첨성대와 한국 천문학 유산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첨성대가 위치한 곳으로 가장 적절한 곳은 어디인가?

  • 경주시 황룡사지
  • 경주시 불국사
  • 경주시 인왕동 (correct)
  • 경주시 대릉원

첨성대는 후대의 복원이나 재건을 거쳐 현재의 모습으로 유지되고 있다.

False (B)

삼국유사에 따르면 첨성대는 어느 왕의 시대에 건립되었는가?

선덕여왕

첨성대가 별명으로 불렸던 이름은 ______이다.

<p>점성대</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구조물의 특징과 관련된 설명을 연결하시오:

<p>화강암 벽돌 = 첨성대를 이루는 주 재료 정사각형의 문 = 첨성대 중간에 남쪽 방향으로 위치 우물 정(井)자 장대석 = 첨성대 맨 위에 위치 상하방하원 = 첨성대의 전체적인 형상</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첨성대 내부 구조에 대한 설명 중 옳은 것은?

<p>제 12단까지 흙으로 채워져 있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첨성대는 당대의 우주관인 천원지방(하늘은 둥글고 땅은 모나다)의 형상을 반영하여 건축되었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춘분과 추분 때 태양광이 첨성대의 어느 부분을 완전히 비추는가?

<p>밑바닥</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홍사준은 첨성대 ______였다.

<p>첫 관찰자</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첨성대 구조의 각 부분과 관련된 설명을 연결하시오:

<p>기단부 = 자연석 위에 2단으로 쌓은 부분 원통부 = 부채꼴 모양의 돌로 27단을 쌓아 올린 부분 정자석(井자석) = 사각형의 정상부를 이루는 부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첨성대의 원통부 창구(窓口)가 위치한 방향은 어디인가?

<p>정남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현재 첨성대의 남쪽 면은 정확히 정남향을 향하고 있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첨성대의 원래 기능에 대해 '와다 유지'는 어떤 주장을 하였는가?

<p>별을 보는 용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고대 천문학은 크게 천문(天文)과 ______(으로 양분된다.

<p>역법</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은 첨성대의 보수 및 유지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각 설명에 알맞는 것을 고르시오:

<p>지반 = 지하 16m까지 퇴적층으로 구성 주변 지역 = 활성단층인 불국사 단층선이 지나가는 지진 위험지대 현재 상태 = 금이 많이 가고 기울어짐이 심해짐</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성덕대왕신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조선시대, 무기를 만들 때 종을 녹여 활용했다는 기록이 있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성덕대왕신종은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종 중에서 크기가 가장 작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성덕대왕신종의 무게는 얼마인가?

<p>18.9톤</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성덕대왕신종과 함께 통일신라시대 범종을 대표하는 종은 ______ 동종이다.

<p>상원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은 성덕대왕신종의 구조와 관련된 내용입니다. 각 설명에 알맞는 것을 고르시오:

<p>견대 = 종신의 상부에 있는 띠 구연대 = 종신의 하부에 있는 띠 유곽 = 연주문 안에 보상당초문양으로 조식된 부분 비천상 = 종신에 배치된 하늘을 나는 사람의 형상</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성덕대왕신종 명문에 담긴 주된 내용은 무엇인가?

<p>성덕왕의 공덕을 기리고 나라의 평안을 기원하는 내용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성덕대왕신종에는 팔능형의 구연대가 없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성덕대왕신종 맨 위에 있는 음통의 역할은 무엇인가?

<p>소리의 울림을 돕는 역할</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범종의 우열을 가릴 때, 중요하게 여기는 것 중 하나는 ______이다.

<p>맥놀이</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맥놀이와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p>맥놀이 = 소리의 간섭 현상 좌우 대칭 구조 = 맥놀이 발생 x 맥놀이 발생 요인 = 주재료 구리와 주석의 비율 &amp; 쇳물 부을 때 들어가는 공기의 양과 밀도 차이</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첨성대란?

