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아프리카의 프랑스어권 국가들은 주로 어느 지역에 위치해 있나요?
아프리카의 프랑스어권 국가들은 주로 어느 지역에 위치해 있나요?
- 북아프리카 (correct)
- 사하라 이남 아프리카 (correct)
- 동아프리카
- 서아프리카
프랑스어가 단일 공식어인 아프리카 국가는 몇 개인가요?
프랑스어가 단일 공식어인 아프리카 국가는 몇 개인가요?
11
알제리는 프랑코포니 국제기구의 회원국이다.
알제리는 프랑코포니 국제기구의 회원국이다.
False (B)
아프리카에서 프랑스어가 복수 공용어인 국가 수는 몇 개인가요?
아프리카에서 프랑스어가 복수 공용어인 국가 수는 몇 개인가요?
프랑스령 서부 아프리카는 ___에서 ___년 동안 존재했다.
프랑스령 서부 아프리카는 ___에서 ___년 동안 존재했다.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프랑스어 사용국 몇 개가 국제 기구의 회원국인가요?
사하라이남 아프리카의 프랑스어 사용국 몇 개가 국제 기구의 회원국인가요?
아랍어 외에 알제리에서 가르쳐지는 다른 언어는 무엇인가요?
아랍어 외에 알제리에서 가르쳐지는 다른 언어는 무엇인가요?
Flashcards are hidden until you start studying
Study Notes
아프리카의 프랑스어권: 지역 구분
- 북아프리카 아랍 문화권: 마그레브 (Maghreb) 지역: 알제리, 모로코, 튀니지
- 사하라이남 아프리카 혹은 흑아프리카 (Afrique noire) 지역: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콩고민주공화국, 가봉, 카메룬을 비롯한 20여 개 국가
- 아랍 민족과 베르베르 민족: 이슬람 탄생 (서기 초) 시기 북아프리카 지역에 살고 있던 베르베르 민족은 지역마다 다른 이름으로 스스로를 지칭함. 8세기부터 아라비아 민족의 서쪽으로 정복 활동 시작
- 독립 (1960년 전후) 이후 마그레브 3국의 아랍화 정책: 아랍어와 이슬람 부흥 정책. 프랑스어를 몰아내고 아랍어 부흥 시도는 베르베르 민족의 반발을 야기함.
사하라이남 프랑스어권의 프랑스어
- 이남 아프리카의 총 48개 국가 중 25개 국가가 프랑스어권 국제 기구의 회원국
- 프랑스어가 단일 공식어인 나라: 세네갈, 코트디부아르, 콩고 공화국, 콩고민주공화국, 가봉, 말리, 기니 등 11개
- 프랑스어가 복수 공식어인 나라: 카메룬, 중앙 아프리카 공화국, 르완다, 차드 등 12개
- 1960년을 전후하여 식민지배에서 벗어나 독립한 나라들
- 벨기에의 식민지였던 콩고민주공화국, 르완다를 제외한 대부분의 국가는 프랑스령 서부 아프리카 (Afrique Occidentale Française 1895 - 1958)와 프랑스령 적도 아프리카 (Afrique Equatoriale Francaise 1910 - 1958)에 소속되었던 나라들
- 콩고민주공화국의 경우: 프랑스어가 유일 공식 언어. 2200개 이상의 부족 언어 사용. 스와힐리가 대표적인 교통어. 민족어 (국어)로서 위상을 지닌 린갈라, 키콩고, 칠루바
- 4250여 개의 부족 집단 존재. 르완다에서 이주해온 후투족과 투치족은 전체 주민 (인구)의 약 10% 차지.
마그레브 지역의 프랑스어: 알제리의 경우
- 독립 이후 마그레브 국가들은 아랍어를 공식 언어로 채택함.
- 알제리는 프랑코포니 국제 기구의 회원이 아님.
- 알제리에서 초등학교 2학년부터 프랑스어를 가르침.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