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경제 부흥 계획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해방 이후 한국 경제 상황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요?

  • GDP의 10% 이상을 외국 원조에 의존했다.
  • 수출액은 GDP의 3%에 불과했으며, 대부분이 완제품이었다. (correct)
  •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가난한 국가였다.
  • 북한으로부터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다.

다음 중 한국 정부의 경제 부흥 계획의 순서로 옳은 것은 무엇인가요?

  • 기획처 설치(1948) → 재정경제원(1994) → 부흥부(1955)
  • 기획처 설치(1948) → 부흥부(1955) → 경제기획원(1961) (correct)
  • 경제기획원(1961) → 기획예산처(1999) → 재정경제원(1994)
  • 부흥부(1955) → 기획처 설치(1948) → 경제기획원(1961)

1945년부터 1962년까지의 미국의 대외원조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 1961년부터 원조 성격이 대출에서 보조금으로 전환되었다.
  • 총 지원액 중 미국 원조가 75%를 차지했다. (correct)
  • 총 지원액 중 UN 원조가 75%를 차지했다.
  • ICA, CRIK, PL480, ECA, UNKRA 순으로 금액이 많았다.

미국 정부와 이승만 정부의 대립 이유로 가장 적절한 것은?

<p>미국은 한국 경제 안정화를, 이승만 정부는 경제 재건과 자립을 목표로 했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국의 원조 정책 중 '대충자금'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p>한국 정부가 원조 자금을 사용할 때마다 미국의 승인을 받도록 한 제도이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이승만 정부의 '부흥계획'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p>사회 기반 시설 확충과 생산재 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빠른 경제 재건과 자립을 목표로 했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49년 이승만 정부가 추진한 '자원동원 5개년 계획'의 주된 목적은 무엇이었나?

<p>경공업 확립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국 의회와 미군이 한국에 비료 공장 건설 대신 일본으로부터 비료 수입을 주장한 주된 이유는 무엇인가?

<p>중화민국의 인플레이션 실패 사례를 방지하고 경제적 안정을 우선시하기 위해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국의 원조 정책과 이승만 정부의 부흥 계획의 차이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p>미국은 안정적 통제, 이승만 정부는 최대한의 활용과 독립성 강조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대충자금 제도에 대한 비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p>군사적 목적에 치중하여 경제 개발이 소외되었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국이 동아시아 경제의 중심축을 일본에 두고 한국과 대만을 일본의 공산품 시장으로 활용하려 했던 이유는?

<p>일본의 경제력을 강화하여 공산주의 확산을 막기 위해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50년대 미국의 ICA 원조에서 non-project assistance가 차지하는 비율은?

<p>73%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미국의 원조 기관이 아닌 것은?

<p>EPB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한국이 DAC 회원국이 된 해는 언제인가?

<p>2009년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1948년 한미원조협정에 따라 시행된 제도는 무엇인가요?

<p>대충자금 제도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국이 한국에 제공한 원조의 형태 중 소비재 중심의 비계획원조(non-project assistance)가 갖는 특징은 무엇인가?

<p>단기적인 물가 안정에 기여할 수 있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1950년대 미국의 ICA (International Cooperation Administration)의 주요 역할은 무엇인가?

<p>한국의 경제 안정 및 개발 지원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이승만 정부의 ISI(수입대체산업화) 정책의 결과로 가장 적절한 것은?

<p>정경유착 및 자원 배분 왜곡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oreign Assistance Act (FAA) of 1961에 따라 설립된 USAID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p>유상 원조(차관)로의 전환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국제 원조의 역할에 대한 설명 중 가장 적절한 것은?

<p>원조는 수혜국의 발전을 결정하거나 보장하지 않는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한국이 미국의 원조를 통해 얻은 긍정적인 효과는 무엇인가?

<p>단기적인 경제 안정 및 물가 안정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이승만 정부의 '부흥계획'이 실패한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p>미국과의 정책적 이견 및 대립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65년과 1973년의 미국의 대한 원조 금액 변화로 알 수 있는 사실은 무엇인가?

