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전송 기초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디지털 전송의 장점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 아날로그 신호보다 구축 비용이 많이 든다.
  • 잡음에 취약하다.
  • 주파수 대역폭 사용 효율이 높다.
  • 아날로그 신호보다 구축 비용이 적게 들고 잡음에 강하다. (correct)

보오(baud)는 무엇을 나타내는 단위입니까?

  • 매초당 신호 변화의 횟수 (correct)
  • 신호의 진폭 크기
  • 매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
  •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정보의 양

부호화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올바른 것은 무엇입니까?

  • 전송 매체에서 사용 불가능한 신호 형태를 가능한 형태로 변환하는 과정 (correct)
  • 디지털 신호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는 과정
  • 신호의 진폭을 조절하여 전송 거리를 늘리는 과정
  • 원래의 정보 형태로 복원하는 과정

다음 중 양과 음의 전압 준위를 모두 사용하는 디지털 부호화 방식은 무엇입니까?

<p>극형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은 무엇입니까?

<p>펄스 코드 변조 (PCM)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진폭 편이 변조(ASK) 방식의 특징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p>신호의 진폭을 변경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네트워크에서 패킷 지연을 발생시키는 네 가지 주요 요인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p>암호화 지연 (encryption delay)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패킷 스위칭 방식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p>통신 전 회선을 미리 설정하여 사용한다.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OSI 7 계층 모델에서 데이터 표현 방식의 변환, 암호화 및 압축을 담당하는 계층은 어디입니까?

<p>표현 계층 (Presentation Layer)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오실로스코프의 주요 용도는 무엇입니까?

<p>전기적 신호를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장비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코덱(Codec)의 주된 기능은 무엇입니까?

<p>데이터를 압축하고 복원하는 기능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ARP 프로토콜에서 ARP 요청 헤더에 포함되지 않는 정보는 무엇입니까?

<p>목표 물리적 주소 (알 수 없음)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DHCP 프로토콜의 실행 단계 중 호스트가 서버로부터 IP 주소를 제공받는 단계는 무엇입니까?

<p>DHCP OFFER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VPN에서 터널링의 주요 장점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p>높은 초기 설정 비용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근거리 통신망(LAN)의 토폴로지 형태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p>메쉬(Mesh) 형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CSMA/CD 방식에서 충돌이 발견되었을 때 발생하는 현상은 무엇입니까?

<p>일정 시간 동안 대기한 후 다시 채널 상태를 확인한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브리지의 주요 기능은 무엇입니까?

<p>충돌 도메인을 분리한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대도시 통신망(MAN)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p>대도시를 중심으로 근거리 통신망(LAN)을 연결한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DN)의 주요 특징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p>제어 플레인과 데이터 플레인의 통합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캐리어 이더넷의 주요 특징으로 언급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p>높은 구축 비용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아날로그 신호란?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연속적인 전자기파

디지털 신호란?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일련의 전압 펄스

비트(bit)란?

단위 시간에 전송되는 정보의 기본 단위

bps란?

매초당 전송되는 비트의 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보오(baud)란?

매초당 몇 개의 신호 변화가 있는지를 나타내는 신호 속도의 단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부호화란?

전송 매체에서 사용 가능한 신호 형태로 정보를 변환하는 작업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디지털-디지털 부호화

단극형, 극형, 양극형 부호화 방식들은 무엇인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AM이란?

아날로그 신호를 양자화하여 펄스열로 나열하는 방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ASK란?

신호의 진폭을 변경하는 변조 방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FSK란?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는 변조 방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SK란?

신호의 위상을 변경하는 변조 방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QAM이란?

신호의 진폭과 위상을 함께 변경하는 변조 방식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Nodal Processing이란?

비트 오류 확인, 출력 링크 설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Queueing Delay란?

출력 링크에서 전송 대기 시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Transmission Delay란?

패킷의 길이 / 연결 대역폭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ropagation Delay란?

물리적 링크 길이 / 전파 속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Throughput(처리량)이란?

송신자와 수신자 간의 데이터 전송률 (bits / time unit)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Routing(라우팅)이란?

패킷의 예상 경로를 결정하는 알고리즘을 포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Forwarding(포워딩)이란?

적절한 라우터로 패킷을 보내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근거리 통신망(LAN)이란?

한정된 범위 내에서 컴퓨터들이 데이터를 교환하는 네트워크 시스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디지털 전송의 장점

  • 아날로그 신호에 비해 비용이 절감되고 잡음에 강하다.

아날로그 및 디지털 신호

  • 아날로그 신호: 주파수에 따라 다양한 매체를 통해 전송되며, 연속적으로 변하는 전자기파이다.
  • 디지털 신호: 매체를 통해 전송되는 일련의 전압 펄스이다.

비트와 보오

  • 비트(bit): 단위 시간당 전송되는 정보의 기본 단위이다.
  • bps: 초당 전송되는 비트 수이다.
  • 보오(baud): 초당 신호 변화 횟수를 나타내는 신호 속도 단위이다.
  • 1비트가 1개의 신호로 표현될 때, bps와 baud는 동일하다.
  • 2, 3비트가 모여 하나의 신호를 나타낼 경우, 보오 속도는 bps의 1/2, 1/3 등으로 계산된다.

