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구강 위생을 위해 기원후 4세기경 이집트에서는 ______ 꽃을 섞은 혼합물을 사용했다.
구강 위생을 위해 기원후 4세기경 이집트에서는 ______ 꽃을 섞은 혼합물을 사용했다.
아이리스
최초의 수동칫솔 소개 이후 영국에서는 ______(치분)을 사용했다.
최초의 수동칫솔 소개 이후 영국에서는 ______(치분)을 사용했다.
tooth powder
미국 ______사에서 최초로 용기에 담아 판매하는 치약(paste 형태)을 개발했다.
미국 ______사에서 최초로 용기에 담아 판매하는 치약(paste 형태)을 개발했다.
Colgate
2차 세계대전 이후, ______ 포장재가 개발되어 납 성분 흡수 가능성이 사라졌다.
2차 세계대전 이후, ______ 포장재가 개발되어 납 성분 흡수 가능성이 사라졌다.
1940년대부터 불소의 효과가 밝혀지면서 ______ 화합물을 치약에 첨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40년대부터 불소의 효과가 밝혀지면서 ______ 화합물을 치약에 첨가하려는 시도가 있었다.
1954년 인디애나 치대에서 P&G ______(SnF2) 치약이 어린이 충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최초 임상시험 시행.
1954년 인디애나 치대에서 P&G ______(SnF2) 치약이 어린이 충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최초 임상시험 시행.
1969년 Colgate에서 ______(SMFP) 치약을 ADA의 승인을 받음.
1969년 Colgate에서 ______(SMFP) 치약을 ADA의 승인을 받음.
1981년 P&G에서 ______(NaF)과 실리카 치약을 새롭게 개발, ADA의 승인을 받음.
1981년 P&G에서 ______(NaF)과 실리카 치약을 새롭게 개발, ADA의 승인을 받음.
______는 물리적인 particle들로, 치면세균막 제거 및 착색 제거 역할을 한다.
______는 물리적인 particle들로, 치면세균막 제거 및 착색 제거 역할을 한다.
______는 페이스트 형태의 물리적 성질을 유지하고, 굳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______는 페이스트 형태의 물리적 성질을 유지하고, 굳지 않도록 돕는 역할을 한다.
치약 내 각종 성분들을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성분은 ______이다.
치약 내 각종 성분들을 결합시켜주는 역할을 하는 성분은 ______이다.
치약의 주성분 중 치아 우식증 예방에 효과적인 성분은 ______이다.
치약의 주성분 중 치아 우식증 예방에 효과적인 성분은 ______이다.
양치 후 뽀득뽀득한 느낌을 주는 것은 치약 내에 포함된 ______ 성분 때문이다.
양치 후 뽀득뽀득한 느낌을 주는 것은 치약 내에 포함된 ______ 성분 때문이다.
연마제 입자 크기가 작으면 ______로도 사용될 수 있다.
연마제 입자 크기가 작으면 ______로도 사용될 수 있다.
과거에는 저가 치약에서 ______를 사용하였으나, 불소와 결합하여 효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과거에는 저가 치약에서 ______를 사용하였으나, 불소와 결합하여 효능이 떨어진다는 단점이 있다.
치경부 마모증은 법랑질에 비해 ______이(가)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치경부 마모증은 법랑질에 비해 ______이(가) 많이 발생하는 경향이 있다.
ISO에서 인정하는 치약의 마모도 검사 방법은 ______ 분석법이다.
ISO에서 인정하는 치약의 마모도 검사 방법은 ______ 분석법이다.
치아 표면의 광택을 위해 치약에 첨가하는 성분은 ______라고 한다.
치아 표면의 광택을 위해 치약에 첨가하는 성분은 ______라고 한다.
튜브를 처음 열었을 때 치약이 묽어지고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은 ______이다.
튜브를 처음 열었을 때 치약이 묽어지고 굳어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첨가하는 성분은 ______이다.
과거 해초에서 추출한 ______를 결합제로 사용했다.
과거 해초에서 추출한 ______를 결합제로 사용했다.
치약의 항균 효과와 표면장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성분은 ______(SLS)이다.
치약의 항균 효과와 표면장력을 낮추는 역할을 하는 성분은 ______(SLS)이다.
치약 선택 시 일반 대중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______다.
치약 선택 시 일반 대중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특성은 ______다.
치태의 산성도를 떨어뜨려 치아우식증을 증가시키는 초기 감미제로는 ______과(와) 설탕이 있었다.
치태의 산성도를 떨어뜨려 치아우식증을 증가시키는 초기 감미제로는 ______과(와) 설탕이 있었다.