<p>미국의 대한 원조가 점차 감소했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국 의회가 ECA 대표 Arthur Bunce를 통해 미국 보조금의 36%를 일본 제품 구매에 사용하겠다고 약속한 이유는 무엇인가?

<p>일본 경제의 빠른 회복을 지원하기 위해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51년 Mutual Security Act의 주요 목적은 무엇인가?

<p>마셜 플랜 대체 및 빈국 원조와 공산주의 확산 방지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Agricultural Trade Development and Assistance Act (PL480)의 판매대금(대충자금)은 주로 어디에 사용되었는가?

<p>미국 무기 구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국이 한국에 원조를 제공한 궁극적인 목적은 무엇이라고 볼 수 있는가?

<p>동아시아 지역에서 공산주의 확산 저지 및 미국의 영향력 유지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OECD-DAC 회원국들의 공적개발원조(ODA) 목표는 GNI 대비 몇 퍼센트인가?

<p>0.7%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한국의 대외원조 규모

1945년부터 1962년까지의 총 지원액은 약 33억 달러이며, 이 중 75%가 미국 원조였음.

미국의 원조 정책 목표

한국 사회 안정 및 인플레이션 억제를 최우선으로 함.

대충자금 제도

미국이 원조 자금과 물자 사용을 철저히 관리하기 위해 도입한 제도.

대충자금 제도의 영향

한국 정부가 원조 자금을 사용할 때마다 미국의 승인을 받도록 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이승만 정부의 부흥계획 목표

사회기반시설 확충과 생산재 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빠른 경제 재건과 자립을 목표로 한 이승만 정부의 계획.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미군이 일본 수입을 주장한 이유

ECA가 한국에 비료공장 건설을 제안했을 때, 미군이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을 주장한 이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미국 원조 정책의 결과

생산재 부족으로 산업화 계획에 차질이 발생하고, 단기적 안정에는 기여했으나 장기적 경제 자립에는 한계가 있었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대충자금의 적립 방식

한국은행에 설치된 특별계정에 적립하여 관리·운용하도록 한 제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대충자금의 사용 목적

국방비, 사회간접자본 확충, 산업 재건을 위한 투융자 등에 활용됐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

동아시아 경제의 중심축을 일본에 두고, 일본의 산업화 지원을 목표로 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한국의 미국의 대한반도 정책에 대한 시각

일제시대의 '대동아공영권'의 부활로 해석하고, 신식민주의로 지적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점령지 정부원조부흥사업 (GARIOA)

1945년부터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 등을 대상으로 기아 해소를 위한 식량 제공 형태의 원조기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경제협력국 (ECA)

마셜 플랜을 관리하기 위한 기구로, 미 국무부와 상무부 통제하에 있었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Civl Relief in Korea (CRIK)

유엔사령부를 통해 원조를 제공하고, 전쟁 중 긴급 지원을 담당했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United Nations Reconstruction Agency (UNKRA)

남한의 복구 및 재건을 다루기 위해 1950년 12월 유엔 총회에서 창설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Mutual Security Act of 1951

외국 원조 프로그램 개설을 통해 마셜 플랜을 대체하고, 개발대상 빈국 원조 및 공산주의 확산 방지를 목표로 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Agricultural Trade Development and Assistance Act

미국 농산물을 수출하고 국제 무역을 확대하며, 미국 농업의 경제적 안정을 촉진하는 것을 목표로 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미군정의 관세 정책

미국 군사통치하에서는 10% 단일 관세를 부과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50년 관세법의 목적

세관 수입을 확보하고 국내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이승만 정부의 산업 정책

비내구소비재에 대한 수입대체산업화(ISI)를 추진하고 수입을 제한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ISI 전략의 결과

정경유착과 지대추구 행태로 인해 자원배분이 왜곡되고 만성적인 인플레이션, 구조적 실업 등이 발생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Economic and Technical Assistance Agreement between US and Korea의 주요 변화

