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의 뒷다리 근골격계 질환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강아지 고관절 이형성의 주요 원인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 영양 불균형으로 인한 뼈의 약화
  • 과도한 운동으로 인한 후천적 관절 손상
  •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의 복합 작용 (correct)
  • 노령으로 인한 관절 마모

고관절 이형성을 가진 강아지에게서 흔히 관찰되는 임상 증상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 걸을 때 뒷다리를 흔들거나 아파함
  • 활동량 감소 및 산책 거부
  • 등을 굽히고 걷는 자세 (correct)
  • 계단이나 언덕 오르기를 어려워함

고관절 이형성 진단 시 PennHIP 촬영이 일반 방사선 촬영에 비해 갖는 주요 이점은 무엇입니까?

  • 근육 및 인대 손상 정도를 정밀하게 진단 가능
  • 연골 손상 여부를 명확하게 확인 가능
  • 고관절의 이완 정도를 보다 정확하게 평가 가능 (correct)
  • 관절의 염증 정도를 정확하게 평가 가능

강아지 고관절 이형성의 내과적 치료 방법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p>골절 부위 고정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만성적인 고관절 이형성으로 진단된 강아지에게 수술적 치료보다 재활치료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p>재활치료가 고관절 기능 유지에 더 효과적일 수 있어서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고관절 탈구가 발생했을 때 나타날 수 있는 임상 증상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p>다리를 들고 딛지 못함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고관절 탈구의 보존적 치료 방법으로 짧은 마취 하에 관절을 환납한 후 사용하는 보조기의 명칭은 무엇입니까?

<p>슬링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HNO 수술은 어떤 질환의 치료 방법입니까?

<p>대퇴골두 허혈성 괴사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LCPD의 주된 발병 연령대는 언제입니까?

<p>1~2세 이하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LCPD 환자에게서 나타나는 주요 임상 증상은 무엇입니까?

<p>보행 시 뒷다리 절음 및 통증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LCPD의 내과적 치료가 외과적 치료에 비해 갖는 한계점은 무엇입니까?

<p>일시적인 통증 완화 효과만 있음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LCPD로 인한 FHNO 수술 후 재활치료의 중요한 목표 중 하나는 무엇입니까?

<p>ROM 회복 및 통증 관리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슬개골 내측 탈구가 주로 발생하는 견종은 무엇입니까?

<p>소형견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슬개골 내측 탈구의 분류 단계 중 2단계는 어떤 상태를 의미합니까?

<p>외력에 의해 탈구되지만 굴신 운동으로 환납됨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슬개골 내측 탈구 1단계의 치료 방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p>체중 조절 및 환경 관리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활차구성형술은 어떤 질환의 수술적 치료 방법입니까?

<p>슬개골 탈구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경골 조면 이식술은 슬개골 탈구 수술 시 어떤 목적으로 시행됩니까?

<p>슬개골의 외측 정렬 교정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슬개골 탈구 예방을 위한 재활치료는 주로 몇 기에 적합합니까?

<p>1~2기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십자인대 단열 시 무릎 관절이 불안정해지는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p>경골의 앞쪽 미끄러짐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십자인대 단열의 임상 증상으로, 아픈 다리를 굽히지 않고 뻗은 채로 앉는 이유는 무엇입니까?

<p>통증 완화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십자인대 단열 진단에 사용되는 신체검사 방법은 무엇입니까?

<p>Cranial drawer test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전십자인대 단열 시,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에 고려할 수 있는 보존적 치료 방법은 무엇입니까?

<p>재활 치료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TPLO 수술은 주로 어떤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시행됩니까?

<p>전십자인대 단열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HNO 수술 후 재활의 목표는 무엇입니까?

<p>통증 감소 및 기능 회복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우측 FHNO 수술 후 통증이 심하고 사용하지 못하는 심한 파행을 보이는 경우, 엑스레이 검사에서 어떤 부분을 확인해야 합니까?

<p>대퇴골목의 절제 정도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뒷다리 근골격계 질환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p>요추 추간판 탈출증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강아지 뒷다리 질환 평가 시 파행 평가가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p>근골격계 질환의 정도와 위치를 파악하기 위해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뒷다리 관절 질환을 가진 강아지에게 재활 피트니스가 도움을 줄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p>통증 완화 및 관절 기능 개선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강아지의 뒷다리 질환 재활 시, 2차적 보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한 이유는 무엇입니까?

<p>다른 부위의 과도한 사용으로 인한 추가 손상 방지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고관절 이형성

유전적 질환으로, 대형견이나 초대형견에서 흔히 발생하며, 관골구의 발육 부전으로 인해 대퇴골두의 변형이 발생합니다.

