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활성형 비타민 D가 혈장 내 칼슘 농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활성형 비타민 D가 혈장 내 칼슘 농도에 미치는 영향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 칼슘 배설을 촉진하여 혈장 내 칼슘 농도를 감소시킨다.
- 칼슘 농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 칼슘 흡수를 증가시켜 혈장 내 칼슘 농도를 증가시킨다. (correct)
- 칼슘 흡수를 억제하여 혈장 내 칼슘 농도를 감소시킨다.
인체 내에서 비타민 D3가 활성화되는 주요 장기는 어디입니까?
인체 내에서 비타민 D3가 활성화되는 주요 장기는 어디입니까?
- 간
- 신장 (correct)
- 소장
- 췌장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아질 때, 신장에서 1α-수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조절 인자는 무엇입니까?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아질 때, 신장에서 1α-수산화효소의 활성을 증가시키는 주요 조절 인자는 무엇입니까?
- 에스트로겐
- 부갑상선 호르몬 (PTH) (correct)
- 성장 호르몬
- 칼시토닌
다음 중 활성형 비타민 D가 칼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는 기전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활성형 비타민 D가 칼슘 항상성 유지에 기여하는 기전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칼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호르몬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칼슘 항상성 유지에 관여하는 호르몬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활성형 비타민 D가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는 주요 기전은 무엇입니까?
활성형 비타민 D가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는 주요 기전은 무엇입니까?
신장에서 활성형 비타민 D의 생성을 조절하는 주요 효소는 무엇입니까?
신장에서 활성형 비타민 D의 생성을 조절하는 주요 효소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활성형 비타민 D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활성형 비타민 D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혈중 칼슘 농도가 높을 때 활성화되는 호르몬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혈중 칼슘 농도가 높을 때 활성화되는 호르몬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비타민 D 결핍과 관련된 질환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비타민 D 결핍과 관련된 질환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는 활성형 비타민 D의 작용 기전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칼슘 흡수를 증가시키는 활성형 비타민 D의 작용 기전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활성형 비타민 D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활성형 비타민 D의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활성형 비타민 D가 뼈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활성형 비타민 D가 뼈에 미치는 영향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부갑상선 호르몬(PTH)이 신장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입니까?
부갑상선 호르몬(PTH)이 신장에 작용하여 나타나는 효과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칼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활성형 비타민 D가 표적 세포에 작용하는 방식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칼슘 항상성을 유지하기 위해 활성형 비타민 D가 표적 세포에 작용하는 방식은 무엇입니까?
Flashcards
1,25-Dihydroxycholecalciferol의 역할
1,25-Dihydroxycholecalciferol의 역할
혈장 칼슘 및 인산 농도 조절에 중요하며,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유사한 기전으로 작용합니다.
비타민 D3
비타민 D3
동물의 체내에서 합성되는 비타민 D의 주된 형태이며, 결핍 시 구루병을 유발합니다.
활성화된 비타민 D와 칼슘 흡수
활성화된 비타민 D와 칼슘 흡수
인체 내에서 비타민 D3가 신장에서 활성화된 형태에 의해 칼슘이 흡수되는 과정
25(OH)D3
25(OH)D3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α-hydroxylase
1α-hydroxylas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활성형 비타민 D3의 주요 작용
활성형 비타민 D3의 주요 작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비타민 D와 파골세포의 관계
비타민 D와 파골세포의 관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칼슘결합단백질(calbindin)
칼슘결합단백질(calbindi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TH와 비타민 D 활성화
PTH와 비타민 D 활성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되먹임 억제(feedback inhibition)
되먹임 억제(feedback inhibitio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FGF-23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FGF-23 (섬유아세포 성장 인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에스트로겐의 뼈 건강 효과
에스트로겐의 뼈 건강 효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글루코코르티코이드
글루코코르티코이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부갑상선 기능항진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부갑상선 기능저하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1,25-Dihydroxycholecalciferol 개요
- 혈장 칼슘 및 인산 농도 조절에 중요한 스테로이드 호르몬과 유사하게 세포 내에서 작용한다.
- 활성형 비타민 D는 호르몬으로 간주할 수 있다.
- 동물 체내에서 합성되는 비타민 D는 D3 계열이며, 결핍 시 구루병을 유발한다.
비타민 D3 생성 및 활성화 단계
- 7-Dehydrocholesterol (provitamin D3)이 자외선에 의해 Cholecalciferol (vitamin D3)로 전환된다.
