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그리스는 ______ 활발과 화폐 유통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켰다.
그리스는 ______ 활발과 화폐 유통을 통해 경제를 발전시켰다.
상공업
그리스인들의 정치와 사회의 기본 단위인 ______ 도시국가의 성립과 발전은 고대 그리스 역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그리스인들의 정치와 사회의 기본 단위인 ______ 도시국가의 성립과 발전은 고대 그리스 역사의 중요한 부분입니다.
폴리스
______ 정치 체계는 시민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민주정치의 발상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______ 정치 체계는 시민이 직접 정치에 참여하는 민주정치의 발상지로 평가받고 있습니다.
아테네
소크라테스는 ______ 문제, 인생의 의미와 목적 등의 해답을 얻고자 노력한 그리스 철학자였습니다.
소크라테스는 ______ 문제, 인생의 의미와 목적 등의 해답을 얻고자 노력한 그리스 철학자였습니다.
______; 타고난 걸 보여주는 것=덕. 절대주의, 보편주의, 실행의 학문(윤리학)
______; 타고난 걸 보여주는 것=덕. 절대주의, 보편주의, 실행의 학문(윤리학)
호머의 일리아드, _오디세이_는 ______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호머의 일리아드, _오디세이_는 ______ 대표적인 작품입니다.
파르테논 신전은 고대 그리스 건축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특히 ______ 양식으로 유명합니다.
파르테논 신전은 고대 그리스 건축의 대표적인 예시이며, 특히 ______ 양식으로 유명합니다.
로마는 작은 도시국가에서 출발하여 ______ 정복하며 대제국을 건설했습니다.
로마는 작은 도시국가에서 출발하여 ______ 정복하며 대제국을 건설했습니다.
로마 공화정은 ______ 분할 통치를 통해 제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 했습니다.
로마 공화정은 ______ 분할 통치를 통해 제국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려 했습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기독교를 ______ 통해 로마 제국 내에서 기독교의 지위를 강화했습니다.
콘스탄티누스 대제는 기독교를 ______ 통해 로마 제국 내에서 기독교의 지위를 강화했습니다.
______ 정치개혁으로 400인회, 경제개혁, 사법개혁을 시행하여 로마 사회의 안정을 꾀했습니다.
______ 정치개혁으로 400인회, 경제개혁, 사법개혁을 시행하여 로마 사회의 안정을 꾀했습니다.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는 ______ 구축을 통해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 질서를 주도했습니다.
폼페이우스와 카이사르는 ______ 구축을 통해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 질서를 주도했습니다.
베르길리우스의 ______ 로마 건국 신화를 다룬 서사시로, 로마 문학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베르길리우스의 ______ 로마 건국 신화를 다룬 서사시로, 로마 문학의 대표작 중 하나입니다.
플로티노스는 ______ 전개하여 사색과 물질세계를 이념적 신(일자)으로 설명했습니다.
플로티노스는 ______ 전개하여 사색과 물질세계를 이념적 신(일자)으로 설명했습니다.
로마 법률은 ______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서양 법률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로마 법률은 ______ 체계로 구성되어 있으며, 이는 서양 법률 발달에 지대한 영향을 미쳤습니다.
폴리스는 씨족, 부족 단위의 촌락 공동체 ______ 등장했습니다.
폴리스는 씨족, 부족 단위의 촌락 공동체 ______ 등장했습니다.
______ 권력 강화와 최고정무위원회 설치는 페리클레스 시대 아테네 민주정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______ 권력 강화와 최고정무위원회 설치는 페리클레스 시대 아테네 민주정의 특징을 보여줍니다.
중세 시대에 ______ 굴욕은 교황권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중세 시대에 ______ 굴욕은 교황권이 강화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샤를마뉴는 ______ 확장과 행정체제 정비를 통해 프랑크 왕국을 발전시켰습니다.
샤를마뉴는 ______ 확장과 행정체제 정비를 통해 프랑크 왕국을 발전시켰습니다.
클로비스는 500년경 프랑스와 벨기에 지역을 정복하고 ______ 창시했습니다.
클로비스는 500년경 프랑스와 벨기에 지역을 정복하고 ______ 창시했습니다.
중세 ______ 봉신 간의 쌍무 관계가 봉건제도의 핵심입니다.
중세 ______ 봉신 간의 쌍무 관계가 봉건제도의 핵심입니다.
삼부회에서 신분 세 개로 나눠 표결했기 때문에 ______ 힘이 약했습니다.
삼부회에서 신분 세 개로 나눠 표결했기 때문에 ______ 힘이 약했습니다.
보름스 국회 이후 루터는 ______ 가게 되었습니다.
보름스 국회 이후 루터는 ______ 가게 되었습니다.
마르틴 루터는 ______ 통해 종교개혁을 시작했습니다.
마르틴 루터는 ______ 통해 종교개혁을 시작했습니다.
16세기 네덜란드에서 ______ 풍자한 작품이 나왔습니다.
16세기 네덜란드에서 ______ 풍자한 작품이 나왔습니다.
정치와 도덕의 분리를 주장한 마키아벨리의 대표작은 ______ 입니다.
정치와 도덕의 분리를 주장한 마키아벨리의 대표작은 ______ 입니다.
