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문화 변화 및 여성 운동 요약
47 Questions
2 Views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Questions and Answers

사사오입 개헌의 주요 내용은 무엇인가?

  • 대통령 직선제 실시
  • 여당 직선 제안
  • 언론 탄압 강화
  • 초대 대통령의 중임 제한 폐지 (correct)
  • 1954년 사사오입 개헌 이후, 이승만 대통령은 재선이 가능했다.

    True (A)

    전후 복구 사업의 결과로 무엇이 증가했는가?

    경제 성장률과 국민 총소득

    1952년 발췌 개헌은 __________ 선거를 반영하여 이루어졌다.

    <p>제2대 국회의원</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사건이나 법과 그에 해당하는 설명을 매치하시오:

    <p>부산 정치 파동 = 비상계엄 선포 진보당 사건 = 반이승만 세력 탄압 국가보안법 개정 = 언론 탄압 삼백 산업 = 경제 성장 기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한국 광복군이 참전한 전쟁은 무엇인가?

    <p>태평양 전쟁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조선 독립 동맹은 1940년에 결성되었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조선 건국 동맹의 주도로 조직된 비밀 결사는 누구인가?

    <p>여운형</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43년의 카이로 선언에서 한국은 __________하게 할 것을 결정했다.

    <p>자유 독립</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사건과 관련된 내용을 매칭하시오:

    <p>카이로 선언 = 한국 독립 약속 얄타 회담 = 소련의 대일전 참전 포츠담 선언 = 무조건 항복 촉구 무장봉기론 = 비밀 결사 조직</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조선 의용군이 주로 활동한 지역은 어디인가?

    <p>화북 지방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는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지원했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보천보 전투에서 조국 광복회는 어떤 공격을 했나?

    <p>경찰 주재소 &amp; 면사무소 공격</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80년 5월 21일 계엄군의 총격 사건으로 어떤 결과가 발생했나요?

    <p>시민군 조직이 강화되었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이 수립된 년도는?

    <p>1948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두환 정권은 국민의 저항에 직면하지 않았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북한은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으면서 전쟁을 진행하였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80년 5·18 민주화 운동의 의의는 무엇인가요?

    <p>1980년대 민주화 운동 및 아시아 민주화 운동에 영향.</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친일 반민족 행위자의 한 유형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p>해방 이후 독립운동가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6·25 전쟁의 피해로 인한 이산가족 숫자는 약 몇 명에 달하는가?

    <p>1천만 명</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두환 정부는 __________을 통해 경제 개발을 추진했다.

    <p>정부 주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일제 침략 전쟁에 적극 협력한 자들은 주로 자본가와 지주, 교육자, 종교인이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53년 7월 27일에 ________ 협정이 체결되었다.

    <p>정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사건과 발생 연도를 매칭하세요:

    <p>계엄군 첫 사망자 발생 = 1980.5.19 총격 사건 발생 = 1980.5.21 시민 치안 유지 위원회 구성 = 1980.5.22 시민군 무력 진압 = 1980.5.27</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두환 정권은 어떻게 들어섰나요?

    <p>군사 쿠데타에 의해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내선일체의 목표는 무엇인가?

    <p>반도 통치의 최고 목표이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사건들을 그에 해당하는 설명과 매칭하시오:

    <p>국민보도연맹 사건 = 전쟁 중 민간인 학살 사건 영동 노근리 학살 = 북한군에 의한 인민재판 사례 이승만 정부의 반공 포로 석방 = 정전 회담 지연의 원인</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6·25 전쟁으로 인해 남한과 북한 간의 적개심이 유발된 주된 원인은 무엇인가?

    <p>이념 대립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8차 개헌에서는 대통령 임기가 5년으로 변경되었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_____는 일제가 조선인을 일본인의 피와 살로 만들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p>이광수</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이름을 그들이 한 활동과 맞추시오:

    <p>미나미 지로 = 국민정신 총동원 이광수 = 조선문화의 진로 김활란 = 신시대 광복군 = 독립운동 지원</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정전 회담에는 이승만 정부가 참석하였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80년 5월 22일 시민들은 어떤 조치를 취했나요?

