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우식증 발생 메커니즘에는 구강 내 세균, 숙주, ______ 및 시간의 네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우식증 발생 메커니즘에는 구강 내 세균, 숙주, ______ 및 시간의 네 가지 요소가 있습니다.
기질
______ 백신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켜 상용화에 실패했습니다.
______ 백신은 심각한 부작용을 일으켜 상용화에 실패했습니다.
우식증
예방치과의 경우 물리적, 화학적 ______ 조절하는 데에 집중합니다.
예방치과의 경우 물리적, 화학적 ______ 조절하는 데에 집중합니다.
치태
타액은 치아에 세균이 부착되기 위한 ______입니다.
타액은 치아에 세균이 부착되기 위한 ______입니다.
치아 우식증과 치주질환은 ______ 질환(plaque associated disease)입니다.
치아 우식증과 치주질환은 ______ 질환(plaque associated disease)입니다.
타액에서 유래한 ______위에 세균이 붙는 치태가 형성됩니다.
타액에서 유래한 ______위에 세균이 붙는 치태가 형성됩니다.
치아 피막은 형성 시기에 따라 맹출 전과 맹출 후로 크게 ______ 합니다.
치아 피막은 형성 시기에 따라 맹출 전과 맹출 후로 크게 ______ 합니다.
획득피막은 타액으로부터 유래된 얇은 막으로, 타액의 ______으로 구성됩니다.
획득피막은 타액으로부터 유래된 얇은 막으로, 타액의 ______으로 구성됩니다.
칫솔질만으로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획득피막은 타액으로 인해 항상 ______때문입니다.
칫솔질만으로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는 획득피막은 타액으로 인해 항상 ______때문입니다.
연마제가 함유되지 않은 치약을 사용하는 경우 획득피막을 제거하지 못해서 ______착색됩니다.
연마제가 함유되지 않은 치약을 사용하는 경우 획득피막을 제거하지 못해서 ______착색됩니다.
획득피막은 치아 표면의 착색으로 인한 ______을 야기합니다.
획득피막은 치아 표면의 착색으로 인한 ______을 야기합니다.
획득피막은 산의 확산을 막는 ______로 작용합니다.
획득피막은 산의 확산을 막는 ______로 작용합니다.
획득피막은 mucin에 의해 침이 박테리아를 응집시켜 침 삼킬 때 없앨 수 있도록 하여 ______작용을 합니다.
획득피막은 mucin에 의해 침이 박테리아를 응집시켜 침 삼킬 때 없앨 수 있도록 하여 ______작용을 합니다.
획득피막은 무틴에 의한 윤활 작용으로 윗니와 아랫니가 닿을 때 ______ 방지해줍니다.
획득피막은 무틴에 의한 윤활 작용으로 윗니와 아랫니가 닿을 때 ______ 방지해줍니다.
치태(=Dental plaque =Dental Biofilm=______)
치태(=Dental plaque =Dental Biofilm=______)
바이오 필름은 단단한 표면에 세균들이 집락을 이룬 복합체(______)를 지칭합니다.
바이오 필름은 단단한 표면에 세균들이 집락을 이룬 복합체(______)를 지칭합니다.
바이오 필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단단한 표면과, ______ 반드시 필요합니다.
바이오 필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단단한 표면과, ______ 반드시 필요합니다.
미생물들이 바이오 필름을 형성하는 이유는 숙주의 방어기전들이나 항생제 및 미생물에 해로운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______ 위해서다.
미생물들이 바이오 필름을 형성하는 이유는 숙주의 방어기전들이나 항생제 및 미생물에 해로운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______ 위해서다.
바이오 필름 세균은 숙주 방어에 좀 더 잘 견딜 수 있고, 같은 종류의 부유 세균보다 항균제에 더 잘 ______ 수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바이오 필름 세균은 숙주 방어에 좀 더 잘 견딜 수 있고, 같은 종류의 부유 세균보다 항균제에 더 잘 ______ 수 있다고 보고되었습니다.
부유 세균이 단단한 표면에 부착 → 계속해서 ______ 생성
부유 세균이 단단한 표면에 부착 → 계속해서 ______ 생성
가장 외곽에 ______존재하여 항균 물질에 저항하여 보호막을 형성합니다.
가장 외곽에 ______존재하여 항균 물질에 저항하여 보호막을 형성합니다.
바이오필름의 형성과 성장 - ______(정족수 조절)
바이오필름의 형성과 성장 - ______(정족수 조절)
칼슘 연결 (calcium bridging)은 박테리아/획득피막 양쪽의 음이온(박테리아의 카복실기+ 획득피막의 phosphoprotein을 ______ )를 잇는다.
칼슘 연결 (calcium bridging)은 박테리아/획득피막 양쪽의 음이온(박테리아의 카복실기+ 획득피막의 phosphoprotein을 ______ )를 잇는다.
