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980년대 한국 경제 정책 변화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1980년대 한국 경제정책 패러다임의 변화로 볼 수 없는 것은?

  • 수출 주도형 정책 고수 (correct)
  •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의 전환
  • 자유화 정책 강화
  • 성장 우선 정책에서 안정 성장 정책으로의 전환

1980년대 초 한국 경제가 겪었던 어려움과 가장 거리가 것은?

  • 고미가 정책으로 인한 재정 적자 심화
  • 2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인한 고물가
  • 1970년대 고성장 지속 (correct)
  • 중화학공업의 과잉 투자

1980년대 한국의 안정화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1982년부터 재정 긴축이 이루어졌다.
  • 노태우 정부에서는 재정 긴축을 더욱 강화하였다. (correct)
  • 1981년 추곡수매가 인상이 억제되었다.
  • 신정부의 강력한 추진 의지가 있었다.

다음 중 1980년대 한국의 수입 시장 개방 배경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p>대외 무역 흑자 지속으로 인한 국제 수지 개선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김재익 경제수석의 역할로 알맞은 것은?

<p>시장 중심 개혁과 물가 안정, 무역 자유화 강조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80년대 한국 경제의 특징을 잘못 설명한 것은?

<p>수입선다변화제도 폐지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72년 '8.3 긴급경제조치'의 내용과 가장 거리가 것은?

<p>부동산 투기 억제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80년대 투자 조정 및 산업 합리화 정책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p>기업 구조 조정과 금융 부실의 근본적인 해소에 기여했다.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1980년대 자율화 정책의 한계로 지적되는 문제는?

<p>모두 정답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미얀마 아웅산 테러 사건으로 희생된 인물이 아닌 사람은?

<p>김기환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70년대 후반에 발생한 2차례의 석유파동이 한국 경제에 미친 영향으로 알맞은 것은?

<p>고물가 심화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80년대 한국 정부가 추진한 민영화(Privatization) 정책의 예시로 적절한 것은?

<p>은행 민영화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80년대 후반 한국 경제 고성장과 1990년대 글로벌 무역 확장의 기반을 마련하는 데 기여한 인물은?

<p>김재익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90년 1월, 한국이 GATT 11조국 지위로 이행함에 따라 불가능해진 것은?

<p>수입 제한 조치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수입선다변화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p>특정 국가로부터의 수입을 제한하는 제도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1980년대 자율화 정책의 결과로 나타난 제조업계의 문제점은?

<p>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격차 심화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1960년대~1990년대 초 한국 발전 모델의 특징이 아닌 것은?

<p>노동 운동 탄압 완화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1994년 경제기획원(EPB) 해산의 배경으로 적절하지 않은 것은?

<p>대기업 중심 경제 체제 강화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김영삼 정부가 '세계화'를 선언하고 OECD에 가입하게 된 배경으로 볼 수 없는 것은?

<p>공기업의 효율적인 운영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1980년대 경제정책 변화

1980년대 경제 정책의 변화는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성장 우선에서 안정 성장으로 전환되었습니다.

1970년대 선진국 불황

1970년대 케인즈 혁명 이후 선진국들이 겪은 경제 불황을 의미합니다.

Paul Volcker의 금리 인상

미국 중앙은행 총재 Paul Volcker는 1979년 10월 금리 인상을 시작하여 1981년 6월에는 약 20%까지 금리를 인상했습니다.

레이거노믹스와 대처리즘

1980년대 미국 레이거노믹스와 영국 대처리즘은 신자유주의 경제학 부상을 가져왔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안정 Stabilization

물가 안정을 목표로 하는 정책입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자율 Deregulation

규제 완화를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민영화 Privatization

은행 민영화와 경쟁 정책 강화를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시장 개방 Liberalization

수입 자유화를 의미합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70년대 말 ~ 1980년대 초 투자

1970년대 말부터 1980년대 초까지 중화학공업에 집중적인 설비 투자가 이루어졌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74~1979 환율 고정

1974년부터 1979년까지 환율이 484원으로 고정되어 고평가되면서 수출 경쟁력이 약화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미가 정책

정부가 재정 적자를 감수하며 고미가로 추곡을 수매하는 정책을 시행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80년 농산물 흉작

1980년에는 농산물 흉작이 발생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제5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제5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1982~87년) 동안 신정부는 강력한 안정화 정책을 추진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노태우 정부의 확장 재정

1988년 노태우 정부는 다시 확장 재정 정책을 추진하며 재정 긴축을 완화하고 사회간접자본 확충에 주력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84년 수입 자유화

1984년부터 수입 자유화가 본격적으로 추진되었고, 단계적으로 확대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미국의 시장 개방 요구

1980년대 초 미국 정부는 한국의 수출 급증에 불만을 느끼고 한국 정부의 보호무역 정책에 대한 불만을 표현하며 시장 개방을 요구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김재익 경제수석

김재익 경제수석은 시장 중심 개혁과 물가 안정, 무역 자유화를 강조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미얀마 아웅산 테러 사건

1983년 10월 9일, 전두환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 중 미얀마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북한의 테러로 김재익 등 한국 정부 고위 관계자들이 사망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GATT 11조국 지위 이행

