네프린이 글리코겐 분해, 즉 운동 중 신체의 포도당 동원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일까요?
다음 중 ATP 가수분해에서 깨지는 화학 결합은 어느 것입니까??
다음 중 ATP 가수분해에서 깨지는 화학 결합은 어느 것입니까??
유산소 운동 중에 에너지 기질이 전환되는 이유로 적합한 것은 무엇입니까?
유산소 운동 중에 에너지 기질이 전환되는 이유로 적합한 것은 무엇입니까?
젖산이 혈액에 축적되면 어떤 일이 발생합니까?
젖산이 혈액에 축적되면 어떤 일이 발생합니까?
아세틸-CoA가 유산소성 ATP 생산과 관련이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아세틸-CoA가 유산소성 ATP 생산과 관련이 있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ATP-PC 시스템은 장기간 운동에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ATP-PC 시스템은 장기간 운동에 적합하지 않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고강도 운동으로 인한 피루브산이 젖산으로의 전환이 갖는 중요성은 무엇입니까?
고강도 운동으로 인한 피루브산이 젖산으로의 전환이 갖는 중요성은 무엇입니까?
무산소적 대사가 산소 저장량을 고갈시키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무산소적 대사가 산소 저장량을 고갈시키지 않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구력 운동 선수가 탄수화물보다 지방에 의존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장기적인 관점에서, 지구력 운동 선수가 탄수화물보다 지방에 의존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코리사이클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코리사이클의 역할은 무엇입니까?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것을 촉진하는 효소는 무엇입니까?
단백질이 아미노산으로 분해되는 것을 촉진하는 효소는 무엇입니까?
인슐린은 글리코겐 분해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인슐린은 글리코겐 분해 과정에 어떤 영향을 미칩니까?
유산소 운동만으로 ATP를 생산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유산소 운동만으로 ATP를 생산할 수 없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운동 초기에 신체는 어떻게 에너지를 충당합니까?
운동 초기에 신체는 어떻게 에너지를 충당합니까?
고강도 운동에 가장 적합한 에너지 시스템은 무엇일까요?
고강도 운동에 가장 적합한 에너지 시스템은 무엇일까요?
다음 거대 영양소 중, 주어진 산소량에 대해 ATP를 최대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거대 영양소 중, 주어진 산소량에 대해 ATP를 최대로 생성할 수 있는 것은 무엇입니까?
혈액-포도당 수준을 조절하는 요인을 고려할 때, 단백질을 많이 먹는 것은 유용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혈액-포도당 수준을 조절하는 요인을 고려할 때, 단백질을 많이 먹는 것은 유용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고밀도 지단백질(HDL)은 심혈관 건강에 유익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고밀도 지단백질(HDL)은 심혈관 건강에 유익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운동 동안, 몸에서 지방이 아닌 탄수화물로 전환된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운동 동안, 몸에서 지방이 아닌 탄수화물로 전환된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혈당이 높으면 신체는 어떻게 반응할까요?
혈당이 높으면 신체는 어떻게 반응할까요?
근육이 필요로 하는 산소의 전달이 제한되어 고강도 운동을 지속하지 못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근육이 필요로 하는 산소의 전달이 제한되어 고강도 운동을 지속하지 못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가??
식이요법상 지방이 에너지로 유용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식이요법상 지방이 에너지로 유용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무산소 대사 중에 젖산이 지나치게 많이 축적되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무산소 대사 중에 젖산이 지나치게 많이 축적되면 신체에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요?
에너지 기질을 사용하여 활동 강도에서 개인차를 보이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에너지 기질을 사용하여 활동 강도에서 개인차를 보이게 하는 요인은 무엇인가요?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체의 콜레스테롤을 살펴보았을 때, 운동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장기적인 관점에서 신체의 콜레스테롤을 살펴보았을 때, 운동이 미치는 영향은 무엇입니까?
