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국시대 역사 퀴즈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삼국사기 편찬 이전부터 존재했던 삼국통일 의식의 기원은 어디에서 시작되었는가?

  • 고구려
  • 신라 (correct)
  • 백제
  • 고조선

일연이 편찬한 『삼국유사』에서 다룬 역사적 범위는 어디까지였는가?

  • 삼국과 가야
  • 고조선, 위만조선, 북부여, 동부여, 가야 등 여러 나라 (correct)
  • 삼국과 통일신라
  • 고조선과 삼국

조선 시기에 편찬된 역사서들은 어떤 특징을 보였는가?

  • 신라를 중심으로 서술
  • 고조선과 삼한을 중심으로 서술
  • 삼국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 (correct)
  • 백제를 중심으로 서술

삼국시대란 용어가 시대 구분의 용어로 엄밀히 정의된 것은 언제부터인가?

<p>일제 시기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백남운이 제시한 한국사의 시대 구분에서 삼국시대는 어디에 해당하는가?

<p>고대사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광복 이후 한국과 북한의 한국사 연구에서 중요하게 다룬 것은 무엇인가?

<p>고대 국가의 형성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동국통감』 등 조선 시기 역사서들의 특징은 무엇인가?

<p>고조선에서 시작하여 삼국으로 이어지는 왕조의 계보를 중시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삼국시대에 대한 연구가 본격적으로 이루어진 시기는 언제부터인가?

<p>일제 시기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삼국사기』 편찬 이전부터 존재했던 삼국통일 의식은 어떤 영향을 미쳤는가?

<p>신라의 삼한일통 의식에서 비롯되어 후대까지 큰 영향을 미쳤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역사서 편찬에서 정통성을 설정하는 데 있어서 차이를 보인 것은 무엇인가?

<p>고조선과 삼한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삼국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고구려, 백제, 신라 외에 다른 나라도 포함된 시기이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삼국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p>신라, 고구려, 백제의 역사를 기전체로 서술하였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삼국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p>고려 이전의 왕조를 삼국으로 제시하였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삼국시대의 시작 시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p>4세기 이후부터 시작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삼국시대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삼국유사』에서 처음 삼국시대라는 용어가 사용되었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삼국사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p>김부식이 편찬하였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are hidden until you start studying

Study Notes

삼국사기 편찬 이전

  • 『구삼국사』를 통해 삼국 통일 의식을 시작
  • 고려 후기의 일연이 『삼국유사』를 편찬하면서 고조선, 위만조선, 북부여, 동부여, 가야 등 삼국의 역사를 포함

『삼국유사』의 특징

  • 삼국뿐만 아니라 가락국(駕洛國) 주1, 즉 가야의 왕계(王系)까지 수록
  • 신라의 제왕을 중심으로 삼한(三韓)과 삼국의 왕조 계보와 역사를 중시

『동국통감』

  • 서거정 등이 편찬한 『동국통감』(1484)에서도 삼국의 왕조 계보를 중시
  • 삼국을 중심으로 역사를 서술

삼국시대의 의미

  • 삼국의 건국에서 신라의 통일까지를 하나의 시기로서 구분
  • 마르크스주의 역사학의 영향을 받아 한국사의 보편적인 발전 과정을 탐구

백남운의 『조선사회경제사』

  • 고대 노예제 국가로서 고구려 · 백제 · 신라의 삼국을 제시
  • 통일신라에서 중세 봉건제 국가가 형성

삼국시대의 시대 구분

  • 고대의 시대 구분 속에 위치
  • 8 · 15광복 이후 한국과 북한의 한국사 연구에서도 고대 국가의 형성을 해명

삼국시대의 의미

  • 삼국시대는 고구려 · 백제 · 신라의 세 나라가 정립하였던 한국사의 한 시기
  • 남북국시대, 후삼국시대, 고려시대, 조선시대처럼 한국사 속의 주요 국가를 중심으로 한 시대 구분 용어

『삼국사기』의 특징

  • 고려 전기 김부식의 『삼국사기』(1145)가 삼국을 하나의 시대로 구분
  • 삼국의 왕조사를 각기의 본기(本紀)로 구성
  • 그의 문물과 인물을 각각 지(志)와 열전(列傳)으로 서술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