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4-2 지역사회간호학2 PDF

Document Details

Uploaded by Deleted User

대구가톨릭대학교

이 영 주 PhD. RN 이 해 인 PhD. RN

Tags

public health health promotion community health nursing

Summary

This document is lecture notes for a Korean undergraduate course on community health nursing, 2024-2. It covers topics like health promotion, community health, and relevant public health aspects.

Full Transcript

[2024-2] 지역사회간호학2 1. 건강증진 이 영 주 PhD. RN 이 해 인 PhD. RN 본 저작물은 저작권법 제25조 수업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제도에 의거,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와 약정을 체결하고 적법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약정범위를 초과하는 사용은 저작권법...

[2024-2] 지역사회간호학2 1. 건강증진 이 영 주 PhD. RN 이 해 인 PhD. RN 본 저작물은 저작권법 제25조 수업목적 저작물 이용 보상금제도에 의거, 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와 약정을 체결하고 적법하게 이용하고 있습니다. 약정범위를 초과하는 사용은 저작권법에 저촉될 수 있으므로 저작물의 재 복제 및 수업 목적 외의 사용을 금지합니다. 대구가톨릭대학교·한국복제전송저작권협회 본 교과목의 학습내용 I. 보건소의 기능, 모자 및 영유아 보건 중간고사 전 II. 노인보건, 학교보건, 감염성질환 등 III. 보건교육의 이해 중간고사 후 IV. 가족간호, 방문간호, 산업간호 2 본 교과목의 출석평가 10% 결석 허용 횟수: 주당 수업횟수의 4배 1회 결석(2시간) 당 -1점 4회까지 결석 가능 : 9시간 이상 결석 시 과목 실격 수업시작 후 10분 이내 출석 만 지각 수정 수업시작 후 60분 이후 출석은 결석임 3 교과목을 배우기 전에~ “진단평가”를 해 봅시다! 오늘의 학습내용 1. 건강증진의 이해 (p473) 2. 건강증진사업, 생애주기별, 실무현장별 (p481) 3.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 5 건강증진의 이해 (p473)  건강증진의 정의 – 건강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의 건강습관과 사회환경의 개선을 통해 국민 모두가 최적수준의 건강을 유지하도록 하는 과정  건강증진의 목표 – 자가건강관리(self-care)능력을 향상시키고 – 개인이나 지역사회가 가지고 있는 건강잠재력을 최대한 이끌어내 도록 역량을 강화(empowerment)함으로써 – 건강한 수명을 연장하고, 만성 퇴행성 질환의 증가로 인한 국가의 경제 · 사회적 부담을 경감시키는 것  건강증진과 유사한 개념 – 건강보호 : 위해요인이나 건강에 해로운 행동을 감소 – 질병예방 : 위험요인을 조기발견, 건강검진, 예방접종 등 6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에 대한 3가지 접근방식  Breslow(1983): 건강증진은 질적·양적으로 충분한 삶의 가능성 을 향상시키기 위한 모든 수단으로 정의 – 예방적 수단, 환경적 수단, 행동적 수단을 제시 7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 (1) 캐나다 – 1974년 Lalonde 보고서; ‘캐나다 국민의 건강에 관한 새로운 시각’ – 70세 이전의 조기사망 원인에 대한 분석 자료 – 국민건강보험 실시로 보건의료서비스의 접근성이 크게 개선되었음 에도 사망률이나 이환율에는 별로 영향을 미치지 못하였다는 결론 – 환경요인과 생활양식이 사망 및 상병이환에 크게 기여하므로 이들 요인을 효과적으로 관리하는 것이 건강관리의 핵심 – 세계적으로 건강증진에 대한 정책적 관심이 높아졌음 8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2) 미국 – 보건후생부(Department of Health and Human Service: DHHS)는 1976년 사망원인을 