로마제국의 영광의 부활과 ______ 자극을 줌으로써 르네상스가 시작되었습니다.
로마제국의 영광의 부활과 ______ 자극을 줌으로써 르네상스가 시작되었습니다.
단테의 ______ 중세와 달리 교양과목을 종교가 아닌 자유의 정신에서 연구하게 시작되었습니다.
단테의 ______ 중세와 달리 교양과목을 종교가 아닌 자유의 정신에서 연구하게 시작되었습니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항해의 원래 ______ 인도 였습니다.
콜럼버스의 아메리카 항해의 원래 ______ 인도 였습니다.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 발견후 ______ 신대륙 확인했습니다.
1492년 콜럼버스가 아메리카 대륙 발견후 ______ 신대륙 확인했습니다.
유럽 대륙으로 ______ 은이 유입 됨(통화 팽창)현상이 있었습니다.
유럽 대륙으로 ______ 은이 유입 됨(통화 팽창)현상이 있었습니다.
자본주의적 분화라고 하는 이유는 원래 ______ 임노동자로 변했기 때문입니다.
자본주의적 분화라고 하는 이유는 원래 ______ 임노동자로 변했기 때문입니다.
로크는 자연 상태는 ______ 평화로움. 평화와 관련있는 단어를 쓰시오
로크는 자연 상태는 ______ 평화로움. 평화와 관련있는 단어를 쓰시오
장 보댕은 신하들의 군주에 대한 ______ 부인했습니다.
장 보댕은 신하들의 군주에 대한 ______ 부인했습니다.
프랑스 혁명후 '베르다유 행진 중(파리 시민들의 감시하에 왕과 왕의 가족을 ______ 압송해옴.)' 사건의 다음스토리는 무엇일까요?
프랑스 혁명후 '베르다유 행진 중(파리 시민들의 감시하에 왕과 왕의 가족을 ______ 압송해옴.)' 사건의 다음스토리는 무엇일까요?
산업혁명의 결과 19세기 전체 인구의 ______가 노동자가 되었습니다.
산업혁명의 결과 19세기 전체 인구의 ______가 노동자가 되었습니다.
세계 인구는 약81억명/2050년 약 ______ 예측하고 있습니다.
세계 인구는 약81억명/2050년 약 ______ 예측하고 있습니다.
영국이 EU에서 ______ (Brexit)했다는 것은 유럽 통합에 있어서 중요한 사건입니다.
영국이 EU에서 ______ (Brexit)했다는 것은 유럽 통합에 있어서 중요한 사건입니다.
19세기 제국주의 시대에 ______ 대한 선교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19세기 제국주의 시대에 ______ 대한 선교가 활발히 이루어졌습니다.
19세기의 ______은 독립 -> 통일 -> 팽창의 단계를 걸었습니다.
19세기의 ______은 독립 -> 통일 -> 팽창의 단계를 걸었습니다.
세계화 시대를 대표하는 3가지는 무역, 자본, 노동을 묶어서 ______ 합니다.
세계화 시대를 대표하는 3가지는 무역, 자본, 노동을 묶어서 ______ 합니다.
Flashcards
폴리스란?
폴리스란?
그리스인들의 정치, 사회 기본 단위. 종교적, 경제적 유대로 결합, 독립성과 주권 갖는 시민 공동체.
폴리스의 등장 및 발달
폴리스의 등장 및 발달
BC 800년경부터 등장하여 약 1000개 이상 존재했던 도시 국가.
폴리스의 정치 발전
폴리스의 정치 발전
왕정에서 과두정, 참주정을 거쳐 민주정 또는 금권정으로 정치 발전.
솔론의 개혁
솔론의 개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클레이스테네스의 개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페리클레스의 개혁
페리클레스의 개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아테네 민주정의 한계
아테네 민주정의 한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그리스 문화의 특징
그리스 문화의 특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그리스 철학이란?
그리스 철학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초기 자연 철학
초기 자연 철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소크라테스 철학
소크라테스 철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플라톤 철학
플라톤 철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아리스토텔레스 철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그리스 서사시
그리스 서사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그리스 희극
그리스 희극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그리스 비극
그리스 비극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그리스 서정시
그리스 서정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역사의 아버지
역사의 아버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역사학의 아버지
역사학의 아버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그리스 건축
그리스 건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로마 건국 및 공화정 수립
로마 건국 및 공화정 수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포에니 전쟁
포에니 전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그라쿠스 형제 개혁
그라쿠스 형제 개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카이사르의 독재
카이사르의 독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제정 수립
제정 수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오현제 시대
오현제 시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군인 황제 시대
군인 황제 시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통치
디오클레티아누스의 통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콘스탄티누스 대제
콘스탄티누스 대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기독교 공인
기독교 공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콘스탄티노플 천도
콘스탄티노플 천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로마 점령과 약탈
로마 점령과 약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서로마 멸망
서로마 멸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로마의 발전
로마의 발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Res Publica Romana
Res Publica Romana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로마 원로원
로마 원로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로마 정무관
로마 정무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로마 민회
로마 민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사회구조와 신분투쟁
사회구조와 신분투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이탈리아 반도 통일 과정
이탈리아 반도 통일 과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그리스
- 폴리스의 성립과 발전, 그리스의 고전 문화가 중요합니다.
