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학 용어: 해부학 및 생리학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해부학적 자세(anatomical positio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부정확한 것은 무엇인가?

  • 손바닥은 앞을 향하고 있다.
  • 눈은 정면을 응시하고 있다.
  • 발은 어깨 너비로 벌리고 서 있다.
  • 몸의 모든 분절이 완전한 회외(supination) 상태에 있다. (correct)

시상면(sagittal plane)은 인체를 좌우로 나누는 면이며, 정중 시상면(midsagittal plane)은 인체를 정확히 좌우 대칭으로 나눈다.

True (A)

세포 생리학에서,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중 에너지 소모 없이 농도 기울기에 따라 일어나는 수송 방식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특히 세포막 단백질의 도움 없이 일어나는 경우의 정확한 명칭을 쓰시오.

단순 확산 (simple diffusion)

항상성 유지를 위한 조절 기전 중, 특정 생리적 변수가 정상 범위에서 벗어날 때, 이를 감지하여 원래 상태로 되돌리는 반응을 유도하는 기전을 ______ 피드백이라고 한다.

<p>음성</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병리학 용어와 그에 대한 설명을 연결하시오:

<p>과형성 (Hyperplasia) = 세포 수의 증가로 인한 조직이나 기관의 크기 증가 이형성 (Dysplasia) = 세포의 크기, 모양, 배열의 비정상적인 변화 화생 (Metaplasia) = 한 종류의 성숙한 세포가 다른 종류의 성숙한 세포로 전환되는 현상 무형성 (Anaplasia) = 세포의 분화가 소실되어 미분화된 상태로 되돌아가는 현상</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약물 동태(pharmacokinetics)의 단계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p>수용체 결합 (Receptor binding)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약물 역학(pharmacodynamics)은 약물이 체내에서 흡수, 분포, 대사, 배설되는 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이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임상 용어 중, 환자가 호소하는 주관적인 증상(symptom)과 의료진이 관찰하는 객관적인 징후(sign)를 구별하는 것이 중요한 이유는 무엇인가? 의사결정과정에서의 차이점을 설명하시오.

<p>진단 및 치료 계획 수립 시, 주관적인 증상은 환자의 경험을 바탕으로 하지만, 객관적인 징후는 의료진의 직접적인 관찰을 통해 얻어지므로, 둘을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정확한 진단을 내리고 적절한 치료 계획을 수립해야 함. 정보의 신뢰도에 따라 의사결정의 우선순위가 달라진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종양의 분류 시, 기저막을 침범하지 않고 주변 조직으로 전이되지 않는 종양을 ______ 종양이라고 한다.

<p>양성</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해부학 용어와 그 의미를 올바르게 연결하시오:

<p>Proximal = 몸의 중심 또는 몸통에 가까운 쪽 Distal = 몸의 중심 또는 몸통에서 멀리 떨어진 쪽 Medial = 몸의 정중앙선에 가까운 쪽 Lateral = 몸의 정중앙선에서 멀리 떨어진 쪽</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능동 수송(active transport)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정확한 것은?

<p>에너지를 소모하여 농도 기울기를 거슬러 물질을 수송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염증(inflammation)은 항상 감염에 의해 유발되며, 조직 손상이 없는 경우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약물 작용 기전 중, 약물이 수용체(receptor)와 결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는 작용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작용제, 길항제를 구분하여 설명하시오.

<p>작용제(agonist)는 수용체와 결합하여 세포 내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고, 길항제(antagonist)는 수용체와 결합하지만 신호 전달 경로를 활성화시키지 않고 오히려 작용제의 결합을 방해하여 효과를 차단합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환자의 진단 과정에서, 특정 질병의 존재를 확인하기 위해 사용하는 검사를 ______ 검사라고 한다.

