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중추신경계 자극제가 ADHD의 치료에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중추신경계 자극제가 ADHD의 치료에 사용되는 이유는 무엇인가?
- 체중 증가를 촉진하기 위해
- 비정상적인 수면 패턴을 수정하기 위해
- 도파민 농도를 감소시켜 충동성을 높이기 위해
- 신경전달물질 농도를 높여 증상을 완화하기 위해 (correct)
기면증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기면증의 주요 원인은 무엇인가?
- 하이포크레틴의 결핍 (correct)
- 주기적인 잠의 부족
- 충동 조절 실패
- 도파민의 과잉 분비
다음 중 중추신경계 자극제인 Amphetamines의 주요 부작용은 무엇인가?
다음 중 중추신경계 자극제인 Amphetamines의 주요 부작용은 무엇인가?
- 위장 장애
- 시각 장애
- 기면증
- 불면증 (correct)
Methylphenidate의 작용 방식은 무엇인가?
Methylphenidate의 작용 방식은 무엇인가?
중추신경계 자극제를 사용하는 기면증 치료의 목표는 무엇인가?
중추신경계 자극제를 사용하는 기면증 치료의 목표는 무엇인가?
소화성 궤양의 주요 공격 인자로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소화성 궤양의 주요 공격 인자로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제산제의 주요 작용은 무엇인가?
제산제의 주요 작용은 무엇인가?
Histamine 2 차단제를 복용할 때 피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Histamine 2 차단제를 복용할 때 피해야 할 것은 무엇인가?
Proton pump 억제제의 부작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Proton pump 억제제의 부작용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Pepsin 억제제의 주된 작용은 무엇인가?
Pepsin 억제제의 주된 작용은 무엇인가?
중추신경계 약물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
중추신경계 약물의 주요 기능은 무엇인가?
신경전달물질이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신경전달물질이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은 무엇인가?
중추신경계의 이온통로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중추신경계의 이온통로의 역할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인가?
GABA(감마아미노뷰티르산)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GABA(감마아미노뷰티르산)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벤조디아제핀의 작용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벤조디아제핀의 작용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Barbiturates의 주요 부작용으로 올바른 것은?
Barbiturates의 주요 부작용으로 올바른 것은?
다음 중 GABA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약물이 아닌 것은?
다음 중 GABA 수용체를 활성화하는 약물이 아닌 것은?
중증근무력증에 대한 GABA 억제제의 사용은 어떤 이유로 금기인가?
중증근무력증에 대한 GABA 억제제의 사용은 어떤 이유로 금기인가?
다음 중 벤조디아제핀과 함께 사용 시 호흡 억제 위험을 증가시키는 물질은 무엇인가?
다음 중 벤조디아제핀과 함께 사용 시 호흡 억제 위험을 증가시키는 물질은 무엇인가?
GABA 작용제와 관련된 부작용으로 올바른 것은?
GABA 작용제와 관련된 부작용으로 올바른 것은?
Amphotericin B의 주된 용도는 무엇인가?
Amphotericin B의 주된 용도는 무엇인가?
다음 중 니스타틴의 주된 사용 용도는 무엇인가?
다음 중 니스타틴의 주된 사용 용도는 무엇인가?
Azole 계열 약물이 하는 주된 작용은 무엇인가?
Azole 계열 약물이 하는 주된 작용은 무엇인가?
Metronidazole의 주 사용 용도는 무엇인가?
Metronidazole의 주 사용 용도는 무엇인가?
추체외로 증상(eps)의 부작용이 있는 약물은 무엇인가?
추체외로 증상(eps)의 부작용이 있는 약물은 무엇인가?
Dexamethasone의 주된 사용 용도는 무엇인가?
Dexamethasone의 주된 사용 용도는 무엇인가?
항구토제 중 도파민 길항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환자는 누구인가?
항구토제 중 도파민 길항제를 사용하지 못하는 환자는 누구인가?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가 효과적인 상황은 무엇인가?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가 효과적인 상황은 무엇인가?
항구토제를 사용할 때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무엇인가?