그리스의 역사
- 에게 문명이 시작입니다.
- 도리아족이 미케네 문명을 파괴했습니다.
- 암흑시대 이후 폴리스가 건설되었습니다 (8세기).
- 페르시아 전쟁을 치렀습니다.
- 아테네의 전성기가 있었습니다.
- 펠로폰네소스 전쟁을 치렀습니다.
- 마케도니아의 그리스 정복이 있었습니다.
- 알렉산더 대왕의 정복이 있었습니다.
- 헬레니즘 시대가 있었습니다.
- 그리스는 로마 속주화되었습니다.
그리스 역사의 성격
- 서양 사회의 정신을 극명하게 보여준 문명입니다.
- 정치가 발달하여 현대 민주주의 발상과 다양한 정체가 등장했습니다.
- 시민 사회 규범과 관습이 확립되었습니다.
- 상공업이 활발하고 화폐가 유통되었습니다.
- 과학, 예술, 학문, 문학등 다양한 문화가 발달했습니다.
폴리스의 성립과 발전
- 폴리스는 그리스인들의 정치와 사회의 기본 단위였습니다.
- 폴리스는 성채를 중심으로 종교적, 경제적 유대로 결합되었으며, 법으로 규제되고 완전한 독립정과 주권을 갖는 시민 공동체입니다.
- BC 800년경부터 폴리스가 등장하고 발달했습니다.
- 씨족, 부족 단위의 촌락 공동체 확대가 배경입니다.
- 폴리스 수는 약 1000개 이상입니다.
- 아테네, 스파르타, 일레토스 등이 폴리스의 종류입니다.
- 정치 발전은 왕정, 과두정, 참주정, 민주정/금권정의 순서로 진행되었습니다.
아테네의 민주 정치
- 솔론의 정치 개혁 (400인회, 경제 개혁, 사법 개혁)을 통해 정비되었습니다.
- 클레이스테네스의 민주 개혁 (BC 525~ BC 524)이 완비되었습니다.
- 시민권 부여, 참정권 부여
- 500인회: 구역별로 선출
- 민회 권한 확대
- 도편 추방 제도
- 페리클레스의 개혁 /발전
- 민회 권력 강화
- 최고정무위원회 (10명의 장군)
- 사법 제도: 6000명의 배심원
- 아테네 민주정의 한계
- 소수 시민권 (재류외인, 노예x) - 시민 귀족정에 가까웠습니다.
- 지식인의 민주 정치 혐오/비판 -데모크리토스: 옹호, 민주정치의 빈곤함이 외형상의 화려함 보다 낫다고 함
- 금권 정치 전락 가능성 - 돈으로 회유 가능성이 높았습니다.
그리스의 고전 문화
- 오리엔트의 영향을 받았으나 독창적인 문화가 완성되었습니다.
- 오리엔트와 다른 정치, 사회, 경제 구조 및 그리스 폴리스가 원인이 되어, 개성을 억제하지 않았습니다!
- 광범한 중산층 형성과 노예제에 기반한 시민 문화 창출되었습니다.
그리스 철학
- 우주의 본질, 진리의 문제, 인생의 의미와 목적 등의 해답을 얻고자 노력했습니다.
- 소크라테스를 기준으로 자연 철학 vs 인간 (사회) 철학 으로 나뉩니다.
- 초기 자연 철학: 만물의 근원 (arche) 추적입니다.
- 탈레스, 파르메니데스, 헤라클레이토스, 피타고라스, 데모크리토스 등이 있습니다.
- 소크라테스
- 지행 합일 설 = 지덕 합일 / 타고난 걸 보여주는 것 = 덕입니다.
- 절대주의, 보편주의, 실행의 학문 (윤리학)입니다.
- 플라톤
- 이데아 (이상) 론; 형이상학입니다.
- Academia 설립했습니다.
- 아리스토텔레스
- 현실 중시 (형상) + 자연 (질료) = 형이상학입니다.
- 자연 < 예술 / 예술: 단순 자연 모방x, 독립적 영역입니다.
그리스 문학
- 서사시: 호머< 일리아드>, < 오디세이>입니다.
- 희극: 아리스토파네스(풍자)입니다.
- 비극: 아이스킬로스, 소포클레스, 에우리피데스입니다.
- 애가 -> 서정시: 사포입니다.
역사 서술
- 헤로도토스: '역사의 아버지'< 펠로폰네소스 전쟁사>입니다.
- 투키디데스: '역사학의 아버지'입니다.
- 폴리비오스: 그리스 최고의 역사가입니다.
예술
- 건축: 신전/열주식 < 파르테논 신전>입니다.
그리스 문화의 특징
- 특징은 인본주의입니다.
- 개인주의, 합리주의, 이상주의
- 인본주의 = 인간 중심주의 = 인문주의 = 인도주의입니다.
그리스의 역사와 문화
- 아테네의 민주주의는 이념적으로는 민주주의였지만, 실제로는 시민 귀족정에 가까웠습니다.
- 그리스인들은 철학, 학문, 사상 등 정신 문화와 화려하고 균형 있으며 조화와 절제를 추구한 예술을 바탕으로 고전 문화를 탄생시킴으로써 오늘날 현대 서양 문명의 원형을 완성했습니다.
