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강생화학_5_구강연조직(2)_정원윤_2.pdf

Choose a study mode

Play Quiz
Study Flashcards
Spaced Repetition
Chat to Lesson

Podcast

Play an AI-generated podcast conversation about this lesson
Download our mobile app to listen on the go
Get App

Questions and Answers

다음 중 치은 기저막의 주된 PG는?

  • Syndecan
  • CD-44
  • Hyaluronan
  • Perlecan (correct)

다음 중 치은 섬유모세포가 발현하는 비교원성 단백질로, 교원질 등의 수용체로 작용하여 세포 접착에 관여하는 것은?

  • 라미닌(laminin)
  • 인테그린 (correct)
  • 오스테오넥틴(osteonectin)
  • 피브로넥틴(fibronectin)

다음 중 치은의 대사 과정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

  • 사람 정상 치은의 호흡률은 다른 조직에 비해 낮은 편이다.
  • 치은의 glycosaminoglycan은 피부나 연골에 비해 반감기가 빠르다.
  • 치은과 치주인대는 다른 결합조직 단백질에 비해 단백질 교체율이 느리다. (correct)
  • 사람 정상 치은의 호흡률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한다.

다음 중 치은에서 혐기성 해당과정이 활발하게 일어난다는 사실을 가장 잘 나타내는 지표는?

<p>Lactate dehydrogenase 효소 활성이 높다.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cytokine에 의해 자극받아 섬유모세포에서 생성되어 치은 기질 분해를 일으키는 효소는?

<p>Collagenase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정상 치은조직과 비교했을 때, 치은의 염증 부위에서 나타나는 특징적인 변화로 옳은 것은?

<p>섬유모세포가 제 I형 삼량체(trimer, [α1(I)]3)를 분비 (D)</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치주인대의 주된 기능이 아닌 것은?

<p>백혈구 생성 및 면역 반응 조절 (B)</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치주인대를 구성하는 세포성분으로 옳지 않은 것은?

<p>연골세포 (C)</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다음 중 치주인대의 교원질에 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p>섬유아세포는 식작용(phagocytosis)을 통해 교원질 섬유를 탐식하며 치주인대의 재조성에 관여한다. (A)</p> Signup and view all the answers

Flashcards

치은 조직의 1형 콜라겐 특징

크고 조밀한 두꺼운 섬유로, 고유층에서 더 조밀하게 발견됨

치은 조직의 III형 콜라겐 특징

느슨하며 짧고 얇은 섬유로 세밀한 그물 조직을 형성함

히알루론산 위치

치은 상피세포 표면과 상피세포 사이 존재

라미닌의 역할

기저막의 주된 비교원성 당단백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은의 지질

건조 중량의 7.35%를 차지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케라틴 위치

각화세포에서만 발현되는 단백질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은의 호흡률

정상 치은의 호흡률은 평균 1.49로 다른 조직에 비해 낮은 편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결합조직 단백질 교체율

치은과 치주인대는 다른 결합조직 단백질에 비해 단백질 교체율이 비교적 빠르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Lactate dehydrogenase

사람 치은에서 Lactate dehydrogenase 효소 활성이 압도적으로 높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치주인대 형성 시기

치주인대는 치근 완성에 이어 그 형성이 시작된다

Signup and view all the flashcards

Study Notes

다음은 제공된 텍스트에 대한 학습 노트입니다.

염증성 치은 조직의 콜라겐 구성

  • 염증성 치은에서 macrophage가 collagenase를 분비하면 두꺼운 1형 콜라겐은 미미하게 감소하고 얇고 느슨한 3형 콜라겐이 감소합니다.
  • 1형 콜라겐은 [α1(I)]₃로 바뀌며, 수산기가 많아져 중성 pH에서 용해도가 높아지므로 치은염에 대한 저항력이 약해집니다.