<p>확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임상 용어와 그 의미를 연결하시오:

<p>예후 (Prognosis) = 질병의 경과 및 결과를 예측하는 것 병력 (Medical history) = 과거 및 현재의 질병, 치료 경험 등에 대한 정보 합병증 (Complication) = 질병의 경과 중에 발생하는 예기치 않은 문제 재발 (Relapse) = 치료 후 질병이 다시 나타나는 현상</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관상면(coronal plan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정확한 것은?

<p>인체를 앞뒤로 나누는 면이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삼투(osmosis)는 용질의 농도가 높은 쪽에서 낮은 쪽으로 용매가 이동하는 현상이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조직 손상 시 발생하는 염증 반응에서, 혈관 투과성 증가로 인해 발생하는 부종(edema)의 기전을 설명하고, 이때 관여하는 주요 매개체를 기술하시오.

<p>혈관 투과성 증가는 혈관 내피 세포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면서 혈장 단백질과 액체가 조직으로 유출되어 발생합니다. 주요 매개체로는 히스타민, 프로스타글란딘 등이 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약물 투여 경로 중, 위장관을 거치지 않고 혈액으로 직접 약물을 전달하는 경로를 ______ 투여 경로라고 한다.

<p>비경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치료 방법과 그 목적을 연결하시오:

<p>대증 치료 (Symptomatic treatment) = 질병의 증상을 완화하는 치료 근본 치료 (Curative treatment) = 질병의 원인을 제거하는 치료 보존 치료 (Conservative treatment) = 수술이나 약물 없이 자연 치유를 유도하는 치료 완화 치료 (Palliative treatment) = 생명 연장보다는 삶의 질을 개선하는 치료</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횡단면(transverse plane)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정확한 것은?

<p>인체를 위아래로 나누는 면이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확산(diffusion)은 에너지를 소모하여 농도 기울기를 거슬러 물질을 수송하는 방식이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종양의 악성도를 평가하는 기준 중, 세포의 분화 정도와 유사성을 나타내는 지표는 무엇인가?

<p>분화도 (Grade)</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약물의 혈중 농도가 시간에 따라 감소하는 현상을 설명하는 약물 동태학적 지표 중, 약물 농도가 절반으로 감소하는 데 걸리는 시간을 ______라고 한다.

<p>반감기</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진단 방법과 그 특징을 연결하시오:

<p>X선 검사 = 방사선을 이용하여 뼈의 이상을 확인하는 검사 CT 검사 = X선을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 영상을 얻는 검사 MRI 검사 = 자기장을 이용하여 인체의 단면 영상을 얻는 검사 초음파 검사 = 초음파를 이용하여 인체의 내부 구조를 실시간으로 관찰하는 검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몸쪽(proximal)의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해부학 용어는 무엇인가?

<p>Distal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세포 내에서 에너지를 생성하는 주요 기관은 리소좀(lysosome)이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만성 염증과 관련된 질병의 발생 기전을 설명하고, 그 예시를 3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p>만성 염증은 지속적인 염증 반응으로 인해 조직 손상이 반복되고, 섬유화가 진행되어 장기 기능이 저하되는 질병입니다. 예시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만성 간염, 동맥경화증 등이 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약물과 수용체의 결합력(affinity)과 약효(efficacy)를 모두 고려하여 약물의 효과를 정량적으로 나타내는 지표를 ______라고 한다.

<p>효능</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임상 검사와 그 목적을 연결하시오:

<p>혈액 검사 = 혈액 내 세포 수, 전해질, 효소 등을 측정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 소변 검사 = 소변 내 단백질, 당, 세균 등을 검출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 대변 검사 = 대변 내 혈액, 기생충, 세균 등을 검출하여 질병을 진단하는 검사 객담 검사 = 객담 내 세균, 세포 등을 검출하여 호흡기 질환을 진단하는 검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안쪽(medial)의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해부학 용어는 무엇인가?

<p>Lateral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항상성(homeostasis) 유지는 오직 신경계에 의해서만 조절된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자가면역 질환의 발생 기전을 설명하고, 그 예시를 3가지 이상 제시하시오.