단백질은 저절로 에너지를 낼 수 없기 때문에, 단백질이 에너지를 얻으려면 어떤 과정을 이용해야 하는지 가장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무엇입니까
단백질은 저절로 에너지를 낼 수 없기 때문에, 단백질이 에너지를 얻으려면 어떤 과정을 이용해야 하는지 가장 올바르게 기술한 것은 무엇입니까
저강도 운동 중에 몸에서 지방이 탄수화물보다 지방 대사 효율이 높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저강도 운동 중에 몸에서 지방이 탄수화물보다 지방 대사 효율이 높아야 하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운동을 할 때 우리 몸의 포도당과 지방질 수치를 조절하기 위해 에피네프린이 분비되는데, 글리카겐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운동을 할 때 우리 몸의 포도당과 지방질 수치를 조절하기 위해 에피네프린이 분비되는데, 글리카겐 대사에 어떤 영향을 미치나요?
Flashcards
생체 에너지 입문
생체 에너지 입문
신체 활동과 에너지 대사에 대한 소개
ATP (아데노신 삼인산)
ATP (아데노신 삼인산)
아데노신에 인산이 3개 결합된 형태의 에너지 화폐
ATPase
ATPase
ATP에서 인산이 분리되어 에너지를 방출하는 효소
에너지 시스템 종류
에너지 시스템 종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무산소성 ATP 생산
무산소성 ATP 생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C 시스템
PC 시스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해당과정
해당과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글리코겐 분해
글리코겐 분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해당과정 (젖산 시스템)
해당과정 (젖산 시스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유산소성 ATP 생산
유산소성 ATP 생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유산소 시스템
유산소 시스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에너지 시스템 조절
에너지 시스템 조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효소
효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에너지원
에너지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탄수화물
탄수화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맥아당 (Maltose)
맥아당 (Maltos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자당 (Sucrose)
자당 (Sucros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젖당 (Lactose)
젖당 (Lactos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단백질
단백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필수 아미노산
필수 아미노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비필수 아미노산
비필수 아미노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단백질 에너지원 이용률
단백질 에너지원 이용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방
지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방산의 종류
지방산의 종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트랜스 지방
트랜스 지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단백 (Lipoprotein)
지단백 (Lipoprotei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저밀도 지단백(LDL)
저밀도 지단백(LDL)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밀도 지단백(HDL)
고밀도 지단백(HDL)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탄수화물 대사
탄수화물 대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GLUT4
GLUT4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탄수화물 유산소 대사
탄수화물 유산소 대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화
산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환원
환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자 전달계 (ETS)
전자 전달계 (ET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크렙스 회로
크렙스 회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에너지 시스템 전환
에너지 시스템 전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산소 부족량
산소 부족량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방 대사
지방 대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방분해 (Lipolysis)
지방분해 (Lipolysi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코리 회로
코리 회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생체 에너지 입문: 운동과 에너지 대사
- ATP(아데노신 삼인산)는 adenosine과 triphosphate로 구성되며, ATPase에 의해 결합이 끊어지면서 에너지를 방출함.
에너지 시스템 종류
- ATP-PC 시스템, 무산소 시스템, 젖산(lactate) 시스템, 유산소(aerobic) 시스템이 있음.
- 젖산 시스템은 탄수화물의 무산소 과정인 해당 과정에서 젖산이 생성되기 때문에 붙여진 이름이지만, 현재는 해당 과정이라는 표현이 더 적합함.
무산소성 ATP 생산 (ATP-PC 시스템)
- PC(Phosphocreatine)는 크레아틴(C)과 무기인산염(Pi)으로 분해되면서 에너지를 방출하며, ATP를 생성하는데 사용됨.
- ATP-PC 시스템 II에서는 ADP 2개를 이용하여 ATP를 합성함.
- PC 고갈 시 ATP 합성이 어려워지면 ATP를 공급함.
무산소성 해당 과정
- 글리코겐이 글루코스로 분해되는 과정은 당원분해(glycogenolysis)라고 함.
- 글루코스가 초성포도산(pyruvate)으로 분해되는 과정은 해당 과정(glycolysis)이라고 함.