로마
- 로마 공화정과 정복 전쟁, 로마 문화의 전개입니다.
로마의 약사
- 로마 건국 (BC753)입니다.
- 왕정 몰락, 공화정 수립 (BC 509)입니다.
- 포에니 전쟁 (BC264~BC146)입니다.
- 그라쿠스 형제 개혁 (BC133~BC121)입니다.
- 카이사르의 독재 (BC46~BC44)입니다.
- 제정 수립 (BC 27)입니다.
- 아우구스투스 사망 (AD14)입니다.
- '오현제' 시대 (96-180)입니다.
- 군인 황제들에 의한 내란 (235-284)입니다.
- 디오클레티아누스의 제국 4분할 통치 (284-305)입니다.
- 콘스탄티누스 대제 (306-337)입니다.
- 기독교 공인 (313)입니다.
- 콘스탄티노플 천도 (330)입니다.
- 서고트족에 의한 로마 점령과 약탈 (410)입니다.
- 서로마의 마지막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의 폐위 (476)입니다.
개관
티베르강 기슭의 조그마한 도시 국가에서 출발한 로마는 5세기 동안 3대륙에 걸친 전 지중해 세계를 정복하며 대제국을 건설했고, 고대 문화 종합, 라틴적 요소를 첨가하며 유럽 고전 문화를 완성했습니다. 레오폴트 폰 랑케: '모든 고대사는 로마의 역사로 흘러 들어가고, 모든 근대사는 로마로부터 흘러나왔다.'라고 말했습니다. 로마 공화정 -> 로마 제정 -> 동로마 제국으로 이어졌습니다. 로마의 기원: BC 753년에 로마시가 건설되었고, BC 509년 로마의 원주민들이 에트루리아 왕을 추방하고 공화정을 수립했습니다.
로마 공화정과 정복 전쟁
- '로마 공화정'국호는"Res Publica Romana"입니다.
- '공화정'의 의미는 res (thing) + publica (public) => '공공의 것', '공동의 부', '공동선(공공 선)' 등을 뜻합니다.
- '로마 공화정'의 표어는 S・P・Q・R (Senatus Populusque Romanus, "로마의 원로원과 인민")입니다. 공화정의 구조는 3개 형태 모두 공존, 유기적으로 혼합되어 있습니다. 원로원은 순수한 자문 기구로, 정무관을 지낸 사람들로 구성 (약 300), 재정 통제권, 정무관이 민회에 상정하는 모든 법안 충고, 정무관 자문에 대해 '원로원 결의'를 내립니다. 임기 종신, 공화정 최고의 권력 기관 (귀족정)입니다. 정무관은 집정관 -2인, 행정군사대권 장악, 임기 1년, 비상시 독재관 (최장 6개월)을 맡습니다. 법무관, 감찰관, 조영관 (축제), 재무관, 호민관 (백성 보호), 신관 (군주정)을 맡습니다. 민회는 정무관 선출, 법률 제정, 재판, 전쟁, 외교 등 주요 국사를 투표로 결정합니다. 쿠리아회, 병사회, 평민회, 부족회(민주정)가 있습니다. 사회 구조와 신분 투쟁에서 귀족이 하나씩 양보했는데 시민들이 전쟁에 뛰어들기 때문입니다 (호민관 지위, 결혼 허가, 신분 투쟁). 이탈리아 반도 통일과 지중해 세계 정복: 라틴 동맹 -> 에트루리아 주요 도시 점령 -> 에피루스와 피루스 격퇴 -> 이탈리아 반도 통일 포에니 전쟁: 로마와 카르타고 사이의 지중해 패권 다툼입니다.
