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당 관련 퀴즈
33 Questions
1 Views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Questions and Answers

정기주주총회는 언제 개최되어야 하는가?

  • 사업연도 말로부터 30일 이내
  • 사업연도 말로부터 60일 이내
  • 사업연도 말로부터 120일 이내
  • 사업연도 말로부터 90일 이내 (correct)
  • 배당락일의 정의는 무엇인가?

  • 주식 구매 후 즉시 배당을 받을 수 있는 날
  • 주주명부를 폐쇄하는 날
  • 주식을 매도해도 배당을 받을 수 있는 날
  • 주식을 소유한 주주가 배당을 받을 수 있는 권리가 없어지는 날 (correct)
  • 배당 지급 절차에서 마지막 단계는 무엇인가?

  • 배당공시
  • 배당지급 (correct)
  • 배당락
  • 주주명부폐쇄
  • 배당기준일의 역할은 무엇인가?

    <p>배당을 받을 권리를 가진 주주를 확정하는 날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성향 d의 정의는 무엇인가?

    <p>주당현금배당액을 당기순이익으로 나눈 값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정기적인 배당 지급이 이루어지는 경우 원칙적으로 몇 회 정도 지급되는가?

    <p>연 1회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유보율의 계산식에서 유보율을 구하는 방법은 무엇인가?

    <p>1에서 배당성향을 뺀 값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액면배당률의 정의로 옳지 않은 것은?

    <p>주당순이익을 주가로 나눈 비율이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시가배당률(배당수익률)의 계산식에서, 무엇을 분모에 두는가?

    <p>주가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성과 관련된 주요 요소 중 유보이익의 역할은 무엇인가?

    <p>기업의 운영 자금으로 사용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의 개념에 대한 설명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p>배당은 모든 경우에 이익준비금 적립을 강제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성향과 관련하여 올바른 설명은?

    <p>배당성향은 기업의 수익성이 높을수록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유보율에 대한 올바른 설명은 무엇인가?

    <p>유보율은 당기순이익 중 유보이익의 비율이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유보이익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유보이익은 주주들에게 직접 지급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을 지급하지 않는 경우의 특징으로 맞는 것은?

    <p>이익준비금 적립이 강제되지 않는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의 정보를 해석하는 방법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p>배당을 늘리면 주가가 상승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저배당 정책을 선호하는 요인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p>자본소득세가 배당소득세보다 높은 경우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제시된 조세제도에서 배당 소득세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p>자본소득세는 일반적으로 배당소득세보다 낮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종합 과세가 적용되는 상황은 어떻게 되는가?

    <p>이자 소득과 배당 소득의 합이 2000만원을 초과할 때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저배당 정책이 주주에게 미치는 영향 중 무엇이 아닌가?

    <p>주가가 항상 상승한다고 보장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중소기업이나 벤처기업이 외부 자본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

    <p>대주주의 기업 지배권이 약화될 수 있다. (B), 현금 배당이 외부로 유출될 수 있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대주주가 경영권 방어를 고려할 때 배당 성향은 어떻게 변화하는가?

    <p>배당성향이 낮아진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어떤 상황에서 기업의 외부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증가하는가?

    <p>배당금이 현금으로 유출될 때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대주주가 우선적으로 고려해야 하는 요소는 무엇인가?

    <p>기업 지배권 확보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연간 배당금 지급이 많을수록 대주주에게 미치는 영향은 무엇인가?

    <p>대주주의 지배권이 약화될 수 있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락일이 시행되는 날은 언제인가?

    <p>배당기준일 1일 전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고배당 정책을 선호하는 이유 중 실제로 확인해야 하는 점이 무엇인가?

    <p>미래의 불확실한 현금흐름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정책이 기업가치를 극대화하기 위한 목표로 하는 것은 무엇인가?

    <p>주주의 자산 극대화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정책에서 '잉여현금흐름 가설'의 주요 의미는 무엇인가?

