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odcast
Questions and Answers
1970년대 한국 정부가 수출 진흥을 위해 시행한 정책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970년대 한국 정부가 수출 진흥을 위해 시행한 정책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 수출 기업에 대한 전기 요금 인상
- 직접적인 수출 인센티브 강화 (correct)
- 수출기반 소득세 및 법인세 경감 폐지
- 수출 목적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 감면 제도를 환급으로 대체
1970년대 한국 중화학공업(HCI) 육성 정책의 배경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입니까?
1970년대 한국 중화학공업(HCI) 육성 정책의 배경으로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입니까?
- 선진국의 공정한 무역 확대 기대 (correct)
- 저임 노동집약산업의 한계 인식
- 자주국방을 위한 산업 기반 구축 필요
- 수출 산업 고도화 필요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금융 지원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을 위한 정부의 금융 지원 정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 은행의 대규모 대출을 통한 관치 금융 강화
- 대출 금리를 일반 장기 대출 금리보다 높게 설정 (correct)
- 국민투자기금 재원을 조성하여 특수은행, 개발금융기관 등에 지원
- 선정 업종에 정책 금융 공급 및 조세 감면 제공
한국의 중화학공업(HCI) 정책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입니까?
한국의 중화학공업(HCI) 정책 특징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입니까?
1980년대 한국 경제의 고성장 기반이 된 '3저 현상'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980년대 한국 경제의 고성장 기반이 된 '3저 현상'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법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법안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1975년 오일쇼크 이후 한국 정부가 수출 증진을 위해 도입한 제도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1975년 오일쇼크 이후 한국 정부가 수출 증진을 위해 도입한 제도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GTC)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GTC)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초기 종합무역상사(GTC)에 대한 정부 지원 내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초기 종합무역상사(GTC)에 대한 정부 지원 내역에 해당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1981년 종합무역상사의 총 수출액 비중은 한국 전체 수출액의 얼마를 차지했습니까?
다음 중 1981년 종합무역상사의 총 수출액 비중은 한국 전체 수출액의 얼마를 차지했습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GTC)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사항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GTC)의 문제점으로 지적된 사항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2023년 현재 존속하는 7대 종합무역상사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2023년 현재 존속하는 7대 종합무역상사에 해당하지 않는 기업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 제도의 변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 제도의 변천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전문무역상사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전문무역상사 제도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무엇입니까?
1973년 1월, 한국 정부가 중화학공업(HCI) 중심의 공업화정책을 선언한 후, 1977년까지 달성하고자 했던 목표는 무엇이었습니까?
1973년 1월, 한국 정부가 중화학공업(HCI) 중심의 공업화정책을 선언한 후, 1977년까지 달성하고자 했던 목표는 무엇이었습니까?
1970년대 공업구조 고도화 목표 중, 중화학공업 비율 확대 목표는 다음 중 어느 범위에 해당합니까?
1970년대 공업구조 고도화 목표 중, 중화학공업 비율 확대 목표는 다음 중 어느 범위에 해당합니까?
6대 전략 업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6대 전략 업종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무엇입니까?
베트남 전쟁 상황과 관련된 미국의 정책 변화 중, 한국의 중화학공업 육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입니까?
베트남 전쟁 상황과 관련된 미국의 정책 변화 중, 한국의 중화학공업 육성에 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친 것은 무엇입니까?
1970년대 한국 정부의 R&D 지출 수준은 GDP의 어느 정도 수준이었습니까?
1970년대 한국 정부의 R&D 지출 수준은 GDP의 어느 정도 수준이었습니까?
다음 중 1970년대 수출 상품 구조 고도화 목표로 제시된 중화학공업제품 수출 비중의 증가 목표치는 무엇입니까?
다음 중 1970년대 수출 상품 구조 고도화 목표로 제시된 중화학공업제품 수출 비중의 증가 목표치는 무엇입니까?
1970년대 한국 정부가 수출 진흥을 위해 관세 감면 제도를 환급으로 대체한 이유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1970년대 한국 정부가 수출 진흥을 위해 관세 감면 제도를 환급으로 대체한 이유로 가장 적절하지 않은 것은 무엇일까요?
1975년 한국 정부가 수출 기업에 대해 전기 요금을 인상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1975년 한국 정부가 수출 기업에 대해 전기 요금을 인상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 과정에서 정부가 전체 R&D 지출의 상당 부분을 담당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1970년대 중화학공업 육성 과정에서 정부가 전체 R&D 지출의 상당 부분을 담당한 이유는 무엇이었을까요?