부호화 및 복호화

  • 부호화: 전송 매체에 적합한 신호 형태로 정보를 변환하는 작업이다.
  • 복호화: 변환된 신호를 원래의 정보 형태로 복원하는 과정이다.

디지털-디지털 부호화 방식

  • 단극형: 하나의 전압 준위 값만 사용한다 (0 또는 1). 실제로는 직류 성분 및 동기화 문제로 잘 사용되지 않는다.
  • 극형: 양과 음의 전압 준위를 사용, 직류 성분 문제를 완화시킨다. NRZ-L과 NRZ-I 방식이 있다.
  • 양극형: 양, 음, 0 세 가지 전압 준위 사용, 0은 이진수 0, 양/음 전압은 교대로 이진수 1을 표현한다. AMI 방식이 이에 해당한다.

PAM(Pulse Amplitude Modulation)

  • 아날로그 신호를 양자화하여 PAM 신호로 변환한다.
  • PAM은 아날로그 정보를 펄스열 형태로 나열하는 방법이다.
  • 펄스의 디지털 레벨 비트 수만큼 이진 코드로 변환한다.
  • 변환된 이진수 값을 펄스로 표현한다.

디지털-아날로그 변조 방식

  • Amplitude Shift Keying (ASK): 신호의 진폭을 변경한다.
  • Frequency Shift Keying (FSK): 신호의 주파수를 변경하며, 진폭과 위상은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나의 baud 당 1비트 전송. 진폭 편이 변조보다 잡음에 강하다.
  • Phase Shift Keying (PSK): 신호의 위상을 변경한다. 진폭과 주파수는 일정하게 유지되며, 잡음이나 주파수 제한에 영향을 적게 받는다.
  • Quadrature Amplitude Modulation (QAM): ASK와 PSK를 조합하여 신호 변화에 더 많은 비트를 표현한다 (예: 4-QAM, 8-QAM, 16-QAM).
  • 진폭 변조: 신호 진폭 변화에 따라 반송파의 진폭이 변조된다.
  • 주파수 변조: 신호의 전압 변화에 따라 반송파의 주파수가 변조된다.
  • 위상 변조: 신호의 전압 레벨 변화에 따라 신호의 위상이 변조된다.

패킷 지연 (Packet Delay) 유형

  • Nodal Processing: 비트 오류를 확인하고 출력 링크를 설정한다.
  • Queueing Delay: 출력 링크에서 전송 대기 시간으로, 라우터 혼잡 수준에 비례한다.
  • Transmission Delay: 전송 지연은 패킷 길이(L)를 연결 대역폭(R)으로 나눈 값이다 (d_trans = L/R).
  • Propagation Delay: 전파 지연은 물리적 링크 길이(d)를 전파 속도(s)로 나눈 값이다 (d_proc = d/s).

Throughput, Routing, Forwarding

  • Throughput (처리량): 송신자와 수신자 간 데이터 전송률 (bits/time unit)이다.
    • 순간 처리량: 특정 시점의 처리량 측정한다.
    • 평균 처리량: 네트워크의 일반적인 성능을 나타낸다.
  • Routing (라우팅): 패킷 전송 경로를 결정한다.
  • Forwarding (포워딩): 라우터 입력을 적절한 출력으로 전달한다.

패킷 스위칭 (Packet Switching) 과 회선 스위칭 (Circuit Switching)

  • 패킷 스위칭: 데이터를 패킷으로 나누어 전송하며, 목적지에서 재조립한다. 패킷은 출발지/목적지 정보 포함.
  • 회선 스위칭: 통신 전에 회선을 설정, 연결을 통해 데이터 전송한다. 지연 시간은 짧지만, 연결 유지 동안 지속적인 리소스 소모 발생, 유연성 부족.

OSI 7 Layer Model

  • Application Layer: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접근하도록 인터페이스 제공 (FTP, SMTP, HTTP).
  • Presentation Layer: 데이터 표현 형식 변환, 암호화, 압축 등을 수행한다.
  • Session Layer: 동기화, 체크 포인팅, 데이터 교환 등을 한다.
  • Transport Layer: 데이터 전송을 담당한다 (TCP, UDP).
  • Network Layer: 데이터 패킷을 올바른 목적지로 라우팅한다.
  • Link Layer: 인접 네트워크 요소 간 데이터 전송을 한다.
  • Physical Layer: 물리적 매체를 통해 데이터 비트를 전송한다.

오실로스코프

  • 전자 장비 검증 또는 디자인 시 사용되는 계측 장비이다.
  • 전기적 신호를 화면에 표시한다.