공화정의 위기
- 로마 대제국으로 팽창 -> 노빌레스 계층과 에퀴테스 계층이 정복 사업 열매 독점 -> 대토지 소유 및 대농장 경영 -> 자영농민층 몰락 -> 사회 기강 해이 -> 개혁 필요
- 그라쿠스 형제 개혁: 주된 목표 = 자유 농민층 부활, 사회 불안 일소, 로마 군사력 강화 -> 토지 개혁 실패
-
의의: 로마 공화정 위기의 표현/개혁 실패 이후 로마의 지배층은 벌족파와 민중파로 분열 공화정의 내란 Marius (BC 157
BC 86): 북아프리카 누미디아와 소아시아의 폰투스 반란 진압/게르만족 침입 분쇄/모든 동맹시에 로마 시민권 부여 Sulla (BC 138BC 78): 마리우스의 참모/술라 중심의 벌족파와 마리우스 중심의 민중파로 내전 돌입/술라의 승리와 반대파 숙청/공화정의 전통 깨고 종신 독재관에 취임 (BC82) 후 독재 단행 Pompeius (BC 106BC 48): 술라의 부하 장군/이베리아 반도의 마리우스파 제거/스파르타쿠스 잔당 토벌/크라수스와 함께 집정관에 취임하며 로마 공화정 복귀 (BC70)/소아시아 정벌 Caesar (BC100BC 44): 크라수스, 폼페이우스와 삼두 정치 구축/갈리아의 총독/로마의 모든 정적 제거 후 단독 종신 독재관에 취임 제정의 성립과 로마의 평화 새로운 정체: 원수정 (元首政: Principate/ 황제 정치)입니다. 옥타비아누스의 여러 별칭: '프린켑스' (Princeps: 제1시민)/'아우구스투스' (Augustus: 존엄한 자)/ '임페라토르' (Imperator: 개선장군)입니다 아우구스투스: 초대 황제/ 집정관과 호민관 독점해 실질적인 황제로 군림/군대와 재정 통제 관리권 로마 제정기 시대 구분: (1) 프린 컵스 시대 (BC 27AD284)/ (2) 도미네이터스 (Dominatus) 시대 (284-476) 팍스 로마나 (로마의 평화): 아우구스투스 사후 200년간 지속됨/5현제 시대 제정의 붕괴와 로마의 몰락 군인 황제 시대: 1세기에 걸친 5현제 시대에 이어 이후 1세기는 살육과 혼란과 무질서의 시대였습니다. 제국의 재편 (1) 디오클레티아누스 (Diocletianus, 284-305): 두 명의 황제와 두 명의 부제를 둔 ‘4제 통치 제 (tetrarchy)' 도입/행정 구역 개편/증세/고정 직업 제, 직업 세습 제/콜로 누스 (colonus) 제도/물가와 임금을 동결 시도 -> 실패 (2) 콘스탄티누스 (Constantinus, 306-337): 단일 황제로 등극/기독교 공인 (313, 밀라노 칙령)/니케아 공의회 (325)/동방 군주제 강화/로마에서 콘스탄티노플로 천도 (330) 서로마제국멸망 게르만족의 대이동 시작 (375)입니다. 게르만족을 방어하던 발렌스 (Valence) 황제 전사 (378)했습니다. 테오도시우스(Theodosius) 황제는 기독교를 로마의 국교로 제정(380)했습니다. 동서로마제국의 완전한 분리 (395)입니다. 서고트족 (410) 과 반달족 (455) 의 로마 약탈입니다. 명목상의 마지막 황제 로물루스 아우구스툴루스 (Romulus Augustulus) 폐위 (476)입니다. 로마 문화의 특징 실용성 + 그리스적 요소 + 라틴적 요소= 고전 문화입니다. 로마인들은 현실적, 실제적인 사람들이었습니다. 법, 제도, 행정력, 조직력 등에서 탁월했습니다. 군사 문화 -> 정복, 제국이었습니다. 그리스 문화 수용 -> 로마의 헬레니즘화되었습니다. 그리스적 요소 + 라틴적 요소 = 고전 문화 완성되었습니다. 후기: 기독교 문화 수용입니다. 문학 라틴 문학의 형성기: 엔니우스 (Quintus Ennius, 『연대기』, 호머의 서사시 모방)입니다. 공화정 말기: 루크레티우스 (Lucretius, 『사물의 본질에 관하여』)/키케로 (Cicero, 라틴 문학 최고의 산문 작가, 『국가론』, 『법률론』등)입니다. 라틴 문학의 황금기 (아우구스투스 시대): 베르길리우스 (Vergilius, 『아에네아스(Aeneid)』)/호 라티우스 (Horatius, 전원시)/ 오비디우스 (Ovidius, 사랑시)입니다. 라틴 문학의 은대기: 세네카 (Seneca, 비극 작품)/루카누스(Lucanus, 서사시)/유베날리스 (Juvenalis, 풍자시)입니다. 사상 스토아 학파: 시민적 의무와 절제 강조/루크레티우스, 세네카, 에픽테토스 (“어록”), 마르쿠스 아우렐리우스 (“명상록”)입니다. 플로티노스 (Plotinos, 204-270): 신 플라톤 철학 전개/사색과 물질 세계의 근원으로서 이념적 신(일자) 제시했습니다. 역사 리비우스 (Livius, BC 59AD 17): 건국 이래의 로마사 서술 (142권)/ 그 중 35권 현존/산문 작가로서는 뛰어나지만, 역사 서술가로서는 부정확한 기록으로 큰 인정을 못 받았습니다. 타키투스 (Tacitus, 55-117): 『게르마니아』, 『역사』, 『연대기』등입니다. 카이사르 (Caesar): 『갈리아 전기』저술입니다. 플루타르코스 (Plutarch, 46-120): 『비교영웅전』저술입니다. 법률 서양사에 끼친 로마인들의 가장 뛰어난 업적 분야입니다. 3대 법 체계: ① 시민 법 (jus civile): 실정법 (12표법, 리키니우스법, 호르텐시우스법 등)/② 만민법 (jus gentium): 국제법 (로마 팽창의 결과)/③ 자연법 (jus naturale): 모든 사람들에게 보편적으로 적용되고, 현실의 모든 법의 토대가 되는 정의와 형평의 원리에 입각한 최고 이성의 법입니다. (자연법 위 시민 법 위 만민법) 유스티니아누스 (Justinianus, 527-565): 『로마법 대전 (Corpus juris civilis)』(529-534)을 완성한 동로마 황제입니다. 로마법은 이후 유럽사에서 최고의 권위 유지, 존속됨. 미술과 건축 로마네스크 양식: 돔 (Dom) 양식 (로마의 Pantheon)입니다. 실용 건축: 원형 극장, 목욕장, 개선문, 재판소와 상거래를 겸한 공공 건물인 바실리카 (basilica) 등 다양한 실생활 건축물입니다. 그밖에 도로, 교량, 수로 (상하수도) 등 (콘크리트 공법 사용)입니다. 그리스도교의 성장 교부 (Fathers of the Church): 기독교 초기 이교도나 이단설로부터 교회를 지키고 정통 신앙과 교리의 확립에 공이 큰 사람들입니다. ① 오리게네스 (Origenes): 그리스 출신/그리스 철학과 그리스도교의 융합을 시도한 최초의 창조적인 신학자입니다. ② 암브로시우스 (St. Ambrosius): 밀라노 주교/금욕적인 도덕의 준수를 강조한 성직자론과 빈민 구제론 제시입니다. ③ 히에로니무스 (St. Hieronimus): 성경을 라틴어로 번역했습니다. ④ 아우구스티누스 (St. Augustinus, 354-430): 히포의 주교/로마 말기 가장 위대한 교부/『신국론』과 『참회록』입니다. 로마 역사와 문화의 특징 로마는 작은 도시 국가에서 출발했지만, 빠르게 성장하면서 유럽, 소아시아, 북아프리카 등 지중해 일대의 세 대륙을 모두 점령하면서 대제국으로 성장했습니다. 로마는 결과적으로 실용 문화를 이룬 것은 맞지만, 그 역사를 거슬러 올라가면 로마의 실용 문화의 바탕에는 기본적으로 '군사 문화'와 '정복 문화'가 놓여있습니다.