항구토제를 사용할 때 부작용으로 나타날 수 있는 증상은 무엇인가?
구토를 유발하는 주된 수용체는 무엇인가?
구토를 유발하는 주된 수용체는 무엇인가?
다음 중 항히스타민제의 주요 용도는 무엇인가?
다음 중 항히스타민제의 주요 용도는 무엇인가?
Nystatin의 사용 방법으로 올바른 설명은 무엇인가?
Nystatin의 사용 방법으로 올바른 설명은 무엇인가?
구토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의 기전은 주로 무엇인가?
구토를 억제하기 위해 사용하는 약물의 기전은 주로 무엇인가?
아세트아미노펜의 주요 작용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아세트아미노펜의 주요 작용 메커니즘은 무엇인가?
트라마돌의 부작용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트라마돌의 부작용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코데인의 주요 사용 적응증은 무엇인가?
코데인의 주요 사용 적응증은 무엇인가?
펜타닐의 주요 적응증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펜타닐의 주요 적응증 중 올바르지 않은 것은?
PCA(환자 조절 진통제)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PCA(환자 조절 진통제)의 주요 특징은 무엇인가?
날록손의 주 용도는 무엇인가?
날록손의 주 용도는 무엇인가?
트립탄의 주요 부작용은 무엇인가?
트립탄의 주요 부작용은 무엇인가?
에르고타민의 부작용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에르고타민의 부작용으로 올바르지 않은 것은?
몰핀의 가장 큰 부작용은 무엇인가?
몰핀의 가장 큰 부작용은 무엇인가?
메페리딘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메페리딘을 사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무엇인가?
항염증 약물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
항염증 약물의 주요 목표는 무엇인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어떤 작용기전을 통해 염증을 완화하는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은 어떤 작용기전을 통해 염증을 완화하는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COX-2 억제는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COX-2 억제는 어떤 효과를 가져오는가?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장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부작용은 무엇인가?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장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부작용은 무엇인가?
비타민 B를 공급하는 치료제로 사용 가능한 것은 무엇인가?
비타민 B를 공급하는 치료제로 사용 가능한 것은 무엇인가?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통풍 약물 중 어떤 것이 요산 생성 억제제인가?
염증성 질환을 치료하기 위한 통풍 약물 중 어떤 것이 요산 생성 억제제인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부작용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부작용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항응고제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병용의 위험은 무엇인가?
항응고제와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병용의 위험은 무엇인가?
케토롤락의 사용에 대한 주의 사항으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케토롤락의 사용에 대한 주의 사항으로 적절한 것은 무엇인가?
지속적 염증을 억제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약물은 무엇인가?
지속적 염증을 억제하기 위해 장기적으로 사용하지 말아야 하는 약물은 무엇인가?
TNF-α 억제제의 목표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TNF-α 억제제의 목표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이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과 항응고제를 병용할 때 예상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이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과 항응고제를 병용할 때 예상되는 부작용은 무엇인가?
아스피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유해반응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아스피린 사용 시 주의해야 할 유해반응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인가?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메토트렉세이트의 작용 기전은 무엇인가?
관절염 치료에 사용되는 메토트렉세이트의 작용 기전은 무엇인가?
Flashcards
중추신경계 흥분제
중추신경계 흥분제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의 신경전달 물질 분비를 촉진하여 중추신경계를 자극, 주의력과 집중력 향상 및 피로 감소 효과를 보이는 약물입니다.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ADHD(주의력결핍 과잉행동장애)
뇌의 전두엽 기능에 영향을 미치는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등 신경전달물질의 불균형으로 주의력 조절 및 충동 억제에 어려움을 보이는 질환입니다.
기면증
기면증
수면-각성 주기 조절 문제로 과도한 졸음을 경험하는 질환이며, REM 수면의 비정상적인 조절로 유발됩니다.