    <p>시민 수습 대책 위원회 구성.</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6·25 전쟁 도중 북한군의 개전 초기 어느 도시를 점령하였는가?

    <p>서울</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시 동원 체제에서 협력한 행동 중 하나가 아닌 것은?

    <p>무장 저항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친일 반민족 행위자들은 광복 후에도 활동을 지속하였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국군의 작전 지휘권은 ________에게 넘겨졌다.

    <p>UN군 사령관</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징병제와 반도 여성의 각오는 _____의 목표이다.

    <p>내선일체</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내용을 해당 년도와 매칭하시오:

    <p>1950 = 6·25 전쟁 발발 1953 = 정전 협정 체결 1948 =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70년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주요 목표는 무엇이었나요?

    <p>중화학 공업 육성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제 1차 석유 파동은 중동 전쟁과 관련이 있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YH 무역 사건은 어떤 해에 일어났나요?

    <p>1979</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저임금 정책 유지를 위해 _____ 정책이 실시되었다.

    <p>저곡가</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사건과 그에 대한 설명을 매칭하세요.

    <p>전태일 분신사건 = 노동 운동의 본격적 시작 함평 고구마 피해보상 투쟁 = 농민 생존권 보장 요구 오일 머니 획득 = 중동 건설 사업 진출 새마을 운동 = 농촌 환경 개선 및 균형 발전 기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70년대 후반의 경제 구조 변화는 중화학 공업에서 어떤 산업으로 전환되었나요?

    <p>경공업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구조적 취약성이 심화된 이유 중 하나는 외자 유치에 의한 외채 부담 증가이다.

    <p>True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농촌 경제적 어려움의 문제점 중 하나는 무엇인가요?

    <p>저임금 정책</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친일 매국노

    일제의 한국 강점 과정에 적극적으로 협력한 사람들

    일제 통치 협력자

    고위 관료, 경찰, 군인 등 권력 기구에 종사하여 일제의 하수인 역할을 한 사람들

    친일 지식인

    식민지 경제 체제 하에서 성장한 자본가, 지주, 교육자, 종교인 등. 일제 침략 전쟁에 적극 협력

    내선일체

    일본과 한국이 하나가 되어야 한다는 일제의 통치 이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징병제

    일본군에 한국인을 강제로 징집하는 제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황국신민

    일본을 위해 충성을 다해야 할 국민이라는 일제의 사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독립운동가

    일제의 식민 지배에 맞서 독립을 위해 노력했던 사람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친일 단체

    일제에 협력하는 활동을 펼친 조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광복군

    한국 임시 정부 군대. 태평양 전쟁에 연합군 일원으로 참전하여 일본과 싸웠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선 의용대 화북지대

    중국 화북 지역에서 활동한 한국 독립군. 타이항산에서 일본군과 싸웠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선 독립 동맹

    중국에서 조선의 독립을 위해 결성된 단체. 조선 의용대 화북지대와 중국 공산당 소속 한국인들이 모여 만들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국 광복회

    만주 지역에서 활동한 한국 독립군 조직. 동북 항일 연군 소속 한국인 유격대원, 함경도 일대 공산주의자, 천도교인들이 모여 만들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

    미국에서 활동한 한국 독립 운동 단체. 대한민국 임시 정부를 재정적으로 지원하고 한인 국방 경위대를 조직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선 건국 동맹

    광복 직후 한국 건국을 준비하기 위해 결성된 단체. 여운형이 주도하여 비밀리에 조직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카이로 선언

    미국, 영국, 중국이 한국의 독립을 약속한 선언. 한국의 독립을 최초로 공식적으로 약속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포츠담 선언

    미국, 영국, 중국이 일본의 무조건 항복을 요구하며 한국 독립을 재확인한 선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애치슨 선언

    미국이 한국을 방어 대상에서 제외한다는 선언. 한국전쟁 발발의 배경이 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6·25 전쟁의 발발 원인

    북한의 남침으로 시작된 전쟁. 북한은 소련과 중국의 지원을 받았고, 남한은 미국의 지원을 받았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6·25 전쟁 초기 상황