신라시대의 천문대로, 경주시 인왕동에 위치하며 국보 제31호로 지정되었다.

첨성대 건립 시기는?

7세기 중엽 선덕여왕 시대에 건립되었다고 삼국유사에 기록되어 있다.

첨성대의 구조는?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지름 2.85m로, 중간에 남쪽 방향으로 정사각형의 문이 있다.

첨성대 벽돌 개수는?

362개의 화강암 벽돌로 27단을 쌓아올려 만들어졌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첨성대와 태양의 관계는?

춘분과 추분 때는 태양광이 창문을 통해 첨성대 밑바닥을 완전히 비춘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첨성대의 주요 기능은?

역사적으로 별을 보는 용도로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일반적이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첨성대 유지의 어려움은?

불안정한 지반과 지진 위험 때문에 유지 보수에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성덕대왕신종은?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왕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만들기 시작, 혜공왕 때 완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상원사 동종과 함께?

통일신라시대 범종을 대표하는 종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성덕대왕신종의 크기는?

높이 3.75m, 지름 2.27m, 두께 11~25cm, 무게는 18.9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에밀레종 전설은?

종을 칠 때 아이 울음소리가 들린다는 전설이 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종명鐘銘이란?

종 몸체에 새겨진 630자의 서문과 200자의 명으로 구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맥놀이 현상은?

아시아에서 범종의 우열을 가리는 기준으로, 맥놀이 현상이 중요시된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토기란?

찰흙으로 섭씨 800~1100도에서 구운 그릇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도기는 어떻게 만드나?

도토로 만들고 500~1,100도에서 구운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자기는 어떻게 만드나?

자토로 만들고 1,300도 정도에서 구워야 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자토는?

돌가루로 되어 있고 흰색이나 회색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청자는 어디서?

소토에서 만들었고 전국에 도요지가 있었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유약이란?

나무가 타고 남은 재를 물에 탄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상감기법이란?

본래 기물에 홈을 파서 다른 재료를 넣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비색이란?

가장 좋은 비색이 나오려면 유약에 3%의 철분이 포함되어야 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려 초기 청자는?

쌍기가 주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장경판전은?

목판 보관 건물, 해인사에 위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해인사는 누가?

순응과 이정이 애장왕 3년에 창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려청자, 최고의 도자기?

인류 최고의 걸작품 도자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2주차: 첨성대와 천문학

  • 경주시 인왕동에 위치한 신라시대의 천문대로, 반월성 북서쪽 성곽에서 약 300m 떨어져 있음
  • 국보 제31호로, 원형을 유지하고 있는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천문대
  • 후대 복원 없이 창건 당시 모습 그대로 보존된 한반도 고대 건축물
  • 삼국유사에 따르면 7세기 중엽 선덕여왕 시대에 건립
  • 석탈해왕의 16세손 석오원이 첨성대를 건축했다는 주장도 있지만 신빙성은 낮음
  • 세종실록지리지에는 당 태종 633년에 건설되었으며, 가운데가 비어서 사람이 올라갈 수 있다고 기록

첨성대 구조

  • 높이 9.17m, 밑지름 4.93m, 윗 지름 2.85m
  • 남쪽 방향으로 정사각형의 문이 있으며, 상방하원의 형상을 갖춘 돌탑 형식
  • 위는 네모, 아래는 원형
  • 위쪽 방형은 동서남북을 가리키며, 주술적 또는 학술적 메시지를 담았다는 주장 존재
  • 불교 수미산의 형상을 반영했다는 주장도 있음
  • 362개의 화강암 벽돌로 27단의 석축을 쌓았으며, 1년의 시간과 28수 별자리, 선덕여왕 상징 의미 내포
  • 내부는 제12단까지 흙으로 채우고, 맨 위에 우물 정(井)자 장대석이 있음
  • 춘분, 추분 시 태양광이 창문을 통해 첨성대 밑바닥을 완전히 비추고, 하지, 동지에는 완전히 사라지게 설계

