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치과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조성과 성질을 연구하고, 재료들이 구강 내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치과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조성과 성질을 연구하고, 재료들이 구강 내 환경과 상호 작용하는 방식을 연구하는 학문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치과생체재료학
표준규격은 왜 필요한가? 유사한 종류의 사항들에 대하여 무엇을 할 수 있도록 하는가?
표준규격은 왜 필요한가? 유사한 종류의 사항들에 대하여 무엇을 할 수 있도록 하는가?
공통적으로 적용
치과용 인상재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치과용 인상재의 젖음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첨가되는 물질은 무엇인가?
계면활성제
서로 다른 상(phase)의 물질들이 접촉할 때 계면에서 원자 또는 분자 단위의 결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특히 고체 표면 위에 액체가 접촉하고 있을 때 무엇이라 부르는가?
서로 다른 상(phase)의 물질들이 접촉할 때 계면에서 원자 또는 분자 단위의 결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특히 고체 표면 위에 액체가 접촉하고 있을 때 무엇이라 부르는가?
액체에서 표면 분자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 장력의 단위를 두 가지 쓰시오.
액체에서 표면 분자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하는 표면 장력의 단위를 두 가지 쓰시오.
고체 위에 위치한 액체가 고체와의 접촉부에서 이루는 각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이 각도가 크면 표면 에너지는 어떠한가?
고체 위에 위치한 액체가 고체와의 접촉부에서 이루는 각도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이 각도가 크면 표면 에너지는 어떠한가?
두 가지 이상의 재료가 표면에서 원자 또는 분자간의 결합을 통해 일체화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두 가지 이상의 재료가 표면에서 원자 또는 분자간의 결합을 통해 일체화되는 과정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접착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고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접착에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고체를 무엇이라고 하는가?
화학적 결합과 기계적 결합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각각 2단어)
화학적 결합과 기계적 결합은 각각 무엇을 의미하는가? (각각 2단어)
접착의 파괴 현상 중 치아와 본드가 깔끔하게 떨어지는 현상은 무엇인가?
접착의 파괴 현상 중 치아와 본드가 깔끔하게 떨어지는 현상은 무엇인가?
물질 1g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물질 1g의 온도를 1℃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물질의 온도가 1℃ 상승할 때, 단위 길이당 길이의 변화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물질의 온도가 1℃ 상승할 때, 단위 길이당 길이의 변화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둘 이상의 상(phase)으로 이루어진 물질에서 적어도 한 상이 원자나 저분자보다는 큰 입자의 상태로 다른 상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둘 이상의 상(phase)으로 이루어진 물질에서 적어도 한 상이 원자나 저분자보다는 큰 입자의 상태로 다른 상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색의 3요소를 쓰시오.
색의 3요소를 쓰시오.
금속 재료가 사용 환경 중의 물질과 반응하여 금속 이온 또는 비금속 화합물이 되어 손모되어 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금속 재료가 사용 환경 중의 물질과 반응하여 금속 이온 또는 비금속 화합물이 되어 손모되어 가는 현상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물체에 가해진 힘에 대하여 물체 내부에 발생한 단위면적당 반발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물체에 가해진 힘에 대하여 물체 내부에 발생한 단위면적당 반발력을 무엇이라 하는가?
물체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물체가 변형된 비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물체에 가해진 외력에 의해 물체가 변형된 비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필요한 단위체적당 에너지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필요한 단위체적당 에너지율을 무엇이라고 하는가?
환원반응 물질 (MTT, XTT, WST-1)을 이용하여, 세포독성 시험에서 무엇을 확인하는가?
환원반응 물질 (MTT, XTT, WST-1)을 이용하여, 세포독성 시험에서 무엇을 확인하는가?
제 2군 시험 중, hamster pouch에 적용하는 시험은 무엇인가?
제 2군 시험 중, hamster pouch에 적용하는 시험은 무엇인가?