고관절 이형성의 임상 증상

걸을 때 뒷다리를 흔들고, 뛰거나 산책을 싫어하며, bunny-hopping 걸음을 보이는 증상

고관절 이형성 치료법 (내과적)

체중 관리, 진통제 투여, 관절 보조제 사용, 재활 치료 등이 있습니다.

고관절 이형성 치료법 (외과적)

관절 복구를 위한 수술, FHNO, 관절 치환술 등이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관절 탈구

외력에 의해 대퇴골두가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는 상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관절 탈구 증상

교통사고나 낙상 후 다리를 들고 딛지 못하며, 무릎이 약간 외회전되는 모습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관절 탈구 치료 (보존적)

짧은 마취 하에 관절을 제자리로 돌리고 Sling을 유지하는 방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관절 탈구 치료 (수술적)

관절 복구를 위한 수술, FHNO, 관절 치환술 등이 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대퇴골두 허혈성 괴사 (LCPD)

대퇴골두로 가는 혈액 공급 차단으로 골두가 괴사되어 탈락하는 질병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LCPD의 임상 증상

보행중 뒷다리를 절고 아파하며 체중을 싣지 못해 근육 감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LCPD 치료

진통제, 체중관리, 운동치료, 물리치료 등이 있으나, 대부분 외과적 치료가 필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슬개골 내측 탈구

슬개골이 정상 위치에서 벗어나는 질환으로, 주로 소형견에서 흔하게 발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슬개골 내측 탈구의 원인 및 분류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에 의해 발생하며, 1단계에서 4단계로 분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슬개골 내측 탈구 치료

1단계는 비수술적 관리, 2단계 이상은 수술적 치료 고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십자인대 단열

갑작스런 뒷다리 파행의 가장 흔한 원인 중 하나로, 무릎 관절의 불안정과 통증 유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십자인대 단열 증상

갑자기 뒷다리를 절고 체중을 싣지 못하며, 무릎에 부종이 생길 수 있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십자인대 단열 치료 (보존적)

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보존적 치료를 하지만, 파행 재발 및 관절염 진행 가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십자인대 단열 치료 (수술적)

낭외재건술, TPLO 등의 방법이 사용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관절 탈구 및 LCPD 재활

고관절 이형성 환자의 관리와 유사하며, FHNO 수술 후 재활 강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슬개골 탈구의 예방적 재활

1-2기에 적합하며 장기간 수술 없이 안정화, 전체적인 자세 개선을 목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뒷다리의 주요 근골격계 질환

  • 주요 질환에는 고관절 이형성, 고관절 탈구, 대퇴골두 허혈성 괴사증, 슬개골 내측 탈구, 전십자인대 단열이 있음

파행 평가

  • 파행 평가는 뒷다리 관절 질환 진단의 기본임

고관절 이형성

  • 대형견과 초대형견에서 주로 발생하는 유전적 질환임
  • 성별에 따른 차이는 없으며, 생후 6~12개월 사이에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 고관절 내 관골구의 발육 부전과 변형으로 인해 대퇴골두의 변형 및 편평화가 진행되어 고관절이 이완되고 탈구가 진행됨
  • 탈구 진행으로 뒷다리 만성 파행과 퇴행성 관절 질환이 나타남
  •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관절을 이완시켜, 관골구와 대퇴골두의 비정상적인 발달을 유발하고, 관절 변성, 골관절염, 염증, 통증을 유발함
  • 걸을 때 뒷다리가 흔들리고, 아파하며, 뛰놀거나 산책하는 것을 싫어하고, 오르막을 오르는 것을 힘들어하며, 특징적으로 bunny-hopping 걸음걸이를 보임
  • 임상 증상과 신체 검사, 방사선 검사(일반 방사선/PennHIP 촬영)를 통해 진단함
  • 내과적 치료는 체중 관리, 진통제 투여, 관절 보조제 사용, 재활 치료 및 물리 치료를 포함
  • 외과적 치료는 Juvenile Pubic Symphysiodesis(JPS)를 16주 이하에 적용, Triple/Double pelvic osteotomy (TPO), Total hip replacement 등을 포함

반려견 재활에서 고관절 이형성

  • 수술 전후 기능 개선, 통증 관리, 재생 치료, 근력 회복을 통한 안정성 추가가 목표임
  • 만성화된 고관절 이형성의 경우 수술적 치료보다 재활 치료를 유지하는 것이 예후가 더 좋을 수 있음

고관절 탈구 (Hip Joint Luxation)