프로테오글리칸

  • 치은 상피세포 표면과 상피세포 사이에는 hyaluronan, decorin, syndecan, CD-44가 존재합니다.
  • 치은 기저막에는 perlecan(heparin sulfate)이 주된 구성 성분입니다.
  • 치은 결합조직에는 decorin, biglycan, versican이 있습니다.
  • 더마탄 황산이 주된 저분자량 프로테오글리칸입니다.
  • 콘드로이틴 4-황산과 헤파란 황산은 고분자량 프로테오글리칸에 함유됩니다.

비교원성 단백질

  • 인테그린: 치은 상피세포와 기저막에 존재하며 세포 부착에 관여합니다.
  • 섬유모세포는 vitronectin, fibronectin, 교원질 등을 수용체로 발현하며 RGD sequence를 통해 세포 접착을 합니다.
  • 라미닌: 기저막의 주된 비교원성 당단백질입니다.
  • 라미닌은 nidogen(entactin)과 복합체를 형성하여 제 Ⅳ형 교원질과 상호작용하며 인테그린과 부착하여 세포 부착에도 관여합니다.
  • fibronectin, osteonectin, elastin(치은 전 단백질의 약 6%), tenascin 등이 있습니다.

지질

  • 치은 건조 중량의 7.35%를 차지합니다.
  • 치은 상피조직에는 인지질이 풍부하고, 결합조직에는 다량의 triacylglycerol, cholesterol이 있습니다.
  • 거의 모든 arachidonic acid는 결합조직에 존재하며, 섬유모세포가 prostaglandin을 합성합니다.

케라틴

  • 구강열구상피와 접합상피는 비각화중층편평상피입니다.
  • 구강 및 치은상피는 각화세포가 주된 세포입니다.
  • 분자량에 따라 번호가 부여되며, 기저층의 각화세포는 저분자량의 keratin을, 표층으로 갈수록 고분자량의 keratin을 발현합니다.

당질, 유리아미노산

  • 구강상피세포는 양이온성 향균 펩티드(β-defensin)를 생성합니다.

치은의 대사

  • 사람 정상 치은의 호흡률은 평균 1.49로 다른 조직에 비해 낮은 편입니다.
  • 사람 정상 치은의 호흡률은 나이가 증가함에 따라 감소하지만, 성별과 종족에 따른 차이는 거의 없습니다.

결합조직 구성성분의 교체율

  • 치은과 치주인대는 다른 결합조직 단백질에 비해 단백질 교체율이 비교적 빠릅니다.
  • 성숙한 교원질 교체 반감기는 치은 5일, 치주인대 1일, 치조골 6일, 피부 진피 15일입니다.
  • 치은의 glycosaminoglycan은 피부나 연골에 비해 반감기가 빠릅니다.

치은의 당질대사

  • 치은에서는 혐기성 해당과정이 활발히 일어납니다.
  • lactate dehydrogenase 효소 활성이 압도적으로 높습니다.
  • 치은 상피에서 미토콘드리아는 기저층의 세포에서는 많으나 표층으로 갈수록 감소합니다.
  • 기저층 및 그 주위 세포는 결합조직과 인접해 있어 미토콘드리아 내 효소 활성이 높아 정상적인 에너지 대사를 통한 ATP 합성이 용이하며, 결합조직에서 영양분을 받습니다.
  • Pentose phosphate pathway에 관여하는 glucose 6-phosphate dehydrogenase 효소 활성은 표층으로 갈수록 활발합니다.

치은염 → 치주염

  • 항원제공세포와 같은 면역세포가 항원을 인식하여 직접 collagenase, ECM 분해 효소를 분비합니다.
  •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cytokine이 섬유모세포를 자극하여 섬유모세포에서 분해 효소가 분비되는 기작도 있습니다.
  • 그림에서 연두색 pathway는 항원제공세포의 작용을, 초록색 pathway는 cytokine의 작용을 나타냅니다.
  • 염증 cytokine에 노출된 골모세포에서 RANKL 발현은 증가하고 OPG 발현은 감소합니다.
  • RANKL이 파골전구세포의 RANK(receptor)에 결합하면 파골세포로 분화가 일어나 뼈 흡수가 진행됩니다.
  • 계속해서 뼈 흡수가 진행되면 치아 탈락이 일어납니다.