치과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조성 및 성질을 연구하고 재료들이 사용되는 환경과 상호 반응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를 하는 ______이다.
치과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조성 및 성질을 연구하고 재료들이 사용되는 환경과 상호 반응하는 방식에 관한 연구를 하는 ______이다.
가장 단단한 인체 조직이자 ______ 조직인 치아의 특성으로 인해, 치과 재료는 특별한 요구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가장 단단한 인체 조직이자 ______ 조직인 치아의 특성으로 인해, 치과 재료는 특별한 요구 조건을 만족해야 합니다.
유사한 종류의 사항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적용 할 수 있도록 단체, 국가 및 세계적으로 보편 타당성 있게 설정한 ______ 및 시험방법을 표준규격이라고 합니다.
유사한 종류의 사항들에 대하여 공통적으로 적용 할 수 있도록 단체, 국가 및 세계적으로 보편 타당성 있게 설정한 ______ 및 시험방법을 표준규격이라고 합니다.
치과용 인상재의 젖음성을 높이기 위해 ______를 첨가합니다.
치과용 인상재의 젖음성을 높이기 위해 ______를 첨가합니다.
서로 다른 상(phase)의 물질들이 접촉하고 있을 때, 그 계면에서 원자 또는 분자 단위의 결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서로 다른 상(phase)의 물질들이 접촉하고 있을 때, 그 계면에서 원자 또는 분자 단위의 결합이 일어나는 현상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액체에서 표면 분자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하는 ______의 단위는 단위면적당 에너지(J/cm²) or 단위 길이당 장력(dyne/cm)입니다.
액체에서 표면 분자 간의 인력에 의해 발생하는 ______의 단위는 단위면적당 에너지(J/cm²) or 단위 길이당 장력(dyne/cm)입니다.
액체가 자발적으로 모세관 내부에 침투하는 ______은 액체의 젖음성과 표면 장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액체가 자발적으로 모세관 내부에 침투하는 ______은 액체의 젖음성과 표면 장력에 의해 발생합니다.
치아와 본드가 깔끔하게 떨어지는 ______은 접착의 파괴 현상 중 하나입니다.
치아와 본드가 깔끔하게 떨어지는 ______은 접착의 파괴 현상 중 하나입니다.
물질 1g의 온도를 1℃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물질 1g의 온도를 1℃ 상승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물질이 단위 온도차에서 단위면적을 통하여 단위시간동안 전달하는 열량과 그 거리를 ______이라고 합니다.
물질이 단위 온도차에서 단위면적을 통하여 단위시간동안 전달하는 열량과 그 거리를 ______이라고 합니다.
물질의 온도가 1℃ 상승할 때, 단위길이당 길이의 변화율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물질의 온도가 1℃ 상승할 때, 단위길이당 길이의 변화율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둘 이상의 상(phase)으로 이루어진 물질에서 적어도 한 상이 원자나 저분자보다는 큰 입자의 상태로 다른 상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둘 이상의 상(phase)으로 이루어진 물질에서 적어도 한 상이 원자나 저분자보다는 큰 입자의 상태로 다른 상에 분산되어 있는 것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가시적 측정법인 ______을 통해 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가시적 측정법인 ______을 통해 색을 측정할 수 있습니다.
재료의 구성 성분의 일부가 타액 또는 체액에 의해서 녹아서 용출되어 무게가 감소되는 현상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재료의 구성 성분의 일부가 타액 또는 체액에 의해서 녹아서 용출되어 무게가 감소되는 현상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금속재료가 사용 환경 중의 물질과 반응해서 금속이온 또는 비금속화합물이 되어 손모되어 가는 현상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금속재료가 사용 환경 중의 물질과 반응해서 금속이온 또는 비금속화합물이 되어 손모되어 가는 현상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두 재료를 본드로 붙였는데 일정 힘 P를 가했더니 떨어졌다면 ______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두 재료를 본드로 붙였는데 일정 힘 P를 가했더니 떨어졌다면 ______를 알아낼 수 있습니다.