세포 외 다당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는 끈적끈적한 대사 산물인 ______ 형성합니다.
세포 외 다당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는 끈적끈적한 대사 산물인 ______ 형성합니다.
처음에는 주로 Streptococcus(연쇄상구균) 균종 일부가 획득 피막에 부착됨 (Early colonizer, 즉 ______)
처음에는 주로 Streptococcus(연쇄상구균) 균종 일부가 획득 피막에 부착됨 (Early colonizer, 즉 ______)
F. nucleatum(Fusobacterium nucleatum)이라는 ______ 세균이 사다리처럼 붙음
F. nucleatum(Fusobacterium nucleatum)이라는 ______ 세균이 사다리처럼 붙음
바이오필름이 성숙하는 과정에서 ______ 한 세균에 cocci들이 붙어서 형성 => ___________ appearance
바이오필름이 성숙하는 과정에서 ______ 한 세균에 cocci들이 붙어서 형성 => ___________ appearance
치태 순수 중량의 약 80%가 ______이다.
치태 순수 중량의 약 80%가 ______이다.
Sucrose는 bacterial ______ glucan 합성을 촉진시킨다.
Sucrose는 bacterial ______ glucan 합성을 촉진시킨다.
Flashcards
획득피막이란?
획득피막이란?
획득피막은 치아를 감싸는 타액에서 유래된 얇은 막으로, 타액의 당단백질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치태란?
치태란?
치태는 세균이 단단한 표면에 집락을 이루어 형성된 복합체(community)를 말합니다.
바이오필름이란?
바이오필름이란?
바이오필름은 세균들이 외부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 형성하는 보호막입니다.
우식증 발생 요인
우식증 발생 요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예방치과 5 Actions
예방치과 5 Action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타액의 역할
타액의 역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태와 질병
치태와 질병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부착물 진행 과정
부착물 진행 과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re-eruptive deposits
Pre-eruptive deposit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ost-eruptive deposits
Post-eruptive deposit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태 제거의 어려움
치태 제거의 어려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마제 없는 치약
연마제 없는 치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획득피막 생성 조건
획득피막 생성 조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획득피막 위치와 기능
획득피막 위치와 기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획득피막 구성
획득피막 구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획득피막의 역할
획득피막의 역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획득피막의 유해한 측면
획득피막의 유해한 측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정족수 조절(Quorum sensing)
정족수 조절(Quorum sensing)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소수성 결합
소수성 결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석이란?
치석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석 위치
치석 위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석 촉진 요인
치석 촉진 요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석 억제 약물
치석 억제 약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아 착색 종류
치아 착색 종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Tetracycline 착색
Tetracycline 착색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아 불소증
치아 불소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치태, 치석 및 기타 치아 침착물