중세
봉건제도와 장원제도, 중세 전성기의 정치와 문화입니다.
연대기 참고
정치적: 봉건 제도 (지방 군주 자치권, 지방 자치 제도) 하의 왕정 (형용 모순)입니다. 장원 제도는 넓은 범위의 봉건 제도 안에 들어갑니다.
그리스, 튀르키예
- 이슬람 문화권입니다. 사우디 팔레스타인.. 본질이 같음 = 유일신 사상입니다. 기독교는 기독교인데, 서방 종교인 가톨릭은 서방 교회(가톨릭)(구교) -> 저항 교회(개신교)(프로테스탄트)입니다. 그리스 정교(오토 독스) = 러시아 정교입니다.
- 이슬람 (622): 성천(헤지라) -> 북아프리카 일대, 중동 차지입니다. 유대교 신 (구원자): 여호와입니다. 기독교 신 (개신교 또한): 하나님, 예수 그리스도입니다. 이슬람 신: 알라입니다.
서방 교회/정방 교회
- 서방교회 수장: 교황 (군사력 없음) / 세속 세계 수장: 황제 (정통성 없음)입니다.
- 둘이 사이 안 좋음 (카노사의 굴욕)입니다.
- 동방 교회: 황제 교황주의 (황제가 교황 거머쥠)(교권 거머쥠)입니다. (푸틴이 모스크바 대주교를..)
- 중세 유럽의 시간 구조: 초기 (500
1000, 게르만+기독교, 암흑기), 전성기 (11c13C, wjcdl, 경제, 문화적 전성기), 말기(14c~16c, 기근, 역병, 전쟁)입니다. 중세 유럽의 공간 구조: 서유럽 (게르만+기독교, 암흑기), 비잔틴 (동로마 제국, 그리스 정교), 이슬람 (이슬람 제국, 회교, 자연 과학)입니다. - 게르만족 문자가 없어서 발전의 한계가 있었습니다. 노예는 부자유한 신분입니다. 종사제: 기사들이 주인을 따라 전쟁 후 전리품 나눠 갖는 것입니다. 게르만족 기원 요소, 봉건 제도 발발 프랑크족: 프랑스로, 색슨족: 작센족입니다. (켈트족: 유럽 원주민, 훈족: 흉노족)
- 프랑크족 갈리아 (프랑스)의 실질적 지배자입니다. 클로비스: 프랑크 왕조의 창건자, 가톨릭 일찍 받아들여 친화적으로 발전해감. 정치적 군사력 있음 but 정통성 없음입니다. (교황과 필요한 것을 교류)
- 중세 초기 서유럽 문명의 구조 구성은 게르만 문화, 고전 문화, 기독교 문화입니다.
- 프랑크 왕국의 메로빙거 왕조 클로비스: 500년경 프랑스와 벨기에 지역을 정복하고 메로빙거 왕조 창시했습니다. 근친혼: 피의 순수성, 재산 이탈 방지입니다. 무이왕: 근친혼으로 인한 바보 수상이 대신 통치했습니다.
- 프랑크 왕국의 카롤링거 왕조 궁재 (피핀)가 통치했습니다. 찰스 마르텔 (서기 732년): 은대지 제도입니다. 샤를마뉴: 영토 확장/행정체제/카롤링거 르네상스/800년 서유럽 황제 즉위 -> 획기적 의의 (제국 분열) 샤를마뉴 아들 루이 경건왕 (814~840)이 세 아들들에게 분할 상속 서프랑크는 Charles (삼남)에게, 중프랑크는 Lothair (장남)에게, 동프랑크는 Louis (차남)에게 넘김 (Verdun [베르덩] 조약, 843)입니다.