물체가 파괴강도 이하의 응력에 장시간 또는 반복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일어나는 파괴를 ______이라고 합니다.
물체가 파괴강도 이하의 응력에 장시간 또는 반복적으로 노출되었을 때 일어나는 파괴를 ______이라고 합니다.
고분자재료에서 나타나는 흐름은 ______과 비슷한 건데 고분자재료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고분자재료에서 나타나는 흐름은 ______과 비슷한 건데 고분자재료에서 일어나는 것입니다.
물체 표면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______은 압입경도시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습니다.
물체 표면의 단단한 정도를 나타내는 ______은 압입경도시험을 통해 측정할 수 있습니다.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력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력을 ______이라고 합니다.
Flashcards
치과재료학이란?
치과재료학이란?
치과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조성, 성질, 사용 환경과 상호 반응을 연구하는 학문
치아의 특징
치아의 특징
가장 단단한 인체 조직이지만, 재생이 불가능하고 기계적 기능을 수행
구강의 특징
구강의 특징
온도, 산도 변화가 심하고, 저작 작용과 항상 타액에 젖어 있는 습윤 환경
표준규격이란?
표준규격이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계면활성제 역할
계면활성제 역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물질의 상(Phase)
물질의 상(Phas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흡착(Adsorption)
흡착(Adsorptio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액체의 표면 장력
액체의 표면 장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계면활성제
계면활성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접촉각
접촉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모세관 현상
모세관 현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접착 (Adhesion)
접착 (Adhesion)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피착재 (Adherend)
피착재 (Adherend)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비열 (C)
비열 (C)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열전도율(K)
열전도율(K)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선열팽창계수(α)
선열팽창계수(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콜로이드
콜로이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색의 3 요소
색의 3 요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조건등색
조건등색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용해
용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계면에서의 접착력
계면에서의 접착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효과적인 접착 조건
효과적인 접착 조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접착 파괴 (Adhesive Failure)
접착 파괴 (Adhesive Failur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응집 파괴 (Cohesive Failure)