무상원조(grant)에서 유상원조(loan)로 전환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USAID의 역할

박정희 대통령, 경제기획원(EPB), 재무부 등에 자문 역할을 수행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제원조의 한계

원조는 결코 발전을 결정하거나 보장하지 않는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한국의 DAC 가입

최초로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국가로서 2009년 DAC에 가입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한국의 개발 비전

민간 및 공공부문의 역량 구축, 인적 자원 개발, 인프라, 금융 포용, 무역 및 교육을 통한 성장 지향적 개발에 초점을 맞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전후 한국의 현실

  • 한국은 아시아에서 세 번째로 가난한 국가였습니다.
  • 1948년 초에 북한의 전력 공급이 중단되었습니다.
  • 인적 및 물적 자본이 부족했으며, 농업과 섬유 산업만이 존재했습니다.
  • 수출은 GDP의 3%에 불과했으며, 88%가 원자재였습니다.
  • GDP의 10% 이상을 외국 원조에 의존했습니다.

경제 부흥 계획

  • 기획처가 1948년에 설치되었고, 이후 부흥부(1955), 경제기획원(1961), 재정경제원(1994), 기획예산위원회(1998), 기획예산처(1999)를 거쳐 2008년에 기획재정부가 되었습니다.
  • 산업 부흥 5개년 계획이 1949년에 시작되었습니다.
  • 1951년에 부흥 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 1954년에 종합 부흥 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 1956년에 경제 부흥 5개년 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 1960년에 경제 개발 3개년 계획이 수립되었습니다.
  • 1962년부터 1992년까지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이 7차례에 걸쳐 진행되었습니다.

대외 원조의 실상

  • 1945년부터 1962년까지 총 33억 달러가 지원되었으며, 그 중 75%가 미국 원조였습니다 (UN 원조의 대부분이 미국 원조).
  • 원조 금액 규모는 ICA > CRIK > PL480 > ECA > UNKRA 순이었습니다.
  • 1961년부터 원조 성격이 보조금에서 대출로 전환되었습니다.
  • 미국 정부와 이승만 정부 사이에 대립이 있었습니다.
  • 미국 원조 정책과 이승만 정부의 "부흥 계획" 사이에 경제적 우선순위와 실행 방식에서 본질적인 충돌이 있었습니다.
  • 미국의 원조는 한국 경제 안정화를 목표로 했습니다.
  • 이승만 정부는 경제 재건과 자립을 목표로 했습니다.

미국의 원조 정책

  • 경제 안정화가 우선시되었습니다.
  • 한국 사회의 안정과 인플레이션 억제가 최우선 목표였습니다.
  • 한국전쟁 이후의 심각한 인플레이션과 물자 부족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소비재 중심의 원조를 제공했습니다.
  • 물가 안정을 통해 사회적 혼란을 줄이고, 공산주의 확산을 방지하려는 의도가 있었습니다.
  • 원조 통제와 효율성이 강조되었습니다.
  • 미국은 원조 자금과 물자의 사용을 철저히 관리하기 위해 "대충 자금" 제도를 도입했습니다.
  • 이 제도를 통해 한국 정부가 원조 자금을 사용할 때마다 미국의 승인을 받도록 했습니다.

이승만 정부의 "부흥 계획"

  • 경제 재건과 자립이 목표였습니다.
  • 이승만 정부는 사회 기반 시설 확충과 생산재 산업에 대한 투자를 통해 빠른 경제 재건과 자립을 목표로 했습니다.
  • 5개년 및 3개년 경제 부흥 계획을 통해 산업화에 중점을 두었습니다.
  • 미국 원조 정책과의 충돌이 있었습니다.
  • 소비재 중심의 원조보다는 생산재 중심의 지원을 요구했습니다.
  • 미국의 안정화 우선 정책과 상충되었으며, 미국이 원조 삭감을 시작하면서 이승만 정부의 부흥 계획에 필요한 자금 확보가 어려워졌습니다.