______ 성분은 치아 표면의 플라그 제거를 돕고, pH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______ 성분은 치아 표면의 플라그 제거를 돕고, pH를 높여주는 효과가 있다.
치약에 아연 등의 ______을(를) 첨가하면 치석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치약에 아연 등의 ______을(를) 첨가하면 치석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치약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dens'는 ______를 'fricare'는 문지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있다.
치약의 어원은 라틴어에서 유래되었으며, 'dens'는 ______를 'fricare'는 문지르다라는 의미를 가지고있다.
치약의 분류에서 ______ 치약은 유통되는 대부분의 치약이 해당되며, 치태 제거, 충치 예방, 치은염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치약의 분류에서 ______ 치약은 유통되는 대부분의 치약이 해당되며, 치태 제거, 충치 예방, 치은염 예방 등의 효과가 있다.
치약은 과거 분말 형태에서 ______형태로 발전하면서 특별한 포장이 필요해졌다.
치약은 과거 분말 형태에서 ______형태로 발전하면서 특별한 포장이 필요해졌다.
대표적인 화학물질인 ______는 치아의 우식을 예방하며, 수돗물, 양치액, 치약 등에 첨가되어 사용된다.
대표적인 화학물질인 ______는 치아의 우식을 예방하며, 수돗물, 양치액, 치약 등에 첨가되어 사용된다.
1970년대 럭키에서 한국 최초의 ______ 불소치약을 출시했다
1970년대 럭키에서 한국 최초의 ______ 불소치약을 출시했다
Flashcards
치약 및 칫솔 사용
치약 및 칫솔 사용
화학적 방법(치약)과 물리적 방법(칫솔)을 병행하여 구강 위생 효과를 극대화합니다.
치약의 정의
치약의 정의
치아를 문지르고 닦는 물질을 의미하며, 학문적으로는 'dentifrice', 일반적으로는 'toothpaste'라고 합니다.
치료용 치약
치료용 치약
치태 제거, 충치 예방, 치은염 완화 등의 효과를 가진 치약입니다.
미용 치약
미용 치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대 이집트의 치약
고대 이집트의 치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고대 그리스/로마의 치약
고대 그리스/로마의 치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세기 초 영국 치약
19세기 초 영국 치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873년 미국 치약
1873년 미국 치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플라스틱 포장 개발
플라스틱 포장 개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불소 치약의 시작
불소 치약의 시작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불소의 역할
불소의 역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54년 불소 치약 임상시험
1954년 불소 치약 임상시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약 속 불소 형태
치약 속 불소 형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64년 ADA 승인 치약
1964년 ADA 승인 치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70년 한국 어린이 불소치약
1970년 한국 어린이 불소치약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Major 성분 : 연마제
Major 성분 : 연마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Major 성분 : 습윤제
Major 성분 : 습윤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Major 성분 : 물
Major 성분 : 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Minor 성분 : 세제
Minor 성분 : 세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Minor 성분 : 결합제
Minor 성분 : 결합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약용 성분
약용 성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상아질 비교 마모도
상아질 비교 마모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광택제
광택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습윤제
습윤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결합제
결합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세제 (SLS)
세제 (SL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향미제
향미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Baking Soda Dentifrices
Baking Soda Dentifrice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약의 기능
치약의 기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치약 및 구강 양치액 개요
- 치약(화학적 방법)과 칫솔(물리적 방법)을 병행하면 효과가 극대화된다.
- 1800년대 이전 유럽에서는 석탄 가루가 치약 대용으로 쓰였고, 한국에서는 소금이 사용되었다.
치약의 어원과 분류
- 치약은 세치제라고도 불리며, 학문적으로는 'dentifrice', 일반적으로는 'toothpaste'로 표현된다.
- 어원은 'dens(이)'와 'fricare(문지르다)'의 합성어이다.
- 형태는 분말형, 고체형, 젤형, 페이스트형 등이 있다.
- 치료용 치약은 치태 제거, 충치 예방, 치은염 완화 등의 효과가 있으며, 한국에서 유통되는 대부분의 치약이 이에 해당한다.
- 미용 치약은 약 성분이 거의 없으며, 해외에서는 치료용 성분이 빠진 미용 치약이 존재한다.
- 지난 30년간 치약 판매량은 7배 이상 증가했다.
치약의 역사
- 치약에 대한 최초의 기록은 기원후 4세기경 이집트에서 아이리스 꽃 혼합물을 사용한 것이다.
- 고대 그리스와 로마에서는 어린이의 소변을 사용하여 치아를 닦기도 했다.
- 19세기 초 영국에서는 William Addis가 수동 칫솔을 소개한 후 치약 가루(tooth powder)가 함께 사용되었다.