분석한 결과  사망원인의 1/2이 잘못된 건강행동, 생활양식 요인이며,  환경과 생물학적 요인이 각각 20%, 부적절한 보건의료 요인은 10% – 1979년, 1990년, 2008년, 2020년 『Healthy People 2030』 보고서  미국인의 건강향상을 위한 3가지 전략: 건강증진, 예방보건서비스, 건강 보호를 제시 9 미국 Healthy People 2030(‘20.8월 발표) https://health.gov/healthypeople/objectives-and-data/about-objectives/healthy-people-2030-objectives-and-measures 10 Healthy People 2030-Objectives https://health.gov/healthypeople/objectives-and-data/browse-objectives 11 23 Leading Health Indicators https://health.gov/healthypeople/objectives-and- data/leading-health-indicators 12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3) 일본 – 1978년 ‘제1차 국민건강 가꾸기 대책’ 발표 – 1988년 ‘제2차 국민건강 가꾸기 대책’; 영양, 운동, 휴식 등을 중심으 로 활력 있는 장수사회의 건설을 목표 – 2000년부터 21세기 국민건강 가꾸기 운동(건강일본21): 조기사망의 감소, 건강수명의 연장, 삶의 질 향상의 실현 13 건강일본21(제 3차, ‘24-’35) 비전 ‘모든 국민이 건강하고 풍요로운 삶을 영위할 수 있는 지속가능한 사회의 실현 기본방향 (1) 건강수명의 연장ㆍ건강격차의 축소 (2) 개인의 행동과 건강 상태의 개선 (3) 사회 환경의 질 향상 (4) 생애주기적 접근에 기초한 건강증진 등 출처) 김한해. (2023). 일본의 차기 국민건강증진계획: 『건강일본 21(제2차)』의 최종 평가 결과 및 『건강일본 21(제3차)』의 주요내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40(5), 93-111. DOI : 10.14367/kjhep.2023.40.5.93 14 건강일본21(제 3차, ‘24-’35) 출처) 김한해. (2023). 일본의 차기 국민건강증진계획: 『건강일본 21(제2차)』의 최종 평가 결과 및 『건강일본 21(제3차)』의 주요내용. 보건교육건강증진학회지, 40(5), 93-111. DOI : 10.14367/kjhep.2023.40.5.93 15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 _cont. (4) 세계보건기구(WHO) – 1985년 ‘2000년까지 모든 인류에게 건강을(Health for All by the year 2000)’라는 보고서에서 건강증진 언급 ① 제1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1986년 캐나다의 오타와(Ottawa) : “오타와 헌장”  건강이란, 삶의 목적이 아닌 일상생활을 위한 자원  건강증진은 자신의 건강에 대한 통제력을 증대시키고 건강향상의 능력을 갖는 과정  건강증진의 3대 원칙 : 옹호, 역량, 연합  건강증진의 5대 활동요소: 개인의 기술개발, 지역사회 활동의 강화, 자원적 환경의 구축, 건강관련 공공정책의 수립, 보건의료제도의 방 향 재설정 16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② 제2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1988년 호주의 아델레이드(Adelaide)에서 개최  주요 의제 ; 건강증진을 위한 정부정책의 중요성 강조 ③ WHO 주최 개발도상국가 건강증진을 위한 실무회의  1989년 스위스의 제네바(Geneva)  주요 의제; 보건의료에 영향을 미치는 경제/언론/교육계 등 연합 강조 ④ 제3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1991년 스웨덴의 선즈볼  주요 의제; 보건지원을 위한 환경구축의 중요성을 강조 17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⑤ 제4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1997년 인도네시아의 자카르타  주요 의제; 건강증진은 가치 있는 투자임을 강조 ⑥ 제5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2000년 멕시코의 멕시코시티  주요 