이승만 정부의 "부흥 계획"

  • 1949년 "자원 동원 5개년 계획"이 발표되었습니다.
    • 목적: 경공업 확립
    • 수단:
      • 필수품 생산 계획
      • 국내 수요 공급 계획
      • 수입 (ECA 원조 포함) 및 수출 계획
      • 중공업 지원을 위한 투자 (기계, 철강, 화학, 조선, 시멘트, 비료 등)
  • ECA는 대체로 이 계획에 동의했으나 주한 미군의 반대가 있었습니다.
  • 꿈의 계획은 1962년까지 연기되었습니다.

미국의 의회와 미군의 입장

  • ECA는 한국에 비료 공장 건설을 제안했지만, 미군은 일본으로부터의 수입을 주장했습니다.
  • 미국은 중화민국(1947-48)의 인플레이션과 실패 경험을 거론하며, "경제 성장보다 경제적 안정"을 강조하고 "생산 시설보다 방위력"을 강조했습니다.
  • 1950년 ECA 대표인 Arthur Bunce는 미국 의회에 미국 보조금의 36%를 일본 제품 구매에 사용하겠다고 약속했습니다.

원조 정책, 부흥 계획의 결과와 한계

  • 원조 구성 비율
    • 미국 원조 정책: 소비재 중심(70%)의 원조 제공
    • 부흥 계획: 생산재 중심(70%)의 원조 요구
    • 결과와 한계: 생산재 부족으로 산업화 계획에 차질 발생, 소비재 중심 원조는 단기적 안정에는 기여했으나 장기적 경제 자립에는 한계
  • 경제 우선 순위
    • 미국 원조 정책: 경제 안정화, 물가 안정, 사회 혼란 방지
    • 부흥 계획: 경제 재건과 자립, 중화학공업 등 생산 기반 구축
    • 결과와 한계: 경제 안정화는 부분적으로 달성되었지만 산업화, 자립 목표는 실현되지 못함
  • 원조 자금 통제
    • 미국 원조 정책: 대충 자금 제도를 통해 원조 자금 사용을 철저히 통제
    • 부흥 계획: 독립적 경제 정책 실행을 위해 자금 사용 자율성 요구
    • 결과와 한계: 대충 자금으로 인해 경제 정책 독립성이 제한됨
  • 정치적 배경
    • 미국 원조 정책: 공산주의 확산 방지, 안정적 통제가 가능한 경제 구조 선호
    • 부흥 계획: 미국의 지원을 최대한 활용, 정치적 독립성도 강조
    • 결과와 한계: 미국과 한국 간 정치, 경제적 갈등이 심화

대충 자금 제도

  • 미국 대외 원조 정책에 따라 원조를 받은 국가가 자국 통화로 특별 계정을 설치하고, 원조 물자의 판매 대금을 적립하여 관리, 운용하도록 한 제도입니다.
  • 1948년 마셜 플랜의 일환으로 도입되었으며, 한국에서는 1948년 한미 원조 협정에 따라 시행되었습니다.
  • 적립 방식은 판매 대금을 한국은행에 설치된 대충 자금 특별 계정에 적립하는 방식이며, 자금은 한국 정부의 소유로 간주되었지만 사용 시 미국의 사전 승인이 필요했습니다.
  • 사용 목적은 국방비, 사회 간접 자본 확충, 산업 재건을 위한 투융자 등에 활용되었으며, 1950년대 후반에는 정부 재정 지출의 50% 이상을 차지했습니다.
  • 대충 자금의 상당 부분이 국방비로 투입되면서 경제 개발보다는 군사적 목적에 치중했다는 비판이 있습니다.
  • 전후 한국 경제 재건에 중요한 자금원이 되었으나, 미국의 통제 아래 운영되면서 한국 정부의 경제 주권이 제한되었습니다.