1980년대에 비해 1970년대에 중화학공업이 부진했던 배경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1980년대에 비해 1970년대에 중화학공업이 부진했던 배경에는 무엇이 있을까요?
다음 중 1970년대 한국 경제 정책의 방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1970년대 한국 경제 정책의 방향과 가장 거리가 먼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 제도의 도입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 제도의 도입 배경으로 가장 적절한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다음 중 종합무역상사의 주요 기능이 아닌 것은 무엇입니까?
1980년대 이후 한국 경제에서 종합무역상사의 역할이 축소된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1980년대 이후 한국 경제에서 종합무역상사의 역할이 축소된 주된 이유는 무엇입니까?
전문무역상사 제도의 주요 목표는 무엇입니까?
전문무역상사 제도의 주요 목표는 무엇입니까?
Flashcards
중화학공업(HCI) 중심 공업화 정책
중화학공업(HCI) 중심 공업화 정책
1973년 1월에 선언된 중화학공업 중심의 공업화 정책.
공업구조 고도화
공업구조 고도화
공업 구조를 발전시키고 선진화하는 것. 중화학공업 비중을 확대하는 목표를 포함
수출상품구조 고도화
수출상품구조 고도화
수출 상품의 품질과 가치를 높이는 것. 중화학공업 제품의 수출 비중을 증가시키는 목표를 포함
해외시장 지향
해외시장 지향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추진 주체는 민간기업
추진 주체는 민간기업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요견인 전략
수요견인 전략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HCI의 성과
HCI의 성과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3저 현상
3저 현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1970년대 수출진흥 축소
1970년대 수출진흥 축소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출기업 전기요금 인상
수출기업 전기요금 인상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정책금융 공급, 조세 감면 제공
정책금융 공급, 조세 감면 제공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민투자기금
국민투자기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대출금리 5%p 인하
대출금리 5%p 인하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외자 도입
외자 도입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종합무역상사(GTC)
종합무역상사(GTC)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출 목표 미달
수출 목표 미달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출 마케팅 능력 강화
수출 마케팅 능력 강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출 시장의 다변화
수출 시장의 다변화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국제입찰 경합 시 우선 지원
국제입찰 경합 시 우선 지원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수출입 대행 부분 영업세 면제
수출입 대행 부분 영업세 면제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공업 구조 개편
- 1973년 1월, 중화학공업(HCI) 중심의 공업화 정책이 발표됨
- 1977년까지의 목표는 1인당 1,000달러 소득과 연간 100억 달러 수출 달성이었음
- 해당 정책은 1979년 4월, 종합 안정화 계획이 발표될 때까지 추진됨
- 공업 구조 고도화 목표는 중화학공업 비율을 1972년 35%에서 1981년 51%로 확대하는 것이었음