응집 파괴 (Cohesive Failure)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비열
비열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열전도율
열전도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선팽창계수
선팽창계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응력
응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변형률
변형률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포아송비
포아송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신율
연신율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인성 (Toughness)
인성 (Toughness)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탄성계수
탄성계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연성 (Ductility)
연성 (Ductility)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전성 (Malleability)
전성 (Malleability)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피로
피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크리프
크리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흐름
흐름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점성
점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생체적합성
생체적합성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치과생체재료학 정의
- 치과에서 사용되는 재료의 조성, 성질, 사용 환경과의 상호 반응을 연구하는 학문
치아와 구강의 특성
- 치아: 인체에서 가장 단단한 조직이며 재생이 불가능하고 기계적 기능을 수행
- 구강: 심한 온도 및 산도 변화, 저작 작용, 습윤 환경 등의 특징을 지님
치과재료 요구 성질
- 구강 환경의 특성을 고려하여 개발되어야 함
표준규격
- 유사한 종류의 사항에 대해 단체, 국가, 세계적으로 공통 적용될 수 있도록 설정된 기준 및 시험방법
물리화학적 성질
- 치과용 인상재의 젖음성을 높이기 위해 계면활성제가 첨가됨
물질의 상(Phase)
- Gibbs의 상 규칙에 따라 온도와 압력에 의해 결정됨
결정질
- 금속, 결정성 세라믹 등이 해당되며, bravis 격자 구조(BCC, FCC, HCP)를 가짐
비결정질
- 비정형 고분자, 유리 등이 해당됨
흡착 (Adsorption)
- 서로 다른 상의 물질이 접촉 시 계면에서 원자 또는 분자 단위의 결합이 일어나는 현상
- 고체 표면 위에 액체가 접촉하는 경우, 젖음(wetting)이라고 부름
액체의 표면
- 표면 장력: 액체에서 표면 분자 간 인력으로 발생
- 표면 장력 단위: 단위 면적당 에너지(J/cm²) 또는 단위 길이당 장력(dyne/cm)
계면활성제
- 액체-기체 계면에 집중 배열되어 액체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는 물질
- 치과용 인상재에 사용됨
접촉각
- 고체 표면의 액체가 고체와 접촉하는 각도
- 접촉각이 클수록 액체가 동글동글해지고 표면 에너지가 큼
모세관 현상
- 액체가 자발적으로 모세관 내부로 침투하는 현상
- 액체의 젖음성과 표면 장력에 의해 발생
접착 (Adhesion)
- 두 가지 이상의 재료가 표면에서 원자 또는 분자간 결합을 통해 일체화되는 과정
피착재 (Adherend)
- 접착 시 접착제에 의해 접착되는 동종 또는 이종의 고체
계면에서 접착력
- 화학적 결합(본드의 화학적 성질) 또는 기계적 결합(울퉁불퉁한 표면에서의 맞물림)을 통해 발생
효과적인 접착
- 액상 접착제와 피착체 간 완전한 접착면 형성 필요
- 피착제 표면에서 접착제의 흐름성이 좋아야 함
- 피착제의 표면 처리가 중요 (울퉁불퉁하게 만들기)
접착 파괴 현상
- 접착 파괴 (Adhesive failure): 치아와 본드가 깔끔하게 떨어짐