의제; 건강에 관한 사회적 형평성 제고, 건강증진을 위한 과학적 근거의 확보 및 파트너십의 구축을 강조 ⑦ 제6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2005년 태국의 방콕  주요 의제; 건강증진정책과 건강결정요인을 강조 18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⑧ 제7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2009년 케냐의 나이로비  주요 의제; 건강증진 수행역량 격차해소를 강조 ⑨ 제8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2013년 핀란드의 헬싱키  주요 의제; 국가 수준에서 건강을 위한 다부문적 활동과 모든 정책에 서의 건강(health in all policies) 접근방법의 시행을 강조 ⑩ 제9차 건강증진을 위한 국제회의  2016년 중국의 상하이  주요 의제; 지역사회와 도시가 건강을 위해 구조화, 건강문해력은 건 강증진 역량강화와 형평성을 가능하게 함 19 1. 건강증진의 이해 건강증진의 역사적 배경_cont. (5) 우리나라 – 1980년대 중반까지 주요 상병은 급성 감염성질환 – 1990년대 이후부터 만성질환자의 비율이 증가  암, 뇌혈관질환, 사고, 심장병, 간질환, 당뇨병, 고혈압 등이 주요 사망원인 – 1995년 국민건강증진법 제정 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 하여금 국민건강증진을 위한 건강생활실천을 위한 교육 및 환경여건 조성과 질병예방관리사업을 추진하도록 규정  국민건강증진법 제2조 “국민건강증진사업”이란, 보건교육, 질병예방, 영양개선, 신체활동 장려, 건강관리 및 건강생활의 실천 등을 통하여 국민의 건강을 증진시키는 사업 (2019.12.3 개정, 2021.12.4 시행) “신체활동 장려”란 개인 또는 집단이 일상생활 중 신체의 근육을 활용하 여 에너지를 소비하는 모든 활동을 자발적으로 적극 수행하도록 장려하 는 것을 말한다. 20 2. 건강증진사업  건강증진사업의 범위 – 질병발생 이전과 발생 초기의 건강증진 – 질병치료와 회복시기의 건강증진 21 2. 건강증진사업 건강증진사업의 필요성  현재의 건강문제의 50% 이상이 잘못된 생활습관에서 야기  질병치료를 우선하는 사회에서 건강문제는 개인의 책임이었으나, 건 강관리를 우선하는 사회에서 건강문제는 국가의 책임  노인인구의 증가는 만성퇴행성질환 인구의 증가를 의미, 만성퇴행성 질환은 생활습관병으로 근본적인 치료가 불가능  생활습관이 주원인인 만성병의 증가는 바로 국가 의료비 문제와 직결  생활습관의 계속적인 개선, 유지를 통해서 증상의 완화 및 삶의 질을 향상하도록 하는 것이 경제적이면서도 최선의 대안  생활습관의 교정을 위해서는 보건교육, 상담 뿐 아니라 사회환경의 변 화도 같이 변화해야 가능하기 때문에 건강증진사업의 중요성이 강조 22 2. 건강증진사업 건강증진사업의 특성  다양한 보건의료영역의 직종이 참여하는 사업  많은 기관이 참여하는 사업  지역사회의 적극적인 참여를 위해 사회학적 접근방법이 요구됨  사업결과가 단기간에 나타나지 않음  투입된 비용효과 분석이 어려움 23 2. 건강증진사업 건강증진사업에서 간호사의 역할  지역사회의 건강증진 요구사정자 (need assessor)  근거중심 사업계획서 수립 (program planner)  건강증진 관련 교육 및 상담자 (educator)  건강증진 관련 팀원과의 협조자 (collaborator)  건강증진을 위한 지역사회 자원 개발자 (community resource developer)  건강증진사업 활성화를 위한 촉진자 (facilitator)  건강증진사업 평가자 (evaluator)  건강증진사업 활성화 방안도출을 위한 연구자 (researcher) 24 2. 건강증진사업 생애주기별 건강위험요인(p481)  태아기: 영양관리, 운동과 활동, 음주, 흡연, 약물 등  영유아기: 영양관리, 치아관리,활동, 사고예방, 대소변가리기, 예 방접종 등  학령전기: 영양관리, 운동과 활동, 사고예방, 성교육 등  학령기: 영양, 놀이, 치아관리, 비만관리, 사고예방, 성교육 등  청소년기: 영양, 흡연, 성교육 등  성인기: 비만, 음주, 운동 등  노년기: 영양, 낙상과 상해예방 등 25 2. 