- 수출 상품 구조 고도화 목표는 중화학공업 제품 수출 비중을 1972년 27%에서 1981년 65%로 증가시키는 것이었음
- 철강, 비철금속, 기계, 조선, 전자, 화학공업이 6대 전략 업종으로 선정됨
중화학공업 육성 배경
- 자주국방을 위한 산업 기반(방위산업)을 구축할 필요가 있었음
- 북한의 잦은 도발이 원인이 되었음
- 1968년 1월 21일 김신조 사태가 발생함
- 1969년 11월 동해안 지역에 공비가 침투함
- 북한의 잦은 도발이 원인이 되었음
- 베트남 전쟁으로 인해 미국 지상군이 1971~75년 단계적으로 철수할 계획이었음
- 1969년 닉슨 독트린에 따라 동맹국의 안보를 스스로 책임져야 했음
- 저임금 후발국의 추격으로 수출 산업 고도화가 필요했음
- 선진국의 불공정 무역 규제에 대한 대안 모색이 필요했음
- 저임 노동집약 산업의 한계가 있었음
미국의 보호무역주의
- 반덤핑법(1921): 덤핑 수출에 대한 제재
- 스무트-홀리 관세법(1930): 수입품에 높은 관세 부과
- 무역확장법(1962): 국가 안보를 이유로 수입 제한
- 트럼프 정부 시기 철강, 알루미늄 등에 관세 부과에 활용됨
- 무역법(1974): 불공정 무역 관행에 대한 제재
- 트럼프 정부 시기 중국의 미국 기술 탈취 행위에 적용, WTO에서 불법 판정 받음
- 상호 관세 부과 근거로 활용됨
- 국가긴급경제수권법(1977): 경제 제재, 자산 동결, 거래 제한 등의 광범위한 조치 가능
- 트럼프 정부 시기 마약 유입 및 불법 이민 차단에 대한 불협조를 이유로 캐나다, 멕시코에 적용됨
- 종합무역법(1988): 환율 조작을 제재
- 환율 조작 지정 요건 명시
- 무역원활화 및 무역집행법(2015): 무역 원활화 및 집행 관련 규정 포함
1970년대의 수출 진흥 축소
- 1960년대 실시한 직접적인 인센티브가 폐지됨
- 중소규모 수출 제조업체의 난립이 심화됨
- 정부 수출 진흥 재원 부족 문제 발생
- 1973년 수출 기반 소득세 및 법인세 경감이 폐지됨
- 1975년 수출 목적의 수입품에 대한 관세 감면 제도가 환급으로 대체됨
- 관세를 먼저 납부하고 나중에 환급받는 구조로 현금 흐름 개선
- 정부는 일시적으로 관세 수입을 확보
- 정부는 관세로 징수한 자금을 활용하여 단기적인 재정 운용의 유연성을 증가시킴
- 감면보다 환급 시스템이 관리와 통제가 용이하여 행정 효율성 향상
- 단기적인 재원 확보와 장기적인 수출 지원이라는 두 가지 목표를 달성
- 1975년 수출 기업에 대한 전기 요금이 인상됨
HCI 지원 정책
- 선정 업종에 정책 금융이 공급되고 조세 감면이 제공됨
- 예금은행, 보험회사, 공공기금 예탁에 의해 국민투자기금 재원이 조성되어 특수은행, 개발금융기관, 시중은행, 지방은행에 지원됨
- 대출 금리는 일반 장기 대출 금리보다 5%p 낮게 책정됨
- 은행도 대규모 대출을 제공(관치금융)
- 중화학공업의 외국산 설비재 구입을 위한 외자 도입
- 기술 인력 공급을 위해 전문학교와 직업 교육 기관이 확대되고 신설됨
- 기술 개발을 위해 정부 출연 정책 연구소가 신설되고 확대됨
- 선진 기술 소화, 국산화, 전문적 기술 지원 제공
- 정부가 전체 R&D 지출의 50~70%를 담당
- 1970년대 R&D 지출은 GDP의 0.5%로 낮은 수준이었음
한국 HCI 정책의 특징
- 경제 성장에 최우선 순위를 둔 박정희 대통령의 리더십이 중요하게 작용함
- 관료 조직이 효율적으로 통제 및 활용됨
- 기업가들이 positive-sum 생산 활동에 나서도록 독려
- 노동집약적 경제와 자본집약적 경제는 노동과 자금을 주요 생산요소로 함
- 양적 자원을 누가 더 많이 차지하느냐의 '제로 섬(zero sum)' 성격이지만 positive-sum은 상생과 동반 성장을 의미함
- 규모의 경제(economy of scale)를 실현함
- 해외 시장 지향적인 정책을 추진함
- 내수 충족을 위한 수입 대체화 및 수출 100억 달러 달성을 위한 수단으로 활용
- 국제 경쟁 필수, 기술과 정보 획득 통로로 활용
- 정부 주도였으나, 추진 주체는 민간 기업이었음
- 삼성, 현대 등 대기업을 전면으로 내세움
- 이윤 창출을 동기로 생산성 증대 유인
- 정부는 세제와 금융 지원에 주력
- 다른 개발 도상국과 차별적인 발전 전략을 구사
- 후방 연관 효과를 극대화하는 수요 견인 전략을 사용함
- 최종 제품 생산 수요, 중간 제품 생산 수요, 원료 수요 순서의 상향법
HCI의 성과
- 산업 구조와 수출 상품 구조의 고도화 계기가 됨
- 1980년대 3저 현상(저금리, 저유가, 저달러)을 이용함
- 원화 저평가, 저유가, 저금리 현상이 나타남