    북한군이 3일 만에 서울을 점령하고 낙동강까지 진출하는 등 남한이 어려움을 겪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인천 상륙 작전

    맥아더 장군이 이끈 인천 상륙 작전은 전세를 역전시킨 중요한 전투였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중공군 개입

    중공군의 개입은 전쟁을 장기화시켰고 1·4 후퇴라는 결과를 가져왔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6·25 정전 협정

    전쟁의 교착 상태를 끝내기 위해 1953년에 체결된 협정. 휴전선과 비무장 지대가 설치되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6·25 전쟁의 인명 피해

    수백만 명의 사상자와 전쟁 고아, 이산가족이 발생하는 등 엄청난 인명 피해가 발생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6·25 전쟁의 경제적 손실

    남북한 사회 기반 시설 파괴, 식량 부족 등 심각한 경제적 손실을 입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6·25 전쟁의 남북 관계 변화

    전쟁 이후 남북의 적대감은 더욱 심화되었고, 분단 체제는 고착되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6·25 전쟁의 미국 영향

    미국은 한·미 상호 방위 조약 체결과 주한 미군 주둔을 통해 동아시아에서 영향력을 강화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발췌 개헌

    1952년 이승만 정부가 추진한 개헌으로, 대통령 직선제를 도입하여 이승만의 장기 집권을 가능하게 한 개헌입니다. 이 개헌은 야당의 반대에도 불구하고 이승만의 강압적인 정치력으로 통과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사사오입 개헌

    1954년 이승만 정부가 추진한 개헌으로, 대통령의 중임 제한을 폐지하여 이승만이 3선을 할 수 있도록 한 개헌입니다. 이 개헌은 헌법 개정 투표에서 과반수를 득표하지 못했음에도 불구하고, 정부에서 조작된 표를 합산하여 통과시켰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미국 경제 원조의 영향

    한국 전쟁 이후 미국은 한국에 경제 원조를 제공했습니다. 주로 잉여 농산물을 제공했는데, 이는 한국의 삼백 산업 (농업, 어업, 임업) 발달에 기여했지만, 생산재 산업 성장에는 도움이 되지 못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3선 금지

    대한민국 헌법에서 대통령이 연임할 수 있는 횟수를 제한하는 조항입니다. 이 조항은 1987년 6월 항쟁 이후 개헌을 통해 도입되었으며, 한 번 대통령을 지낸 사람은 연이어 두 번 이상 대통령을 할 수 없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후 복구 사업

    한국 전쟁 이후 폐허가 된 대한민국을 다시 건설하는 사업을 말합니다. 미국 경제 원조와 국민들의 노력으로 경제 성장률과 국민 총소득이 증가했지만, 여전히 많은 국민들이 빈곤 속에 살았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60년대 말 한국 경제 위기

    1960년대 말 세계 경제 침체로 인해 한국의 수출이 어려워지고 외채 상환 부담이 늘어난 시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창원 자유 무역 단지 조성

    1960년대 말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외국인 직접 투자를 유치하고자 창원 일대에 조성된 자유 무역 단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제3, 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1972년부터 1981년까지 진행된 경제 개발 계획으로 중화학 공업 육성을 목표로 하였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중화학 공업 육성

    제3, 4차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의 주요 목표 중 하나로, 경상도 해안 지역에 대규모 공업 단지를 조성하고 원자력 발전소를 건설하는 등 중화학 공업을 집중적으로 육성하였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차 석유 파동

    1973년 중동 전쟁으로 인해 석유 가격이 폭등하여 전 세계적으로 경제적 어려움을 겪었던 사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2차 석유 파동

    1978년 OPEC의 유가 인상과 이란의 석유 생산 감축으로 인해 발생한 석유 파동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새마을 운동

    1970년부터 시작된 농촌 환경 개선 운동. 근면, 자조, 협동을 강조하며 도시까지 확대되어 유신 체제 유지에 이용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태일 분신 사건