1990년 1월, 한국은 GATT 11조국 지위를 이행하며 국제수지상의 이유로 수입 제한 조치를 할 수 없게 되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투자 조정과 산업 합리화의 한계

1980년대 투자 조정과 산업 합리화 정책은 단기적 해소 조치에 그쳐 1997년 외환 위기의 배경이 되기도 했습니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1980년대 경제 정책 패러다임의 변화 시도

  • 1980년대에는 정부 주도에서 민간 주도로 정책 방향이 전환됨
  • 성장 우선 정책에서 안정 성장 정책으로 변화함

세계 경제 흐름

  • 케인스 혁명 이후 1970년대 선진국은 불황을 겪음
  • 폴 볼커 미국 중앙은행 총재는 1979년 10월 금리 인상을 개시하여 1981년 6월에는 약 20%까지 인상함
  • 1980년대 미국의 레이거노믹스와 영국의 대처주의는 신자유주의 경제학의 부상으로 이어짐

한국의 새로운 정책 방향

  • 물가 안정을 위한 안정화 정책을 시행함
  • 규제 완화를 위한 자율화 정책을 추진함
  • 은행 민영화 및 경쟁 정책 강화를 위한 민영화 정책을 시행함
  • 수입 자유화를 위한 시장 개방 정책을 추진함

패러다임 변화 시도의 배경

  •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에는 중화학공업에 집중적인 설비 투자가 이루어짐
  • 중동 건설 붐으로 인해 건설 경기가 활황을 띔
  • 정부의 고미가 추곡수매로 인해 재정 적자가 운영됨
  • 두 차례의 석유 파동으로 인해 고물가가 발생함
  • 1974년부터 1979년까지 환율을 484원으로 고정하여 고평가함으로써 수출 경쟁력이 약화됨
  • 1979년 상품 수출 증가율이 마이너스를 기록함
  • 1970년대 고성장 이후 경제 상황이 악화됨
  • 1979년 10월 26일 박정희 대통령 암살 사건이 발생함
  • 1980년에는 농산물 흉작이 발생함
  • 1980년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하며 1956년 이후 첫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함

안정화 정책

  • 제5차 경제개발5개년 계획 (1982~1987)을 통해 강력한 안정화 정책을 추진함
  • 1981년 추곡수매가 인상 억제 정책을 통해 14% 인상에 그침
  • 1982년부터 재정 긴축을 시행함
  • 통합재정수지가 1981년 -4.3%에서 1986년 -0.1%로 개선됨, 이는 재정 활동의 건전성과 경기대응 효과를 판단하는 지표임
  • 재정 긴축, 추곡수매가 인상 억제, 유가 안정 등의 영향으로 물가 안정 효과가 나타남
  • 1980년 21.4%였던 물가 상승률이 1982년 7.2%, 1984년 2.3%로 감소하며 한 자릿수로 진입함
  • 1988년 노태우 정부는 다시 확장 재정 정책으로 전환함
  • 재정 긴축을 완화하고 사회간접자본 확충에 주력함

수입 시장 개방

  • 소비자 후생 증진과 경쟁 촉진을 통해 산업 경쟁력을 강화하는 것을 목표로 함
  • 1984년부터 본격적으로 수입 시장 개방을 추진함
  • 수입 자유화 예시를 통해 수입 자유화를 단계적으로 확대함

개방의 배경

  • 1980년대 초, 미국은 한국의 수출 급증에 불만을 품고 보호무역 정책 (관세, 비관세 장벽, 수출 주도 산업 육성)에 대한 불만을 제기함
  • 1983~84년 미국 정부는 한국에 대해 시장 개방을 강력히 요구함
  •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 정책 (1973~1979)으로 인해 과잉 투자와 비효율성이 발생함
  • 1980년대 초부터 정부는 산업 효율성을 높이기 위해 경쟁 촉진과 개방 정책을 점진적으로 도입해야 한다고 판단함

경제 전문 관료들의 역할

  • 김재익 청와대 경제수석 (1980~1983)은 "신군부" 시절 경제 정책을 주도하면서 시장 중심 개혁, 물가 안정, 무역 자유화를 강조함
  • 사공일 경제수석 (1983~1987, 이후 경제부총리)은 김재익의 뒤를 이어 자유화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함
  • 1980년대 후반 한국 경제 고성장과 1990년대 글로벌 무역 확장의 기반을 마련함

미얀마 아웅산 테러 사건 (1983년 10월 9일)

  • 1983년 전두환 대통령의 동남아 순방 중 미얀마 아웅산 국립묘지에서 북한의 테러 (아웅산 묘소 폭탄 테러 사건)로 김재익 등 한국 정부 고위 관계자 17명이 사망함
    • 희생자 중에는 함병춘 (대통령 비서실장), 김재익 (대통령 경제수석비서관), 서석준 (부총리 겸 경제기획원 장관), 이범석 (외무부 장관), 김동휘 (상공부 장관), 한석봉 (건설부 장관) 등 장관급 6명이 포함됨