- 1857년 칫솔 개발 이후 치약 판매가 시작되었다.
- 1873년 Colgate사에서 최초로 용기에 담는 치약(페이스트 형태)을 개발했다.
- 1896년 튜브형 제품이 개발되었다.
- 초기에는 분말 형태였기 때문에 특별한 포장이 필요 없었지만, 페이스트 형태 치약이 개발되면서 주석 튜브 포장이 사용되었다.
- 2차 세계 대전 이후 플라스틱 포장이 개발되었다.
- 주석 포장의 납 성분 흡수 가능성을 없애고, 사용 편의성을 높이며, 제품에 인쇄가 가능해졌다.
- 최근에는 펌프형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이 제작 및 판매되고 있다.
- 초기 치약은 마모제 성분만 함유했으나, 1940년대부터 불소의 충치 예방 효과가 밝혀지면서 불소 화합물이 첨가되기 시작했다.
- 이러한 노력은 불소 치약 개발의 기반이 되었다.
불소 치약의 개발 역사
- 불소는 충치 예방에 효과적인 화학 물질로, 수돗물, 양치액, 치약 등에 사용된다.
- 치약에 불소를 첨가함으로써 매일 두 번 이상 치아와 접촉할 수 있게 되었다.
- P&G와 Colgate의 경쟁을 통해 불소 치약이 발전했다.
- 1949년 미국 인디애나 치과대학에서 불소치약의 다양한 성분과 불소의 친화도 비교 연구가 시작되었다.
- 1954년 인디애나 치대에서 P&G의 불화주석(SnF2) 치약이 어린이 충치 감소에 효과적이라는 임상시험 결과가 나왔다.
- 1950~1985년 미국 P&G에서 불화주석과 피로인산나트륨을 주성분으로 한 치약으로 45건의 임상 시험을 진행했다.
- 불소는 치약에서 불화주석(SnF2), 일불소인산나트륨(SMFP), 불화나트륨(NaF) 3가지 형태로 주로 존재한다.
- 1964년 P&G의 불화주석 치약이 미국치과의사협회(ADA)의 최초 승인을 받았다.
- ADA는 엄격한 효능 평가를 통해 치약 승인 여부를 결정한다.
- 1969년 Colgate에서 일불소인산나트륨(SMFP) 치약이 ADA 승인을 받았다.
- 1981년 P&G에서 불화나트륨(NaF)과 실리카 치약을 개발하여 ADA 승인을 받았다.
- 대한민국:
- 1955년 럭키에서 한국 최초의 치약이 출시되었다.
- 1970년 럭키에서 한국 최초의 어린이 불소 치약이 출시되었으며, SMFP를 주성분으로 사용되었다.
- 2018년 NaF와 SMFP 치약의 비율은 20:80이었으나, 최근에는 46:54 정도로 바뀌었고, 일본의 경우 NaF와 SMFP 치약의 비율이 95:5이다.
치약의 조성 성분
- 주요 성분:
- 연마제(20-40%): 치면세균막과 착색 물질 제거
- 습윤제(20-40%): 페이스트 형태의 물리적 성질 유지
- 물(20-40%): 각종 성분 용해
- 소량 성분:
- 세제(2% 미만): 거품 생성 (시린이 치약에는 없을 수 있음)
- 결합제(2% 미만): 치약 내 성분 결합
- 약용 성분: 충치 및 치은염 예방 (예: 염화나트륨, 잔톨리졸)
- 한국에서는 치약을 의약외품으로 분류하여 관리한다. (미국은 화장품으로 분류되어 규제가 약하다.)
- 치약의 요구사항: 치면세균막 제거, 충치 예방, 치은염 예방
연마제
- 이를 닦을 때 상쾌함을 주는 성분으로, 칫솔의 기계적 효능을 높인다.
- 연마제의 종류는 경도, 입자 크기, 모양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된다.
- 마모도는 연마제의 경도, 입자 크기, 입자 형태에 따라 영향을 받는다.
- 입자 크기가 크면 연마제, 작으면 광택제로 사용된다.
- 연마제 성분:
- 과거에는 칼슘 기반 성분(calcium carbonate, calcium phosphate)이 주로 사용되었으나, 불소와 빠르게 결합하여 불소 효능을 저하시키는 단점이 있어 현재는 잘 사용되지 않는다.
- 현재는 silicon oxide, aluminium oxides, bicarbonate, chalk 등이 사용된다.
- 연마도가 높은 치약을 사용할 때 과도한 칫솔질은 치경부 마모를 유발할 수 있다.
- 치경부 마모증은 주로 치아의 20% 정도 단단한 법랑질보다 더 얇은 치관 하방에서 발생한다.