치은염 과정

  • 치태 세균의 내독소(endotoxin), 지질다당체(lipopolysaccharide, LPS) (세균성 항원) Gram negative가 작용합니다.
  • 치은 상피에서 interleukin(IL)-1, IL-8 발현을 통해 호중구를 수송하고, ICAM, E-selectin 발현을 통해 호중구를 부착시킵니다.
  • 접합상피에서 세포사이 간극이 넓어져 외부 물질이 결합조직으로 이동하고, 화학주성에 의해 또는 항원-항체 복합체 형성, 보체 활성화로 화학주성물질(chemotaxin)이 분비됩니다.
  • 호중구(polymorphonuclear leukocyte, PMN)와 대식세포가 모이고, T 림프구가 활성화됩니다.
  • 면역세포들에서 세포외기질 분해효소 유리되어 교원섬유나 proteoglycan같은 치은 기질이 분해됩니다.
  • 면역세포가 분비하는 cytokine (IL-1, IL-6, tumor necrosis factor(TNF)-α)은 주위 치은 섬유모세포를 자극하여 섬유모세포에서 collagenase 등 단백질 분해효소 생성을 유도하고 치은 기질을 분해합니다.
  • 초기 염증반응 3~4일 이내에 결합조직 파괴와 치조골 흡수가 일어납니다.
  • 구강내 세균에 의해 합성된 hyaluronidase, chondroitin sulfatase, glycosidase, collagenase 등에 의해 치주 조직의 collagen이나 PG가 분해됩니다.
  • TIMP(tissue inhibitor of metalloproteinases)의 생성은 거의 변하지 않거나 억제되어 기질 분해 쪽으로 진행됩니다.

정상 치은조직과의 차이

  • 염증 부위 교원섬유의 약 70%가 소실됩니다.
  • 제 Ⅲ형 교원질 양이 감소하고, 제 Ⅴ형 교원질 함량이 증가하며, α1-사슬이 약 3~4배 증가합니다.
  • 섬유모세포는 정상 치은에서 존재하지 않는 제 1형 삼량체(trimer, [α1(I)]₃)를 분비하여 치은 조직의 치은염에 대한 저항력을 감소시킵니다.
  • Ⅲ형은 호중구 콜라겐 분해효소에 의해 분해되기 쉬워 세균이 침입한 염증 치은에서 Ⅰ형의 감소는 적고 Ⅲ형 콜라겐 함량은 저하됩니다.
  • 프로테오글리칸은 교원질 만큼 성분 변화는 보이지 않으나 determan sulfate 감소, chondroitin sulfate 증가하며, 프로테오글리칸의 핵심 단백질과 hyaluronic acid가 감소합니다. (염증 치은 결합조직의 특징)

치주인대

  • 치주인대는 치근 완성에 이어 형성이 시작됩니다.
  • 치소낭 유래의 섬유아세포가 치주인대 형성 부위에서 활발하게 세포 분열하여 세포의 용적과 수가 증가하고, 급속하게 섬유형성 능력을 획득하여 치주인대의 교원질 섬유를 형성합니다.

치주인대의 주된 기능

  • 치아의 맹출 운동에 관여합니다.
  • 맹출한 치아의 치조골 내로의 고정 및 교합에 의해 발생하는 강력한 압력을 완충합니다.
  • 신경분포에 의해 상악, 하악의 정확한 위치를 결정하는 일종의 감각수용기로서 기능합니다.
  • 기질을 통한 치주인대 자체의 활발한 대사, 영양공급과 노폐물 제거(혈관계 풍부)를 수행합니다.

치주인대의 조직학적 특징

  • 세포가 현저히 많고, 혈관계가 풍부합니다.