- 획득피막, 치태, 치석, 착색 유발 흐름을 파악하는 것이 중요
- 회색 글씨는 수업 내용이나 족보에 없거나 내용 이해에 도움이 될 만한 내용
서론
- 맹출 후 치아 피막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획득 피막(Dental pellicle)에 대한 설명이 필요
- 획득피막의 화학적 구성 및 구강 건강에 이로운 점과 해로운 점을 알아야 함
- 치태(biofilm)의 정의를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치태의 주요 성분을 설명할 수 있어야 함
- 치석(굳은 것)의 특징에 대한 설명이 필요
우식증 발생 메커니즘
- 구강 내 세균(예방: 치면 세균막 관리)
- 숙주(예방: 치질 강화)
- 기질(예방: 당질 섭취 통제)
- 시간(예방: 3요인의 접촉 시간 관리)
- 네 가지 요소가 중첩되는 부분에서 치아우식증이 발생
- 네 가지 요소가 중첩되지 않도록 외곽으로 끌어당기는 것이 예방치과
- 치면세균막 관리: 기계적 제거, 항균제 이용, 효소제 이용, 효소저해제 이용, 우식증 백신 등이 있음
- 우식증 백신은 S. mutans 균을 표적으로 개발되었으나 심장 판막에 부착되어 상용화에 실패함
- 치질강화 : 불소이용, 열구전색(치아의 홈을 메우는 것)
- 당질 섭취 통제: 설탕 섭취 억제, 대용감미료 섭취
- 3요인의 접촉시간 관리 : 타액분비촉진, 식후와 취침 전 이 닦기, 음식 섭취법 연구
예방치과의 5 Actions
- 물리적 치태 조절
- 화학적 치태 조절
- Sugar discipline
- Pit and fissure sealant
- Oral Health Education
- 예방치과의 경우 물리적, 화학적 치태 조절에 집중
- 100% 제거하는 것이 아니라, 적당한 수가 되도록 조절
치아 주변 환경의 결정 요소
- 타액
- 치아 coating과 integuments
타액
- 구강 건조를 유발하고, 미각을 느끼기 어렵게 만들며, 음식 섭취를 어렵게 만듦
- 세균이 치아에 부착되기 위한 전구 조건
- 칼슘, 인 같은 광물이 과포화 상태로 존재하지만 타액 성분으로 인해 액체 상태 유지
치아 coating과 integuments
- 외피 역할
- 올해의 경우 타액이 먼저 치아나 구강 내 모든 조직을 감쌈
치아우식증과 치주질환
- 치태 관련 질환
- 치태에 존재하는 세균 중 일부는 치아우식증 및 치주질환과 관련
- 치아부착물의 일련의 진행과정에 대한 이해가 중요
치아부착물의 진행과정
- 획득피막(Acquired pellicle) → 치태 → 치석
- 타액에서 유래한 획득피막이 붙고, 그 위에 세균이 붙는 치태 형성 단계 다음 기계적, 화학적인 방법으로 제거되지 않으면 타액 내 인과 같은 광물질이 추가로 침착하여 돌처럼 굳는 치석의 단계로 진행
- 타액에서 유래한 획득피막이 붙고, 그 위에 박테리아가 침착된 치태, 그것이 돌처럼 굳은 치석의 순서로 진행
치아피막(dental integuments)의 분류
- 형성 시기에 따라 Pre-eruptive deposits(맹출 전)과 Post-eruptive deposits(맹출 후)로 분류
- 우식증의 원인이 되는 것은 Post-eruptive deposits
- Pre-eruptive deposits(맹출 전): 발생학적인 과정에서 치아를 싸는 막 (ex) primary enamel cuticle, reduced enamel epithelium
- Post-eruptive deposits(맹출 후): 맹출 후 형성되는 피막 ex) 획득피막(타액에서 유래), 치태(세균에서 유래), 치석(Dental calculus), 기타 표면 착색 물질
획득피막(Dental pellicle, Acquired pellicle)
- 사전적 정의: Film 또는 thin skin
- 맹출 된 치아를 감싸고 있는 타액으로부터 유래된 얇은 막, 타액의 당단백질로 구성
- 타액으로부터 생성된 무균층(bacterial free layer)로 치태나 세균이 없어도 생성
- 원칙적으로는 타액에 박테리아가 없는데, 구강 내 많은 세균과 타액이 섞이며 세균이 생김
획득피막의 일반 특성
- Acellular(세포가 없음)
- Structureless(무정형)
- Homogeneous(동질성)
- Organic(유기성-당단백으로 구성됨)
획득피막의 임상적 특성
- 칫솔질만으로는 완전히 제거되지 않음 – 타액으로 인해 항상 젖어있기 때문
- 치아의 모든 조직과 충전물, 보철물 및 연조직 표면에도 생김
- 연마제가 함유되지 않은 치약(국내는 아니고 간혹 해외 제품)을 사용하는 경우 획득피막을 제거하지 못해서 갈색으로 착색
- 치태나 세균이 없어도 생김 (타액에서 유래, 타액만 있으면 저절로 생성됨)
- 애나멜과 박테리아 사이에 형성
획득피막의 화학적 구성 요소
- 타액 내 당단백질(glycoprotein)
- Glutamic acid, 아미노산, 다양한 탄수화물
- 항균 물질/면역 물질인 타액단백질(salivary proteins) ex) lysozyme, Amylase, Immunoglobulins
획득피막의 임상적 중요성
- 유해한 측면 – 치아 표면의 착색으로 인한 심미적 문제, Plaque의 precursor 로 작용(반드시 획득피막이 있어야 세균이 붙을 수 있음)
- 유익한 측면 – Acid-diffusion의 barrier로 작용, Healing and repairing 작용, Aggregation of organism, Surface wear 방지, Bacterial detachment
