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칼슘이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칼슘은 무엇인가?
다음 중 칼슘이 원활하게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가장 중요하게 유지되어야 하는 칼슘은 무엇인가?
- 세포외액의 단백질 결합 칼슘
- 뼈의 칼슘
- 세포외액의 이온 형태 칼슘 (correct)
- 세포 내액의 칼슘
성인 남성의 몸에 약 1 kg의 칼슘이 존재할 때, 거의 90mg의 칼슘을 뼈에 축적하기 위해 필요한 기간은 대략 얼마인가?
성인 남성의 몸에 약 1 kg의 칼슘이 존재할 때, 거의 90mg의 칼슘을 뼈에 축적하기 위해 필요한 기간은 대략 얼마인가?
- 10년
- 30년 (correct)
- 40년
- 20년
혈장 칼슘 농도가 100mL 당 약 10mg으로 유지될 때, 이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혈장 칼슘 농도가 100mL 당 약 10mg으로 유지될 때, 이 농도를 유지하기 위해 작용하는 것은 무엇인가?
- 칼슘 배설량
- 칼슘 흡수량
- 호르몬 (correct)
- 식이 섭취
다음 중 혈중 칼슘 농도 유지를 위해 칼슘 대사에 관여하는 조절 기관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다음 중 혈중 칼슘 농도 유지를 위해 칼슘 대사에 관여하는 조절 기관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다음 중 혈장 단백질과 결합한 칼슘의 양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다음 중 혈장 단백질과 결합한 칼슘의 양을 증가시키는 요인은 무엇인가?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는 활성형 비타민 D는 칼슘과 어떻게 결합하여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가?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하는 활성형 비타민 D는 칼슘과 어떻게 결합하여 확산을 용이하게 하는가?
신장에서 칼슘 재흡수를 감소시키는 대사성 상태는 무엇인가?
신장에서 칼슘 재흡수를 감소시키는 대사성 상태는 무엇인가?
칼슘 흡수를 억제하는 인자 중 밀 등 특정 곡물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 염을 형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칼슘 흡수를 억제하는 인자 중 밀 등 특정 곡물 껍질에 많이 함유되어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 염을 형성하는 것은 무엇인가?
다음 중 인의 기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다음 중 인의 기능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다음 중 혈장 내 인 농도를 감소시키는 호르몬은 무엇인가?
다음 중 혈장 내 인 농도를 감소시키는 호르몬은 무엇인가?
저인산혈증 시 적혈구 내 2,3-BPG 감소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는 무엇인가?
저인산혈증 시 적혈구 내 2,3-BPG 감소로 인해 나타나는 결과는 무엇인가?
뼈, 신장, 장에서 동적 평형을 통해 혈장 칼슘과 인산 농도를 조절하는 데 작용하는 호르몬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뼈, 신장, 장에서 동적 평형을 통해 혈장 칼슘과 인산 농도를 조절하는 데 작용하는 호르몬이 아닌 것은 무엇인가?
칼슘 농도 감지 수용체가 혈청 칼슘 농도 상승을 감지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칼슘 농도 감지 수용체가 혈청 칼슘 농도 상승을 감지했을 때 일어나는 현상으로 옳은 것은?
부갑상선 호르몬(PTH)이 뼈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는 기전은?
부갑상선 호르몬(PTH)이 뼈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는 기전은?
칼시토닌이 파골세포에 작용하는 주요 기전은 무엇인가?
칼시토닌이 파골세포에 작용하는 주요 기전은 무엇인가?
Flashcards
칼슘(Calcium)
칼슘(Calcium)
칼슘은 몸무게의 약 1.5%를 차지하며, 뼈의 강도를 유지하고 체내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저장고 역할을 합니다.