- 응집 파괴 (Cohesive failure): 본드가 약함
- 혼합 파괴 (Mixed failure): 접착 파괴와 응집 파괴가 혼합되어 나타남
고체 표면과 액체의 관계
- 표면 장력이 클수록 고체 표면에 액체가 납작하게 퍼지고, 표면 장력이 작을수록 액체가 둥글게 뭉침
비열(C)
- 물질 1g의 온도를 1°C 올리는 데 필요한 열량
열전도율(K)
- 단위 온도 차이에서 단위 면적을 통해 단위 시간 동안 전달되는 열량
치과 재료의 열적 성질 중요성
- 수복물과 치질은 법랑질 및 상아질과 유사한 열전도율과 열팽창계수를 가져야 함
- 금속 수복물은 열충격 유발 가능성이 높아 열전도율이 낮은 재료로 베이스 층 형성 필요
- 고분자 의치상 재료는 열전도율이 낮아 음식물의 온도 전달을 차단
선열팽창계수(α)
- 물질 온도가 1°C 상승할 때 단위 길이당 길이 변화율
콜로이드
- 두 개 이상의 상으로 이루어진 물질에서 적어도 한 상이 원자나 저분자보다 큰 입자 상태로 분산된 것
치과에서의 콜로이드
- 인상재, 복합레진 내 무기 필러, 콜로이드 인상재 등으로 활용
색의 3요소
- 색상(hue), 명도(value), 채도(chroma)
색의 측정
- 가시적 측정법: Munsell 표색계
- 장비 측정법: 분광광도계, 색도계
광원
- CIE(Commission Internationale de l'Eclairage)에서 표준 광원 규정
색 일치의 조건
- 광원, 크기 효과, 배경 효과, 방향, 관찰자 훈련 등이 중요
조건등색 (Metamerism)
- 서로 다른 광원 아래에서 물체의 색 일치도가 달라 보이는 현상
- 치과나 기공실 조명이 동일해야 함
형광
- 심미치과 재료에 형광 물질 첨가 (자연치도 형광성 있음)
용해
- 재료 구성 성분 일부가 타액 또는 체액에 의해 녹아 용출되어 무게가 감소하는 현상
흡수
- 고체나 액체 표면에 흡착된 물질이 확산과 삼투에 의해 내부로 빨려 들어가는 현상
부식
- 금속 재료가 사용 환경 속 물질과 반응하여 금속 이온 또는 비금속 화합물이 되어 손모되는 현상
전기화학적 전지
- 양극(산화, 반응성 높음 금속), 음극(환원, 반응성 낮은 금속), 전해질로 구성
갈바닉 부식
- 필수 조건: 전위차와 전해질
치과용 금속의 부식
- 갈바닉 부식: 다상 구조 금속에서 서로 다른 상 간의 부식 전지 형성
- 임계 부식: 응고 과정에서 형성된 결정 입계와 중심 간 차이에 의한 부식 전지 형성
- 응력 부식: 응력 받은 부위가 양극으로 작용하여 부식 전지 형성
- 틈 부식: 틈이나 기공 부위와 표면 간 산소 농도 차이에 의한 부식 전지 형성
재료의 기계적 성질
- 7개 기본 단위: 길이(m), 질량(kg), 시간(s), 전류(A), 온도(K), 몰질량(mol), 광도(cd)
단위 Prefix
- Mega (M, 10^6), Kilo (k, 10^3), Nano (n, 10^-9), Micro (μ, 10^-6), Milli (m, 10^-3), Centi (c, 10^-2)
힘과 변형 관계
- 물체에 가해진 힘에 따라 물체는 변형됨
- 탄성 변형: 힘이 제거되면 원래 형태로 복귀 (스프링)
- 소성 변형: 힘이 제거되어도 원래 형태로 복귀 안 됨
응력
- 외력에 대한 물체 내부의 단위 면적당 저항력
- 외력과 크기는 같고 방향은 반대
- 기본 단위: Pa(N/m²), MPa(N/mm²)
변형률
- 외력에 의해 물체가 변형된 비율 (단위 없음)
포아송비
- 소성 변형 시, 축 방향 변형률에 대한 수직 방향 변형률의 비
인장 시험
- 재료의 인장 강도, 탄성 계수 등을 측정하는 시험
연신율
-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늘어난 길이를 원래 길이로 나눈 값
- 연신율이 클수록 연성과 전성이 우수하고 포아송 값이 큼
인성(Toughness)
- 재료가 파괴될 때까지 필요한 단위 체적당 에너지율
탄성계수
- 탄성 범위 내에서 재료가 갖는 강성(stiffness) 정도
- 응력-변형률 곡선에서 직선부 기울기
연성(Ductility)
- 인장력 하에서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영구 변형될 수 있는 정도
전성(Malleability)
- 압축력 하에서 재료가 파괴되지 않고 영구 변형될 수 있는 정도
굽힘 시험
- 재료의 굽힘 강도, 탄성 계수 등을 측정하는 시험
- 외팔보 굽힘시험, 3점 굽힘시험, 4점 굽힘시험, 이축 굽힘시험 등이 있음
결합강도
- 접착제로 붙인 두 재료가 떨어질 때 필요한 힘을 면적으로 나눈 값
피로