- Cholecalciferol은 간에서 25-Hydroxycholecalciferol로 변환된다.
- 25-Hydroxycholecalciferol은 신장에서 1,25-Dihydroxycholecalciferol (활성형)로 전환된다.
- 활성형 비타민 D는 소장에서 칼슘 결합 단백질 생성을 촉진하기 위해 전사 인자를 활성화한다.
- 칼슘 결합 단백질은 칼슘과 결합하여 장에서 혈관으로 칼슘을 운반하여 재흡수를 돕는다.
비타민 D3의 생합성 및 활성화
- 25-Hydroxycholecalciferol은 혈중에서 발견되는 주요 비타민 D 형태로, 비타민 D 결합 단백질과 결합하여 혈액을 통해 신장 근위세뇨관으로 운반된다.
- 1,25(OH)2D3 생성의 주요 인자는 혈장 내 칼슘, 인, PTH, 그리고 자기 자신(피드백 저해)이다.
- 1,25(OH)2D3 생성을 조절하는 가장 중요한 효소는 1α-hydroxylase이다.
활성형 비타민 D3의 생리 작용
- 칼슘과 인은 같은 방향으로 움직이며, 혈장 내 농도를 증가시키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 혈장 칼슘 또는 인산 농도가 낮을 경우, 혈중 1,25(OH)2D3 농도가 증가한다.
- 부갑상선과 협동하여 골 흡수, 파골세포 분화를 촉진한다.
- 골모세포 활성화는 RANKL 생성 및 분비를 유도하고, 이는 파골세포 활성화를 통해 골 흡수를 촉진한다.
활성형 비타민 D3의 추가 기능
- 파골세포에는 PTHR, VDR이 없으므로 골모세포를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한다(RANKL).
- 골모세포에는 PTHR(부갑상선 호르몬 수용체), VDR(활성형 비타민 D 수용체)이 존재한다.
- 파골세포는 CTR(칼시토닌 수용체)를 가진다.
- 비타민 D는 골기질단백질 합성을 촉진하며 결핍 시 구루병 또는 골연화증을 유발한다.
- 신장에서 칼슘 재흡수를 증가시키고, 1α-hydroxylase 활성을 억제한다.
- 소장에서 칼슘, 인, 마그네슘 흡수를 촉진한다.
- 1,25(OH)2D3가 없으면 섭취한 칼슘은 장에서 흡수되지 않는다.
- 비타민 D3는 핵으로 들어가 칼슘결합단백질(calbindin) 합성을 증가시켜 칼슘 흡수를 용이하게 한다.
- 인산 흡수를 촉진하고 연조직에서 인산을 동원하여 혈중 인산 농도를 증가시킨다.
칼슘 흡수 과정
- 음식으로 섭취한 칼슘이 많으면 위장관 상피세포 사이의 tight junction을 통해 농도 경사에 따라 혈액으로 이동한다.
- 칼슘 섭취량이 적으면 칼슘 이온이 수송체를 따라 세포 내부로 들어와 활성형 비타민 D에 의해 생성된 칼빈딘과 결합하여 PMCA1, Sodium-calcium exchanger 등을 통해 혈액으로 이동한다.
- 활성형 비타민 D는 세포 통과 칼슘 이온의 수송을 자극한다 (능동 수송).
비타민 D가 전사 인자로 작용하는 과정
- 활성형 비타민 D3는 표적 세포의 세포막을 투과한다.
- 세포질에서 골모세포의 수용체(VDR)와 결합한다.
- 핵으로 이동하여 RXR과 복합체를 형성한다.
- 특정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한다. -RANKL, 칼빈딘 D, 기질 Gla 단백질, 오스테오칼신, 오스테오폰틴, I형 콜라겐 등을 활성화하여 1α-hydroxylase를 억제한다.
1,25(OH)2D3,소장 상피세포에서의 작용방식
- 1,25(OH)2D3에 의해 CaBP와 TRPV6 channel, 그리고 Plasmamembrane Ca2+ ATPase 1의 전사가 촉진되어 칼슘 흡수를 증가시킨다.
활성형 비타민 D3 대사 조절 기전
- 활성형 비타민 D3 대사는 혈중 칼슘 농도에 의해 조절된다.
- 신장에서 1α 위치 및 24 위치에서 수산화 반응이 일어난다.