- 치아마모를 방지
치태 (=Dental plaque =Dental Biofilm=치면세균막)
- 자연계에는 바이오 필름이 여러 가지 형태로 존재
- 바이오 필름은 단단한 표면에 세균들이 집락을 이룬 복합체(community)를 지칭
- 바이오 필름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단단한 표면과 수분이 반드시 필요
- 미생물들이 바이오 필름을 형성하는 이유는 숙주의 방어기전들이나 항생제 및 미생물에 해로운 환경으로부터 스스로를 보호하기 위해서
바이오필름의 존재
- 물, 수도관, 바다속 뜨거운 물이 나오는 열구, 사람 몸 등에 존재
- 도관(catheter), 콘택트 렌즈(contact lens)등에도 존재 (의학적으로 중요함)
- 특히 습기와 딱딱한 표면이 있으면 잘 형성
치태(Dental plaque)의 정의
- 최근에는 치태를 바이오필름의 관점에서 연구
- 바이오필름 내의 세균들은 주위 환경 및 다른 세균들과의 상호 작용에 의해 부유세균(planktonic cell)과는 전혀 다른 양상
바이오 필름의 저항성
- 부유 세균이 단단한 표면에 부착 -> 계속해서 층 생성 -> 외곽의 세균의 형태 변화(외부의 공격을 잘 막을 수 있는 형태로) 즉 내성 생성
- Mutation도 잘 일어나서 환경에 잘 적응 -> 항생제가 들어오면 항생제가 원하는 타겟 형태를 이루지 않음
- 치아 표면에 생긴 박테리아의 백신을 만들기는 어려움
바이오필름의 모식도
- 전자 현미경 발명 초창기에 Biofilm을 냉동시켜 죽인 채 전자 현미경으로 관측한 단면 사진
- 공초점 주사 전자 현미경(CLSM)이 2000년대에 등장
- 입체적인 구조
- 내부에 수많은 Open channel(Fluid channel)이 존재 -> Channel을 통해 산소/영양분이 심부의 Biofilm으로 들어가고, Biofilm의 노폐물이 배출
- 가장 외곽에 Protective Matrix가 존재 -> 항균 물질에 저항하여 보호막을 형성
바이오필름의 형성과 성장
- Quorum sensing(정족수 조절)
- 자체가 Barrier를 열고 다른 곳으로 이주
- 정족수 조절에 관여하는 화학 물질을 차단 -> Biofilm을 선택적으로 조절
세균 부착에 관여하는 분자생물학적 기전
- 소수성 결합 (hydrophobic interaction)
- 칼슘 연결 (calcium bridging)
- 세포 외 다당류 (extracellular polysaccharide)
- 부착소에 의한 표면 부착 (surface appendage)
치태의 발달과 형성
- 치태의 발달과 형성은 끊임없이 연속적으로 일어나는 과정
- 처음에는 주로 Streptococcus(연쇄상구균) 균종 일부가 획득 피막에 부착됨
- 초기에 부착된 미생물에 이차적인 다른 미생물들이(Lactobacilli등) 부착됨
- 여러 층을 이루며 세균이 부착
F. nucleatum(Fusobacterium nucleatum)
- 혐기성 세균이 사다리처럼 붙음
- early colonizer에서 late colonizer로 넘어가는 F.nucleatum의 특징
- 구강 질환을 일으킬 뿐 아니라 대장에 존재하면 대장암을 유발
설탕 섭취의 영향
- 설탕 섭취는 세균 부착 방법 중 3번째 방법 (세포 외 다당류)로 치태 형성을 유발
- 식이 섭취 양상에 따라 polysaccharides의 특성이 달라짐
치태 기질의 구성
- Water : 치태 순수 중량의 약 80%가 수분
- Proteins : 주로 타액의 glycoprotein으로 부터 생김
- Polysaccharide : 주로 extracellular bacterial products (미생물이 분비한 대사 산물)
세포외 다당류 역할
- 식이는 접착제 역할을 해서 중요
- 식이 섭취 양상에 따라 polysaccharides의 특성이 달라짐
- Glucans(=대표적 세포 외 다당류)은 치태 기질의 중요한 물질
치태의 pH
- 타액의 PH가 5.5이하로 내려가면 법랑질이 용해
- 설탕을 많이 섭취할수록 치아 우식증의 발병 확률이 높아진다
치석 (Dental Calculus)
- 일부 치태의 경우 치태가 성숙되는 마지막 단계에서 치태 깊은 부위에서 석회화가 진행되어 치석으로 발전
- 치석 자체는 해롭지 않으나, 치석 외부 층에는 활동성 높은 세균이 있어 치주 질환 발생 가능성이 높음
- 치석은 칫솔질 or 치실로 제거 안됨, 치과 전문적 기구를 이용해 제거해야 함
치은연상 치석과 치은연하 치석의 비교
- 치은연상 치석 – 치은변연 상부(잇몸line 위)에 위치, 육안 관찰 가능, 진흙 같은 정도-경도가 약함, 기구로 제거가 쉬움, 백색에서 회백색, 다액기원.
- 치은연하 치석 – 치주낭 내(잇몸line 아래)에 위치, 육안으로는 보이지 않음, 부싯돌같이 단단함, 기구로도 제거가 쉽지 않음, 암갈색, 치은열구 삼출액 기원.
치석 형성을 억제
- 치아 내에 아연 등의 금속이온 or 피로인산염 등을 함유-> 치석의 결정화 속도를 늦추거나 방해
치아 착색(Dental Stains)
- 내인성 착색 - 치아구조 내부 내 내인성 착색(intrinsic stain)의 발생 원인 (맹출 전)(Tetracycline 사용으로 인한 착색, 불소증 등)
- 외인성 착색 - 외인성 착색(extrinsic stain) 발생 원인 (맹출 후)(착색된 피막(stained pellicle), 담배 등)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