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권의 정의, 특성 및 주요 문헌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인권의 특성으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포기하는 것이 불가능하다.
  •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로우며 존엄과 권리에 있어 동등하다.
  • 최소한의 교육권이 보장되지 않으면 노동권 실현이 불가능할 수 있다.
  • 어떤 인권이 다른 인권보다 더 우월하거나 열등하다고 나눌 수 있다. (correct)

인권 존중의 의무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 국가가 권리 실현을 위해 적극적으로 조치를 취해야 한다.
  • 국가가 인권을 침해하는 행위를 하지 않아야 한다. (correct)
  • 국가가 제3자의 인권 침해를 막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한다.
  • 국가가 개인이나 집단에 사회보장프로그램을 제공해야 한다.

인권의 세대별 분류 중 2세대에 해당하는 권리는 무엇입니까?

  • 사법 절차상 보호, 참정권, 결사 집회의 자유
  • 개인의 자유를 증진하려는 시민적·정치적 권리
  • 국경을 초월한 단결과 국제사회의 의무에 관한 연대의 권리
  • 개인의 평등을 확장하려는 경제적·사회적·문화적 권리 (correct)

다음 중 인권과 개발의 관계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p>빈곤은 단순한 인간 욕구의 문제가 아니라 인권 침해의 결과로 발생할 수 있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인권기반 접근(HRBA)의 본질적 특징으로 보기 어려운 것은?

<p>국제인권규약의 기준, 원칙, 목적을 개발의 계획과 과정에서 배제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교육에 대한 권리'의 요소가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p>경제성 (Affordability)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지속가능한 생계 접근(Sustainable Livelihoods Approach)에서 가장 중요하게 고려하는 요소는?

<p>생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단(인적, 천연, 사회, 물리적 자원)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UN의 '인권을 위한 행동 요청' 7가지 중, 미래 세대를 위해 가장 중요한 권리는 무엇입니까?

<p>권리, 특히 기후 정의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KOICA의 인권분야 지원 전략 중 HRBA 실행과 관련된 설명으로 옳은 것은?

<p>교육, 보건, 공공 행정 등 중점 분야 사업에 인권 주류화 목표를 설정한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KOICA의 인권분야 성과와 과제에 대한 설명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p>KOICA는 장애인, 선주민 등 소외계층에 대한 경제적, 사회적 개발 혜택을 우선 제공한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인권이란?

인간이 인간으로서 당연히 누려야 할 권리

양도불가능이란?

천부인권, 양도나 포기가 불가능한 권리

불가분성/상호의존성

어떤 인권도 다른 인권보다 우월하지 않으며, 모든 인권은 서로 연결되어 있다

보호 권리란?

인권 침해를 막기 위한 국가의 권력 제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급 권리란?

국가가 개인 또는 집단에 제공하는 사회보장 프로그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세대 인권이란?

개인의 자유를 증진하려는 권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2세대 인권이란?

개인의 평등을 확장하려는 권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3세대 인권이란?

국경을 초월한 연대와 국제사회의 의무에 관한 권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아마르티아 센의 빈곤관

빈곤을 기회와 권력의 박탈로 보는 관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인권에 기반한 개발이란?

인권 실현을 개발 협력의 목적으로 설정하고 개발의 전 과정에 인권 기준과 원칙 준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인권의 정의

  • 인권은 인간으로서 누려야 할 기본적인 권리입니다.
  • 인권은 인종, 성별, 사회적 지위 등과 관계없이 모든 사람에게 적용되는 보호 및 수급 권리입니다.
  • 보호권리는 국가가 개인의 권리를 침해하지 않도록 하는 권력 제한을 의미합니다.
  • 수급권리는 국가가 개인이나 집단에 제공하는 사회 보장 프로그램, 법률, 정책, 서비스 등을 의미합니다.

인권의 주요 특성

  • 보편성: 모든 인간은 태어날 때부터 자유롭고 존엄하며 권리에 있어 동등합니다.
  • 양도 불가능성: 인권은 천부적으로 주어지며 타인에게 양도하거나 포기할 수 없습니다.
  • 불가분성 및 상호의존성: 모든 인권은 서로 연결되어 있으며 분리해서 실현하기 어렵습니다. 예를 들어 교육권이 보장되지 않으면 노동권 실현이 어렵고, 집회결사의 자유가 제한되면 경제적 권리 실현이 제약됩니다.