<p>자가면역 질환은 자신의 면역 체계가 자신의 신체 조직을 공격하여 발생하는 질병입니다. 예시로는 류마티스 관절염, 루푸스, 갑상선염 등이 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약물 투여 후, 약물이 혈액에서 조직으로 이동하는 과정을 ______라고 한다.

<p>분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치료 방법과 그 적용 대상을 연결하시오:

<p>항생제 치료 = 세균 감염 질환 항바이러스제 치료 = 바이러스 감염 질환 항암제 치료 = 암 면역억제제 치료 = 자가면역 질환</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위(superior)의 반대 방향을 나타내는 해부학 용어는 무엇인가?

<p>Inferior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시, 촉진 확산은 에너지를 소모한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암의 전이 과정을 설명하고, 전이가 잘 일어나는 장기 3곳과 그 이유를 설명하시오.

<p>암세포는 혈관 또는 림프관을 통해 다른 장기로 이동하여 새로운 종양을 형성합니다. 전이가 잘 일어나는 장기 3곳은 폐, 간, 뼈이며, 이들은 혈류량이 풍부하거나 특정 암세포가 잘 부착되는 특성을 가지고 있습니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약물의 독성(toxicity)을 평가하는 지표 중, 실험 동물에게서 50%의 치사율을 나타내는 약물 용량을 ______라고 한다.

<p>LD50</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임상 진료과와 그 주요 질환을 연결하시오:

<p>내과 = 고혈압, 당뇨병 외과 = 맹장염, 탈장 신경과 = 뇌졸중, 파킨슨병 정신건강의학과 = 우울증, 조현병</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의학 용어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특수 용어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표준화된 용어입니다.

해부학 용어

인체 구조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며, 위치, 방향,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

해부학적 자세

서 있는 자세에서 손바닥이 앞을 향하게 한 상태를 기준으로 합니다.

해부학적 면

인체를 나누는 가상의 평면을 의미합니다. 시상면, 관상면, 횡단면 등이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생리학 용어

인체의 기능과 작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항상성 유지, 세포 간 신호 전달 등을 포함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항상성 (Homeostasis)

인체가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을 의미합니다. 신경계와 내분비계가 중요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확산 (Diffusion)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방식으로, 농도 차이에 의해 물질이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병리학 용어

병리학 용어는 질병의 원인, 발생 기전, 형태학적 변화 등을 기술하는 데 사용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염증 (Inflammation)

조직 손상에 대한 생체 반응으로, 발적, 부종, 열감, 통증 등의 특징을 나타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종양 (Tumor)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으로 인해 형성된 덩어리를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약리학 용어

약물의 작용 기전, 약물 동태, 약물 역학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약물 동태 (Pharmacokinetics)

약물이 체내에서 흡수, 분포, 대사, 배설되는 과정을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약물 역학 (Pharmacodynamics)

약물이 체내에서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을 의미하며, 수용체와의 결합 등이 포함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임상 용어

환자의 증상, 징후, 진단, 치료 등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주관적 증상 (Symptoms)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이나 이상 증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객관적 징후 (Signs)

의료진이 관찰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이상 소견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진단 (Diagnosis)

환자의 증상과 징후, 검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질병을 판단하는 과정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료 (Treatment)

질병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모든 의료 행위를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앞 (Anterior)

인체의 앞쪽을 향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뒤 (Posterior)

인체의 뒤쪽을 향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위 (Superior)

인체의 위쪽 (머리 방향)을 향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아래 (Inferior)

인체의 아래쪽 (발 방향)을 향하는 것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안쪽 (Medial)

정중앙에 더 가까운 쪽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가쪽 (Lateral)

정중앙에서 더 멀리 떨어진 쪽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몸쪽 (Proximal)

몸통에 더 가까운 쪽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먼쪽 (Distal)