경상수지 흑자 전환 및 비관세 장벽 완화

  • 1986년 경상수지가 흑자로 전환되고 확대됨
  • 1990년 1월 GATT (관세 및 무역에 관한 일반협정) 11조국 지위로 이행하며 "국제수지상의 이유로 수입제한조치 불가능"하게 됨
  • 1989년 비관세 장벽을 완화함
  • 대미 무역 흑자가 지속적으로 확대되어 한미 통상 마찰이 발생함
  • 평균 법정 관세율이 1981년 84.4%에서 1995년 9.8%로 감소함
  • 수량 규제로부터의 자유화율이 60.7%에서 92.0%로 증가함
  • 제조업 부문의 수입 자유화는 OECD 국가 수준으로 높아졌지만 농업 부문에 대한 보호는 지속됨

수입선다변화제도의 유지

  • 심각한 무역 역조를 겪고 있는 특정 국가로부터의 수입을 제한하는 제도를 유지함
  • 대일 무역 역조 해소와 유치 산업 보호를 위해 1977년 최초로 시행됨
  • 1980년 대외무역법 시행령 제25조 제2항에 근거를 마련하여 본격적으로 시행함
  • 1981년 일본산 수입 금지 품목이 924개에 달함
  • 1999년 7월 폐지됨

1980년대 자율 개념의 한계

  • 1972년 "8.3 긴급경제조치" 시행됨
    • 경기 불황과 높은 금융 비용을 겪던 재계의 요구를 수용함
    • 정부는 특별 금융 지원을 통해 기업의 재무 구조를 개선함
    • 금리 인하 조치를 통해 생산비 절감을 유도함
  • 1980년대 투자 조정과 산업 합리화 정책을 시행함
    • 1980~1983년 중복 및 과잉 투자된 중화학공업 (발전 설비, 자동차, 건설 중장비) 9개 업체에 대해 투자 조정을 실시하여 사업 영역을 지정함
    • 1985년 조세 감면 규제법 개정 및 공업 발전법 제정을 통해 산업 합리화 업종을 지정하고 시장 진입과 투자를 규제함
    • 합리화 대상 업종에는 자동차, 건설 중장비, 디젤 엔진, 중전기기, 합금철, 직물, 염색 가공, 비료 산업, 신발 산업 등이 포함됨
  • 기업 구조 조정과 금융 부실 해소 조치가 단기적으로 반복되는 경향이 있었음
    • 1997년 외환 위기의 배경이 되기도 함

문제점

  • 시장 독점 보장 효과와 신규 진입 금지가 나타남
  • 정부와 기업의 위험 공유 (co-insurance) 구조가 고착화됨
  • 기업 부문과 금융 부문의 도덕적 해이 (moral hazard)가 심화됨
  • 부실 기업 처리 과정에서 재벌 기업에 의한 제3자 인수가 이루어지면서 재벌이 확대됨
  • 차관이 성행하고 제조업계의 부실화가 심화됨
  • 외자 혜택을 받는 대기업과 외자를 받지 못하는 중소기업 간 격차가 커져 산업 내 이중 구조가 초래됨
  • 제조업 부채 비율이 1960년대 중반 100%에서 1970년대 300~400%로 증가하고 외환 위기까지 지속됨

1960년대~1990년대 초 발전 모델 정리

  • 정부 주도의 성장 전략을 추진함
    • 수출 산업과 중화학 공업을 지원함
    • 금융 억압, 수입 장벽, 독과점 보장 등의 수단을 활용함
  • 부작용으로는 중화학 공업 과잉 투자, 재벌에 의한 경제력 집중, 물가 불안, 노동 운동 탄압, 정부-민간 (기업/금융) 위험 공유 체제 형성 등이 나타남
    • 기업 부실 및 금융 부실이 누적됨

발전 모델 전환 본격화

  • 1994년 말 경제 기획원 (EPB)을 해산함
    • 냉전 종식에 따른 "국경 없는 무역 전쟁"과 "globalization"에 대응하기 위함
    • 1986년 시작된 GATT 우루과이 라운드 (UR) 협상을 마무리함
    • 개발 시대의 유산을 청산하고 "경제 개발 5개년 계획"을 종식함
    • 심화된 국제 경쟁 하에서 정부 주도의 계획 경제를 탈피하려는 의도였음
    • 기술 집약 산업화로 전환하고 혁신을 강조하며 민간 주도를 장려할 필요가 있었음
  • 민간 부문 및 금융 부문의 준비가 미비한 상황에서 오랜 기간 정부 주도 모델에 익숙해져 있었음
    • 자발적인 위험 부담을 기피하고 대응이 미숙했으며 대마 불사 (too big to fail) 인식으로 안이하고 방만한 투자가 성행함
  • 김영삼 정부는 이러한 취약한 상황에서 1994년 11월 "세계화"를 선언하고 1996년 12월 OECD에 가입함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Economic Policy and its Impact: 1990s to Today
12 questions
Mexican Economy and Agriculture in the 1980s
6 questions
Economía de México en la década de 1980
5 questions
Reaganomics: Economic Policy of the 1980s
15 question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