입장 대립에 대한 해석

  • 미국
    • 동아시아 경제의 중심축을 일본에 두고, 일본의 산업화를 지원했습니다.
    • 한국과 대만은 일본의 공산품 시장으로 역할했습니다.
    • 자유주의적 시장 개혁, 통화 가치 안정, 일본과 협력을 촉구했습니다.
    • 비계획 원조(non-project assistance, 소비재 중심)를 실행했습니다.
    • 1950년대 미국의 ICA (International Cooperation Administration, AID의 전신) 원조에서 non-project가 73%, project가 27%를 차지했습니다.
  • 한국
    • 일제 시대의 '대동아공영권'의 부활로 해석했습니다.
    • 신식민주의적 지적을 했습니다.
    • 수입 대체 산업 육성을 요구했습니다.
    • 계획 원조(project assistance, 시설재 중심) 원조를 요구했습니다.

미국의 원조 기관 변천

  • 점령지정부원조부흥사업(GARIOA) (1945-48)
    • 1945년부터 일본, 독일, 오스트리아 등을 대상으로 했습니다.
    • 주로 기아 해소를 위한 식량 제공 형태였습니다.
    • 제공 품목은 소비재 (식품, 의약품, 의류, 농산물 등) 였습니다.
  • 경제협력국(ECA) (1949-53)
    • 마셜 플랜(1948 FAA)을 관리하기 위한 기구로 미국무부와 상무부가 통제했습니다.
    • Assistance Agreement between US and Korea (1948.12) = ECA 원조협정
    • ECA Mission이 한국에 파견되었습니다.
      • 미국이 한국의 재정, 금융, 무역 및 재건 정책에 간섭하는 것을 허용했습니다.
      • “경제적 안정을 위한 9가지 원칙”에 따라 마셜 플랜 수혜국은 원조 조건으로 충족해야 하는 의무를 가졌습니다.
      • 1951년까지 비료, 농산물, 석유, 산업 시설, 중간재, 기술 지원 등이 제공되었습니다. 한국 전쟁으로 인해 당초 목표 달성이 어려웠습니다.
  • Civl Relief in Korea (CRIK)
    • 유엔사령부를 통해 원조를 제공했습니다.
    • 전쟁 중 긴급 지원을 했습니다.
    • 식품이 40.3%, 섬유 및 의약품이 24.4%를 차지했습니다.
  • United Nations Reconstruction Agency (UNKRA)
    • 1950년 12월 유엔 총회에서 남한의 복구 및 재건을 다루기 위해 창설되었습니다.
    • 두 가지 가정을 두고 있었습니다.
      • 군사 충돌은 가까운 미래에 중단될 것
      • 한국이 통일된 국가가 될 것
  • Mutual Security Act of 1951
    • 미국은 외국 원조 프로그램 개설 (1951-1961)
    • 주로 마셜 플랜을 대체하고 개발 대상 빈국 원조 및 공산주의 확산 방지를 주요 목적으로 했습니다.
    • ECA를 폐지하고 그 기능을 상호안보처(MSA)로 이관했습니다.
    • 군사 성격의 원조에 우선을 두었습니다.
  • International Cooperation Administration (ICA)
    • Dwight Eisenhower 정부 (1953-61)의 정책을 따랐습니다.
    • 1955.6.30부터 1961.9.4까지 운영되었으며, 외국 지원 및 "비군사적 프로그램"을 담당했습니다.
    • PL480과 함께 1차 산품이 72.1%를 차지했습니다.
    • 한국의 제분, 제당, 섬유 산업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 JFK 정부에 의해 미국 국제 개발처(USAID)로 이관되었습니다.

Agricultural Trade Development and Assistance Act

  • 미국 농산물 수출을 지원했습니다.
  • 이 법의 원래 목적은 국제 무역을 확대하고, 미국 농업의 경제적 안정을 촉진하며, 잉여 농산물을 최대한 활용하는 것이었습니다.
  • 판매 대금(대충 자금)은 주로 미국과 한국 정부에 의해 주로 미국 무기를 구매하는 데 사용되었습니다.