- 중세 전성기 농업 혁명으로 인해 전성기로 변화했습니다. 농업 기술의 혁신 (천경쟁기- > 심경쟁기) - > 농업 생산량 증가-> 잉여 생산물 존재- > 시장 형성- > 도시 형성 (중세 도시 부활) 배경: 농업 기술의 혁신 (심경쟁기, 삼포제, 방아) 결과: 농업 생산량 (잉여 생산물) 증대 /상업과 제조업 발달/도시 부활/인구 증가/문화 발전입니다. 직인이 되면 장인이 될 자격 가집니다. 장인이 되고자 직인이 출품하는 물품: 마스터피스입니다. 도시 성장: 상인 길드, 수공업 길드(도제, 직인, 장인)입니다.
- 봉건 제도
봉건 제도: 서양 중세 - 주군과 봉신 간의 쌍무 관계입니다.
(동양- 주종.. 상하 예속)
좁은 의미 (협의): 주종 제도 (정치 사회적 시스템: 주군 vs 봉신)입니다.
넓은 의미 (광의): 주종 제도 + 장원 제도 상하 예속 관계, 사회 경제 시스템 (영주 vs 농노)
봉건제도의 내용
주종제도: 주군과 봉신 사이에 맺어지는 쌍무계약 관계/주군은 봉토 수여, 봉신은 신서(Homage)와 충성 맹세/자유인 사이의 개인적 보호 관계입니다.
봉건제도의 기원
기원: 게르만적 요소 (종사제), 프랑크적 요소 (은대지 제도, 찰스 마르텔, 이기면 땅을 주겠다)입니다.
봉신의 의무: 1.군사적 봉사/ 2. 경제적 지원 (봉토 상속세, 주군의 몸값 (인질 값), 주군의 장자 성년식 및 장녀 혼인식 때 부조)/3. 숙식 제공의 의무/ 4.궁정 출사의 의무(주군의 궁정에 출두해 회의 참여,충고,자문)입니다.
봉건제도의 결과: 불수 불입권-봉토에 간섭을 받지도 주지도 않음, 봉신이 땅을 받으면 영주됩니다.
지방 자치 제도의 발발
봉건제도: 근대 국가로 성장하기 위한 발판, 나름대로 효율적, 지방 정부와 민중들의 간격 해소
장원 제도: 영주와 농노 사이에 맺어지는 상하(예속)관계입니다.
영주는 농노에게 권리를, 농노는 영주에게 의무를 주고 받습니다.
영주 재판권: 농노의 생사 여탈권
영주권: 시설 독점 및 강제 사용권/영주 재판권/세금 징수권/광산 개발권/화폐 주조권
농노: 부자유한 예속 신분 (낙수권 (떨어진 이삭을 주울 권리)/방목권 (어떤 가축을 키워도 신경 쓰지 않음)/경작 강제 (언제쯤 경작을 할지 자유롭게 정하는 제도))
중세 전성기의 정치와 문화-영국
존 “실지왕”: 대헌장 승인 (1215)
대헌장 (마그나 카르타): 존 왕(바보 왕)이 귀족들의 강요에 의하여 서명한 문서 -> 입헌 군주정의 시작 / c.f. 권리 청원, 권리 장전
에드워드 1세 의회 탄생
의회 탄생 (모델 팔라멘트, 모범 의회): 과세 승인권 (의회를 통과하지 않은 과세는 불법 과세) -> 현대 민주주의 발생
중세 전성기의 정치와 문화 -프랑스
카페 왕조 (14c까지)-위그 카페 국왕 (장자 상속 제로 14세기 초까지 지속), 발루아 왕조 (14
16), 부르봉 (1619) 삼부회: 신분 세 개로 나눠서 300명씩 뽑아 회의 진행, 표결 (신분별) -> 1,2신분의 단합으로 인해 3신분의 힘이 없음 중세 사회의 신분 구조: 성직자>귀족,기사>농민,시민입니다. 중세의 문화 개념도: 기독교적 성격 + 봉건적 성격 = 중세 문화 중세의 사회와 문화: 사회 계층-기도하는 사람/싸우는 사람/일하는 사람입니다. 중세의 대학 기원: 고급 학문, 전문 교육 기관 본질: 조합 (길드) -> 교사 조합, 학생 조합 (남 유럽) 학위: 남자에게만 입학 허용/4년간 자유 학과/법학, 의학, 신학 등에서 학사, 석사, 박사 생활: 주민과의 마찰/비싼 책값/공개 토론 스콜라 철학 개요: 중세 학문을 대표하는 신학적 철학 체계 기반: 로마 시대 교부 철학 + 아우구스티누스 사상 내용: 고전 철학 + 기독교 신앙/신의 존재 증명 문제, 보편 문제 (실재론 vs. 명목론)에 골몰 학자: 아퀴나스: 정통 가톨릭 교회의 정통 학설 취급 예술 건축: 고딕 양식 (뾰족 뾰족) 르네상스와 종교개혁 주요 내용은 르네상스의 개념과 배경, 그리고 인문주의입니다.