칼슘 이동
칼슘 이동
칼슘이 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뼈, 세포외액, 세포내액 사이에서 칼슘이 이동하는 것
혈장 칼슘의 항상성
혈장 칼슘의 항상성
혈중 칼슘 농도를 100mL 당 약 10mg(2.5 mM)의 범위로 유지하는 것. 칼슘대사의 조절 기관 (십이지장, 뼈, 신장)과 칼슘조절 호르몬(비타민 D, 부갑상선 호르몬, 칼시토닌)이 관여함
칼슘 대사의 균형
칼슘 대사의 균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부갑상선 호르몬(PTH) 기능
부갑상선 호르몬(PTH) 기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칼시토닌(Calcitonin) 기능
칼시토닌(Calcitonin) 기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인의 위치와 흡수 방법
인의 위치와 흡수 방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저인산혈증(Hypophosphatemia)
저인산혈증(Hypophosphatemia)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부갑상선 호르몬(PTH)
부갑상선 호르몬(PTH)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칼슘 감지 수용체(CaR)
칼슘 감지 수용체(CaR)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PTH 신호 전달 경로
PTH 신호 전달 경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골 흡수 촉진
골 흡수 촉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칼시토닌의 뼈에 대한 작용
칼시토닌의 뼈에 대한 작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칼시토닌의 신장에 대한 작용
칼시토닌의 신장에 대한 작용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칼시토닌의 특징
칼시토닌의 특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칼슘 대사
- 칼슘은 성인 몸무게의 약 1.5%를 차지한다.
- 칼슘은 인산과 함께 뼈 무기질의 주성분으로서, 골격의 물리적 강도를 유지하고 체내 칼슘 농도 조절을 위한 저장고 역할을 한다.
- 칼슘은 뼈, 세포외액, 세포내액 사이를 이동하며 기능을 수행한다.
- 세포외액의 이온 형태 칼슘 항상성이 엄격하게 유지되는 것이 중요하다.
- 칼슘 역할은 이온 형태 칼슘이 담당한다.
체내 칼슘의 기능
- 뼈와 치아의 석회화에 관여한다.
- 혈액 응고를 돕는다.
- 효소 활성 보조인자로 작용한다.
- 근육의 수축 및 이완 작용에 관여한다.
- 신경 자극 전달에 관여한다.
체내 칼슘
- 1일 평균 필요량은 15-18세 남학생 900mg, 여학생 800mg, 성인 남녀 평균 750mg이다.
- 임신기와 수유기에는 칼슘 필요량이 증가하나, 흡수율 증가로 추가 공급은 필요하지 않다.
- 30대 남자의 평균 신장이 174.3cm, 평균 체중이 76kg인 경우 체내에 약 1kg의 칼슘이 존재한다.
칼슘의 순환
- 성인의 칼슘 대사는 장관 흡수량과 콩팥 배설량이 균형을 이룬다.
- 30-50세 사이에 칼슘 균형이 유지된다.
- 칼슘 농도는 100mL 당 10mg으로 유지되며, 호르몬이 농도 유지를 돕는다.
- 소장에서 실제로 흡수되는 칼슘 양은 일본 성인 남자의 경우 150mg/일이다.
- 소변으로 배설되는 칼슘의 하루 양은 거의 150mg이다.
칼슘 분포
- 칼슘은 뼈와 치아에 99%, 연조직과 체액에 1% 분포한다.
- 신생아 몸 전체에는 약 25g의 칼슘이 존재한다.
- 성인의 몸에는 약 1kg의 칼슘이 존재한다.
- 30년 동안 매일 뼈에 약 90mg의 칼슘을 축적해야 한다.
인생 시기별 칼슘 축적
- 발육이 가장 왕성한 시기(13-16세)에는 1일 칼슘 축적 양이 350mg이다 (positive balance).
- 30세에서 50세 사이에는 뼈의 칼슘양이 거의 일정하다.
- 50세 이후에는 뼈의 다공화가 진행된다.
- 80세 이상에서 칼슘 축적량은 성인의 60% 이하이다 (negative balance).
혈장 칼슘의 항상성
- 혈중 칼슘 농도는 생명 유지와 직결되므로 100mL(1dL) 당 약 10mg(2.5mM) 범위로 유지된다.
- 칼슘대사 조절기관은 십이지장(흡수), 뼈(저장), 신장(배출)이다.
- 칼슘 조절 호르몬은 비타민 D, 부갑상선 호르몬, 칼시토닌이다.
- 부갑상선 호르몬과 비타민 D는 칼슘 농도를 올려주고, 칼시토닌은 칼슘 농도를 낮춘다.
- 뼈에 존재하는 칼슘의 대부분은 수산화인회석 형태로 존재한다(Ca10(PO4)6(OH)2).
- 일부는 인산염 등과 결합된 무정형 결정체로 존재한다.
- 뼛속 칼슘의 1%는 세포 외액의 칼슘과 자유로이 교환된다.