    1970년 노동 환경 개선과 노동자의 권익 보호를 요구하며 스스로 목숨을 끊은 사건. 이 사건은 한국 노동 운동의 본격화를 촉발시켰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5·18 민주화 운동

    1980년 5월 광주에서 발생한 시민들의 민주화 요구 시위를 말합니다. 계엄군의 무차별적인 진압으로 많은 희생자가 발생했으며, 한국 민주주의 발전에 중요한 역사적 사건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계엄령

    비상 사태 시 평시의 법률을 대신하여 군사 작전을 통해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한 특별 법령입니다. 5·18 민주화 운동 당시 계엄령이 선포되었고, 군사 작전으로 인해 희생자가 발생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두환 정권

    1980년 5·18 민주화 운동 이후 권력을 장악한 군사 정권으로, 12·12 사태와 5·18 민주화 운동의 불법성과 비도덕성으로 인해 국민적 비판을 받았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가 보위 비상 대책 위원회

    전두환 정권이 5·18 민주화 운동 이후 국가 안보와 질서 유지를 명목으로 설립한 초헌법적 기구입니다. 실질적으로 군사 정권의 권력을 강화하고 국민의 자유와 민주주의를 억압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삼청 교육대

    전두환 정권이 사회 질서를 확립한다는 명목으로 운영한 강제 수용 시설입니다. 반정부 인사와 사회 불안 요소들을 억압하고 통제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유화 정책

    전두환 정권이 국민의 지지를 얻기 위해 시행한 정책으로, 야간 통행금지 폐지, 중고생 두발 및 교복 자율화, 프로야구단 창단 등이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5·18 민주화 운동 진상 규명

    5·18 민주화 운동의 진실을 밝히기 위한 노력으로, 계엄군의 책임과 희생자들의 명예 회복을 요구하는 운동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경제 개발 5개년 계획

    박정희 정부 시대에 추진된 경제 성장 정책으로, 정부 주도의 산업 육성과 수출을 통해 한국 경제의 고속 성장을 이끌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사회·문화 변화 요약

    • 식민지 도시화가 진행되면서 근대 도시 발전 : 일제의 경제 침략과 식민지배 정책 영향
    • 개항 이후 서울, 평양, 개항장 및 철도·항만 건설로 신흥 도시 성장
    • 일제강점기, 식민지 공업화 추진으로 함흥, 청진 등 북부 지방 공업 도시 성장, 대도시 인구 증가
    • 전통 도시(경주, 공주, 개성 등)는 식민지배 정책 소외로 성장 지연
    • 도시 변화: 중심지 새 시가지 형성(일본인 중심), 변두리 빈민층 거주 증가
    • 1920~1930년대, 서양 문화 유입으로 도시 중심 대중문화 유행, 신문, 잡지, 영화, 백화점, 다방 등장
    • 도시 빈민층 형성, 변두리 거주, 문화적 혜택 누리지 못함
    • 식민지 수탈 정책으로 농민층 몰락, 소작농 증가, 도시 빈민층으로 이주 증가
    • 농촌 진흥 운동, 농민층 몰락, 소작쟁의 격화로, 농촌 통제, 식민 체제 안정을 목적으로 근면·절약 정신 강조

    사회적 차별 철폐 움직임 요약

    • 여성의 지위 향상 추구: 여성 사회 진출 활발, 여성 노동자 수 증가, 여전히 열악한 지위
    • 여성 운동 전개: '신여성' 등장, 여성 인권 신장 & 양성 평등 주장 (근무회 등)
    • 여성 운동 단체 조직: 여성 계몽 및 차별 철폐 주장(신간회 자매단체, 여성계 민족 유일당)
    • 어린이를 온전한 인격체로 대하자는 소년 운동 : 어린이의 열악한 지위(교육 기회 부족, 낮은 임금, 장시간 노동 등)
    • 천도교 소년회(방정환 활약) 등을 통해 어린이날 제정 등
    • 형평운동: 백정 차별 철폐 요구 (갑오개혁 후에도 계속된 차별) 조선 형평사 창립
    • 사회 운동 단체 간 연대 및 항일 민족 운동 전개