해당 과정의 글루코스 경로
- 혈액 속 글루코스가 세포막을 통해 근세포로 유입됨.
- 근세포에 저장된 글리코겐은 당원분해 과정을 통해 글루코스로 전환되어 사용됨.
- 근글리코겐에서 유래된 글루코스는 3ATP를, 혈중 글루코스의 해당 과정은 2ATP를 생성함.
해당 과정을 거친 후
- 글루코스가 분해되면 최종적으로 젖산이 생성됨.
- 젖산은 다른 근세포에서 산화되거나 간에서 글루코스 합성 재료로 쓰임.
- 젖산은 혈액을 산성화시킴.
무산소 대사 과정 특징
- 세포질 (근형질, 원형질)에서 일어남.
- 산소를 사용하지 않음.
- 글루코스와 글리코겐과 같은 탄수화물만을 에너지원으로 사용함.
- 젖산이 축적되는 특징을 보임.
유산소성 ATP 생산
- 해당 과정을 거치거나 지방의 산화적 인산화 과정을 거쳐 아세틸 CoA 경로를 지나면 미토콘드리아 내부에서 ATP가 생성됨.
- 이 ATP는 유산소 운동의 에너지로 사용됨.
ATP-PC 시스템 조절
- 짧고 강한 운동을 수행하는 선수에게 중요한 에너지 시스템임.
- 에너지를 가장 빠른 시간 안에 생성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음.
- 에너지를 장시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는 어려움.
- 지속적인 운동을 위해서는 다른 에너지 시스템으로 전환이 필요함.
효소 활동
- 세포 내 화학 반응 속도를 조절하는 촉매 역할을 함.
- 세포 내 대사 작용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함.
- 효소 자체는 반응을 유발하지 않음.
탄수화물
- 글루코스 + 글루코스 = 맥아당(maltose)
- 글루코스 + 과당 = 자당(sucrose)
- 글루코스 + 갈락토스 = 젖당(lactose)
- 단당류 3개 이상 결합 = 복합 탄수화물 (다당류)
- 단당류 3-10개 결합 = 올리고당.
체내 탄수화물 흡수
- 탄수화물은 체내에서 소화 및 흡수 과정을 거쳐 최종적으로 글루코스로 분해되어 에너지원으로 사용됨.
단백질 개요
- 탄소, 수소, 산소, 질소의 4가지 요소로 구성됨.
- 필수 아미노산과 비필수 아미노산으로 분류됨.
- 필수 아미노산은 체내에서 합성되지 않아 반드시 섭취해야 함.
단백질 에너지 원 이용
- 1970년대에는 에너지원으로 2% 정도 사용됨.
- 1990년대 초에는 5~15%까지 증가 (운동 형태에 따라 다름).
- 당신생을 통해 글루코스로 전환될 수 있음.
- 장시간 운동 시 프로테아제 활성화로 인해 아미노산이 증가함.
단백질 흡수 과정
- 단백질은 위와 소장에서 분해됨 (대장까지는 가지 않음).
- 십이지장에서 이자액과 장액의 도움을 받아 마무리됨.
지방산
- 저밀도지단백(LDL)은 동맥경화의 원인이 됨.
- 고밀도지단백(HDL)은 동맥경화를 억제하는 역할을 함.
- 초저밀도지단백(VLDL) 또한 동맥경화를 유발함.
- VLDL -> IDL, LDL로 분해되어 조직에서 흡수됨.
탄수화물 대사
- 혈액 내 포도당(glucose)은 세포막을 통해 근세포로 유입됨.
- 근세포 내 저장된 글리코겐(glycogen)은 당원분해 과정을 거쳐 포도당으로 전환됨.
GLUT4
- GLUT4는 혈관 속 포도당을 빠른 속도로 세포 내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함.
- 인슐린 존재 시 세포막으로 이동하여 포도당을 세포 안으로 운반함.
탄수화물 유산소 대사
- 해당 과정 > Acetyl-CoA 생성 > 유산소 과정 순으로 진행됨.