몸통에서 더 멀리 떨어진 쪽을 나타내는 용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능동 수송 (Active transport)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방식으로, 에너지를 사용하여 물질을 농도 기울기에 반하여 이동시키는 현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삼투 (Osmosis)

세포막을 통한 물질 이동 방식으로, 물이 농도가 낮은 곳에서 높은 곳으로 이동하는 현상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시상면 (Sagittal plane)

시상면은 인체를 좌우로 나누는 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관상면 (Coronal plane)

관상면은 인체를 앞뒤로 나누는 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횡단면 (Transverse plane)

횡단면은 인체를 가로로 나누는 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 의학 용어는 의료 분야에서 사용되는 특수 용어로, 정확하고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표준화되어 있음
  • 의학 용어는 어근, 접두사, 접미사의 조합으로 구성되며, 이를 이해하면 새로운 용어를 쉽게 학습하고 기억할 수 있음

해부학 용어

  • 해부학 용어는 인체 구조를 기술하는 데 사용되며, 위치, 방향, 형태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
  • 인체의 기본 자세 (해부학적 자세, anatomical position)는 서 있는 자세에서 손바닥이 앞을 향하게 한 상태를 기준으로 함
  • 주요 방향 용어는 다음과 같음
    • 앞 (anterior) / 뒤 (posterior)
    • 위 (superior) / 아래 (inferior)
    • 안쪽 (medial) / 가쪽 (lateral)
    • 몸쪽 (proximal) / 먼쪽 (distal)
  • 해부학적 면 (planes)은 인체를 나누는 가상의 평면을 의미하며, 시상면 (sagittal plane), 관상면 (coronal plane), 횡단면 (transverse plane) 등이 있음

생리학 용어

  • 생리학 용어는 인체의 기능과 작용을 설명하는 데 사용되며, 항상성 유지, 세포 간의 신호 전달, 기관 시스템의 상호 작용 등을 포함
  • 항상성 (homeostasis)은 인체가 내부 환경을 일정하게 유지하려는 경향을 의미하며, 신경계와 내분비계가 중요한 역할 수행
  • 세포 생리학에서는 세포막을 통한 물질 수송 (transport) 방식이 중요하며, 확산 (diffusion), 삼투 (osmosis), 능동 수송 (active transport) 등이 이에 해당

병리학 용어

  • 병리학 용어는 질병의 원인, 발생 기전, 형태학적 변화 등을 기술하는 데 사용되며, 진단 및 치료에 필수적
  • 염증 (inflammation)은 조직 손상에 대한 생체 반응으로, 발적, 부종, 열감, 통증 등의 특징을 나타냄
  • 종양 (tumor)은 비정상적인 세포 증식으로 인해 형성된 덩어리를 의미하며, 양성 종양 (benign tumor)과 악성 종양 (malignant tumor)으로 구분

약리학 용어

  • 약리학 용어는 약물의 작용 기전, 약물 동태 (pharmacokinetics), 약물 역학 (pharmacodynamics) 등을 설명하는 데 사용됨
  • 약물 동태는 약물이 체내에서 흡수, 분포, 대사, 배설되는 과정을 의미
  • 약물 역학은 약물이 체내에서 약리학적 효과를 나타내는 기전을 의미하며, 수용체 (receptor)와의 결합 등이 포함

임상 용어

  • 임상 용어는 환자의 증상, 징후, 진단, 치료 등 임상 현장에서 사용되는 용어
  • 주관적 증상 (symptoms)은 환자가 느끼는 불편함이나 이상 증상
  • 객관적 징후 (signs)는 의료진이 관찰하거나 측정할 수 있는 이상 소견
  • 진단 (diagnosis)은 환자의 증상과 징후, 검사 결과 등을 종합하여 질병을 판단하는 과정
  • 치료 (treatment)는 질병의 원인을 제거하거나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모든 의료 행위를 의미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