코덱 (Codec)

  • 데이터를 압축하여 저장 공간을 절약 (Encoder)
  • 다시 재생 가능한 형태로 복원 (Decoder)

ARP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equest, Reply Header 정보

  • ARP Request 헤더
    • 송신자 IP 주소,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 대상 IP 주소,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unknown)
  • ARP Reply 헤더 - 송신자, 대상 IP 주소 - 송신자, 대상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RARP (Reverse Address Resolution Protocol) Request, Reply Header 정보

  • RARP Request 헤더
    • 송신자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OR
    • 대상 IP,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unknown)
  • RARP Reply 헤더
    • 서버 IP,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 대상 IP, 물리적 네트워크 주소

DHCP (Dynamic Host Configuration Protocol) 실행 단계

  • DHCP Discover: 호스트가 DHCP 서버를 찾는다.
  • DHCP Offer: DHCP 서버가 호스트에 IP 주소를 제안한다.
  • DHCP Request: 호스트가 제안된 IP 주소를 요청한다.
  • DHCP ACK: DHCP 서버가 호스트에 IP 주소를 할당한다.

VPN (Virtual Private Network) 터널링 장단점

  • 장점
    • 이기종 네트워크 간 투명한 패킷 전송을 지원한다.
    • 암호화 결합 시 안전성 우수하다.
    • 모바일 라우팅에 용이하다.
    • 미지원 프로토콜이나 서비스를 지원하는 네트워크 구간을 통과할 수 있다.
  • 단점
    • 캡슐화로 인해 패킷 크기가 커진다.
    • 캡슐화 및 해제에 추가적인 처리 시간 소요된다.
    • 터널을 인식하는 라우터에서 관리가 필요하다.

서브네팅 (Subnetting)

  • 동일 서브넷 여부 확인 방법: IP 주소와 서브넷 마스크를 AND 연산하여 서브넷 주소가 일치하는지 확인한다.

근거리 통신망 (LAN) 정의

  • 제한된 영역 내에서 컴퓨터 및 기타 장치를 연결하여 데이터 교환이 가능한 네트워크 시스템

근거리 통신망 Star, Bus, Tree, Ring 형 토폴로지 정의

  • 스타형(Star): 중앙 제어 장치에 각 장비가 점대점으로 연결된다.
  • 버스형(Bus): 모든 장비가 하나의 케이블에 연결된다.
  • 트리형(Tree): 스타형의 변형으로, 트리 형태의 노드에 전송 제어 장치 연결.
  • 링형(Ring): 장비들이 링 형태로 이웃 장비와 점대점으로 연결된다.

매체 접근 제어 (Medium Access Control) 정의

  • 방송형 네트워크에서 채널 동시 사용 시, 사용 시점을 결정하는 방식 (채널 할당 문제 해결)
  • CSMA/CD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Detection): 채널 상태 감지 후 충돌을 회피하는 방식.
  • CSMA/CA (Carrier Sense Multiple Access/Collision Avoidance): 무선 LAN에서 사용되며, 충돌 회피를 위해 확인 신호를 사용한다.

토큰 링 (Token Ring)

  • 토큰이라는 짧은 프레임을 사용하여 데이터 전송 권한을 제어하는 방식.
  • 전송할 데이터가 없으면 토큰을 이웃 노드로 전달한다.

토큰 버스 (Token Bus)

  • 토큰 링과 이더넷 결합 형태이다.
  • 물리적으로는 버스 형태, 논리적으로는 토큰 링 방식을 사용한다.

리피터 (Repeater)

  • 전송 매체에서 신호를 증폭하여 다음 구간으로 재전송하는 장치이다.
  • 신호 감쇠를 보상하고 통신 거리를 연장한다.

브리지 (Bridge)

  • 근거리 통신망에서 장치 간 충돌 발생 시, 충돌 도메인을 분리하여 관리하는 장치이다.

스위치 (Switch)

  • 브리지와 유사하게 데이터 링크 계층에서 동작하며, 충돌 도메인을 분리한다.
  • 브리지보다 데이터 처리 속도가 빠르다.

게이트웨이 (Gateway)

  • 서로 다른 종류의 네트워크를 연결하여 정보를 교환할 수 있도록 한다.
  • 프로토콜 변환 기능을 수행한다.

PAN (Personal Area Network)

  • 개인 영역 네트워크. 휴대용 정보 단말기를 이용하여 필요한 정보를 처리할 수 있도록 구성한 통신망으로, LAN보다 소규모이다.

CAN (Controller Area Network)

  • 계측 제어기 통신망. 차량 내의 전자 장비 간 통신을 제공하는 차량용 네트워크다.

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 대도시 통신망. 도시 지역을 연결하며 백본 네트워크와 LAN을 연결한다.

SDN (Software Defined Network)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 소프트웨어 기반 컨트롤러에서 네트워크 트래픽 제어/관리.

광 네트워크

  • 빛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전송한다.

B-ISDN (Broadband 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 광대역 종합 정보 통신망. 기존 ISDN보다 넓은 대역폭 제공한다.

이동 통신망 사업자 (MNO) 정의 및 특징

  • 자체 통신망을 소유하고 이동 통신 사업을 한다 (예: SKT, KT, LGT).

가상 이동 통신망 사업자 (MVNO) 정의 및 특징

  • MNO의 망을 빌려 이동 통신 서비스를 제공한다.

E-Line, E-LAN, E-Tree 서비스 특징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