이승만 정부의 ISI 정책

  • 미군정 (USAMG)
    • 미국 군사 통치하에서는 10% 단일 관세를 적용했습니다.
  • 1950, 관세법
    • 세관 수입을 확보하고 국내 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시행되었습니다.
    • 1950년대 후반 관세율은 27.4%~66.5%였습니다.
  • 산업 정책
    • 비내구 소비재에 대한 수입 대체 산업화(ISI)를 추진했습니다.
    • 수입을 제한했습니다.
    • 자동 승인/사전 승인/금지 제도를 운영했습니다.
    • MOTI (무역 계획)을 운용했습니다.

결과 (ISI 정책)

  • ISI 전략은 정경 유착, 지대 추구(rent-seeking behavior) 행태로 인해 자원 배분을 왜곡했습니다.
  • 만성적인 인플레이션, 구조적 실업, 만연한 부패는 경제 재건에 큰 장애물이 되었습니다.
  • 심각한 경제 위기로 인한 사회적, 정치적 불안정은 결국 1960년과 1961년에 두 차례의 주요 정치 변동을 유발했습니다.

USAID 시대

  • Foreign Assistance Act (FAA) of 1961 - JFK(민주당)에 의해 시행되었습니다.
  • USAID가 설립되어 라틴 아메리카에 역점을 두었습니다.
  • Economic and Technical Assistance Agreement between US and Korea (한미 경제 기술 원조 협정), 1961에 따라 시행되었습니다.
    • 무상 원조(grant)에서 유상 원조(loan)로 전환되었습니다.
  • USAID (US Operating Mission)
    • 박정희 대통령, 경제 기획원(EPB), 재무부 등에 자문했습니다.
    • 시카고 학파 경제학자이자 USAID 대표로 Joel Bernstein 박사가 1964-67년 역할을 했습니다.
    • KDI, KIST, KHIDI (한국 보건 산업 진흥원), Kotra 등 기관 발전을 지원했습니다.
    • 한국 정부가 정책 결정, 발전 모델의 소유권을 가졌습니다.
  • 1980.9 USAID 대표부가 폐소되었습니다.

국제 원조에 대한 평가

  • 국제 원조의 역할은 결국 발전을 결정하거나 보장하지 않습니다.
  • “프로젝트 원조” vs. “비 프로젝트 지원"
  • 신식민주의 vs. 지역 경제 통합
  • Aid ownership의 중요성

DAC 회원국이 된 한국

  • 한국은 1961년 OECD가 설립된 이래 최초로 수원국에서 공여국으로 전환한 국가로서 2009년 DAC에 가입했습니다.
  • 2010년 11월 한국은 G20 정상 회의를 주최하고 “G20 Seoul Development Consensus for Shared Growth" (공유 성장을 위한 G20 서울 개발 합의)를 도출했습니다.
  • 2023년 개발 원조 위원회 회원국의 공적 개발 원조(ODA) 규모는 313억 달러, 0.18%/GNI입니다.

"0.7% ODA/GNI target"

  • OCDE-CAD 회원국의 공약입니다.
  • 1970년에 0.7% ODA/GNI 목표가 처음 합의되어 국제 원조 및 개발 회의에서 최고 수준으로 반복적으로 재확인되었습니다."

ODA 지급의 연평균 성장률이 높은 국가

  • 한국
  • 헝가리
  • 독일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Korean Air Flight 801 and Airline Safety
53 questions
Korean Classroom Vocabulary
20 questions
Korean Words for 'Very'
20 questions

Korean Words for 'Very'

LionheartedBrazilNutTree avatar
LionheartedBrazilNutTree
Korean LoL Vocabulary Flashcards
50 questions

Korean LoL Vocabulary Flashcards

WellConnectedComputerArt avatar
WellConnectedComputerArt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