산화와 환원
- 산화: 전자를 잃는 것
- 환원: 전자를 얻는 것
전자 전달계(ETS)
- NADH 1분자는 3분자의 ATP 생성
- FADH2 1분자는 2분자의 ATP 생성
Krebs 회로
- 해당 회로는 생화학자 Hans Krebs의 이름에서 유래됨
운동 시 에너지 시스템 관련 요소
- 운동 시작 시 산소 섭취량이 즉각 증가하지 않음
- 운동 초기에는 무산소 과정에 의존하여 에너지를 얻음
- 항정 상태(steady state)에서는 유산소 과정에 의존하게 됨
- 장시간 운동 (90분 이상) 시 지방이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됨.
- 45~90분 운동 시 지방과 탄수화물이 에너지원으로 사용됨.
단백질 대사
- 심한 운동이나 기아 상태, 장시간 운동 시 단백질 동원율이 증가함.
- 당뇨병 환자는 단백질이 주요 에너지원으로 사용될 가능성이 높음.
- 주로 사용되는 아미노산은 류신(leucine), 이소류신(isoleucine), 발린(valine) 임.
당신생성(Glyconeogenesis)
- 글루코스 외 물질(젖산, 글리세롤, 알라닌)로부터 글리코겐을 합성하는 과정.
코리 사이클 (Cori cycle)
- 코리 사이클은 간에서 근육 내 젖산을 글루코겐으로 재합성하는 과정.
- 경로: 간 글리코겐 -> 혈중 글루코스 -> 근 글리코겐 -> 혈중 젖산 -> 간 글리코겐.
지방 대사
- 지방은 지방분해(lipolysis) 과정을 거쳐 에너지로 사용됨.
지방산 특징
- 지방산의 베타 산화는 지방산을 acetyl-CoA로 전환하는 과정임.
- 지방산의 베타 위치에서 산화가 일어나 탄소 수가 2개 단위로 잘려나가면서 ATP를 생성함.
- 지방산 산화 과정 1 주기마다 acetyl group 1개가 생성.
지방산 산화 단계
- 1단계: 지방산이 fatty acyl CoA로 활성화 (미토콘드리아 외막)
- 2단계: fatty acyl CoA가 fatty acyl carnitine으로 변환 (미토콘드리아 내막).
- 3단계: fatty acyl carnitine이 fatty acyl CoA로 재형성 (미토콘드리아 내부).
지방산 ATP 생성
- Palmitic acid(16개 탄소): ATP 130개 생성
- Stearic acid(18개 탄소): ATP 147개 생성
지방산 산화 공식
- P = 8.5n - 2x - 7 (n: 탄소수, x: 이중결합수)
탄수화물 vs 지방
- 지방은 탄수화물보다 약 12% 더 많은 산소를 요구함.
지방산 조절 요소
- 리파아제(lipase) 활성화 시 지방산 동원이 촉진됨.
- 촉진 인자: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글루카곤,카페인.
- 억제 인자: 인슐린, 젖산.
지단백질
- 지단백 리파아제 존재 -> 지방산 방출, 에너지원으로 사용
- 에피네프린, 노르에피네프린, 글루카곤에 의해서 활성화됨
산소 섭취량 변화
- 운동 초기 산소 섭취량이 증가하지 않음.
- 운동 초기에 필요한 에너지 -> 무산소 과정에서 얻음
- 일정 시간 후 유산소 과정에 의존적으로 에너지를 얻음
- 훈련된 사람은 훈련되지 않은 사람보다 운동 초기에 항정 상태 도달 시간이 더 빠름.
단시간 운동
- 1-4초: ATP (근육)
- 4-20초: ATP + PC
- 20-45초: ATP + PC + 근육 글리코겐
고강도 및 저강도 운동
- 고강도 운동 -> 탄수화물 이용 증가
- 저강도 운동 -> 지방 이용 증가
에피네프린
- 에피네프린은 아데닐산 시클라제 활성 증가 -> protein kinase 활성 촉매 -> 글리코겐 분해효소 활성(phosphorylase)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