관측 방법 및 논란

  • 홍사준; 사다리 세 개를 마련해서 첨성대 내부와 정상으로 오르내리며 하늘을 관찰했다고 주장
  • 아래 기단부, 술병형 원통부, 정자석井字石 정상부 등 크게 세 부분
  • 땅속에는 잡석과 목침 크기의 받침돌, 기단부 서쪽으로는 일렬로 자연석이 놓여 있음
  • 원통부는 부채꼴의 돌로 27단을 쌓았고, 13~15단에 걸쳐 정남에서 동쪽으로 약 16° 방향에 창구 존재
  • 원통부의 제19단과 제20단에는 남북·동서로 2개씩의 장대석이 걸쳐 있어 네 개가 '정井'자를 이룸
  • 맨 위인 제27단의 동쪽 절반은 평판석으로 막혀 있고, 윗면이 둘레보다 약 6km 낮게 되어 있음
  • 27단 위에는 각 네 개씩으로 짜인 '정井'자석이 두 단에 걸쳐 놓여 사각형의 정상부 이룸
  • 역사적으로 첨성대는 '별[星]을 보는[瞻]' 용도로 사용되었다는 주장이 일반적이었지만, 광복 이후 새로운 견해 등장
  • 내부가 좁고 불편하여 실제 천문 관측 시설인지에 대한 의문 존재
  • 천문대가 왕궁 옆 평지에 건설되어 있고, 지상에서 10m 더 올라간다고 해서 별 관측에 큰 도움이 안 된다는 주장도 있음
  • 첨성대 대신 왕궁 경주 월성이나 주변 남산, 토함산 등에서 별 관측이 더 용이했다는 의견 존재
  • 종교적 상징물, 과학 수준을 과시하는 상징물, 선덕여왕 신성화를 위한 도구 등으로 사용됐다는 설 제기

역사적 의미

  • 첨성대가 천문대가 아니라는 가설들은 추측에 불과하며, 문헌적, 고고학적 증거가 없어 확신 불가능
  • 삼국유사에 기록된 내용과 신라 천문기록의 연구를 토대로 첨성대가 천문대였음이 주류 학계의 입장
  • 당시 역사적 환경은 나라마다 다른 첨성대 또는 점성대를 만들어냈음
  • 고대 천문학은 크게 천문天文과 역법으로 양분, 사서에도 구분되어 기재
  • 점성은 조선시대 말까지도 계속되었으며, 고대로 올라갈수록 비중이 컸음
  • 신라 시대의 고천문학 자료들을 종합 연구한 결과, 첨성대가 만들어진 뒤 신라 천문 관측 기록이 양이 대폭 증가
  • 첨성대의 위치는 왕궁에 가까워야 했으며, 교통 접근성이 중요 고려 대상

보수 및 유지

  • 첨성대의 지반은 지하 16m까지 퇴적층, 경주 일대는 지진 위험지대이므로 유지 보수에 상당한 노력 필요
  • 2016년 경주 지진으로 첨성대가 원래 중심축에서 북쪽으로 20.4cm 비스듬히 서 있었지만, 지진으로 2cm 더 기울어짐
  • 고구려 천문 관측대 추정; 고분 안의 별자리, 일본; 675년 점성대, 당; 723년 주공측경대周公側景臺,려; 관천대觀天臺, 조선; 관상감 관천대

3주차: 성덕대왕신종과 물리학

  • 국보 제29호, 경덕왕이 아버지 성덕왕의 공덕을 기리기 위해 종을 만들기 시작, 혜공왕 때인 771년 완성
  • 조선 숭유억불 정책으로 무기를 만들 때에도 세종의 지시로 보존됨
  • 봉덕사奉德寺에 달았으나 수해로 폐사된 뒤, 영묘사靈廟寺로 옮겼다가 경주읍성 봉황대에 종각을 짓고 보호
  • 1915년 박물관, 1975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이전
  • 일명 봉덕사종·에밀레종, 인신人身봉양의 종
  • 우리나라에 남아 있는 최대의 거종巨鐘; 높이 3.75m, 지름 2.27m, 두께 11~25cm. 무게는 18.9톤
  • 제작 연대가 확실하며, 양식이 풍요롭고 화려한 동종, 상원사 동종과 함께 통일신라시대 범종 대표