- 1986~88년 3년 연속 12%를 넘는 고성장의 기반이 됨
종합무역상사(GTC) 제도 도입
- 배경
- 오일 쇼크로 인해 1975년 수출 목표 미달이 심각했음
- 정치적 정당성 위기 (1972년 10월 유신 개헌)
- 중소규모 수출 제조업체의 난립했음
- 일본의 종합무역상사(sogo-shosha) 제도를 연구
- 1975년 정부 주도로 대기업과 협의하여 종합무역상사를 창설함
- 엄격한 지정 요건과 정부 주도의 지원 체계를 유지함
- 오일 쇼크로 인해 1975년 수출 목표 미달이 심각했음
- 목적
- 수출 마케팅 능력을 갖춘 대규모 무역회사 설립
- 부문별 해외 구매 기업과 지속적인 접촉 유지
- 수출품의 다양화
- 수출 시장의 다변화
- 수출 마케팅 능력을 갖춘 대규모 무역회사 설립
무역상사의 유형
- European Trading Houses: 다변화, 특정 지역 무역 특화 (역사적 연관성, 지리적 근접성, 무역협정 기반)
- US Export Trading Companies: 다변화
- 일본의 sogo-shosha: 다변화
- 한국의 GTCs: 다변화
초기 GTC 지원 내역
- 무역 행정 지원
- 국제 입찰 경합 시 우선 지원
- 원자재 수입에 우선권 부여
- 행정상의 보조
- 금융 지원
- 수출 신용장만으로 은행의 우선적 금융 지원
- 수출 금융 혜택 제공
- 비축용 원자재 및 중간재 구매를 위한 신용장 개설 허용
- 외환 거래 혜택
- 해외 지사 활동비 증액 (주재원 1인당 월 1,000달러에서 1,400달러로 인상)
- 해외 외화 보유 한도 확대 (50만 달러에서 100만 달러로 인상)
- 해외 사무소 설치비 지급 절차 간소화 (사후 승인제에서 사전 지급제로 변경)
- 외환 관리의 편의성 제고
- 세제 혜택
- 수출입 대행 부분에 대한 3.5% 영업세 전액 면제
종합무역상사의 실적
- 무역 실적(1981년 기준)
- 대우: US$1,914 million
- 현대: US$1.723 million
- 삼성: US$1,620 million
- 종합무역상사 총계: US$9,096 million (43.3% / 한국 총 수출액 US$20,993 million)
- 수출품 다변화
- 종합무역상사가 수출한 중공업 제품
- 47.7% (1977) -> 60.9% (1981, 한국 전체 수출에서는 45.3%)
- 종합무역상사가 수출한 중공업 제품
- 수출 시장 다변화
- 전통 시장 (북미, 서유럽, 아시아): 79.3%->66.4%
- 신시장 (중동, 중남미, 대양주, 아프리카): 20.7%->33.6% (한국 전체 수출에서는 23.6%)
종합무역상사의 문제점
- 수익성 악화
- 영업이익률: 1.4% (1977)-> 0.2% (1981)
- 자기자본비율: 18.8% -> 9.9%
- 원인
- 초기 투자 비용 과다 및 회수 기간 장기화
- 상사 간 과다 경쟁
- 금리 상승
- 환차손/환차익 관리 리스크
- 1980년 1월, 한국의 환율 제도가 고정 환율제에서 변동 환율제로 전환 (달러당 485원 -> 580원)
현존하는 7대 종합무역상사
- 삼성물산 / Samsung C&T
- 포스코인터내셔널 / POSCO International Corporation (전 대우상사)
- LX인터내셔널 / LX International Corporation (전 LG상사)
- 현대(종합)상사 / Hyundai Corporation
- SK네트웍스 / SK Networks Co., Ltd.
- 효성 T&C / Hyosung Corporation
- GS글로벌 / GS Global Corporation (전 쌍용물산)
제도 변천
- 1990년대 중반 이후
- 세계무역기구(WTO) 출범과 함께 교역 환경 변화
- GTC에 주어졌던 각종 혜택이 대폭 축소되기 시작
- 2000년대
- 정부의 특별한 지원 없이 명목 유지
- 2008년
- 지식경제부, 종합무역상사 지정제도를 민간에 이양하는 내용을 포함한 대외무역법 개정안 준비
- 2009년 10월 23일
- 대외무역법 개정, 종합무역상사 지정제도 공식 폐지
- 이후 종합무역상사 제도의 관리 권한은 무역협회로 이관
- 2014년
- 대외무역법 개정으로 전문무역상사 제도 신설
전문무역상사 제도
- 2014년 대외무역법 개정으로 법제화
- 수출 경험이 풍부한 기업을 전문무역상사로 지정하여 수출 초보기업의 시장 개척 지원
- 산업자원부 주관 및 무역협회 위탁 운영
- 중소기업, 전문무역상사, 수출지원기관 간의 유기적 협력을 통해 효과적인 수출 네트워크를 구축하는 것을 목표
- 2014년 도입 이후 10년 동안 전문무역상사의 수가 162개사에서 601개사로 증가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