르네상스 개념과 배경: 의미구조
헬레니즘 + 헤브라이즘 = 르네상스 변증법적 종합 (정반합) + 근대적인 외피를 입고 새롭게 태어난 것. 두 성질이 모두 남아 있는 혼합물 (물리적 결합) 두 성질을 섞어 아예 새로운 것이 태어나도록 하는 화합물 (화학적 결합)
르네상스 - 개념
원어: Renaissance (프) / Renascita (이) -의미: 재생, 부활 이탈리아에서 시작되었는데 왜 프랑스어인가: 르네상스라는 문화 현상이 프랑스말로 굳어진 이유는 프랑스 역사가에 의해서이다. 용어: 역사적 용어로 이해하면 그리스, 로마 고전문예의 부활 (14c-16c)입니다. 역사는 실증적인 것. -> 실제의 시공간을 따져가며 분석한 것이기에 시공간 중요합니다. 원근법: 있었던 걸 끄집어낸 것입니다.
정의
미슐레 (프랑스)-<프랑스사>1권에서 17권에 걸쳐서 전체 프랑스 역사 서술/16세기 북유럽 문화 부르크하르트 (스위스, 독일어)-우리가 아는 르네상스의 개념 정립합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문화>/14~16세기 고전문화의 부활 -> 두 사람은 르네상스를 근대의 출발점으로 생각했다. 하위징아 (네덜란드)-중세의 가을입니다. 하위징아는 르네상스를 중세문화의 결실을 맺는 막바지의 문화현상이라고 보았다. 르네상스 논의에서 주의할 점은 중세 내내 르네상스가 있었다는 점입니다. 우리는 14세기에 집중하며, 12세기부터 부흥했기에 앞에 두 르네상스는 수준이 낮았습니다. 이탈리아 르네상스의 역사적 배경에는 로마제국이 일어난 곳이라는 점: 고대 유물 보존, 게르만족에 의해 파괴된 옛 전통의 회복입니다. 고대 도시의 전통 유지: 봉건 제도의 취약 지중해 무역의 중심지 반도에 위치해 외부 세계 접촉 용이가했습니다. 로마 제국의 영광의 부활 = 자존심 회복 운동 동로마 제국의 멸망에 따라 피렌체 (르네상스)에 자극을 줌. 인문주의-개념과 내용 개념: 르네상스기에 등장한 철학/중세 스콜라 철학 (신중 신)의 인문학 연구 (인간 중심)로의 대체/고대 작가들의 수집, 정리, 연구 기원: “인간성을 도야하고 세련시켜 주는 품위 있는 글과 예술의 힘”입니다. 내용: Dante의 <신곡>에서 출발한 중세와 달리 교양 과목을 종교가 아닌 자유의 정신에서 연구 인문주의-종류와 대표자들 고전적 휴머니즘: 페트라르카-‘최초의 휴머니스트', '최초의 근대인'/보카치오-<데카메론>근대소설의 효시 시민적 휴머니즘: 레온 바티스타 알베르티-<가족론>가족의 역할에 대해 이야기함. 기독교적 휴머니즘: 에라스뮈스-“기독교적 휴머니스트의 왕”, 토마스 무어 니콜로 마키아벨리 (이탈리아) 근대 정치사상 출범시킨 사람/정치와 도덕의 분리/피렌체 공화국의 제2장관/체자레 보르지아에 매료됨/메디치가의 복귀와 함께 실직/만년의 이상은 이탈리아 통일 군주론: (판본이 20여종 정도/이탈리아어 전공인 사람의 것을 공부하도록.) 군주란 양의 탈을 쓴 늑대다. 정치와 도덕은 분리해야 함입니다. 군주론자가 아니지만 반군주론자도 아님입니다. 군주정은 부분적으로 인정 르네상스 예술 피렌체 예술가들: 16c 레오나르도 다 빈치, 미켈란젤로입니다. 로마 예술가: 라파엘로입니다. 건축: Brunelleschi: 피렌체의 대성당/Bramante: 로마 성 베드로 대성당입니다. 알프스 이북의 르네상스 16세기, 기독교적 인문주의, 당시 시대상을 풍자, 비유, 시대 비판 성격 네덜란드: 에라스무스 (Erasmus, 『우신예찬』) 영국: 토머스 모어 (Th. More, 『유토피아』)
종교 개혁의 배경
- 사회적 상황: 봉건 사회 붕괴/왕권 강화/교황권 쇠퇴
- 경제적 상황: 장원제도 붕괴/교회세에 대한 부담
- 종교적 상황: 날로 증가하는 이단 운동
- 문화적 배경: 르네상스의 인문주의와 개성의 각성
- 각종 이단운동: 교회 안팎의 각종 이단 운동
종교개혁(개신교)의 핵심 사상
- 신앙, 성서, 은총
독일에서 종교 개혁이 발생한 이유
- 착취 (교황청 착취의 좋은 대상), 정치 (독일 황제 칼 5세는 친 교황적), 재정 (로마로의 돈 유입에 대한 독일 군주들의 분노), 낙후 (후진적 독일 경제/야콥 푸거의 독점), 대립 (교황, 황제, 거상 vs 군주, 귀족, 시민, 농민), 문화 (르네상스 취약, 경건주의, 신비주의 우세)
마르틴 루터
출생 > 계기 > 의인설 면벌부 판매 > 반발 > 교회의 반응 공개 토론 > 논문 발표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