건강증진사업 생애주기별 건강증진프로그램  생애 주기에 따른 주요 인구집단별 건강관리(HP2030) – 영유아: 고위험 산모신생아 의료체계 개선, 영유아 사망·장애 예방검진 – 아동·청소년: 발달단계별 맞춤형 건강증진교육 제공, 학교 주변 금연거 리 지정, 고카페인 식품 판매 제한 등 건강유해요인 개선  건강한 교 육환경 조성, 아동·청소년 검진체계 강화 – 여성: 취약 여성 방문건강관리사업 확대, 임신고민 여성의 의료·심리 지 원, 결혼이민자·청소년 산모 지원 강화 – 노인: 방문건강관리사업 정보통신기술 활용, 일차의료기관에서 노인성 질환관리 및 방문진료 활성화 – 장애인: 장애친화 건강검진기관 확대 및 지정, 필수 의료서비스 접근성 강화, 장애인 건강통계 및 지식정보 산출 – 근로자: 산재, 장시간 근로 방지를 위해 제도 개선 및 근로감독 강화, 과 로사 고위험군 지원사업 추진 – 군인: 군별, 부대별 맞춤형 건강서비스 제공, 군 내 감염병 대응 강화 26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p490)  건강증진프로그램 개발 – 새로운 프로그램을 기획하거나 설계하는 것 (새로운 프 로그램 개발 및 기존 프로그램 수정·보완을 통한 개선 포 함)  예시 – 지역사회 건강증진프로그램  운동, 금연, 절주,영양, 비만관리, 스트레스 관리 등 – 학교 건강증진프로그램  시력관리, 흡연, 음주, 약물오남용 관리, 정신건강관리 등 – 산업장 건강증진사업  금연, 영양,운동, 중독성 약물이나 과음방지 등 – 그 외에도.. 의료기관 건강증진사업 27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_cont.  실무현장별 특성 – 지역사회 목적 - 지역사회주민들이 스스로 자신들의 건강문제를 인식하게 하는 것 - 지역사회 보건사업은 개별적이 아니라 지역사회주민 전체 의 공동적인 사업이라는 책임을 다하게 하기 위함 필요성 - 지역사회가 공유하는 지식, 사회적 가치, 행동양상을 새롭게 창출, 유지, 전달  지역주민은 바람직한 생활양식 터득 - 공동문제 해결, 건강형평성 제고 특성 - 실증적 자료 근거한 계획, 명확한 목표 - 주민의 특성 반영, 주민의 적극적 참여 - 인적, 물적 자원(지역사회 지도자 참여 필요) - 주민의 신뢰, 적절한 매체, 지역사회 보건요원과 협력 28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_cont.  실무현장별 특성 – 학교 목적 - 아동, 청소년들에게 적극적인 학습에 의해서 자신의 건강을 보호하고 유지하도록 하며, 더 나아가서 학교현장에 적합한 건강증진을 계획 · 수행 하도록 하는 것 필요성 - 평생 지속될 건강관련 기술과 지식 개발 위해 정규과정 내 보건교육 포함, 안정적이고 건강한 학교환경 조성, 적절한 보건의료 서비스 제공 특성 - 부모와 자녀 포함, 학생의 건강문제, 물리적 환경, 사회적 특 성 등에 대한 교육 포함, 지역 보건서비스와의 연계 29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_cont.  실무현장별 특성 – 산업장 목적 - 근로자의 건강을 유지, 증진하기 위한 지식을 제공하여 일 상작업과 생활 속에서 실천할 수 있도록 근로자에게 동기를 부여하기 위함 필요성 - 근로자의 건강관리, 유해환경 노출의 영향, 산업장의 생산성 과 경제적 효과 영향 특성 - 안전사고 및 산업재해 발생 감소, 결근율 및 이직률 감소, 업 무 능률과 생산성 향상 영향, 건강증진 위험요인 감소, 직장 분위기 조성 30 2. 건강증진사업 실무현장별 건강증진프로그램_cont.  개인, 조직, 중앙정부 등에서 다양한 개입 31 3.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 2021 제5차 국민건강증진 종합계획 (HP 2030, 2021-2030) 32 3.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 https://www.khealth.or.kr/board?menuId =MENU01287&siteId=null- 33 /39 3. 우리나라 국민건강증진사업 HP 2030 대표지표 Ⅰ.건강생활 실천 https://www.khealth.or.kr/hpn/hpnIdx/selectIdxInfo.do?menuId=MENU01300&siteId=null 34 Ⅱ. 정신건강 관리 Ⅲ. 감염 및 환경성질환 예방관리 35 /39 Ⅳ. 비감염성 질환 예방관리 36 /39 Ⅴ. 인구집단별 관리 Ⅵ. 건강친화적 환경구축 37 38 마무리하며..  건강증진의 이해 : 개념, 접근방법  건강증진사업 : 필요성, 간호사의 역할  생애주기별, 실무현장별 건강증진사업  Health Plan 2030 – 과제별 대표지표명, 형평성지표의 필요성  다음 시간에는.. – 보건소의 기능, 통합건강증진사업 39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