- 세포 외액의 칼슘은 단백질과 결합된 형태와 free form으로 존재한다.
- 이온 형태의 칼슘이 항상성에서 중요하며 생리학적 활성을 띤다.
- 세포 내액의 칼슘은 대부분 유기인산 등과 결합되어 있으며, 유리 칼슘 양은 극히 소량이다.
- 세포 내 칼슘 이온은 세포 기능을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 단백질이 (-)전하를 많이 가지면 칼슘 이온(+)를 더 많이 잡는다.
- 혈액의 pH가 높아질수록 단백질 이온화가 증가하여 혈장 단백질과 결합한 칼슘 양이 증가한다.
- 혈장 단백질의 pH는 4.6~4.8이다.
생체 내 칼슘 흡수 기전
- 소장의 십이지장에서 주로 흡수된다.
- 장관 내 산성 환경에서 칼슘은 잘 용해되어 흡수된다.
- 십이지장의 pH에서 인산칼슘염은 주로 CaHPO4 또는 Ca(H2PO4)2 형태로 존재한다.
- 천연식품이 아닌 칼슘 제제 과다 복용 시에는 이소성 석회화가 발생할 수 있다.
칼슘 농도에 따른 흡수 기전
- 혈액 내 칼슘 농도가 장관 내 칼슘 농도보다 높을 때 (하루 섭취 칼슘량 적을 경우)에는 능동수송이 일어난다.
- 소장의 점막세포에서 생성되어 분비되는 칼슘결합단백질(Calbindin)과 결합하여 확산된다.
- 비타민 D가 활성화되면 칼빈딘-D 단백질 생성되어 칼슘 흡수를 촉진한다.
- 소장 쪽에 위치한 수용체를 통해 칼슘이 들어오고, 혈액 쪽으로 갈 때 ATPase 에너지를 사용하여 능동수송이 일어난다.
- 혈액 내 칼슘 농도가 장관 내 칼슘 농도보다 낮을 때에는 농도 경사에 의해 흡수되며, 세포와 세포 사이의 tight junction을 통해 흡수된다.
신장에서의 재흡수
- 근위 세뇨관에서 약 60% 재흡수, 주로 수동 수송으로 재흡수된다.
- 헨레 고리 상행각에서는 능동적 수송으로 약 20%가 재흡수된다.
- 신장에서 대사성 산증 시 칼슘 재흡수가 감소된다.
칼슘 흡수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
-
칼슘 흡수를 촉진시키는 인자: 호르몬, 신호전달 물질, 알지닌, 라이신, 유당, 글루코오스 등
- 활성형 비타민 D(1,25(OH)2D3): 장관 상피세포에서 칼슘결합단백질 생성을 유도하여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한다.
- 부갑상선호르몬: 비타민 D 활성을 촉진하여 칼슘 흡수를 촉진한다.
- 성장 호르몬: 칼슘 흡수를 촉진하고 내원성 칼슘 배설을 억제한다.
- 알지닌, 라이신이 풍부한 고단백 식품의 섭취
- 유당, 글루코오스 등의 당분
- 장내 산성 환경은 칼슘 용해도를 높여 흡수 촉진
- 성장기, 임신기, 수유기에는 칼슘 요구량이 커지므로 흡수 촉진
- 식품 내 칼슘량이 적을 때 혈중 칼슘 농도를 높이려고 칼슘 흡수가 촉진된다.
-
칼슘 흡수를 억제시키는 인자: phytic acid, 장내 높은 pH, 노화, 폐경, 고농도 인, 철 및 마그네슘, 글루코코르티코이드
- Phytic acid (inositol hexaphosphate)와 그 염: 칼슘과 결합하여 불용성 염을 형성하여 칼슘 흡수를 억제를 유발한다.
- 장내 높은 pH, 노화, 폐경
- 고농도의 인, 철, 마그네슘과 같은 무기물
- 부신피질에서 분비되는 글루코코르티코이드
인 대사
인의 분포
- 85%는 골격계에 수산화인회석 형태로 존재한다.
- 1일 평균 필요량은 15-19세 남녀 학생 1,200mg, 성인 700mg이다.
- 임신부와 수유부에게 인을 추가 공급할 필요는 없다.