    <p>경영자의 소비를 조절하여 기업가치 증가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공시일 이후 배당금 지급은 언제 이루어져야 하는가?

    <p>1개월 이내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에 관한 구체적인 내용이 증권시장에 공표되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p>배당공시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배당정책이 기업 가치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잘못 설명된 것은 무엇인가?

    <p>배당금은 미래 수익성을 직접적으로 보장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시장 불완전성이 배당정책에 영향을 미치는 이유는 무엇인지 옳지 않은 것은?

    <p>배당 정책이 고정되어 있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배당의 개념

    주주들에게 자본 출자에 대한 보상으로 현금, 주식 또는 현물을 지급하는 것

    배당성향

    당기순이익 중 현금 배당 비율

    유보율

    당기순이익 중 유보이익 비율

    유보이익

    재무상태표의 이익잉여금으로 적립되는 당기순이익 일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현금배당을 하지 않는 경우

    이익준비금 적립이 강제되지 않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총현금배당

    회사가 주주들에게 지급하는 총 현금 배당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주당현금배당액

    한 주당 지급되는 현금 배당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액면배당률

    액면가액(장부가액) 대비 주당현금배당액의 비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당락일

    배당을 받을 권리가 없는 날. 이 날 이후 주식을 매수하면 배당금을 받을 수 없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당 기준일

    배당을 받을 권리가 있는 주주를 확정하는 날. 이 날 주식을 보유한 주주만 배당금을 받는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주주명부 폐쇄

    배당 기준일을 기준으로 주식의 명의 변경을 정지하는 절차. 배당 기준일 이후 주식을 매수해도 배당금을 받을 수 없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정기 배당은 연 1회

    정기 주주총회는 사업연도 말로부터 90일 이내에 개최되기 때문에, 정기 배당은 연 1회 지급되는 것이 원칙이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이사회 의결로 분기별 배당 가능

    이사회에서 결정하면, 분기별로 배당을 지급할 수 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당공시

    배당에 대한 구체적인 내용이 증권시장에 공표되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당공시일

    배당공시가 공표되는 날, 이사회 결의일 or 주주총회 승인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당정책

    기업의 이익을 배당과 유보이익으로 나누는 결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시장의 불완전성과 배당정책

    불완전한 자본시장에서는 배당정책이 기업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배당 정책 선호 요인

    투자자들이 미래의 불확실한 현금흐름보다 현재의 확실한 현금배당을 선호하는 경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당의 정보효과

    기업 정보가 시장에 제대로 전달되지 않을 때, 배당은 정보의 신호 역할을 한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당의 신호효과

    기업이 배당을 늘리면 투자자들은 이를 미래 수익에 대한 경영자의 낙관적인 전망으로 해석하고 주가가 상승하는 현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저배당 정책 선호 이유: 세금

    현행 세금 제도에서는 배당을 낮추는 것이 주가 상승에 도움이 되기 때문에 기업들이 저배당 정책을 선호할 수 있습니다. 자본소득세가 배당소득세보다 낮아 주주들은 현금배당보다는 유보를 선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종합과세 적용

    이자와 배당소득의 합산이 2000만원을 넘으면 종합과세가 적용됩니다. 즉, 소득세율이 높아져 배당을 많이 받을수록 세금 부담이 커집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주주들의 유보 선호

    자본소득세가 배당소득세보다 낮기 때문에, 주주들은 회사가 현금배당을 하는 것보다 이익을 유보하는 것을 선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저배당 정책의 장점

    기업 입장에서 저배당 정책은 세금 부담을 줄이고, 유보된 이익을 재투자하여 기업 성장을 촉진할 수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외부 자본 의존도

    기업이 외부에서 돈을 빌리거나 주식을 발행하여 자금을 조달하는 정도를 나타냅니다. 외부 자본 의존도가 높을수록 재무적인 위험이 커질 수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기업 지배권

    기업의 경영을 결정하고 주요 의사 결정을 내릴 수 있는 권리를 말합니다. 대주주는 기업 지배권을 통해 회사를 운영하고 이익을 얻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배당과 기업 지배권의 관계