- 혈중 칼슘 농도가 9mg% 이하일 경우,활성형인 1,25(OH)2D3만 생성된다.
- 혈중 칼슘 농도가 9mg% 초과일 경우, 불활성형인 24, 25(OH)2D3가 생성된다.
- 저칼슘혈증의 경우에 한해서 신장에서 비타민 D 활성화가 일어난다. 체액 칼슘 항상성을 유지한다.
PTH에 의한 1α-수산화효소 활성화
- 저칼슘혈증 발생 시 PTH 분비가 촉진된다.
- PTH는 신장 근위세뇨관 세포에 전달되어 adenylate cyclase를 활성화하고, cAMP 생성을 촉진한다.
- 미토콘드리아의 1α-수산화효소를 활성화시켜 1,25(OH)2D3 생성을 유도한다.
활성형 비타민 D의 되먹임 억제 기전
- 생성된 1,25(OH)2D3는 강력한 혈청 칼슘 상승 작용을 통해 과도한 생성을 방지한다.
- 1α-수산화반응을 정지시키고 24-수산화반응을 활성화시킨다.
- 1,25(OH)2D3는 혈청 칼슘 상승을 통해 간접적으로 작용하고, 부갑상선에 직접 작용하여 PTH 분비를 억제한다.
혈청 칼슘 농도와 vitamin D3의 상관관계
- 혈청 칼슘 농도가 낮으면 활성형 비타민 D(1,25(OH)2D3) 농도가 상승한다.
- 혈청 칼슘 농도가 높으면 24R, 25-(OH)2D3 농도가 상승한다.
체내 칼슘 흡수 조절 개요
- 혈청 칼슘 농도가 감소하면, 부갑상선에서 PTH가 발현되어 파골세포를 촉진하고 신장에서 신호 전달을 통해 1α-hydroxylase를 활성화시킨다.
- 활성형 비타민 D는 혈중 칼슘 농도를 늘리며 과도한농도 증가를 억제하여 항상성을 유지한다.
FGF-23
- 골세포(Osteocyte)에서 분비되는 섬유세포 성장 인자다.
- 신장에서 활성형 비타민 D 합성을 저해하고, Phosphate 수송체 NaPi-Ⅱ의 발현을 저하시켜 신장에서 인산 재흡수를 억제하고 장관에서 인 흡수를 억제한다.
- 생체 내 인 농도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수행한다.
칼슘/인의 항상성 조절
- 칼슘 항상성 유지를 위해 인산의 농도가 감소/과잉되거나, 반대로 인산은 항상성을 유지하는 반면 칼슘의 농도가 감소/과잉되는 경우를 조절한다.
###기타 칼슘 항상성 조절 요소
- 성호르몬(남성호르몬/여성호르몬)은 사춘기에 골끝 성장을 촉진하고, 에스트로겐은 파골세포 생성 억제를 통해 골흡수를 억제한다.
- 폐경기 여성은 에스트로겐 감소로 골다공증이 발생하기 쉽다.
- 성장호르몬은 골의 성장을 직접 촉진하고, 연골 성장판에서 길이 성장을 촉진하여 골량(bone mass)을 늘린다.
- 과량의 Glucocorticoids는 칼슘 흡수를 억제하고 골 형성을 억제하며 골 흡수를 촉진하여 골량을 감소시킨다.
- 갑상선호르몬 TH는 과량 분비 시 갑상선 기능항진증을 유발하고, 파골세포에 의한 골 흡수 촉진으로 골다공증을 유발한다.
칼슘과 인의 대사 장애
- 부갑상선 기능항진증은 과도한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로 인해 고칼슘혈증 및 저인산혈증을 유발하고 골 흡수를 증가시킨다.
- 골의 탈무기질화, 고칼슘혈증, 다음다뇨증, 식욕부진 등을 동반할 수 있으며, 혈중 칼슘이 15 mg/dl 이상일 경우 의식 장애 또는 혼수로 이어진다.
- 부갑상선 기능저하증은 부갑상선호르몬 결핍으로 유발되며 저칼슘혈증을 유발한다.
- 손, 발, 팔, 얼굴의 강직성 근육 경련을 동반하고, 과도 호흡이나 호흡성 알칼리증을 악화시킬 수 있다.
- 치료는 다량의 칼슘과 비타민 D 투여를 통해 혈액 내 칼슘 및 인산 농도 유지를 목표로 한다.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