치주인대를 구성하는 주된 성분

  • 세포성분: 주로 치주인대 고유의 섬유아세포와 그 줄기세포인 미분화간엽계세포, 말라세츠(Malassez), 상피잔사(epithelial rest of Malassez, ERM), 대식세포, 골아세포, 파골세포, 시멘트아세포
  • 세포에 의해 생성되는 세포외기질(섬유성분과 섬유외 기질물질)
  • 섬유성분: 콜라겐 섬유와 피브릴린 1으로 구성되는 옥시탈란 섬유(oxytalan fiber, 섬유아세포 합성 섬유): 교합에 동반되는 압력 혹은 견인력에 대응, 일정한 규칙적인 배열을 취함으로써 기능을 유지
  • 주 섬유속의 양쪽 끝은 모두 뼈와 시멘트질 속에 매입되어 샤피 섬유를 형성합니다.

시멘트질과의 비교

  • 시멘트질: 중량비로 무기질 65%, 유기질 약 23%, 수분 약 12% - 뼈나 상아질 양과 비슷합니다.
  • 건조중량% 칼슘 26.2%, 인 12.2% → Ca/P비=2.08, 상아질과 일치합니다.
  • 치주인대는 고도의 세포성 조직입니다.

교원질

  • 치주인대의 주체를 차지하는 섬유는 Ⅰ형 교원질입니다.

  • Ⅲ형 교원질은 큰 섬유의 주변이나 혈관 주위에 분포하며, 교원질의 대사 회전, 치아의 이동, 교원질 미세섬유의 형성과 관여합니다.

  • 교원질의 가교에는 히스티디노하이드록시메로데스모신(histidinohydroxymerodesmosine)과 하이드록시라이시노노어로이신(hydroxylysinonorleucine)이 주체이며, 소량의 디하이드록시라이시노노어로이신이 검출됩니다.

  • 치조 내로의 치아 고정에 중요하며, 가교 형성에 관여하는 라이실 옥시다제(lysyl oxidase)의 억제제인 라티로젠(lathyrogen)을 투여하면 치아의 가동성이 증대됩니다.

  • 치주인대의 교원질은 생체 중에서도 대사 활성이 높습니다.

  • 성숙 콜라겐의 생물학적 반감기: 치주인대(1일), 치은(5일), 치조골(6일), 피부(15일)

  • 치주인대의 섬유아세포는 교원질을 합성함과 동시에 식작용(phagocytosis)에 의해 교원질섬유를 탐식하며, 치주인대의 재조성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합니다.

옥시탈란 섬유

  • 미성숙 탄력섬유와 유사한 섬유로 인정됩니다.
  • 350kDa의 피브릴린 1이라는 당단백질을 주성분으로 하며, 그 외에도 많은 당단백질을 함유하는 엘라스틴 결합 마이크로피브릴입니다.

페리오스틴

  • 골막이나 치주인대에 존재하며, 뼈나 치아의 재생에 필요합니다.
  • 페리오스틴 유전자 녹아웃마우스에서 치주인대의 형성, 치아의 재생이 잘 안됩니다.
  • 심근의 재생에도 중요합니다.

프로테오글리칸

  • 분자 내에 수산기가 많이 있어서 대량의 물 분자와 결합하여 점성이 있는 겔(gel)을 만들고, 조직에 탄성을 부여하여 치주인대가 발성, 연하, 저작 시에 가해 지는 힘을 보상하는 데 중요합니다.
  • 치주인대 단백질은 당단백질을 다량 함유하고 대부분은 혈청 유래이며, 나머지는 전 닥백질의 약 10%를 차지하는 프로테오글리칸(3.6%)과 결합조직의 당단백질(6.4%)로 구성됩니다.

사이토카인

  • 시멘트질에서도, 치주인대에서도 재생에 중요합니다.

Studying That Suits You

Use AI to generate personalized quizzes and flashcards to suit your learning preferences.

Quiz Team

Related Documents

More Like This

Gingival Tissue Dilation Process Quiz
6 questions
Encía y Tipos de Tejido Gingival
30 questions
Tissue Dilation in Dentistry
24 questions

Tissue Dilation in Dentistry

AmusingIambicPentameter avatar
AmusingIambicPentameter
Use Quizgecko on...
Browser
Browser