- 파괴 강도 이하의 응력에 장시간 또는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일어나는 파괴
- 스트레스 축적과 관련
- 치과 보철물이나 치과 임플란트의 파괴 원인이 될 수 있음
크리프
- 항복 강도 이하의 응력에서 장시간 또는 반복적으로 노출될 때 일어나는 영구 변형
- 주로 금속 재료에서 나타남
흐름
- 고분자 재료에서 나타나는 크리프와 유사한 현상
경도
- 물체 표면의 단단한 정도
압입 경도 시험
- 흠집을 내서 흠집 크기를 측정하는 방식 (비커스, 로크웰, 브리넬, 누우프)
반발 경도 시험
- 쇼어 경도 시험 (탄성체)
점성(η)
- 유체의 흐름에 대한 저항력
점성체의 종류
- Pseudoplastic: 빨리 저을수록 점성 감소
- Thixotropic(요변성): 시간이 지날수록 유동성이 증가
점탄성
- 유체와 탄성체의 성질을 모두 갖는 상태 (대부분 물질이 해당)
- Dash pot와 Spring model로 설명
Maxwell & Voight 모델
- 재료의 점탄성을 설명하는 모델, 실제 점탄성체는 직렬과 병렬 모델의 혼합
생체적합성 (Biocompatibility)
- 생체 재료가 생체 내에서 적절한 반응을 유도하는 능력
생체 재료 분류
- 생체 활성 (bioactive), 생체 흡수성 (bioresorbable), 생체 비활성 (bioinert)
생체적합성 시험 분류 (전임상 시험)
- 제1군: 세포 독성 평가
- 제2군: 반응 영역별 안전성 시험 평가 (피부, 알레르기, 유전자 등)
- 제3군: 적용 시험 평가 (임상 사용 시 평가, 동물 실험)
접촉 방법
- 표면 접촉 (거즈, 인상재), 외부 연결 (링거액, 수복물), 이식 (스텐트, 임플란트 나사)
접촉 기간
- 24시간 이하, 24시간~30일, 30일 초과 등으로 분류
세포독성 시험
- 실험실에서 세포 이용, 물질 안전성 평가
세포독성 시험의 장점
- 경제성, 빠른 시간, 윤리적, 생명체 초기 반응 유사, 표준화, 정량적 결과, 민감성
세포독성 시험의 단점
- 단일 세포종에만 적용 가능, 개체 시스템 기능 반영 불가
사용 세포 종류
- 일차 배양 세포 (Primary cells): 개체에서 직접 채취, 적용 부위와 같은 세포 사용
- 적용 부위의 세포를 이용하므로 현실성이 있음
- 배양하기 어려움
- 개체에 따른 차이로 인해 세포의 차이가 있음
- 확립 세포주 (Cell lines): 1차 배양 세포의 변형 세포주 (세포독성 시험에 주로 사용)
- 배양의 계속성이나 개체에 따른 차이를 배제할 수 있음
- 취득이 용이함
- 타 기관과 비교 평가 가능
효소 활성 평가
- 환원 반응 물질 (MTT, XTT, WST-1) 사용, 세포 생존 정도 확인
간접법
- 한천 중층 시험법 (Agar diffusion test) 주로 사용, 시험 물질을 세포에 간접 접촉
제2군 시험
- 자극성 시험: 구강 점막 자극 시험 (햄스터 볼 주머니에 적용)
- 감작성 시험 (Sensitization test): 기니픽 이용 극대화, 마우스 이용 LLNA 대체
- 유전 독성 시험: AMES test (에임즈 실험), 유일하게 박테리아로 하는 시험
제3군 시험
- 적용 시험: 실험 동물에 적용, 안전성과 유효성 평가
- 종류: 치수 및 상아질 적용 시험, 치수 복조 시험(치수 노출 상태), 근관 적용 시험
제1,2,3군 시험 관계
- 제1군 시험 독성은 제2군 시험에도 나타날 가능성 높음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님)
- 제1군 시험은 스크리닝 테스트 가치 有
금속 재료의 생체 적합성
- 아말감: 수은 위해성 논란, 종사자 위험 관리 중요, 미나마타 수은 협약(2013.10.11.)
- 베릴륨: 비귀금속 물성 개선 위해 소량 첨가 (과거), 가공 시 분진에 의한 발암성
- 환자보다는 종사자들의 위험 관리 (Berylliosis-발암물질)
- 현재 국내에서는 베릴륨 함유 합금 사용 금지
레진계 재료의 생체 적합성
- 레진 단량체: 심한 독성, 글루타티온 감소, 세포 내 활성 산소종 증가,
- 레진 중합체: 생체 비활성
환경 호르몬
- Bisphenol A: 남성 생식 능력 저하, 치과용 레진 분리 유출 정도는 논란 중
가소제
- 플라스틱을 더 유연하게 만드는 물질, phthalate 계 가소제 독성 有, 국내 사용 금지
치아 미백제 안전성
- 과산화수소 독성: 고농도(>35%)는 국소 조직 손상, 섭취 시 치명적
- 치아 미백제 국소 부작용: 치아 과민성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