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합성: 빛의 세기, 파장, 길이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식물의 종류에 따라 선호하는 ______가 다릅니다.

광도

______이란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이산화탄소 방출량이 같아지는 지점의 광도를 의미합니다.

광보상점

광도가 증가해도 광합성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지점의 광도를 ______이라고 합니다.

광포화점

______은 식물이 새로운 광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p>광순화</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광합성에 필요한 빛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는 ______는 강한 광강도를 필요로 합니다.

<p>광합성유효방사</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식물은 ______에 따라 꽃눈을 맺고 꽃을 피우는 시기를 감지합니다.

<p>일장</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한계일장보다 일장 조건에서 개화하는 식물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p>장일식물</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일정한 한계일장이 없고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개화하는 식물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p>중성식물</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차광재배는 ______을 이용하여 광주기를 조절하는 방법입니다.

<p>차광막</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인위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개화시키는 방법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p>전조재배</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식물 생육이 가능한 최저 온도를 ______이라고 합니다.

<p>최저온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광합성과 호흡 등 모든 생리 및 대사작용이 가장 왕성하게 이루어지는 온도를 ______이라고 합니다.

<p>생육적온</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일정 기간 잎을 내지 않고 꽃도 피우지 않는 휴식기간을 ______라고 합니다.

<p>휴식온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식물 조직의 80~90% 이상을 차지하는 것은 ______입니다.

<p>수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세포 내 팽압을 유지하여 식물의 체형을 유지하는 데 기여하는 것은 ______입니다.

<p>수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토양은 식물 생육에 필요한 ______의 주요 공급처입니다.

<p>수분</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잎자루와 뿌리에 통기조직이 발달한 식물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p>수생식물</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수분이 부족할 경우, 잎의 _시듦_과 ______________ 증상이 나타납니다.

<p>영양, 결핍</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온도가 높을수록 ______ 횟수가 증가합니다.

<p>물주기</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광도란?

식물이 받는 빛의 세기. 식물의 종류에 따라 선호하는 광도가 다름.

광보상점이란?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방출량이 같아지는 지점의 광도

광포화점이란?

광도가 증가해도 광합성 속도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지점의 광도

광순화란 무엇인가?

식물이 새로운 광환경에 적응하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광순화 연구 대상

잎의 탈리가 나타나고 새 잎이 빠르게 생기는 식물을 이용한 연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자연광이란?

가시광선(380~760nm)은 인간의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파장역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일장이란?

식물이 꽃눈을 맺고 꽃 피우는 시기를 감지하는 것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장일 식물

한계일장보다 긴 일장 조건에서 개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단일 식물이란?

한계일장보다 짧은 일장 조건에서 개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중성 식물이란?

일정 한계일장이 없고 넓은 범위 일장에서 개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차광재배란?

차광막을 이용하여 광주기를 조절하는 재배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조재배란?

인위적으로 빛을 조사하여 개화시키는 방법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최저 온도란?

생육 가능한 하한 온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최고 온도란?

생육 가능한 상한 온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생육적온이란?

광합성과 호흡이 가장 왕성한 온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휴식 온도란?

일정 기간 잎을 내지 않고 꽃도 피우지 않는 휴식 기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분이란?

식물 조직의 80~90%를 차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생 식물이란?

식물의 잎자루와 뿌리에 통기조직이 발달한 식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건생 식물이란?

건조하고 통기성이 양호한 환경을 선호하는 식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분 부족시?

토양 내 물이 부족할 경우 잎이 시들고 영양 결핍 증상이 나타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광합성

  • 광합성은 동화산물을 생성하는 과정이다.
  • 광은 잎과 꽃의 색깔에 관여하며, 개화를 조절한다.
  • 식물 생육에 영향을 미치는 광 요인은 광도(빛의 세기), 광질(빛의 파장), 일장(빛의 길이)이다.

광도

  • 광도는 식물이 받는 빛의 세기를 의미한다.
  • 식물 종류에 따라 선호하는 광도가 다르다
  • 침엽수, 실외 꽃보기 식물, 실내 꽃보기 식물, 실외 잎보기 식물, 실내 관엽식물 순으로 광도를 선호한다.
  • 과수류, 과채류(열매채소), 허브, 근채류(뿌리채소), 엽채류(잎채소) 순으로 광도를 선호한다.