인권 관련 주요 문헌

  • 9대 국제인권조약이 존재합니다
  • 모든 형태의 인종차별 철폐에 관한 국제협약(ICERD)
  • 시민적 및 정치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ICCPR)
  • 경제사회적 및 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ICESCR)
  • 여성에 대한 모든 형태의 차별철폐에 관한 협약(CEDAW)
  • 고문 및 그 밖의 잔혹한, 비인도적인 또는 굴욕적 대우나 처벌의 방지에 관한 협약(CAT)
  • 아동의 권리에 관한 협약(CRC)
  • 모든 이주 노동자와 그 가족의 권리보호에 관한 국제협약(ICMW)
  • 강제실종으로부터의 보호에 관한 국제협약(CPED)
  • 장애인의 권리에 관한 협약(CRPD)
  • 대부분의 국가들이 1개 이상의 인권 조약을 비준했으며, 한국은 8개 조약을 비준하고 4개 선택 의정서를 채택했습니다.
  • 국가의 의무는 인권 존중, 보호, 충족입니다
  • 인권 존중의 의무는 국가가 인권을 침해하지 않아야 함을 의미합니다
  • 인권 보호의 의무는 제3자의 인권 침해를 막기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 인권 충족의 의무는 권리 실현을 위해 조치를 취해야 함을 의미합니다

인권의 분류

  • 세대별 분류
    • 1세대: 시민적, 정치적 권리 (개인 자유 증진)
    • 2세대: 경제적, 사회적, 문화적 권리 (개인 평등 확장)
    • 3세대: 연대의 권리 (국경 초월 단결, 국제사회 의무)
  •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의 내용별 분류 (권리 꾸러미)
    • 정치와 민주주의: 사법절차상 보호, 참정권, 결사집회의 자유, 표현과 사상의 자유, 디지털 공간의 인권보호 포함
    • 발전과 존엄하게 살기: 영리활동과 인권, 기후변화와 환경, 교육과 문화에 대한 권리, 건강, 토지와 주거, 강압적 조치, 빈곤과 식량권, 사회보장권, 발전권, 물과 위생 포함
    • 평등과 비차별: 아동과 청년, 노인, 장애인,성소수자, 선주민, 백색증에 대한 비차별, 종교에 대한 자유, 이민, 성평등, 인종주의, 비관용 포함
    • 정의와 법치주의: 사형제도, 구금, 실종, 고문, 테러리즘과 극단주의, 노예제와 인신매매 포함
    • 평화와 안보: 분쟁 방지 및 초기 경보, 인도주의적 긴급구호, 초국가적 정의 및 분쟁 후 평화구축 포함

인권과 개발의 관계

  • 인권과 개발은 3가지 배경에 의해 접합점을 찾았습니다.
    • 역사적 배경: 1세대(자유권 위주), 2세대(사회권), 2000년대 이후(경제, 사회, 문화적 권리 확대)의 인권 활동 범주 확장
    • 이론적 배경: 아마르티아 센은 빈곤을 기회와 권력의 박탈로 이해하고, 인권 실현을 개발의 목적이자 수단으로 강조했습니다
    • 조직적 배경: 1990년대 말 이후 인권과 개발 통합, UN인권 주류화 영향으로 코피 아난 사무총장의 발언 영향으로 UN개혁에 인권을 중심에 두었습니다
  • 인권통합방식 분류
    • 인권에 기반한 개발: 인권 실현을 개발협력의 목적으로 설정하고, 개발의 전 과정에 인권 기준과 원칙을 준수합니다
    • 인권 주류화: 개발사업에 인권적 관점을 반영합니다
    • 인권 대화: 정책 대화를 통해 인권 이슈를 제시하고 해결을 도모합니다
    • 인권 사업: 인권 향상 및 인권침해 특정 그룹을 지원합니다
    • 간접적 방식의 인권 사업: 굿 거버넌스/역량강화 같은 개념을 활용한 인권이슈 사업을 진행합니다

인권기반 접근 (HRBA)

  • HRBA는 개발과 인권을 통합하는 방법론으로 자리잡았습니다
  • HRBA 개념: 인권에 기반한 개발은 빈곤의 상황을 단순히 인간 욕구의 문제나 개발의 필요로 인식하지 않고, 개개인의 양도 불가능한 인권에 대한 사회의 책임 문제로 봅니다
  • HRBA의 본질적 특징
    • 개발의 목적은 인권 실현 증진이며, 개발 협력은 의무 부담자들에게 자신의 의무를 다하고 권리보유자들이 권리를 요구하도록 각각 역량 강화 도모합니다
    • 국제인권규약의 기준, 원칙, 목적을 개발의 계획과 과정에 통합합니다
  • HRBA의 5대 원칙
    • 참여: 참여보장 원칙은 수단이자 목적이며, 실질적 참여 보장이 필요함
    • 책무성: 국가, 국제기구, 공여기관, 비정부기구, 기업, 지역사회, 모든 개인에게 인권준수의 책임이 있음을 강조하는 원칙
    • 비차별: 인종, 피부색, 성별, 민족, 나이, 언어, 종교, 정치견해, 장애 등 어떤 이유로도 차별받지 않아야 한다는 원칙
    • 권한 강화: 각 주체가 권한을 가지는 상태가 되는 것이 참여 조건이자 결과
    • 국제인권기준과의 연계: 인권조약은 비준한 국가들에 대한 구속력을 지닙니다. 인권 기준은 프로그램의 성과 및 과정을 평가 시 지침 제공합니다
  • HRBA의 주요 활동 전략
    • 글로벌 규약 준수 전략: 인권 기준을 비준하고 준수하도록 압력을 가하는 활동
    • 프로그래밍 전략: 개발 프로젝트와 프로그램이 의무 부담자와 권리 보유자의 능력을 신장시키고, 인권기준과 원칙에 비추어 프로젝트나 프로그램을 기획, 실행, 분석합니다
    • 인식제고전략: 옹호활동이나 교육을 통해 권리에 대한 인권 의식 고양
    • 법적 동원 전략: 국내 법제도를 이용한 소송을 통해 특정 권리 청구에 대한 법적 근거 강화 및 정책변화 도출 전략