- 과도한 칫솔질 시 법랑질-백악 경계 부위에 V자 형태의 결손이 발생한다. (특히 견치, 제 1소구치 부위)
- 치약 내 연마제 마모도 검사 방법:
-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마모 정도를 분석한다. (ISO에서는 방사선 동위원소 분석법, 표면 분석법을 인정)
- 질량 분석법: 마모되어 나온 양을 측정
- 방사선 동위원소 분석법(RDA): dentin에 방사선을 쪼여 용출되는 방사선 양을 측정 (미국에서 사용, 한국에서는 X)
- 표면 분석법(Surface Profile Method, 표면 조도계, SPM): 표면에 생긴 미세한 굴곡을 측정하여 마모도 평가 (한국에서 주로 사용)
- 법랑질, 상아질, 백악질 마모 정도를 분석한다. (ISO에서는 방사선 동위원소 분석법, 표면 분석법을 인정)
- 상아질 비교 마모도: 표준 치약 대비 상대적인 값 (200이하는 안전)
- 100이상: 높은 세정력 (Stain 제거, plaque 제거)
- 50~100: 일반적
- 50이하: 낮은 세정력 (시린이 환자용)
- 일부 치약은 연마제를 함유하지 않아 치태 제거가 잘 안되고 치아 착색이 잘 일어난다.
광택제
- 연마제에 치아 광택을 더하기 위해 첨가하며, 연마제보다 입자 크기가 작다.
- Aluminium, Calcium, Tin, Magnesium 등이 사용된다.
- Chalk와 Silica는 입자 크기가 1µm인 경우 광택제로, 20µm인 경우 연마제로 작용한다.
- 치약 선택 시 개인의 마모도를 고려해야 한다.
- 흡연자의 경우 연마력이 높은 치약을 사용하는 것이 좋다.
습윤제
- 초기 반죽형 치약이 굳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한다.
- 치약의 consistency와 수분 유지를 위해 사용된다.
- Sorbitol(가장 많이 사용), Mannitol, Propylene glycol 등이 사용된다. -Propylene glycol은 자동차 부동액으로도 사용되는데, 과거 중국의 저가 치약에서 자동차 부동액에 쓰는 산업용 부동액을 습윤제로 사용해서 논란됐던 적이 있다고 한다.
결합제
- 치약 성분이 분리되는 것을 막기 위해 사용한다.
- 과거에는 해초에서 추출한 Colloid를 사용했으나, 현재는 합성 Celluloses를 사용한다.
세제
- 거품을 내어 Debris와 plaque 제거를 돕는다.
- 초기에는 비누를 사용했으나, 점막 자극, 구토 유발, 다른 성분과의 혼합 시 문제 등의 단점이 있었다.
- 현재는 Sodium Lauryl Sulfate(SLS)를 사용한다.
- 항균 효과와 표면 장력을 낮추어 치약의 흐름을 증가시킨다.
- SLS는 점막을 자극할 수 있으므로, 어린이 치약에는 소량만 넣거나 SLS가 없는 치약을 사용한다.
- SLS 성분은 표면장력과 항균 효과를 낮추고 치약의 flow를 높인다.
향미제
- 치약 선택에 가장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 상쾌함과 좋은 맛이 오래 지속되어야 한다.
- Spearmint, Peppermint, Wintergreen, Cinnamon 등이 사용된다.
감미제
- 초기에는 꿀과 설탕을 사용했으나, 치태의 산성도를 높여 충치를 유발하는 단점이 있었다.
- 현재는 비우식성 감미제인 saccharin, cyclamate, sorbitol, mannitol, xylitol 등을 사용한다.
Baking Soda Dentifrices
- 베이킹 소다는 치아 표면을 닦을 때 광택을 내고, 항균 효과가 있으며, pH를 높여준다.
- Hydrogen peroxide와 Baking soda를 혼합한 성분을 사용한다.
- Baking soda는 불소와 친화력을 갖는 마모제 역할을 한다.
- 미국 암앤해머 회사는 원래 바닥 청소용 베이킹 소다를 판매하는데, 이를 치약에 응용해서 치약을 출시했다.
치약의 기능
- 충치 예방 (불소)
- 치태 제거 (연마제)
- 치은염 예방 (죽염 치약)
- 지각과민 예방 (시린이 치약: 상아질 세관 밀봉)
- 치아 미백 (니코틴 staining 제거를 위해 연마제 함량 높임)
- 구취 방지 (향미제)
- 치약에 아연 등의 금속 이온이나 피로인산염을 함유시켜 치석 형성을 억제할 수 있다.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