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자 기본: 3요소와 쓰기, 생성 원리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한자의 3요소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인가?

  • 모양
  • (correct)

한자를 쓸 때,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쓰는 것이 일반적인 규칙이다.

False (B)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 어떤 획을 먼저 써야 하는가?

가로획

눈에 보이는 사물의 ______을 본떠 만든 한자를 상형 문자라고 한다.

<p>모양</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한자 획 쓰는 순서 규칙을 연결하시오:

<p>위에서 아래로 = 三 좌우에 모양이 맞설 때 = 小 좌우 또는 상하로 꿰뚫는 획 = 中</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本" 자는 나무의 어느 부분을 강조하여 의미를 나타내는가?

<p>뿌리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회의자에 해당하는 것은?

<p>男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지사 문자는 구체적인 사물의 형태를 본떠 만든다.

<p>Fal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뜻과 소리를 결합하여 만든 글자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p>형성자</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기준선보다 ______에 점을 찍어 '위'를 나타낸 글자는 ______이다.

<p>위, 上</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한자의 3요소

한자는 모양(형태), 음(소리), 뜻(의미)의 세 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획의 순서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할 때는 가로획을 먼저 씁니다.

관통하는 획

좌우 또는 상하로 꿰뚫는 획은 나중에 씁니다.

상형 문자

눈에 보이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든 글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사 문자 (上)

기준선보다 위에 점을 찍어 '위'를 나타낸 글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지사 문자 (本)

나무의 윗부분에 점을 찍어 '근본'을 나타낸 글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회의 문자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뜻을 합쳐서 만든 글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형성 문자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뜻과 소리를 결합하여 만든 글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한자의 3요소

  • 한자는 모양(형태), 음(소리), 뜻(의미)의 3가지 요소로 구성됩니다.
  • 예: ‘世’는 모양, ‘세’는 음, ‘세상’은 뜻입니다.

한자 쓰기 순서

  • 왼쪽에서 오른쪽으로 써 나갑니다 (八, 川).
  • 위에서 아래로 써 내려갑니다 (三).
  • 가로획과 세로획이 교차될 때는 가로획을 먼저 씁니다 (+).
  • 삐침(ノ)과 파임()이 만날 때는 삐침을 먼저 씁니다 (父).
  • 좌우 모양이 맞설 때는 가운데 획을 먼저 씁니다 (小).
  • 안과 바깥쪽이 있을 때는 바깥쪽을 먼저 씁니다 (回).
  • 좌우 또는 상하로 꿰뚫는 획은 나중에 씁니다 (中).
  • 오른쪽 위의 점은 나중에 찍습니다 (犬).

한자의 생성 원리

  • 상형: 눈에 보이는 사물의 모양을 본떠 만듦.
    • 예: 人 (사람 인), 禾 (벼 화)
  • 지사: 눈에 보이지 않는 추상적인 개념을 점, 선 등으로 나타냄.
    • 예: 上 (위 상), 本 (근본 본) - 나무의 윗부분에 점을 찍어 ‘끝’을 나타냅니다.
  • 회의: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뜻을 합쳐서 만듦.
    • 예: 숲(林) = 나무(木) + 나무(木)
  • 형성: 이미 만들어진 한자의 뜻과 소리를 결합하여 만듦.

추가 정보

  • 한자의 총 개수는 대략 5만 여자 정도로 추정됩니다.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17 questions

History of Chinese Characters

AutonomousDieBrücke avatar
AutonomousDieBrücke
Chinese Characters
10 questions

Chinese Characters

HappierAntimony5491 avatar
HappierAntimony5491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