광도와 광합성

  • 광보상점은 이산화탄소 흡수량과 방출량이 같아지는 지점의 광도를 의미한다.
  • 광포화점은 최대 광합성 속도를 나타낸 후 광합성이 더 이상 증가하지 않는 지점의 광도를 뜻한다.
  • 저광도에서는 잎의 면적이 커지고 초록색이 짙어지며 두께가 얇아지고 마디 간격이 길어진다.
  • 고광도에서는 잎의 면적이 작아지고 색이 옅어지며 두께가 두꺼워지고 단단해지며 마디 간격이 짧아진다.
  • 저광도에서는 꽃의 수와 향기가 감소한다.
  • 고광도에서는 꽃의 수와 향기가 증가한다.
  • 저광도에서 과도하면 수관이 엉성해지고 낙엽이 발생한다.
  • 고광도에서 과도하면 호흡으로 생육이 억제되고 잎이 황화된다.

광순화

  • 광순화란 식물이 새로운 광환경에 적응하는 것을 말한다.
  • 광순화 연구에 많이 이용되는 식물은 외부환경 변화로 잎의 탈리가 나타나고 새 잎이 빠르게 생기는 식물이다.
  • 순화는 항상 진행 중이며 저광도 실내에서 실외로, 고광도 실외에서 실내로 옮겨질 때 필요하다.
  • 순화가 되지 않았을 경우 완전히 순응된 잎(대부분 하엽)이 떨어진다.
  • 광순화시킨 식물도 빛 세기에 따라 생육에 차이가 있다.
  • 75 ftc의 낮은 광량에 순화된 식물은 광보상점이 높고, 순화되지 않은 식물은 낮다.

광질

  • 가시광선(380~760nm)은 인간의 눈으로 감지할 수 있는 파장 영역이다.
  • 비가시광선은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없으며 색소의 생합성, 광주성, 굴광성, 형태형성 등 다양한 생리적 반응에 관여한다.
  • 광합성 유효방사는 광합성 에너지원으로 작용하며 강한 광강도가 필요하다.
  • 실내 장소에 따라 광환경이 다르므로 부족한 빛은 인공 광원으로 보충하는 것이 생육에 바람직하다.

일장

  • 식물은 일장에 따라 꽃눈을 맺고 꽃 피우는 시기를 감지한다.
  • 한계일장은 식물의 꽃눈 형성에 필요한 특정한 길이의 일장을 의미한다.
  • 일장을 감응하는 식물의 부위는 충분히 전개한 젊은 잎이다.
  • 잎의 크기가 최대에 도달하기 직전이나 직후에 최고의 일장 감응성을 나타낸다.

식물

  • 장일식물은 한계일장보다 긴 일장 조건에서 개화하는 식물이다.(페튜니아, 아이리스, 상추, 시금치)
  • 중성식물은 일정한 한계일장이 없고 넓은 범위의 일장에서 개화하는 식물이다. (장미, 해바라기, 무궁화, 제라니움, 토마토, 가지, 고추, 호박)
  • 단일식물은 한계일장보다 짧은 일장 조건에서 개화하는 식물이다 (국화, 포인세티아, 코스모스, 칼랑코에, 딸기)

개화조절

  • 차광재배(암막재배)는 차광막을 이용하여 광주기를 조절하는 방법이다. (포인세티아 온도조건: 15℃ 이상, 일장 : 12시간 이하로 조절, 단일처리기간 : 14~15일 만에 꽃눈분화가 이루어짐
  • 전조재배는 인위적으로 광을 조사하여 개화시키는 방법이다.

온도

  • 최저온도는 생육 가능한 하한 온도이다.
  • 최고온도는 생육 가능한 상한 온도이다.
  • 생육적온은 광합성과 호흡 등 모든 생리 및 대사작용이 가장 왕성하게 일어나는 온도를 의미한다.
  • 생육적온은 식물 종류와 생육단계, 지상부와 지하부, 주온과 야온에 따라 달라진다.
  • 열대(25~30℃)는 대부분의 관엽식물에 해당한다.
  • 온대(15~25℃)는 개나리, 국화, 장미, 나리 등에 해당한다.
  • 한대(10~20℃)는 솜다리, 구상나무, 만병초 등 고산식물에 해당한다.