에밀레종 전설 및 비판

  • 어머니의 말실수로 아이가 시주로 바쳐졌다는 이야기가 가장 잘 알려져 있음, 다른 내용의 전설도 존재
  • 봉덕사에서 성덕대왕신종 제작에 실패를 거듭, 종장이 주위 비난을 받아 고심, 과부의 몸으로 여동생이 아이를 바쳐 종을 제조, 아이는 도가니에 던져지고 종소리는 아이가 어미를 원망하는 소리로 들린다는 전설 존재
  • 종을 주조할 때 아이를 넣었다는 인신 공양 설화는 춘추전국시대부터 중국에 있었음
  • 종이 운다는 이야기는 5호 16국 시대 전량 때 세워진 간수성 무위武威市 대운사大雲寺 종이 대표적
  • 해공왕대의 상황에 대한 은유일 것이라는 해석 존재
  • 성분 분석 결과, 인간을 넣었을 경우 있어야 할 성분(뼈의 칼슘, 인 등)이 없음
  • 신종을 만들 때는 소형 도가니로부터 동시에 주물을 붓는 방법을 사용, 아이를 넣으려면 균등하게 갈아 도가니별로 넣어줘야 하는데, 잔혹성 둘째 치고서라도 제대로 된 종이 나올 리가 없음
  • 살생殺生을 금기시하는 불교에서 종을 만들기 위해 생명을 희생했다는 것도 말이 안됨

종의 특징 및 구조

  • 통일신라 예술이 각 분야에 걸쳐 극성기를 이루던 시기 제작, 뛰어난 예술적 가치
  • 신라 한림 김필계金弼溪 혹은 김필오金弼奥가 종명 630자 서문序文과 200자 명銘으로 제작
  • 종명은 성덕왕의 공덕을 종에 담아 대왕의 공덕을 기리고, 종소리로 국태민안 빌기를 담음
  • 종신의 상하에는 견대와 구연대를 둘렀고, 보상당초문을 주문양대로 장식
  • 하대에 속하는 구연대는 종구가 팔능형이며, 윤곽형이 되는 능마다 당좌와 유사한 대형 연화 배치
  • 종신에 비천상 2구軀 상대적으로 배치, 연화당좌 2개를 배치
  • 오대산 상원사동종의 명문이 천판에 명기, 종신에 장문의 명문 돋을새김은 신라 동종에서 흔히 볼 수 없는 특징
  • 종정鐘頂의 용통甬筒, 용뉴龍鈕의 용두龍頭와 몸체도 박진감 있고 사실적인 조각 수법으로 생동감
  • 높은 수준의 기술과 미학을 가짐

역사적 의미

  • 유협高裕燮; 팔화八花는 팔음八音을 상징, 화엄의 유乳를 없애고 36화花를 안배함
  • 신종의 법기法器로서의 존재 이유
  • 동북아시아의 대종들은 대개 맑고 높은 소리보다는 진중하고 길게 울리는 소리를 내도록 만들어져 있음
  • 만능쇠북, 그 기술의 정점에 있는 것이 성덕대왕신종
  • 신라 최대의 종은 황룡사大鐘, 여몽전쟁으로 소실
  •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종은 상원사 동종(국보, 725년 주조, 1.7 m)
  • 종의 맨 위에는 소리의 울림을 도와주는 음통音筒, 우리나라 동종에서만 찾아볼 수 있는 독특한 구조
  • 다양한 장치; 용뉴, 음통, 유천상, 유곽 비대칭
  • 맥놀이 현상, 50여 가지의 소리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