암페타민 계열 약물
암페타민 계열 약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메틸페니데이트 계열 약물
메틸페니데이트 계열 약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항진균제의 종류
항진균제의 종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olyenes 항진균제
Polyenes 항진균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Amphotericin B
Amphotericin B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Nystatin
Nystati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Azole 계 항진균제
Azole 계 항진균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구토
구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구토 중추 (CTZ)
구토 중추 (CTZ)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항구토제
항구토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항히스타민제
항히스타민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도파민 길항제
도파민 길항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Metoclopramide
Metoclopramid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Dexamethasone
Dexamethason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추체외로 증상(EPS)
추체외로 증상(EP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소화성 궤양의 원인
소화성 궤양의 원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제산제의 작용 원리
제산제의 작용 원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제산제의 대표적인 부작용
제산제의 대표적인 부작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H2 차단제의 작용 기전
H2 차단제의 작용 기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PI의 작용 원리
PPI의 작용 원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PI의 주요 부작용
PPI의 주요 부작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소화성 궤양 치료제 복용 시 유의사항
소화성 궤양 치료제 복용 시 유의사항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중추신경계 약물의 기능
중추신경계 약물의 기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GABA(감마아미노뷰티르산)의 역할
GABA(감마아미노뷰티르산)의 역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GABA 수용체 활성화
GABA 수용체 활성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벤조디아제핀의 기전
벤조디아제핀의 기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벤조디아제핀의 주요 부작용
벤조디아제핀의 주요 부작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벤조디아제핀의 상호작용
벤조디아제핀의 상호작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면제의 작용 기전
수면제의 작용 기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마취제의 작용
마취제의 작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증추신경계 억제제의 금기 사항
증추신경계 억제제의 금기 사항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아세트아미노펜 (acetaminophe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트라마돌 (tramadol)
트라마돌 (tramadol)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몰핀 (morphine)
몰핀 (morphin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코데인 (Codeine)
코데인 (Codein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펜타닐 (Fentanyl)
펜타닐 (Fentanyl)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메페리딘 (Meperidine, Pethidine)
메페리딘 (Meperidine, Pethidin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PCA (Patient-Controlled Analgesia)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날록손 (nalaxone)
날록손 (nalaxon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트립탄
트립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에르고타민
에르고타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염증이란 무엇일까요?
염증이란 무엇일까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염증 과정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염증 과정은 어떻게 진행될까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항염증 약물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항염증 약물의 역할은 무엇일까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NSAIDs)
비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NSAID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COX-1 억제의 영향은?
COX-1 억제의 영향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COX-2 억제의 효과와 부작용은?
COX-2 억제의 효과와 부작용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살리실산염(Salicylates)
살리실산염(Salicylate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이부프로펜(Ibuprofen)
이부프로펜(Ibuprofe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케토롤락(Ketorolac)
케토롤락(Ketorolac)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셀레콕시브(Celecoxib)
셀레콕시브(Celecoxib)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Glucocorticoids)는 무엇인가요?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 (Glucocorticoids)는 무엇인가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주요 부작용은?
스테로이드성 항염증 약물의 주요 부작용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류마티스 관절염은 무엇인가요?
류마티스 관절염은 무엇인가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의 작용기전은 무엇인가요?
메토트렉세이트(Methotrexate)의 작용기전은 무엇인가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TNF-α 억제제는 어떤 원리로 작용하나요?