식물 비교

  • 열대산 잎보기 식물은 잎을 관상하며 꽃의 모양은 화려하고 크고 열대산 꽃 보기 식물은 화려하고 큰 꽃을 관상한다.
  • 온대산 식물은 비교적 수수하고 작은 꽃이 많이 핀다.

휴식온도

  • 휴식온도는 잎을 내지 않고 꽃도 피우지 않는 휴식기간을 의미한다.
  • 튤립과 히아신스는 휴면타파를 위해 4~5℃에서 30일 동안 저온 처리한다.

수분

  • 식물의 조직은 80~90% 이상이 수분으로 구성된다.
  • 식물은 수분을 흡수, 이동, 배출하는 과정을 통해 생장을 유지한다.
  • 수분은 생명 유지를 위한 필수 요소이며 광합성의 기질로 쓰인다.
  • 각종 화학반응의 용매 또는 촉매의 역할을 한다.
  • 세포내 팽압을 유지하여 식물의 체형을 유지한다.
  • 유기물 및 유기용질의 수송 매체이다.
  • 증산을 통한 식물체온의 상승을 방지한다.
  • 봄, 가을, 겨울은 건조하고 가뭄이 심하며, 여름은 고온다습하다.
  • 여름철 고온다습한 환경에서는 생육장해 발생 및 병해충 관리가 필요하다.
  • 토양수분은 식물 생육에 필요한 수분의 주요 공급처이다.
  • 대부분의 실내식물은 50~70%의 습도를 좋아한다.
  • 식충식물, 양치식물, 착생란은 70~80%의 습도를 좋아한다.
  • 다육식물과 선인장은 50% 이하의 습도를 좋아한다.
  • 공기 중 습도가 지나치게 높으면 웃자람이나 병해가 발생한다.
  • 공기 중 습도가 낮으면 잎 끝이 마른다.
  • 식물 종류에 따라 수분 요구도가 다르다

식물 분류

  • 수생식물은 잎자루(엽병)와 뿌리에 통기조직이 발달되어 있다.(물옥잠화, 연, 수련, 워터레터스)
  • 습생식물은 줄기에 통기조직이 발달되어 있어 수경 재배가 가능하다.(천남성과 식물)
  • 중생식물은 대부분 원예식물에 해당하며 수분이 너무 많으면 뿌리가 썩는 현상이 나타난다.
  • 건생식물은 저수 조직이 발달되어 있고 건조하고 통기성이 양호한 환경을 선호한다. (다육식물과 선인장)

수분 영향

  • 토양 내 물이 부족하면 잎이 시들고 영양 결핍 증상이 나타나며 뿌리털이 증가하고 심하면 말라 죽는다.
  • 토양 내 물이 과다하면 뿌리 썩음이 발생하고 생육이 억제되며 심하면 식물이 죽게 된다.

물주기

  • 물주기의 간격을 결정하는 요인에는 식물의 종류, 온도, 습도, 화분의 크기 및 토양의 종류가 있다.
  • 봄, 가을에는 1일 1회가 적당하며, 겨울에는 3~4일에 한 번 따뜻한 날에 물을 준다.
  • 대부분의 초화류는 가능하면 꽃이나 잎에 물이 닿지 않도록 토양에만 물을 준다.
  • 햇빛이 강한 여름철에는 잎 표면에 맺힌 물방울로 인한 렌즈 현상으로 잎이 타지 않도록 주의한다.
  • 화분식물은 표면이 약간 말라보일 때 바닥에서 물이 나올 정도로 충분히 관수한다.
  • 화분 받침에 오랫동안 물이 고여 있는 때에는 물이 썩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한다.
  • 한여름이나 겨울철에는 너무 차갑거나 뜨거운 물을 주지 않도록 주의한다.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생활과 원예 4주차 PDF

More Like This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