  • 외부 충격으로 인해 주로 발생하며, 대퇴골두에 연결된 인대가 파열되면서 원래 위치에서 벗어남
  • 주로 앞-등쪽 방향으로 탈구가 발생하며, 복부 방향으로의 탈구는 드뭄
  • 고관절 이형성이 있는 경우 탈구가 더 쉽게 일어날 수 있음
  • 임상 증상으로는 교통사고나 낙상, 과격한 미끄러짐 후 증상 발현, 다리를 들고 딛지 못함, 무릎이 약간 외회전되면서 내전되는 모습, 고관절 신장 시 통증 호소 등이 있음
  • 신체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통해 쉽게 진단 가능
  • 치료는 보존적 치료(마취 후 관절 환납 및 Sling 유지)와 수술적 치료(관절 복구 수술, FHNO, 관절 치환술)로 나뉨

대퇴골두 무혈성 괴사(LCPD)

  • 대퇴골두로 가는 혈액 공급이 차단되어 골두가 괴사되어 탈락하는 질병임
  • 주로 2살 이하의 어린 소형견에서 발생함
  • 증상으로는 걸을 때 뒷다리를 절뚝거리고 아파하며, 체중을 싣지 못해 근육이 빠르게 감소함
  • 신체 검사와 방사선 검사를 통해 진단함
  • 내과적 치료는 일시적으로 통증을 완화할 뿐, 결국 외과적 치료가 필수적임
  • 외과적 치료로는 FHNO(대퇴골두 절제술)와 인공관절 치환술이 있음

반려견 재활에서 고관절 탈구 및 LCPD

  • 고관절 이형성 환자와 유사한 방식으로 관리
  • FHNO 수술이 불가피한 경우가 많음
  • 안정성이 매우 낮아 수술 후 재활 치료가 필수적임
  • LCPD로 인한 FHNO 수술 환자는 장기간 재활 치료가 필요한 경우가 많음
  • ROM 감소와 지속적인 통증으로 인해 장기간 관리와 이차적 보상에 대한 고려가 필요함

슬개골 내측 탈구 (Medial Patella Luxation)

  • 주로 소형견에서 흔하게 발생하는 정형외과 질환
  • 유전적 요인과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하여 발생
  • 대형견에서는 외측 탈구가 더 흔함
  • 1단계에서 4단계로 분류됨
    • 1단계: 외력에 의해 탈구되지만 즉시 정상 위치로 돌아옴
    • 2단계: 외력에 의해 탈구되지만 굴신 운동 시 환납됨, 간헐적 파행
    • 3단계: 외력으로 환납되지만 다시 탈구, 대체로 탈구된 상태
    • 4단계: 외력으로도 환납이 불가능, 항상 탈구되어 있음
  • 치료는 1단계에서 비수술적 치료(체중 조절, 환경 관리)를 실시하고, 2단계 이상에서는 증상과 관절 상태에 따라 수술적 치료를 고려함
    • 외과적 치료에는 활차구성형술, 경골조면이식술 등이 있음

반려견 재활에서 슬개골 내측 탈구

  • 예방적 재활은 1~2기에 적합하며 장기간 수술 없이 안정화를 목표로 함
  • 전체적인 자세 개선에 집중함
  • 수술 후 안정성을 빠르게 회복하고 수술 후에도 통증이 있는 경우 재활 치료가 효과적임

전십자인대 단열 (Cranial Cruciate Ligament Rupture)

  • 갑작스러운 뒷다리 체중 부하 파행(PWB)의 흔한 원인 중 하나이며, 무릎 관절 질환에서 빈번하게 발생
  • 전십자인대 질환(CCRD)이라고도 함
  • 전십자인대의 완전 또는 부분 단열로 인해 경골이 미끄러지면서 무릎 관절이 불안정해지고, 통증과 파행을 유발
  • 갑자기 뒷다리를 절뚝거리고 체중을 싣지 못함
  • 놀거나 갑자기 뛴 후 증상이 나타나는 경우가 많음
  • 부분 단열의 경우 약하게 체중을 지지하며 걸을 수 있음
  • 무릎에 부종이 생길 수 있음
  • 앉을 때 아픈 다리를 굽히지 않고 뻗은 채로 앉음
  • 임상 증상, 병력, 신체 검사(cranial drawer test, tibial thrust test), 방사선 검사를 통해 진단함
  • 치료는 보존적 치료(수술이 불가능한 경우), 재활 치료, 외과적 치료(낭외재건술, TPLO)로 나뉨

FHNO (대퇴골두 절제술) 수술 후 재활

  • 엑스레이상 고관절 수술 부위의 대퇴골목 부분이 완전히 절제되지 않아 재수술을 실시 후 재활을 시작
  • 수술 후 통증이 심해 뒷다리 사용을 못하는 모습이 보임
  • 수술 후 진통제 투여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