TNF-α 억제제는 어떤 원리로 작용하나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항균제 및 항감염제
- 세균의 분류: 모양(구균, 간균, 나선균) 및 염색(그람양성균, 그람음성균)에 따라 분류
- 항균 화학요법의 역사: 파울 에를리히(살바르산), 게르하르트 요하네스(설파제), 알렌산더 플레밍(페니실린)
- 항균제의 기본 용어: 항균 범위(광범위, 좁은 범위), 항균 효력(정균, 살균)
- 세균의 저항성(내성): 병원체에 대한 약물 반응 감소 또는 소실
- 세포벽 합성 억제제: 페니실린계, 세팔로스포린계, 글리코펩티드 등
- 단백질 합성 억제제: 매크롤라이드계, 아미노글리코사이드계, 테트라사이클린계 등
- 핵산 합성 억제제: 플루오로퀴놀론계 등
- 세포 대사 억제제: 설폰아마이드계 등
- 항박테리아제의 작용 기전: 세포벽 합성 억제, 막 투과도 변화, 단백질 합성 억제, 박테리아 RNA와 DNA 합성 억제, 세포 대사 억제
- 항박테리아제의 효과: 세포벽 효소 파괴, 세균의 세포벽 합성 효소 억제, 정균 또는 살균 효과, 막투과도 증가와 세포벽 구성 성분 차단, 핵산 합성 억제 등
항생제 내성균
- MRSA(메티실린 내성 황색포도알균), VRSA(반코마이신 내성 황색포도알균), VRE(반코마이신 내성 장알균), CRE(카바페넴 내성 장내세균)
- 페니실린계 약물: 베타-락탐 고리 분해 효소 생성 내성 발생, 타조박탐, 클라불란산과 병용 투여하여 극복
- 세팔로스포린계 약물: 세대별로 분류(1세대~5세대), 그람양성 및 그람음성균에 대한 효과
- Glycopeptides(글리코펩티드) 약물: Vancomycin (반코마이신), C-difficile에 의한 아메바성 장염 치료
- 기타: Carbapenem, Monobactams, Glycopeptides, Teicoplanin,
항진균제
- Polyenes: Amphotericin B (진균 세포막 파괴), Nystatin (국소 투여에 사용)
- Azoles: 진균의 세포막에 필수적인 ergosterol 형성 억제
- Peptides: Metronidazole (다양한 장염 치료에 사용)
항결핵제
- 결핵균은 폐를 침입하여 감염
- 증상: 기침, 체중 감소
- 약물은 모두 식전에 투여
- 1차 및 2차 약제로 구분
구토 치료제
- 구토 자극 기전: 화학수용체 유발구역(CTZ)
- 구토 유발 물질(도파민 D2 수용체, 세로토닌 5-HT3 수용체, 뉴로키닌 NK1 수용체, 아세틸콜린)
- 항구토제: 항히스타민제(디펜하이드라민), 항콜린성 약물(스코폴아민), 도파민 길항제(페노티아진계, 부티로페논계, 벤조디아제핀계),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온단세트론), 당질 코르티코이드, 대마초제제, 기타 약물
소화성 궤양 치료제
- 위산 분비 기전: 히스타민 H2 수용체, 머스카린 수용체, 아세틸콜린, 프로스타글란딘 E2, 가스트린
- 제산제, 히스타민 H2 차단제(라니티딘), 프로톤 펌프 억제제(PPI), 펩신 억제제, 프로스타글란딘 유사체 (미소프로스톨)
- 위산과 반응하여 물과 염을 생성
중추신경계 약물
-
신경전달물질: 아세틸콜린, 도파민, 노르에피네프린, 세로토닌, GABA, 글루타메이트
-
흥분성 또는 억제성 신호 전달 -> 신경세포 활동 조정
-
이온통로 유형: 리간드 개폐성, 전압 개폐성
항정신병 약물
- 조현병: 양성 증상(환각, 망상), 음성 증상(감정 둔화), 파킨슨증후군
- 정형 약물: D2 도파민 수용체 차단, 추체외로 증상(EPS)
- 비정형 약물: D2와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 EPS 감소
- 약물 상호작용 및 관리 방법 중요
항우울제
-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SRI), 세로토닌-노르에피네프린 재흡수 억제제(SNRI), 모노아민 산화효소 억제제(MAOI), 삼환계 항우울제(TCA)
- 세로토닌 증후군: 세로토닌 수치 과다 증가
- 주요 작용 원리(기전)와 부작용, 약물 상호작용 중요
기타 약물
- 항통증제, 항염증제, 갑상선 약물, 부신피질 호르몬, 부갑상선 호르몬 등
- 여러 약물의 적응증(사용), 기전(작용 원리), 부작용, 약물 상호작용 등을 구체적으로 언급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Related Documents
Description
이 퀴즈는 중추신경계 자극제, 기면증, 소화성 궤양과 관련된 주요 질문들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중추신경계 약물의 작용 방식 및 부작용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