- 무기인은 사람 체중의 약 1%, 칼슘은 사람 체중의 약 1.5%를 차지하며, 정상 성인에는 약 1kg 함유되어 있다.
- 나머지 15%는 연조직과 세포외액에 무기인산, phosphate diesters, phospholipid 등의 형태로 존재한다.
인의 기능
- 칼슘과 결합하여 뼈와 치아 형성에 기여한다.
- 혈장을 포함한 세포 외액의 완충제 역할을 한다.
- 세포막의 인지질 및 핵산의 구성 성분이다.
- 암모니아 합성, 해당과정(glycolysis) 등 다양한 대사에 관여한다.
인의 흡수
- 소장, 특히 공장(jejunum)에서 능동 수송과 전기화학적 농도 경사에 의해 흡수된다.
- 신장의 사구체에서 빠져나온 무기인의 약 85%는 Na+ 이온 의존성 능동적 수송과정에 의해 신장의 근위세관과 원위세관에서 재흡수된다.
인의 이동
- 인의 농도는 신체 조건에 따라 50%까지 변화하지만, 칼슘은 농도가 엄격하게 유지된다.
- 혈장 내 인 농도는 호르몬에 의해 항상성 조절을 받는다.
- 비타민 D는 촉진하고, 부갑상선 호르몬은 억제한다.
- 주로 신장을 통해 배설한다.
- 인의 흡수량과 배설량은 균형을 이룬다.
- 체내에서 인산 이온은 완충 작용을 한다.
저인산혈증(hypophosphatemia)
- 원인과 대사장애 - 주요 원인은 적혈구 내 ATP 및 2,3-BPG 감소, 면역세포의 주화성 및 식작용 억제이다. - 골격에서는 골연화증이 나타나고, 근육에서는 근세포 해당작용 저해로 ATP 생성이 감소한다. - 대사 장애로는 용혈성 빈혈, 면역계 기능 저하, 뼈의 통증, 근쇠약 등이 있다. - 혈장 내 인 농도 감소에 의한 다양한 대사 장애 발생 - 적혈구 내 ATP 및 2,3-BPG 감소는 헤모글로빈의 O2 결합력을 과도하게 증가시켜 각 조직으로의 산소 공급을 감소시키고, 용혈을 동반한 적혈구의 취약성을 증가시킨다. - 면역세포의 주화성 및 식작용을 억제하여 면역계 기능을 저하시킨다. - 골연화증으로 뼈의 통증이 발생한다. - 근세포의 해당작용을 저해하여 ATP 생성을 감소시키고 근쇠약을 유발한다.
부갑상선 호르몬(PTH)
- 혈장 칼슘과 인산 농도는 뼈, 신장, 장에서 동적 평형에 의해 조절된다.
- 부갑상선호르몬, 칼시토닌, 활성형 비타민 D, 성호르몬, 성장 호르몬, glucocorticoid 등이 작용한다.
- 혈중 칼슘 농도가 정상보다 낮으면 부갑상선 호르몬이 분비되어
- 뼈에서 칼슘이 혈중으로 유리된다.
- 신장에서 활성형 비타민 D가 생성되어 장에서 칼슘 흡수가 증가한다.
- 혈중 칼슘 농도가 정상치로 회복된다.
- 혈중 칼슘 농도가 정상보다 높으면 갑상선에서 칼시토닌이 방출되어
- 칼슘이 뼈에 저장되고, 콩팥에서 칼슘 흡수가 감소하여 혈중 칼슘 농도가 낮아진다.
- 부갑상선 호르몬은 부갑상선의 주세포(chief cell/principal cell)에서 합성되는 peptide hormone이다.
- PTH는 peptide hormone이므로 세포막에 존재하는 PTH 수용체를 통하여 세포 내부로 신호를 전달한다.
부갑상선 호르몬의 합성, 분비 조절
- 부갑상선은 생리적 조건 하에서 PTH를 합성, 분비하는 유일한 기관이다.
- PTH의 합성, 분비는 Ca2+과 활성형 비타민 D의 혈중 농도에 의해 억제적으로 조절된다.
- 혈액 속 Ca2+ 농도 변화를 부갑상선 세포의 칼슘 감지 수용체(calcium-sensing receptor, CaR)가 감지하여 PTH 합성과 분비를 조절한다.
- 혈청 칼슘 농도 상승 시 CaR을 통해 세포내로 전달되어 PTH 합성 및 분비가 억제된다.