    회사가 이익을 내면 주주들에게 배당을 하는데, 배당을 많이 하면 외부 자본에 대한 의존도가 높아지고, 대주주의 기업 지배권이 약해질 수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대주주 입장에서 배당

    대주주는 기업 지배권을 유지하기 위해 배당을 줄이고 싶어합니다. 배당이 많으면 외부 자본 의존도가 높아져서 경영권이 약화될 수 있기 때문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배당 (Dividend) 개념

    • 배당은 주주들에게 자본 출자에 대한 보상으로 현금, 주식, 또는 현물을 지급하는 행위임
    • 배당성향(dividend payout ratio)는 당기순이익 중 현금 배당으로 지급되는 금액의 비율임
    • 유보율(retention ratio)은 당기순이익 중 유보이익(기업 내부에 유보되는 금액)의 비율임
    • 유보이익은 재무제표의 이익잉여금으로 기록되며, 기업의 내부 자금 및 배당의 원천이 됨
    • 이익배당(현금배당)을 하지 않을 경우, 또는 주식배당의 경우에는 이익준비금 적립 의무가 없음.
    • 배당률은 주가에 대한 주당배당액의 비율임

    배당 지급 절차

    • 배당은 주주총회 의결 후 이사회 의결을 거쳐 분기별 또는 연 1회 지급됨
    • 배당 절차는 배당락일, 배당기준일, 배당공시일, 배당지급일 순으로 진행됨
    • 한국 증시에서는 12월 결산법인의 경우 12월 31일이 배당기준일임

    배당 기준일 / 배당 락일/ 배당공시일

    • 배당기준일(record date): 배당금 지급 대상 주주를 확정하는 날
    • 배당락일(ex-dividend date): 배당 지급 대상 주주 명부에서 제외되는 날 (배당기준일 전 1일 전)
    • 배당공시일(announcement date): 배당 관련 정보가 공식적으로 발표되는 날

    배당 정책 의의

    • 배당 정책(dividend policy)은 기업의 이익 배분 방식 (배당 vs 유보)을 결정하는 정책
    • 기업의 배당 정책은 투자자에게 기업의 가치를 평가하는 중요한 기준이 됨

    시장의 불완전성과 배당 정책

    • 불완전한 자본 시장에서는 배당 정책이 기업 가치에 영향을 미치게 됨
    • 투자자들은 현재의 확실한 배당보다 미래의 불확실한 현금 흐름을 선호하기 때문에 높은 배당을 선호함
    • 안정된 수입을 원하는 투자자들은 확실한 배당을 원함

    배당 정책의 영향 요인

    • 배당 정책은 기업의 유동성, 라이프 사이클, 외부 자본 조달 능력, 기업 지배구조 등에 영향을 받음
    • 배당 정책 결정은 기업 가치 극대화를 목표로 함

    배당의 안정화 정책(Dividend Smoothing Policy)

    • 배당의 안정화 정책: 기업이 단기적인 순이익 변동에 따라 배당액을 조정하지 않고, 장기적인 목표 배당액을 고수하여 배당금을 안정적으로 지급하는 정책
    • 장기적인 목표 배당액 기준으로 일정한 주당 배당금을 지급함
    • 배당 안정성은 위험이 낮은 주식으로 인식되어 투자자에게 매력적임

    배당 결정 요인

    • 법적 규제 (상법), 기업의 유동성, 기업의 라이프 사이클, 외부 자금 조달의 용이성, 기업 지배구조, 세금 등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배당 PDF

    Description

    이 퀴즈는 정기주주총회, 배당락일, 배당 지급 절차와 같은 여러 배당 관련 개념을 다룹니다. 각 질문은 주주와 배당에 대한 깊은 이해를 요구합니다. 배당의 원칙 및 유보율과 같은 중요한 요소들에 대한 설명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More Like This

    Dividend Policy Decisions
    10 questions
    Finance and Dividend Policy Quiz
    20 question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