세계 인권 현황

  • 불평등 심화 현황: MDGs 성공국가에서도 하위 40%가 소유하는 부가 오히려 줄어들고 있으며, 빈곤은 인권침해의 원인이자 결과입니다
  • 인권 관련 개발 과제와 개선방향은 다음과 같습니다
    • 인권과 교육: 교육에 대한 권리는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에 관한 국제 규약에 명시되어 보장됩니다. 교육권의 요소로 가용성, 접근성, 수용성, 적응성이 필요합니다
    • 인권과 건강: 경제·사회·문화적 권리에 관한 규약 제12조에 따라 ‘도달 가능한 최고 수준의 신체적, 정신적 건강을 향유할 권리’가 규정되어 있습니다. 건강권 요소로 가용성, 접근성, 수용성, 질이 필요합니다.
    • 인권과 거버넌스: 굿 거버넌스 체계 강화로 지속적 인권 보호 및 인권적 목표와 과정 달성이 필요합니다.
    • 인권과 물: 개인과 가정이 쓰기에 충분하고 안전하고 수용 가능하고 물리적 접근이 가능하고 부담없이 누릴 권리가 보장되어야 합니다
    • 인권과 지속가능한 생계: 생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단인 능력, 유형자산과 무형자산이 필요합니다. 지속가능한 생계접근은 빈곤한 지역사회가 소유하거나 소유하지 않은 생계 수단에 초점을 맞추고 계절에 따른 차이, 위기상황, 경향이 생계수단에 미치는 영향에 초점을 둡니다
    • 인권과 도시: 도시 면적은 전 세계 토지 1% 불과하나 전체 인구 반 이상 도시 거주.도시화 가속화. 도시화로 인한 빈부격차 심화됩니다
    • 인권과 기술: AI, 빅데이터 등 신기술과 그 파급효과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인권 분야 국제개발협력 동향

  • 지속가능한 발전목표(SDGs)와 인권의 연관성
    • SDGs의 슬로건은 인권의 기본원칙인 평등과 비차별을 명시하고 있습니다
    • SDGs 세부목표별 인권 개선 권고안 분석 결과, SDG 16과 SDG 5에서 가장 많은 인권 권고안이 발견되었습니다
  • UN의 인권을 위한 행동요청 7가지
    • 지속가능발전의 핵심이 되는 인권
    • 위기시기의 관리
    • 성평등과 여성을 위한 동등한 권리
    • 시민참여와 시민활동을 위한 공간
    • 미래 세대를 위한 권리, 특히 기후 정의
    • 집단행동에서 핵심적인 권리
    • 새로운 인권

UN 산하 인권분야 기구

  • 유엔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
    • SDGs 인권 통합 기여 및 인권기반 접근 강조
  • 유엔개발계획(UNDP)
    • 개발로 특화된 전문기관
    • 인권 주류화를 위해 노력

인권분야 KOICA 지원 전략

  • KOICA 인권분야 중기전략 목표
    • 사업 HRBA 실행-인권기반 개발협력프로그램
    • 국제인권규범 이행과 인권 증진-인권보호프로그램
    • 취약계층 권리 중심의 개발협력 확대-취약계층 권리증진프로그램
  • 취약계층 권리 증진에 초점
  • 인권기반 개발협력 이행계획(2020-2023) 등 여러 정책적 노력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Universal Human Rights
16 questions

Universal Human Rights

MesmerizedXenon avatar
MesmerizedXenon
Human Rights Fundamentals
10 questions
Human Rights Quiz
48 questions

Human Rights Quiz

LovedRomanticism1149 avatar
LovedRomanticism1149
Human Rights in a Multilevel System
8 question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