    민족 문화 지키기 노력 요약

    • 일제, 식민사관 날조: 한국 강점 및 식민 통치 합리화 목적
    • 식민사관: 한국사 왜곡, 자율적 발전 부정, 타율성론(외세에 의해 타율적 역사 흐름), 정체성론(스스로 자본주의 진입 불가능)
    • 한국사 연구: 민족주의 사학(자주적 민족사 연구, 민족정신 강조), 박은식, 신채호 등
    • 고대사 연구(조선상고사, 조선사연구초)
    • 사회경제 사학(유물사관, 백남운: 조선 사회경제사), 실증사학(진단 학회, 문헌 고증)

    국어 연구, 언론·교육활동 요약

    • 조선어 연구회 (1921년): 가갸날(한글날) 제정, 잡지 '한글' 간행
    • 조선어 학회 (1931년): 한글 표준화 기여, '우리말 큰 사전' 편찬
    • 언론 활동: 신문 및 잡지 발행, 새로운 사상 및 문화 전파
    • 교육 활동: 사립 학교, 개량 서당 등 설립 (민족 교육), 1920년대 야학 활성화

    전시 동원 체제와 민중의 삶 요약

    • 황국 신민화 정책: 한국인 민족의식 말살, 저항 억제, 침략 전쟁 효율적 동원, 언론·학술 단체 해산 (조선일보·동아일보 폐간, 조선어 학회 사건),
    • 인력 수탈(지원병제, 학도 지원병제, 징병제, 국민 징용령, 여자 정신 근로령, 근로 보국대), 물자 수탈(공출제, 양곡 배급제)
    • 군수 물자 보급 위한 병참 기지화 정책: 식민지 공업화로 식량 확보, 중화학 공업/광업 투자, 농촌 남면북양 정책, 산미증식 계획 중단
    • 국가 총동원법 (1938) 제정, 직접적·강제적 인력·물자 수탈 실시

    광복을 위한 노력 요약

    • 한·중 연대: 김구 책임 아래 한인 애국단 조직, 이봉창·윤봉길 의거 → 한·중 연대 항일 전선 구축
    • 민족 혁명당 주도 조선 의용대 결성, 중국 관내 한인 무장 부대
    • 대한민국 임시 정부 충칭 정착, 체제 재정비, 한국 광복군 창설, 건국 강령 발표, 한·중 연대 및 항일 세력 투쟁 역량 강화
    • 한국 광복군, 연합군 일원으로 태평양 전쟁 참전
    • 화북 지방에서 조선 독립 동맹 및 조선의용대 활동, 만주 항일 유격 전쟁, 재미 한족 연합 위원회 등
    • 카이로 선언 및 얄타 회담, 포츠담 선언: 한국 독립 약속, 38선 분할 점령, 신탁 통치 구상

    대한민국 정부 수립 요약

    • 조선 건국 준비 위원회 조직 : 조선 총독부 행정권 이양, 갈등 발생, 좌익 주도권 확대
    • 미·소 군정 실시 : 한반도 분할 점령, 남한(미국) 직접 통치, 북한(소련) 간접 통치
    • 모스크바 3국 외무 장관 회의: 한국 임시 민주 정부 수립, 미·소 공동 위원회 설치, 5년간 신탁 통치 결의
    • 이승만, 단독 정부 수립 주장, 중도파(여운형·김규식 등) 좌우 합작 운동 전개 ("7원칙")
    • UN, 남한 단독 선거 결의, 김구·김규식 등 남북 협상 시도
    • 5·10 총선거: 1948년 최초 민주적 총선거, 헌법 제정, 대한민국 정부 수립
    • 친일 반민족 행위자 청산 좌절, 경제 상황 어려움, 농지 개혁 (유상 매입, 유상 분배)
    • 북한 정권 수립: 소련 지원, 조선 민주주의 인민 공화국 수립 (1948.9.9)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Description

    일제강점기와 식민지 도시화 과정에서의 사회적 변화와 여성 운동의 발전을 다룹니다. 도시의 성장, 대중문화 유입, 여성 인권 향상과 같은 주요 이슈들을 정리하였습니다.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