- 혈청 칼슘 상승을 통해 간접적으로 PTH 분비를 억제한다.
- 부갑상선 세포에 존재하는 비타민 D 수용체(vitamin D receptor, VDR)에 결합하여 PTH 유전자 발현 억제한다.
- 1-34 아미노산 잔기가 생물학적으로 완전한 활성을 가진다.
- 1-6은 활성을 나타내는 데 가장 중요하며, 7-34는 억제 영역, 25-34는 결합 영역이다.
부갑상선 호르몬 활성 조절
- 호르몬 분비는 혈장 내 칼슘 농도에 반비례하며, 되먹임 기전에 의해 조절된다.
- 혈장 내 칼슘 농도가 약 9 mg%까지 감소하면 PTH 분비가 점차 증가한다.
- 9 mg% 이하에서는 PTH 분비가 급격히 증가한다.
- 혈장 내 칼슘 농도가 정상 이상으로 증가하면 PTH 분비가 억제되고, 혈액 내 최저 농도가 유지된다.
칼슘 농도와 칼시토닌
- 칼시토닌, 부갑상선 호르몬 상관관계 - 칼슘 농도가 높아지면 칼시토닌 농도는 증가하고, 부갑상선 호르몬 농도는 감소한다.
PTH signaling pathway
- 칼슘 농도가 낮아지면 PTH가 합성 및 분비되어 골모세포의 PTHR(PTH 수용체)에 결합한다.
- G-protein coupled receptor
- G-protein activation
- adenylase cyclase에 의해 second messenger cAMP 합성
- cAMP-dependent protein kinase A
- RANKL 발현 유도, OPG 생성 억제
- 파골세포 형성 및 활성화(골흡수, 수산화인회석 용해)
- 혈중으로 인산칼슘 유리
- 혈중 칼슘 농도 증가하여 정상치 회복
부갑상선 호르몬의 생리 작용
- 혈장 칼슘 농도가 낮으면 부갑상선 호르몬 분비가 증가하여 골 흡수를 통해 혈장 칼슘 농도를 회복시킨다.
- 뼈에서
- 골흡수를 촉진한다: 골모세포가 RANKL 분비와 OPG 생성 억제, 파골세포 생성 및 활성화를 통해 골흡수를 촉진하고, 혈중으로 칼슘과 인산을 공급한다.
- 신장에서
- 근위세뇨관에서 비타민 D 활성화를 촉진하고, 인산의 재흡수를 억제하며, 원위세뇨관에서 칼슘의 재흡수를 촉진한다.
- 비타민 D 활성화를 통해 간접적으로 소장에서 칼슘 흡수를 촉진한다.
뼈와 신장에서의 PTH 작동
-PTH는 직접 뼈와 신장에 작용하고 조절하는데, 혈청 칼슘 수준을 증가시킨다.
칼시토닌(Calcitonin)
- 갑상선 parafollicular 세포(C-cell)에서 주로 생성된다.
- 부갑상선과 흉선에서도 생성될 수 있다.
- 펩타이드 호르몬이다.
- 혈장 칼슘 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 뼈에서: 골 흡수를 억제한다. 파골세포에 직접 작용하여 파골세포 수 감소, 파골세포 파상연의 움직임 정지, 부피 감소시킨다(뼈 조직에서 칼시토닌 수용체를 가진 세포는 파골세포뿐).
- 신장에서: 칼슘 배설 촉진한다. 근위세뇨관에서 인산, 칼슘 등의 배설을 증가시키고, 원위세뇨관에서 칼슘 재흡수를 억제한다.
- 중추신경계: 뇌, 시상하부에 칼시토닌 수용체가 존재하여 진통작용과 섭식 행동 억제 작용을 한다.
- 소화관: 칼시토닌 과잉 투여시 식욕 부진을 유발한다.
- 부갑상선 호르몬에 대한 길항작용으로 혈액내 칼슘농도를 낮추는 역할을 한다.
- 칼시토닌은 파골세포에만 작용한다.
혈장 칼슘 농도 조절
- 칼슘 농도가 높아지면 PTH분비 억제, 칼시토닌 분비가 증가한다.
- PTH(부갑상선 호르몬)와 칼시토닌: 혈장 내 칼슘 농도를 조절하는 역할을 한다.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